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9 나폴리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기계체조 남자 도마운동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분석

        김동민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lue in the difficult (D-score) and perfection (E-score) aof eight gymnasts who participated in the men’s vault final of the 2019 Napoli Summer Universiade. There are two main results from data analysis. First, in the first group, the most difficulty performance in the difficulty value was Dragulescu (Ri Se Gwang) of 6.0 which one time was performed. Second, in the first round, the most difficulty performance, was Dragulescu of 6.0 performed by Tanigawa. W from Japan. Third, in the second round, the most difficulty performance with 5.6 was Kasamatsu str. W. 2/1t. (Lopez) performed by Tanigawa. W from Japan. Fourth, a gymnast who had the highest score with 11.6 in a total of the first and second rounds was Tanigawa W. Fifth, in the first round, a gymnast who had the lowest deduction with 0.65 was Thorpo Heath from Australia who came in six. Sixth, in the second round, a gymnast who had the lowest deduction with 0.65 was Porto Luis from Brazil who came in third. Seventh, a gymnast who had the lowest deduction with 0.65 in a total of the first and second rounds was Porto Luis from Brazil who came in third. Eighth, Deduction in the first round occurred 12 times, especially in once in the first flight, eight times in the second flight and three times in the landing and each deduction score was 1.1 in the first flight, 2.9 in the second flight and 4.2 in the landing. Ninth, Deduction in the second round occurred 11 times, especially in onc time in the first flight, seven times in the second flight and three times in the landing and each deduction score was 1.3 in the first flight, 5.7 in the second flight and 4.1 in the landing.Vault in the difficult(D-score), perfection(E-score), 1st group, 1st vault, Deduction, 1st flight. 이 연구는 2019년 7월 이탈리아 나폴리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도마종목의 결승경기에 참가한 남자선수 8명 전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차시기와 2차시기의 연기내용의 가치점과 완성도에 대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1그룹에서 가치점이 가장 높은 기술은 6.0점의 Dragulescu(RI Se Gwang) 1회이며, 둘째, 1차 시기에서 가장 높은 기술은 일본 TANIGAWA. W선수의 6.0점 Dragulescu기술이다. 셋째, 2차시기에서 가장 높은 기술은 일본 TANIGAWA. W선수의 5.6점의 Kasamatsu str. W. 2/1 t.(Lopez)기술이고, 넷째, 1, 2차시기 가치점을 합산한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는 일본 TANIGAWA. W선수 11.6점이며, 다섯째, 1차시기에서 감점이 가장 적은 선수는 6위 호주의 THORPE Heath 0.65점이다. 여섯째, 2차시기에서 감점이 가장 적은 선수는 3위 브라질의 PORTO Luis선수 0.50점이고, 일곱째, 1, 2차시기에서 평균 감점이 가장 적은 선수는 3위 브라질의 PORTO Luis선수 0.65점이며, 여덟째, 1차시기 감점은 제1비약에서 1동작, 제2비약에서 8동작, 착지에서 3동작으로 총 12동작에서 감점이 나타났으며, 1차시기에서 제1비약 감점이 1.1점, 제2비약 감점이 2.9점, 착지 감점이 4.2점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2차시기에서 감점은 제1비약에서 1동작, 제2비약에서 7동작, 착지에서 3동작으로 총 11동작에서 감점이 나타났으며, 1차시기에서 제1비약 감점이 1.3점, 제2비약 감점이 5.7점, 착지 감점이 4.1점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22년 영국 코먼웰스게임 남자 도마 연기내용과 착지 성공률 및 감점요인분석

        한윤수,남승구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도마종목의 연기내용과 착지 성공률 및 각 연기국면별 감점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대상은 2022년 영국 버밍엄 코먼웰스게임 남자 도마 결승경기에 참가한 8명이 실시한 총 16회의 도마 연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작점수는 VT 1 평균 5.300점, VT 2 평균 5.350점으로 나타났다. 5.200점의 가치점이 있는 “손 짚고 앞 돌아 몸 굽혀 앞 공중 두 바퀴 기술”을 6명, “손 짚고 옆 돌아 몸 펴 뒤 공중 돌며 5/2 비틀기 기술”을 4명의 선수가 실시하여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점수는 VT 1 평균 8.941점, VT 2 평균 8.546점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점수는 VT 1 평균 14.166점, VT 2 평균 13.833점, Total 평균 14.000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연기국면별 감점요인으로 착지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500점, 제2비약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319점, 착지준비자세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213점, 제1비약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175점, 체공높이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082점, 도마 착수에 대한 감점은 VT 1, 2 평균 0.044점, 최종 감점은 VT 1, 2 평균 1.332점으로 나타났다. 완벽한 착지를 성공한 선수는 1명도 없었으며, 14개의 연기가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착지 동작을 수행하여 감점요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2023년 아시안게임 및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도마 연기 요소그룹과 국면별 감점 분포 분석

        조예,한윤수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이 연구의 목적은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벨기에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도마 예선에 참가한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기 요소그룹과 감점 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시안게임 체조선수 44명과 세계선수권대회 14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FIG 남자체조 채점 규칙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세계선수권대회 도마에서 2회 연기는 27명이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선수권대회 체조선수들은 1차시기 시 Ⅰ그룹 요소, 2차시기는 Ⅱ 요소가 가장 높게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마 연기 시 감점 분포는 착지 국면(0.51 감점), 공중 비행 국면(0.39 감점), 제1비약(0.17 감점), 지지 국면(0.12 감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감점은 1.20 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착지 국면과 공중 비행 국면에서 감점을 최소화하고 1.0점 이하로 감점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factor groups and the distribution of points deducted in each round of the men's vault qualifiers for the 2023 Hangzhou Asian Games and the Antwerp Gymnastics World Championships. In this research, 44 Asian Games participants and 141 World Championships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competition results and video material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scoring rules of the International Gymnastics Federation for men's gymnastic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27 participants in the World Championships who have vaulted twice. Secondly, according to the survey, gymnasts at the World Championships implemented the most Group I elements in the first period and the most Group II elements in the second period. Thirdly, when performing the vault, the distribution of points deducted in each phase is as follows: landing (minus 0.51 points), 2nd flight (minus 0.39 points), 1st flight (minus 0.17 points), and support phase (minus 0.12 points), with an overall average deduction of 1.20 poin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high scores,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eduction points in both landing and flight phase, and to keep the deduction points below 1.0.

