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

        김영운(Kim, Young-wo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7 No.-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고 있는 아리랑계통 악곡 중 중요한 악곡을 중심으로 몇가지 문제점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 다양한 제목으로 전승되는 180여곡의 아리랑계통 악곡 중 제목만으로는 어떤 곡인지 알기 어려운 곡을 대상으로 모곡(母曲)별로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이름으로 전승되는 아리랑계 악곡의 모곡은 〈구조아리랑〉, 〈밀양아리랑〉, 〈강원도아리랑〉, 〈정선긴아리랑〉 등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악곡명에 혼동의 여지가 없는 〈(본조)아리랑〉, 〈(경기)긴아리랑〉, 〈진도아리랑〉 등이 아리랑계통 악곡의 중요한 곡목들로 파악되었다. 이어서 강원도지역의 향토음악이었던 〈긴아라리〉ㆍ〈엮음아라리〉ㆍ〈자진아라리〉 등이 경기명창들에 의하여 통속민요화 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들 악곡이 통속민요화 한 곡이 각각 〈한오백년〉ㆍ〈(서울제)정선아리랑〉ㆍ〈강원도아리랑〉 임을 재확인하였다. 끝으로 강원도의 향토민요인 〈긴아라리〉와 〈자진아라리〉 중 어느 곡이 경기도에 전하여져 경기 아리랑을 파생하였는지를 살펴 본 결과, 강원도의 〈긴아라리(정선아리랑)〉에서 경기도의 〈구조아리랑〉이 파생되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구조아리랑〉이 신경토리로 변화되어 〈본조아리랑〉이 형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강원도의 〈자진아라리(통속민요 강원도아리랑)〉가 중요하게 참고된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a few issues with some of the important variations of Arirang. About 180 songs with various titles derived from Arirang but unidentifiable by the titles alone have been classified by their original versions, and it has turned out that the originals from which those songs have evolved come down to the four categories of Old Arirang, Miryang Arirang, Gangwondo Arirang, and Jeongseon Gin Arirang. Songs with unmistakable titles such as (Original) Arirang, Gyeonggi Gin Arirang, and Jindo Arirang, are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those songs related to Arirang. The study then investig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Gin Arari, Yeokkeum Arari, and Jajin Arari, folk songs indigenous to Gangwon Province, became known to the public as Han Obaengnyeon, Seoulje Jeongseon Arirang, and Gangwondo Arirang, respectively, through performances of professional singers of Gyeonggi folk songs. Finally, a probe into which of the two folk songs from Gangwon Province, Gin Arari and Jajin Arari, became Arirang of Gyeonggi Province has shown that it was Gin Arari (Jeongseon Arirang) that later became what is now known as “Old” Arirang. And as Old Arirang took on the mode of New Gyeongtori and developed into what is called Original Arirang, it made close reference to Jajin Arari (or its popular version, Gangwondo Arirang).

