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강도 모르타르용 결합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수,이윤성,이강필,Lee, Sang-Soo,Lee, Yun-Seong,Lee, Kang-Pil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한 메타카올린, HMBA의 치환율에 따른 고강도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성능을 규명하여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 실험결과 굳지않은 모르타르에서 목표 플로우를 도달하기 위하여 치환율이 커질수록 고성능감수제의 첨가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역학특성에서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에서는 Plain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 HMBA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높았으며, 치환율이 커질수록, 재령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혼화재를 치환한 배합의 강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HMBA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메타카올린과 HMBA를 첨가한 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료로 활용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t's important to study about suitable substitutional material of expensive silica fume because it used widely for silica fume as a high-strength mortar binding ag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ich is the most efficient binder for the expensive silica fume's alternative material. And this study also present basic data about to make high-strength mortar when we use alternative material instead of silica fume through research outcome. Also writers analzed flow properties respectively, so it was founded out the substitutional goods fare like meta-kaolin, HMBA which are less expensive than silica fume because they are in domestic enough.

      • KCI등재

        로칼수출업체에 대한 특성인식이 관계품질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 제공특성, 대인적특성, 관계특성을 중심으로 -

        윤만희 한국마케팅학회 2007 ASIA MARKETING JOURNAL Vol.9 No.3

        This paper explores major factors that drive relationship quality and strength in business-to- business transactions. Three major factors, including offering characteristics, managers' interpersonal factors (similarity, expertise), and relational factors (relationship length, cooperation, and dependence), were proposed to affect relationship quality, and indirectly affect relationship strength. In addition, both economic/instrumental dimension (offering characteristics) and affective, relational dimensions (trust and commitment) are also expected to influence relationship strength. In the empirical study which used the textile-dyeing company managers' ratings of local export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esented a well-fit evidence that relationship quality variables and strength are influenced by their proposed antecedent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all characteristics (except relationship length) have direct effect on their relationship quality with local exporters, and indirectly impact on relationship strength which was measured along dimensions of intention to continue the business relationship in the future and the current share of business given to a local exporter. Together with the minor influence that instrumental dimension (offering characteristics) has on relationship strengt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illingness to remain in business relationship or current proportion of business shared is influenced more by affective assessment like relationship quality than by calculative motivation. 본 연구에서는 기업간 거래 관계의 품질과 강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공조건이 중요한지, 아니면 상대하는 사람이 중요한지 혹은 관계적 특징이 중요한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선행 특성요인을 제공특성(제공조건), 대인적 특성(상대업체 경영자의 유사성, 전문성), 관계 특성(관계기간, 협력, 의존성)으로 분류하고, 이들 특성이 관계품질과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칼수출업체-섬유염색나염업체 거래관계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계기간을 제외한 모든 특성변수는 관계품질 변수(신뢰와 몰입)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관계강도에 대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대업체 경영자로부터 인식하는 유사성은 관계품질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간 의존성은 관계품질이나 관계강도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간 거래에서 자원의존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계강도에 대해서는 관계품질과 같은 정서적 판단이 유의하게 작용하며, 특히 신뢰변수는 제공특성과 같은 수단적․경제적인 변수에 비해 훨씬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후보

        해면뼈의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강도의 상관관계 -사람 대퇴골두 으뜸 압박 골소주-

        백명현,원예연,최문권,김영은 대한골다공증학회 2009 Osteoporosis and Sarcopenia Vol.7 No.2

        목적: 뼈 강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는 구조적 특성과 더불어 중요한 인자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해면뼈의 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강도를 분석하여 뼈 강도를 평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면뼈의 미세구조적 특성과 기계적 강도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 11례와 사체에서 10례, 총 21례의 으뜸 압박 골소주군에서 원통형 샘플을 제작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직경 19 mm, 높이 15mm이었다. 모든 샘플은 미세단층촬영기에 의해서 촬영되어 미세구조적 특성이 분석되었다. 또한 유한요소해석과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실험을 수행하여 기계적 강도를 구하였다. 결과: 항복응력과 탄성계수는 유한요소해석과 만능재료시험기에서 각각 13.58 ㎫과 266.81 ㎫ 그리고 13.17 ㎫과 288.51 ㎫로 분석되었다. 결론: 기계적 강도와 구조적 특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뼈 강도를 예측할 때 구조적 특성과 더불어 기계적 강도를 분석한다면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리라 사려된다.