      • KCI등재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지역아리랑 연구

        정서은 ( Jung Sueeun )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8 No.-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출현하는 지역아리랑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등장 배경 및 연행 양상 등을 파악하여 그 실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지역아리랑은 <밀양아리랑>ㆍ<강원도아리랑>ㆍ<영동아리랑>ㆍ<영남아리랑>ㆍ<진도아리랑>ㆍ<남도아리랑>ㆍ<용강긴아리>ㆍ<함경도아리랑>ㆍ<정선아리랑>ㆍ<대구아리랑>ㆍ<동래아리랑>으로 모두 11종이며 그 존재 양상은 각 악곡에 따라 그리고 소리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 첫째, 각 지역아리랑은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시기가 서로 다르다. 1926년 유성기음반의 <밀양아리랑>을 선두로 <강원도아리랑>이 1927년에 등장하고, 1930년대 전반기에 <영동아리랑>ㆍ<영남아리랑>ㆍ<진도아리랑>ㆍ<남도아리랑>ㆍ<용강긴아리>ㆍ<함경도아리랑>이, 1930년대 후반기에는 <정선아리랑>ㆍ<대구아리랑>ㆍ<동래아리랑>이 보인다. 둘째, 유행 양상이 다르다. 음반발매 및 방송횟수를 기준으로 지역아리랑 중에서는 <밀양아리랑>이 가장 많이 유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강원도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이 의 뒤를 잇는다. 그 외에 지역아리랑은 단 몇 회 정도 등장하거나 오랜 기간 지속되지 못했다. 셋째, 일제강점기 주요 지역아리랑으로 꼽을 수 있는 <밀양아리랑>ㆍ<강원도아리랑>ㆍ<진도아리랑>은 등장의 배경이 다르게 나타난다 <강원도아리랑>은 토속민요로 존재하다가 소리미디어를 통해 소개되면서 통속화된 소리이고, <밀양아리랑>은 통속민요로 유행하다가 소리미디어에 등장한 경우이다. 그리고 <진도아리랑>은 소리미디어를 통해 재편성 창작된 새로운 아리랑이다. 넷째, 등장 배경이 각각 다른 세 가지 지역아리랑은 가창자와 연주 형태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인다. 가장 인기를 누렸던 <밀양아리랑>은 가창자와 편성에 있어 다양성을 보이는 반면, <진도아리랑>과 <강원도아리랑>은 비교적 제한된 양상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일제강점기 지역아리랑을 담고 있는 두 가지 소리미디어 중 유성기음반이 시기적으로나 유행 선도에서 방송을 앞서는 경향을 보이며, 방송은 이를 보완하여 유행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local Arirang, appearing in Japanese colonial era sound media and identify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and performance patterns to reveal its substance. The local Arirangs that appear in Japanese colonial Sound Media are Miryang arirang, Kangwǒndo arirang, Yǒngdong arirang, Yǒngnam arirang, Chindo arirang, Namdo arirang, Yonggang arirang, Chǒngsǒn arirang, Taegu arirang, and Tongnae arirang. These eleven arirangs have different types of music, depending on its melody and types of sound media. In summary, first, each local Arirang has different periods of appearance in sound media. In 1926, Kangwǒndo arirang appeared in 1927, led by Miryang arirang on the meteorological record.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Yǒngdong arirang, Yǒngnam arirang, Chindo arirang, Namdo arirang, and Yonggang arirang followed. 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Chǒngsǒn arirang, and Taegu arirang appeared. Second, the trend is different. Based on the number of albums released and broadcasted, Miryang arirang was assumed to be the most popular among other local Arirangs. And it is followed by Kangwǒndo arirang and Chindo arirang. In addition, local Arirang appeared only a few times or did not last for a long time. Third, Miryang arirang, Kangwǒndo arirang, and Chindo arirang, which can be considered as major regional Arirang in Japanese colonial era, have different backgrounds. Kangwǒndo arirang existed as a local folk song and had been introduced through sound media, and Miryang arirang was a popular folk song and had appeared in sound media. And Chindo arirang was a new Arirang that was reorganized and created through sound media. Fourth, the three local Arirang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lso show differences in singer and performance formation. The most popular Miryang arirang shows diversity in singer and organization, while Chindo arirang and Kangwǒndo arirang show relatively limited patterns. Lastly, among the two sound media containing Japanese colonial era regional Arirang, the phonograph record tended to be ahead of broadcasting in terms of timing and trend, and broadcasting was believed to play major role in expanding the trend by supplementing this.

      • KCI등재

        자진아라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

        강등학(Kang Deung-Ha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39 No.1

        자진아라리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그 인근지역에까지 나아가 분포되어 있다. 주로 태백산맥과 차령산맥의 줄기를 타고 나아가며, 위로는 광주산맥, 아래로는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대체로 강원도의 산맥 줄기를 타고 나아가면서 그 인근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의 민요는 종류를 다양화하기보다는 기능을 복합화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자진아라리도 나무하기, 나물뜯기, 밭매기 등 산간지역의 이러저러한 일거리와 노래 자체를 즐기는 노래판을 통해 전승되어 왔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러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자진아라리가 모심기를 하면서도 불려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산간노래로 존재하던 것이 뒤에 들노래로까지 나아가게 된 것이다. 자진아라리의 후렴은 넘어간다류, 넘겨주게류. 아라리야류, 얼었다가류, 놀다가세류. 왜요리아려류 등 6종으로 나타난다. 이 중에 이 노래의 대표적인 후렴은 넘어간다류이다. 그러나 자진아라리는 본래 후렴이 없던 노래이다. 현재의 후렴은 들노래로 진출하면서 작업의 필요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이른바 아리랑어사설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후렴으로 삼은 것이다. 자진아라리와 아라리는 노래의 생태적 양상이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두 노래는 사설의 교섭이 활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라리의 정서는 가볍기도 하고, 무겁기도 하지만, 자진아라리의 정서는 대부분 가볍다. 가벼우며 무거운 데 대해 가볍기만 한 것은 부분이다. 그러므로 특성화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사설의 공유가 보편적 현상으로 자리잡혀 있으면서도, 자진아라리로만 실현되는 것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아라리로 충족되기 어려운 측면을 자진아라리가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인데, 집약하면 그것은 흥취적 기능이다. 그러므로 자진아라리는 창자들이 아라리로 충족하기 어려운 정서적 욕구를 채워주는 역할을 하면서 함께 공존해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강원도아리랑은 자진아라리를 통속 민요로 변개시킨 노래이다 향토민요와 동속민요는 그 문화적 성격이 아주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강원도아리랑은 주요 소비공간인 도시에 합당한 정서를 담아내도록 새롭게 바뀌어야 했다. 이러한 변화가 사설에는 생태적 특성이 약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또 후렴에는 유흥적 속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노래의 정체성이 문화적 생태환경과 맞물려 형성된다는 점을 새삼 확인 할 수 있다. 아리랑의 전개에 있어서 영화 아리랑의 주제곡, 곧 본조아리랑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아리랑의 전개 동력 가운데 하나는 민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영화 아리랑을 통해 아리랑에 민족이라는 기호가 입혀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조아리랑은 경기자진아리랑을 편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필자는 경기자진아리랑이 자진아라리를 본으로 삼아 만들어진 노래로 파악하고 있다. 그렇다면, 자진아리랑은 본조아리랑의 원본이 되는 노래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Jajin-Arari was being distributed centering around Kangwon-do. This song was handed down in nearby the mountains. But it was sung work songs of rice farming in the later of Choseon, too. The ecology aspect of Jajin-Arari and Arari was nearly alike. So the both song could activity negotiation of words. But the emotion of Jajin-Arari has cheerful and light distintion than Arari's it. Jajin-Arari was created spontaneously genesis. And a musician specialist made a popular song Kangwondo-Arirang that it is arranged Jajin-Arari. Accordingly, the song of Kangwondo confirmed popularity, so the song was sung all over the country. We can tell that Jajin-Arari was made various shape according to environment was hand down or spread abroad. Since it is so, we are to be understand one of all aspect of the folk song that it is adapted endlessly put in to the ecology circumstance.

      • KCI등재

        대구아리랑의 음악양상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51 No.-

        Main task of this study is musical analysis of traditional Arirang which spread to Daegu, an inland city of Yeongnam area, and musical activity. Most Arirangs in Yeongnam area excluding Miryang Arirang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of scale and rhythm as Arari in Gangwon-do. Gangwon area and Yeongnam area belonging to the same sphere of folk song did not have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prototype when Arari entered Yeongnam area. For this reason, Arirang in Yeongnam area could not overcome the stronghold of Arari in Gangwon-do, and faded away after all as it could not secure the representativeness as a regional Arirang. At the time when popular song Arirang was spread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irang was created based on the region and became popular. At this time, Arirang, which contains local sentiments, was recorded in Daegu and it was called Daegu Arirang sung by Choi Gye-ran in 1936. At that time, Daegu Arirang was popular enough to publish albums twice. Another source is ‘Arari,’ recorded in 1983 by the voice of Choi Yang-hwan. The two songs show a clear difference in music form, but are the same as the line of Gangwon-do Arirang, except for some melodic progression and Sigimsae. This song is very similar to Gangwon-do Arirang in terms of its Eotmori rhythm, characteristics of Menaritori scale and musical flow. Nonetheless, Daegu Arirang is the Arirang representing the region based on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he local color of Saseol, and the traditionality of Arirang. Though from this time Daegu Arirang needs reinterpretation and attention, and it should be widely spread and loved by local people. Recently through musical activity of Daegu Arirang, folk song singer Jeong Eun-ha has been leading the effort to spread Daegu Arirang by singing it or as an organizer of its festival. This writer as a composer have been focusing on converting Daegu Arirang into another genre and developing and distributing it as new contents. This attempt is very worthwhile of another regional Arirang movement.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전파된 대구아리랑의 음악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며 이 아리랑의 콘텐츠 개발에 따른 음악하기가 부수적인 관심사이다. 밀양아리랑을 제외한 영남지역 대부분의 아리랑은 강원도아라리와 동일한 음계적 특성과 장단을 갖는다. 강원지역과 영남지역이 같은 민요권역으로 아라리가 영남지역에 유입될 때 원형변형의 필요성을 가지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영남지역 아리랑은 강원도아라리의 아성을 넘어설 수 없었고 지역 아리랑으로 대표성을 담보하지 못해 결국 소멸되고 말았다. 일제강점기 때 유행가아리랑이 확산되던 무렵 지방에서는 지역을 토대로 아리랑이 만들어졌고 유행되었다. 이 시기에 대구에서도 지역의 정서를 담은 아리랑이 음반에 취입되었는데 1936년 최계란이 부른 ‘대구아리랑’이다. 당시 대구아리랑은 두 차례 음반 발행을 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또 하나의 음원은 1983년 최양환의 소리로 녹음된 ‘아라리’이다. 두 곡은 음악형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만 몇몇 선율진행과 시김새를 제외하면 두 곡은 동일한 강원도아리랑 계통의 곡이다. 이 곡은 엇모리장단, 메나리토리의 음계적 특성, 그리고 음악적 흐름 등이 강원도아리랑과 매우 닮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아리랑은 음악적 특성과 사설의 향토성, 그리고 아리랑의 전통성 등의 근거로 이 지역을 대표하는 아리랑이 된다. 지금부터라도 대구아리랑에 대한 재해석과 관심이 요구되며 지역 사람들에게 널리 확산되고 사랑받는 아리랑이 되어야 한다. 최근 대구아리랑의 음악하기를 통해 민요 가창자 정은하는 대구아리랑을 부르거나 대구아리랑축제 때 축제의 주최자로서 이것을 보급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또 필자는 작곡가로서 대구아리랑을 다른 장르로 변환시키고 새로운 콘텐츠로 개발하여 보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또 하나의 지역 아리랑운동으로써 매우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강원도 <고성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이윤정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4 No.-