      • KCI등재

        지반보강 팽창약액의 팽창성능 및 밀도에 따른 강도특성 평가

        Hyounhoi Kang,Kisung Kim,Juho Kim,Jeongjun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이나 부분침하의 복원에 사용되는 팽창약액의 강도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팽창성능을 구분한 팽창약액을 제작하여 강도특성을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대적 고팽창군과 저팽창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각 최대 팽창부피에 대해 10∼30%의 부피를 제어한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시간에 따라 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고팽창군과 저팽창군의 압축강도는 약 2.1배의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inflatable liquid used for the recovery of soft ground or partial settlement, the inflatable liquids were prepared by dividing the inflatable capacity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relatively high expansion group and low expansion group. The specimens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volume of 10 ~ 30% of the maximum expansion volume, and the strength of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igh expansion group and low expansion group was about 2.1 times.

      • KCI우수등재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달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의 역학적 특성

        박덕원 한국암석학회·(사)한국광물학회 2020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3 No.3

        화강암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으로 알려진 세 직교하는 분할면의 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R, G 및 H 공시체는 거창 및 합천 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블럭 샘플로부터 획득하였다. 이들 세 공시체의 장축의 방향은 세 면 각각에 수직이다. 세 면에 대한 판별에 유용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R, G 및 H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와 관련된 세 그래프의 스케일링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을 작성하였다. 강도의 증가에 따라 세 공시체의 그래프는 H < G < R의 순으로 배열한다. 공시체 내부의 조직 균일도를 지시하는 세 공시체에 대한 그래프의 경사각을 비교하였다. H 공시체(θH, 24.0°~37.3°)에 대한 상기한 각이 세 공시체 중에서 가장 낮다. 둘째, 두 공시체의 평균압축강도의 조합을 나타내는 RG, GH 및 RH 공시체의 세 그래프와 관련된 스케일링 특성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이들 세 그래프는 GH < RH < RG의 순으로 배열한다. 섯째, 강도차(Δσt)와 경사각(θ)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위의 두 파라미터는 -0.003의 지수(λ)를 갖는 지수함수의 상관성을 보여 준다. 두 화강암에서, RH-그래프의 경사각(θRH)이 가장 낮다. 넷째, 세 공시체에 대한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각 공시체에 가해진 압축하중에 평행 배열하는 두 조의 미세균열에 대한 다섯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 관계를 보여 주는 여섯 유형의 도면을 작성하였다. 거창 및 합천화강암에 대한 이들 도면으로부터, 빈도수(N, 0.872) 및 밀도(ρ, 0.874)와 함께 총 길이(Lt)에 대한 상관계수(R2)의 평균값(0.877)이 가장 높다. 또한, 세 공시체의 최소(0.768) 및 최대(0.804)의 압축강도에 비하여 평균압축강도와 관련된 상관계수의 값(0.829)이 보다 높다. 다섯째, 거창화강암의 세 공시체에서 발달된 상기의 두 조의 미세균열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압열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R, G 및 H 공시체에 해당하는 이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는 H(R1+G1) < G(R2+H1) < R(R1+G1)의 순을 보여 준다. 인장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압축강도에 대한 세 그래프의 배열순과 상호 부합한다. 따라서, 세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상기한 세 유형의 인장강도와 상호 비례한다. 여섯째, 상기한 세 그래프에서 도출한 각 누적수(N=1~10)에 해당하는 세 인장강도 그리고 각 그래프에 해당하는 다섯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 계수를 도출하였다. 10개의 상관도에서 도출한 각 파라미터에 대한 상관 계수의 평균값은 밀도(0.763) < 총 길이(0.817) < 빈도수(0.839) < 평균 길이(Lm, 0.901) ≦ 중앙 길이(Lmed, 0.903)의 순으로 증가한다. 일곱째, 세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 그리고 압열인장강도 사이의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상기한 상관도는 세 종류의 압축강도 그리고 다섯 그룹(A~E)의 인장강도를 근거로 아홉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최소압축강도를 제외한 평균 및 최대압축강도와 함께 인장강도가 증가할수록, 상관계수의 값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orthogonal splitting planes, known as rift, grain and hardway planes in granite quarries, were examined. R, G and H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block samples of Jurassic granites in Geochang and Hapcheon areas. The directions of the long axes of these three specime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three planes. First, The chart, showing the scaling characteristics of three graphs related to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of R, G and H specimens, were made. The graphs for the three specimens, along with the increase of strength,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H < G < R. The angles of inclination of the graphs for the three specimens, suggesting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texture within the specimen, were compared. The above angles for H specimens(θH, 24.0°~37.3°) are the lowest among the three specimens. Second, the scaling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hree graphs of RG, GH and RH specimens,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the mean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two specimens, were derived. These three