        The current dissertation analyzes the source book that contains <Goseong Arirang> that was song in Goseong-chon, formed by the Goseong people of Gangwondo living in Ando province, China. And set forth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musical element based on the included scores. <Goseong Arirang> can’t be found in source books or music scores published in Korea, and only found in source books or music scores published in China or North Korea. In such music scores there are two kinds of versions included, the Eotmori rhythm <Goseong Arirang> and Yansangdo rhythm <Goseong Arirang>, whereas the Eotmori rhythm <Goseong Arirang> can be found in all source books. The leading part of the <Goseong Arirang> recorded in China and in the area of North Korea have difference uses, but in can be known that they are the same song because they have the same chorus. The <Goseong Arirang> included in the Chinese source book and the Eotmori rhythm <Goseong Arirang> among the North Korean music score are both pieces composed of Menaritori scales. The Yangsando rhythm <Goseong Arirang> is formed with “mi-sol-la-do’-re’-mi’” notes, therefore based only in the composed notes, it can be said that is a piece relevant to Menaritori. Generally in Menaritori, upper notes from “sol” don't appear and lyrics are not given. But in the case of this piece upper notes from “sol” appear, lyrics are given and ends with a “do”, therefore can’t be seen as a Menaritori piece. The general progress of melody in <Goseong Arirang> is most similar to the melodies of our traditional folk song <Gangwondo Arirang>,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Goseong Arirang> was found in the starting section of the chorus. The Yangsando rhythm <Goseong Arirang> has the same time structure and notes with the <Jeongseon Arari> or the <Jeongseon Arirang>, but considering that the notes have different functions it can’t be seen as a similar form piece. In other words, based on the usage of “sol” or finalis, it can be known that the Yangsando rhythm <Goseong Arirang> is not a piece formed with Menaritori which is general to the folk songs of Gangwondo.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Goseong Arirang> is a descendant of the Jajin Arari, having a musical culture that shows the unique regionality of Gangwondo. 본 논문은 중국 안도현 내 강원도 고성출신 조선족 동포들이 형성한 고성촌에서 불리던 <고성아리랑>이 수록되어 있는 자료집을 검토하고, 여기에 수록된 악보를 바탕으로 음악 요소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고성아리랑>은 남한에서 발행된 자료집이나 악보집에서는 찾아 볼 수 없고, 중국과 북한의 자료집 혹은 악보집에서 그 모습이 발견된다. 이들 악보집에는 두 가지 종류 즉 엇모리장단의 <고성아리랑>과 양산도장단의 <고성아리랑>이 수록되어 있는데, 엇모리장단의 <고성아리랑>은 모든 자료집에서 모두 발견된다. 중국에서 채록된 <고성아리랑>과 북한지역에서 채록된 <고성아리랑>은 메기는 부분의 사설이 서로 다르지만, 후렴 즉 받는 부분의 사설이 동일한 점으로 보아 같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중국 자료집에 수록된 <고성아리랑>과 북한 악보자료집에 수록된 엇모리장단의 <고성아리랑>은 메나리토리로 이루어진 악곡이다. 반면에 양산도장단 <고성아리랑>은 ‘mi-sol-la-do´-re´-mi´’의 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음으로만 본다면 메나리토리에 해당하는 악곡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나리토리에서 ‘sol’음은 상행선율에서 출현하지 않으며,주로 경과음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사가 붙지 않는다. 그러나 이 악곡의 경우는 상행에서도 ‘sol’음이 출현하고, 가사가 붙으며, ‘do´’음으로 악곡이 마치기 때문에, 메나리토리의 악곡으로 볼 수 없다. 엇모리장단의 <고성아리랑>의 전체적인 선율진행은 통속민요 <강원도아리랑>과 가장 많이 닮아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고성아리랑>의 특징은 받는 소리의 처음 시작부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양산도장단 <고성아리랑>은 <정선아라리>나 <정선아리랑>과 비교할 때, 박자구조와 구성음은 동일하지만, 음들의 기능이 다른 것으로 보아 같은 유형의 악곡으로 보기는 어렵다. 즉 ‘sol’음의 활용이나 종지음 등으로 본다면 양산도장단의 <고성아리랑>은 강원도지역 민요의 대표적인 어법인 메나리토리로 이루어진 악곡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다면, 엇모리장단의 <고성아리랑>은 자진아라리계통의 노래로 강원도 고유의 지역성을 드러내는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퇴계학(退溪學) 혹은 학퇴계(學退溪)의 사이

        이영호 ( Lee Young-ho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8 No.-

        퇴계와 그의 제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언행록을 보면, 퇴계는 자신이 깨우친 진리와 알고 있는 지식을 최선의 언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여기에서 퇴계의 학문과 퇴계를 배우고자 하는 제자들 사이의 맥락, 즉 퇴계학(退溪學)과 학퇴계(學退溪)의 양상이 형성된다. 퇴계학은 유학의 기본 이념인 내성외왕(內聖外王), 수기치인(修己治人)의 길을 함유하고 있다. 제자들은 퇴계학을 배우면서, 내성(內聖)으로 치우치거나 혹은 외왕(外王)의 의미를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이덕홍(李德弘)은 내성에 치우쳐서 퇴계학을 수용하였다. 특히 ‘경(敬)’ 사상에서 윤돈(尹焞)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 내성학(內聖學)을 궁구하였다. 퇴계 또한 『심경부주』를 중심으로 유학의 내성학에 몰입하였기에, 사제간의 학문연마는 매우 구체적이고 열정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내성 지향은 자칫 외왕의 소홀로 이어질 여지가 있다. 이에 정구(鄭逑)는 외왕에 중심을 두고서 퇴계학을 수용하였다. 영남퇴계학이 전자를 중심으로 하였다면, 근기퇴계학 즉 실학은 후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학퇴계’의 분기가 조선후기 학술사의 다양화를 구축하는 관건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Looking at the words and deeds that contain the story of Toegye and his disciples, it is evident that Toegye tried to convey the Truth and knowledge he had learned through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Here, the context between the study of Toegye and the students who want to learn Toegye, that is, the aspects of Toegyehak(退溪學) and Haktoegye(學退溪), are formed. Toegye-hak contains the basic ideology of Confucianism which is the path of Naeseongwaewang(內聖外王) and Sugichiin (修己治人). While learning the study of Toegye, the disciples either leaned toward Naeseong(內聖) or tri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Waewang(外王). Yi, Deok-Hong(李德弘) accepted the study of Toegye because he was biased toward Naeseong(內聖). In particular, in the thought of Gyeong(敬), he searched for the study of Naeseong(內聖) with focusing on Yun Don's argument. Since Toegye also immersed himself in the study of Naeseong(內聖) of Confucianism, with focusing on Shimkyungbuju, the academic training between master and disciple was very specific and passionate. However, leaning toward Naeseong(內聖) may lead to neglect of Waewang(外王). Accordingly, Jeong Gu(鄭逑) accepted the study of Toegye with a focus on Waewang(外王). While the study of Yeongnam Toegye focused on the former, the study of Geungi Toegye, or Silhak, was based on the latter. This means that the divergence of Haktoegye(學退溪) acted as a key to diversifying the academic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 강원아리랑유산의 가창자 공동체와 활용