graphs, taking the various N-shaped form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GH < RH < RG. Third, the correlation chart between the strength difference(Δσt) and the angle of inclination(θ) was made. The above two parameters show the correlation of the exponential function with an exponent(λ) of -0.003. In both granites, the angle of inclination(θRH) of the RH-graph is the lowest. Fourth, the six types of charts, show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kinds of compressive strengths for the three specimens and the five parameters for the two sets of microcracks aligned parallel to the compressive load applied to each specimen, were made. From these charts for Geochang and Hapcheon granites, the mean value(0.877)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R2) for total density(Lt), along with the frequency(N, 0.872) and density(ρ, 0.874), is the highest. In addition, the mean values(0.829)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ssociated with the mean compressive strengths are more higher than the minimum(0.768) and maximum(0.804) compression strengths of three specimens. Fifth,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razilian tensile strengths measured in directions parallel to the above two sets of microcracks in the three specimens from Geochang granite were derived. From the related chart, the three graphs for these tensile strengths corresponding to the R, G and H specimens show an order of H(R1+G1) < G(R2+H1) < R(R1+G1).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three graphs for the tensile strengths and that for the compressive strengths are mutually consistent. Therefore,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three specimens are proportional to the three types of tensile strengths. Sixth,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three tensile strengths corresponding to each cumulative number(N=1~10) from the above three graphs and the five parameters corresponding to each graph, were derived. The mean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each parameter from the 10 correlation charts increase in order of density(0.763) < total length(0.817) < frequency(0.839) < mean length(Lm, 0.901) ≦ median length(Lmed, 0.903). Seventh, the correlation charts among the compressive strengths and tensile strengths for the three specimens were made. The above correlation charts were divided into nine types based on the three kinds of compressive strengths and the five groups(A~E) of tensile strengths. From the related charts, as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s with the mean and maximum compressive strengths excluding the minimum compressive strength, the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 increases rapidly.

      • KCI등재후보

        콘크리트강도 및 단면특성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강관(CFT) 기둥의 극한강도 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장갑철,장경호,Jang, Gab-Chul,Chang, Kyong-Ho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8 No.5

        최근, 교량교각과 같은 기둥구조물의 사용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복잡한 도심지 내 효율적 공간활용을 위해 콘크리트 충전강관(CFT: concrete-filled steel tube)의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둥구조물의 정확한 설계를 위해서는 재료 및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실험을 통하여 외경-두께비 (D/t) 및 강재-콘크리트 단면적비 (As/Ac)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극한강도 분포특성에 대해 명확히 파악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배합강도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극한강도 분포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명확히 파악하였다. 실험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압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극한강도는 콘크리트 강도보다 강과의 단면특성에 주로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to improve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column structures such as bridge piers, application to concrete-filled steel tube(CFT) type columns are increased more and more. To design the concrete-filled steel tube(CFT) columns in accuracy, influence of material and geometry properties and aspect ratio on ultimate strength of the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 is investigated by experimental researches. In this investigation, the ultimate strength distribution of the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 in accordance with diameter-thickness ratio(D/t) and steel-concrete area ratio(As/Ac) are clarified by the compressive tests. Futhermore, parametric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concrete target strength is performed. It was known from experimental observation that ultimate strength of concrete-filled steel tube column under axial compressive loading more depends on section properties of steel tube rather than concrete strength.