        이창식(Lee, Chang-si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江原民俗學 Vol.29 No.-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인 정선아리랑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로 지역문화 대표브랜드가 되었다. 더구나 정선아리랑 특구라는 이름으로 아리랑의 OSMU 등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고, 국내외적으로 그 가치가 널리 확산되어 인정받고 있다. 아리랑자산에 대한 지적재산권 영역과 융합형 창조전략 부문도 늘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강원 전역의 아리랑자산 가치에 비해 강원도의 정책이나 비전은 매우 낮은 편인데 개선해야 한다. 강원아리랑유산의 가창자 공동체의 활성화와 세계화를 고려하여 정선아리랑 전승현황과 전승공동체로서 강원도아리랑보존회 공연 활동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아리랑유산 브랜드 차별-상품화, 아리랑문화축제와 전통행사의 공연-상품화, 아리랑한류화와 연계한 교육-상품화, 아리랑 투어리즘 킬러콘텐츠의 감성-상품화가 그것이며 이를 순차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강원도 자체를 ‘아리랑도’ 라고 각인시킬 정도로 아리랑 브랜드와 마인드마크를 동시에 만들어야 한다. 강원도 문화권내에 있는 아리랑 소프트자산을 네트워크하여 아리랑벨트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 문화권역 특수 사례로 시군 모두 강원아리랑 무형유산으로 등재되도록 제도를 보강해야 한다. 강원도아리랑연합회(회장 김금수) 활동과 정기공연에 대한 지속 평가로 잠재 무형문화재 등록제를 시행해야 한다. 아리랑가수제를 강원도가 선점하여 주도하고 모범을 보여야 한다. 아리랑가수제는 차세대 육성책이면서 동시에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제도이다. 아리랑가수제의 정착은 창조적 국면을 고려한 강원아리랑유산의 세계화와 맞물려 있다. Jeongseon Arirang, Gangwondo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 became a representative brand of the area as it was registered to UNESCO Intangible Culture Asset. Arirang’s OSMU will be developed further, under the name of Jeongseon Arirang Special Reg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value is being promoted and recognized. Intellectual property and multi-disciplinary creation strategy should always be considered for Arirang’s cultural asset. However, the level of policies and visions of Gangwondo regarding Arirang in Gangwon area is low in despite the value of Arirang’s asset. Issues were diagnosed in terms of globalization of Gangwon Arirang legacy, by reviewing status of Jeongseon Arirang and activities of Gangwondo Arirang Conservation Society. Unique branding and commercialization of Arirang asset, Arirang Culture Festival,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events, edu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Arirang as a Hallyu item, and developing Arirang tourism and killer contents were considered. Gangwondo should be nicknamed as ‘the land of Arirang’ and Arirang brand and mind mark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Arirang belt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networking for Arirang’s soft asset within the cultural area of Gangwondo. As a special case of local cultural area, all assets should be registered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Gangwon Arirang through more powerful system. Efforts made by Gangwondo Arirang Association and continuous evaluation on the regular performances should be done to realize registration of potent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Gangwondo should take initiative to lead Arirang singer system. Arirang singer system can develop the next generation singers and contribute to vitalizing tourism. Establishing Arirang singer system is linked to globalization of Gangwon Arirang legacy.

      • KCI등재

        자진아라리 계열 통속민요의 변주와 확산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In this paper, the diffusion process of Jajinarari is summarized by categorizing the variation method in Jajinarari Variations. Jajinara-ri’s variation metho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changing lyrics while maintaining the mode and rhythmic structure, changing only one mode or rhythmic structure, and changing both the mode and rhythmic structure. The change in the mode was often changed from the mi-mode to the sol mode,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major was found. As for the change in beat, the change from 10/8 beats to 3/4 and 4/4 beats was found the most. The change in the lyrics of the song led to a change in the title of the song. In many cases, key words in the lyrics were made into titles or place names related to singers were used as title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epresentative Arirang song was an arrangement of Jajinarari. 이 논문에서는 자진아라리 계열로 볼 수 있는 통속민요 아리랑류 악곡에서의 변주 양상을 유형화하여 자진아라리의 확산 과정을 추적해 정리하였다. 자진아라리류 악곡의 변주 방식은 토리와 장단을 유지한 채 가사의 변화, 시김새의 추가 등으로 통속민요화한 경우, 토리나 장단 한 가지를 바꾼 경우, 토리와 장단을 모두 바꾼 경우의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토리는 메나리토리에서 솔선법, 미선법, 육자배기토리 등으로 변화하였으며, 장단은 엇모리에서 세마치(3/4박자 포함)와 굿거리, 4/4박자 등으로 변화하였다. 1차 변주는 향토민요를 통속민요화하는 과정이며 시김새가 늘어나고 박자가 안정화되는 정도의 변화가 나타난다. 경상도아리랑과 대구아리랑, 청주아리랑, 구미아리랑, 그리고 통속민요 강원도아리랑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가사가 바뀌었지만 기존 악곡을 거의 그대로 노래하는 제주도 아리랑도 1차에 포함할 수 있다. 2차 변주는 토리와 장단을 변주한 사례이며, 여기에 가사의 변화가 악곡 정체성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후렴 가사를 바꾸고 솔선법을 사용한 영천아리랑, 독립군아리랑, 쪽박아리랑, 차병걸의 강원도아리랑, 그리고 가사를 바꾸고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한 초동아리랑이 여기에 속한다. 3차 변주는 1차나 2차 변주곡을 재변주한 사례가 많은데 엇모리 영천아리랑을 변주한 세마치 영천아리랑과 랭산모판아리랑, 그리고 강원도아리랑을 3/4나 4/4박자로 변주한 강원도아리랑, 굿거리로 바꾼 경상도아리랑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 함경도아리랑은 솔선법에 3/4박자로 되어 있어 영화주제곡인 본조아리랑과 깊은 친연성이 확인되었고, 직접적인 파생의 증거는 아니지만 본조아리랑이 자진아라리의 직접적인 편곡이었을 음악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의 아리랑사적 위상

        김기현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이 논문은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의 원형으로 기층에서 향유되던 <문경새재소리>를 주목하여 <문경새재소리>가 <문경새재소리아리랑>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의 아리랑사적 위상을 밝힌 글이다. <문경새재소리>는 문경의 <모심기소리>, <나무하는소리> 등으로 기층민의 노동과 삶 속에서 구연되었던 토속소리였다. 그런데 19세기 경복궁 중창 등과 같은 새로운 역사 문화적 상황에서 통속화의 길을 가게 되고 당대 <아리랑>의 대표소리로 인지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은 모심기나 풀베기와 같은 노동의 현장에서 불리는 향토민요 아리랑과 전문소리꾼에 의한 창작된 통속민요 아리랑으로 존재하며, 지역적 구심과 통속적 원심을 살려 문경의 지역아리랑으로 전승되고 있다. 한편 <문경새재소리>는 20세기 이후 다른 개체요와 여러 <아리랑> 사설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강원도 지역아리랑과 맥을 대고 있는 오래된 노래로 노동요로서의 기능을 지닌 토속적인 향토민요 아리랑이라는 점에서 아리랑사적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took note of <Mungyeong-saejaeSori>, the original form of <Mungyeong-saejaesori Arirang>, which was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disclosed the process in which <Mungyeong-saejaeSori> is formed into <Mungyeong-saejaeSori Arirang> and its Arirang-historic position. <Mungyeong-saejaeSori> <Rice-planting Sori> of Mungyeong, and a folk song orally narrated in the labor and life of the general. Then, it got to go towards popularization under such a new historic and cultural situation as Gyeongbok Palace rebuilding. After that, it seems to have been recognized At present, <Mungyeong-saejaeSori Arirang> is divided into the folk song Arirang, sung in the labor site such as rice-planting and the popular song Arirang created by expert singers, handed down to Mungyeong as local Arirang with its local centripetal force and popular centrifugal force shown off. Meanwhile the Arirang-historic significance of <Mungyeong-saejaeSori Arirang> is as follows:1) It affected other songs and <Arirang> after the 20th century; 2) It has been handed down to <Gangwondo Arirang> and is a popular song having a function as a labor song; and 3) It is a tone corresponding to original version in the process of Arirang formation.