      • KCI우수등재

        긍정 정서강도와 부정 정서강도의 차이: 성격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영,김은하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which are sub-dimensions of affect intensity, focusing on the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332 adults were administered Affect Intensity Measur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 affect inten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extro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hile negative affect intens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neuroticism and negatively with conscientiousness. Positive affect inten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aptive strategies while negative affect intens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maladaptive strategies and negatively with the adaptive strategies. Next, data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neuroticism,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excluding openness. The ‘unpleasant group’ (positive low and negative high) and ‘pleasant group’ (positive high and negative low) showed higher neurotic scores than ‘calm group’ (positive low and negative low) and ‘intense group’ (positive high and negative high). In the order of ‘pleasant group’, ‘intense group’, and ‘unpleasant group’, they showed high scores in extroversion. In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npleasant group’ and ‘intense group’ used maladaptive strategies more often than ‘calm group’ and ‘pleasant group’, and ‘pleasant group’ and ‘intense group’ used adaptive strategies more often than ‘unpleasant group’.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강도의 하위차원인 긍정 및 부정 정서강도의 차이를 성격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정서강도 척도, 성격 특성 척도, 정서조절방략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긍정 정서강도는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등 성격 5요인 특성과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부정 정서강도는 신경증과 정적 상관을, 성실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긍정 정서강도는 적응적 방략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부정 정서강도는 부적응적 방략과 정적 상관을, 적응적 방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긍정 및 부정 정서강도의 고저에 따라 자료를 네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개방성을 제외한 신경증,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불쾌한 집단’(긍정 저, 부정 고)과 ‘유쾌한 집단’(긍정 고, 부정 고)이 ‘담담한 집단’(긍정 저, 부정 저)과 ‘강렬한 집단’(긍정 고, 부정 저)보다 높은 신경증 점수를 보였고, ‘유쾌한 집단’, ‘강렬한 집단’, ‘불쾌한 집단’ 순으로 외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정서조절방략의 경우, ‘불쾌한 집단’과 ‘강렬한 집단’이 ‘담담한 집단’과 ‘유쾌한 집단’ 보다 부적응적 방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유쾌한 집단’과 ‘강렬한 집단’이 ‘불쾌한 집단’에 비해 적응적 방략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스포츠시장에서의 스포츠소비패턴과 소비자 개인특성에 관한 연구

        김찬경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6 No.2

        스포츠라는 제품은 전통적인 소비재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런 스포츠 특성은 최근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스포츠마케팅의 영역에서 많은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스포츠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스포츠를 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 기업이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스포츠시장의 소비자특성에 관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 스포츠시장의 주 소비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상품의 소비패턴과 그 속에 숨어 있는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탐색해 봄으로써 스포츠산업경영의 실무 뿐만 아니라 스포츠마케팅의 학문적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해 2차에 걸친 탐색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마케팅의 실무에 반영할 수 있는 스포츠소비자의 여러 특성과 변수간의 관계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스포츠상품의 소비강도를 기준으로 소비자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정보의 원천, 정보의 탐색방법과 탐색정도, 그리고 매체습관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남녀간에 있어서도 여러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런 탐색적 조사결과는 향후 다양한 부문의 후속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스포츠마케팅의 전략을 수립하고 스포츠마케팅의 성과를 측정하는 경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port as an instrument to contribute for marketing objectives has been reported to have idiosyncratic attributes in comparison with other products like conventional tangible consumer goods. In general, prior studies on sport industry focused on the motivations of sports consumer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erefore, the application should be limited only to directly sport-related industry or sport product manufacturers. But sport marketing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area of application to have finally urged many companies with no direct relationship with sport industry. This trend propels sport-related studies to concentrate more on the market-driven concerns among modern compani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relationships in sport consumption patter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amples were chosen among the students in universities. Statistical analysis resulted in a lot of meaningful outcomes about sport consumers traits in opinion leadership, media habits, and attitude to the sport sponsors. These findings are sure to devote to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using sport itself and sport market factors.