      • 속초 · 고성지역 아리랑의 전승과 특성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일제강점기하에서도 속초 설악산, 양양 의상대 등을 배경으로 한 ‘설악권 아리랑’이 불렸다. 또한 1930~40년대 중국 북간도 이주민들도 고성아리랑을 부르고 있다. 현재 남북한 고성과 중국 고성 등 세 곳에서 아리랑이 불리고, 고성과 속초, 양양의 영북권 3개 시군에서도 아리랑이 전승된다. 그간 조사된 속초아리랑은 60여수, 고성아리랑은 399수에 달하였다. 이들 아리랑은 나물 캐면서 메나리조로 부르는가 하면, 어랑타령에 맞추어 흥겹게 모임에서 부르기도 한다. 우선적으로 속초아리랑의 특징은 노랫말 즉 가사의 변별성을 찾을 수 있다. 속초의 지명이 등장하는 노랫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설악산이다. 이외에도 늘민령, 물안골, 삼팔령 등 지명이 등장한다. 다음은 자연의 의탁하여 자신의 심정과 생활상, 정한 등을 토로한 내용이 많다. 이것은 산과 계곡 등 설악산을 끼고 살고 있는 주민들의 생노병사, 나물캐는 여성들의 삶 등에 대한 정서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랑과 정한에 얽힌 가사들이 많다. 마지막으로 정선아리랑의 일정한 영향을 받은 가사들이 존재 한다. 음악적으로 자진아라리조가 많이 불리고 있으며 넓은 범주에서 슬프고 애타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음조인 계면조(界面調)로 불리는 강원도 민요권역에 속하며 시김새가 강조된다. 다음으로 고성아리랑은 희노애락(喜怒哀樂) 등 생활상이 객관화되어 표출 되고 있다. 특히 사랑과 이별에 대한 애틋한 정서와 해학성이 많이 표출된다. 사설적 특징은 라임(Rhyme)과 퍼닝(Punning)의 다양한 전변(轉變)을 보여준다. 운자(韻字)놀이나 유사(類似)한 단어를 연결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댓구와 비교, 비유법 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설악산과 자연경관을 노래하는 지역적 특성과 분단적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강원도 아리랑 가운데 동해안유역권 아리랑은 특히 자진아라리가 많이 불리고 있으며 속초시와 고성군의 경우도 자진아라리계통으로 강원도 고유의 지역성을 드러내는 음악문화를 지닌다. 우리나라 아리랑권역 가운데 이른바 영월 · 평창 · 정선의 아리랑을 ‘영평정아리랑’이라고 규정했듯이, 이른바 강원동해안지역에서 부른 ‘설악권아리랑’이라 평가할수 있다. Eve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rirang in the area of Mt. Sorak’ was sung around at Mt. Sorak in Sokcho, Uisangdae Pavilion in Yangyang, and etc. Also, Goseong Arirang was sung by immigrants to North Gando and China in 1930s~40s. Currently, Arirang was sung in 3 areas of Goseong, North and South Korea and Goseong, China, and it was handed down in 3 areas of Goseong-gun, Sokcho-si, Yangyang-gun of Youngbook region. It had been studied approximately 60 numbers of Sokcho Arirang and approximately 399 numbers of Goseong Arirang. The Arirang was sung in Menarijo when people gathered wild herbs or cheerfully sung in an assembly according to Eorang taryeong.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Sokcho Arirang were in distinguishing lyrics. The representative place name of Sokcho included in the lyrics was Mt. Sorak. Besides, many place names such as Neulminryeong, Moolangol, and Sampalryeong appeared. Secondly, the lyrics expressed to entrust nature or speak one’s emotion, life, affection and sorrow, and etc. It represented the emotions of residents in Mt. Sorak with mountains, valleys, and etc. for their births, old ages, sickness, and death, life of women who gathered the wild herbs, and etc. Also, the lyrics were related to their love and affection and sorrow. At last, some lyrics affected by Jeongseon Arirang. In musical aspect, Jajin-Ararijo was widely sung and Sigimsae, which was called Gyemyeonjo(界面調) of folk songs in the area of Gangwon-do to express sorrowful and anxious emotions, was very emphasized. Next, Goseong Arirang objectified and expressed one’s life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喜怒哀樂). Especially, loving emotion and sense of humor for love and farewell were widely expressed. It showed the editorial characteristics in the rhyme and punning for such as shifts and changes of this life (轉變). It used rhyming word (韻字) play or connected and utilized similar (類似) words together, and rhyming couplet, comparison, metaphor, and etc. appeared. At last, it represented regional characteristics to sing natural view of Mt. Sorak and division status of territory. Thus, Jajin-Arari was particularly sung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Arirang among Arirang in Gangwon-do, and Sokcho-si and Goseong-gun had music culture with the original regionality of Gangwon-do as a series of Jajin-Arari. In all areas of Arirang in Korea, as Arirang in the areas of Yeongwol · Pyeongchang · Jeongseon was named ‘YeongPyeongJeong Arirang’, Arirang in the areas of Gangwon and the eastern coast could be named ‘Arirang in Sorak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