      • KCI등재

        골재의 형상 특성과 인공신경망에 기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 연구

        전준서 ( Jun-seo Jeon ),김홍섭 ( Hong-seop Kim ),김창혁 ( Chang-hyuk Kim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범위 콘크리트의 단면에서 골재 형상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인공신경망과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에 적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면적, 둘레, 길이 등과 같은 일반적인 골재 형상 특성과 함께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물성치 예측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단면의 골재 형상 특성만을 사용하여 압축강도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구축을 통해 예측 강도와 실제 강도의 상대오차 4.43% 이내의 범위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골재의 거리-각도 특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 휨·인장 강도 등 다양한 특성을 예측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crete aggregate shape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cross-section of a normal concrete strength cylinde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ylinder was predicte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The distance-angle features of aggregates, along with general aggregate shape features such as area, perimeter, major/minor axis lengths, etc., were numerically expressed and utilized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strength can be predicted using only the aggregate shape features of the cross-section without using major variable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was able to predict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within a range of 4.43% relative error between the predicted strength and test results. This experimental study indicates that various material properties such as rheology, and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can be predicted by utilizing aggregate shape features.

      • KCI등재

        산업특성(산업 경쟁 강도, 산업 진입장벽, 산업 집중도)이 전략적 일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예경,박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23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3 No.3

        [연구목적]본 연구는 산업 특성 요인인 산업 경쟁 강도, 산업 진입 장벽, 산업 집중도가 전략적 일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전략적 일탈은 기회주의적 행위이며 경영 투명성, 비교 가능성을 저해하여 기업의 자본비용을 증가시키고 주가붕괴위험을 야기시킨다고 보았다. 하지만 경쟁이 강화되고 변화가 필요한 산업 내에서 기업이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전략적 일탈을 수행할 경우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인다. [연구방법]산업특성은 정준희 등(2014) 연구에서 이용한 산업 경쟁 강도, 진입 장벽, 독과점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전략적 일탈은 Tang et al.(2011)에서 이용한 6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치는 토빈 Q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비금융업 12월 결산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전략적 일탈과 산업 특성 요인들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경쟁 강도가 낮고 산업 집중도가 높을수록 기업가치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진입장벽의 대용치인 산업내 유형자산 합계액을 매출액 합계액으로 나눈 값은 유의적인 음(-)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업 경쟁 강도와 산업 집중도는 전략적 일탈과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경쟁 강도가 심화하고 산업 집중도가 낮을수록 전략적 일탈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업 진입 장벽은 예상한 방향과 다른 결과로 나타났는데 산업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전략적 일탈과 기업가치의 관계는 증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전략적 일탈에 대한 국내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관점에서 기업가치나 성과에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일탈은 산업의 특성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필연성을 제안하며 그러한 산업적 특성이 전략적 일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industry-specific factors such as competition intensity, entry barriers, and concentration on strategic deviance and firm value. Prior studies in this field show that strategic deviance is an opportunism and financial opacity, cost of capital, stock price crash risk. However, in an industry where competition is intensified and change is required, it seems that if a firm makes a strategic deviation for survival and growth, it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Methodology]Industrial factors were measured using the intensity of industrial competition, barriers to entry, and degree of monopoly used in the study by Jung et al.(2014), and strategic deviance was measured used by Tang et al.(2011). In addition, the Tobin Q was used for firm value, and the target for analysis was selected non-financial listed firms with December settlement of accounts from 2011 to 2020. [Findings]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rategic deviance and industry factors affect firm value.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y competition and the concentration affect strategic deviance and Tobin Q. Strategic devi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value as the intensity of industry competition intensified and the industry concentration was low. [Implications]This prior studies on strategic deviance showed negative results on firm value or performance from the CEO’s opportunism. This study proposes that strategic deviance effects relation to the factors of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