      • KCI등재

        2022년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도마 연기요소그룹과 각 국면별 감점분포 분석

        한윤수,남승구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ercise element group and deductions at each phases in men’s vault in the 2022 World Gymnastics Championships(n=133). The videos and gymnastics competition results taken with the IRCOS video system provided by the Swiss tim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en’s Code of Point 2022-2024 by FIG. The conclusion of the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27 gymnasts performed 2nd vault among 133gymnasts. Secondly, the element group Ⅰ were found high frequency. Thirdly, the Akopian and Driggs elem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Element Group Ⅰ. Fourthly, three gymnasts performed 6.0 difficulties of Yonekura(2 gymnasts) and Ri Se Gwang 2(1 gymnast). Finally, the deductions at each phase were found to landing phase(0.554), 2nd flight phase(0.315), 1st flight(0.227) and support(0.103). It is necessary to focus on reducing the deduction for landing phase. 이 연구는 2022년 영국 리버풀에서 개최된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도마 예선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기요소그룹과 각 국면별 감점분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자 도마 예선에 참가한 13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경기 결과와 영상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국제체조연맹 남자 기계체조 채점규칙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마 2회 뛰기 선수는 27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은 Ⅰ그룹 요소를 가장 많이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Ⅰ그룹에서 Akopian과 Driggs 기술을 가장 많이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마에서 가장 높은 난도인 6.0의 기술은 2명이 Yonekura와 1명이 Ri Se Gwang 2 기술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 국면별 감점 분포에서 착지 국면(0.554감점), 공중비행 국면(0.315감점), 제1비약(0.227감점), 지지 국면(0.103감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체조선수들은 착지 감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국 장애인 체육대회 태권도 선수 현황 및 경기 내용 분석

        정현도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es and game content of Taekwondo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Sports Games for the Disable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improved athletic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for the Disabled, which was selected first as an official event in the 2020 Tokyo Paralympics and successively selected as an official event at the 2024 Paris Paralympics. For this, among the male and femal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taekwondo competitions of the 37th National Sports Games for the Disabled, in a total of 24 games separated into 4 weight classes for each gender including the semifinal games (2 games) and the final games (1 game) and excluding a total of 3 games including 1 female -49kg game, 2+67kg games, and 1 male +80kg game due to a lack of participating athletes, a total of 42 athletes and 21 games were analyzed including 11 male games and 10 female games along with player status. Points and deductions and the number of imagery interpretation requests were calculated in numbers and differences by rotation and by each weight class were analyzed in percentages (%).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nationwide city and province athlete participation statuses, scores and deductions by weight class, imagery interpretation requests, and forms of judgment,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nalyses of nationwide city and province athlete participation statuses show that of a total of 43 athletes, the area with the highest number of participating athletes was Seoul with 11 (25.6%), and 5 athletes (11.7%) participated from Gwangju, and 4 athletes (9.3%) participated from Choongbook, which was the host province, and Choongnam, Ulsan, and Jeju each had 3 athletes participating. Also, of 17 cities and provinces of the nation, there were 3 cities and provinces that did not have any athletes participating. Second, analysis conducted on scores by weight class showed that, of the total 443 points scored in the 21 male and female games contended, male athletes scored 302 points during their 11 games, making their average score 27.4 and the female athletes scored 141 points during their 10 games, making their average score 14.1, showing that the scoring power of the male athletes was much higher. Third, analyses of deductions by weight clas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deducted points of the male and female athletes was 87 with the male athletes receiving a total of 55 deductions during 11 games making their average number of deductions 5.0 and the female athletes receiving a total of 32 deductions during their 10 games, making their average number of deductions 3.2, showing that the male athletes received more deductions than the female athletes. Fourth, with regard to requests for imagery interpretation, of the 21 male and female games, there was only one request made regarding boundary lines during the male -58kg semi-finals and the imagery interpretation resulted in a dismissal. Fifth, analyses of forms of judgment showed that of the total of 21 games, there were 11 games where there was a win by withdrawal, 9 games where there was a win by decision, and 1 game won with a golden point. Of the 11 male games, there were 6 games in which there was a win by decision and 5 games in which there was a win by withdrawal, making the number of games with each form of judgment similar, but of the 10 female games, there were 6 games in which there was a win by withdrawal, 3 games in which there was a win by decision, and 1 game in which there was a golden point win, showing there was a much higher of games with a win by withdrawal. 본 연구는 전국 장애인 체육대회 태권도 대회에 참가한 선수 현황 및 경기 내용을 분석하여, 2020년 도쿄 패럴림픽에서 장애인 태권도가 최초로 정식종목으로 채택 된데 이어 2024년 파리 패럴림픽까지 2회 연속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장애인 태권도 경기의 발전 방안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 37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태권도 대회에 참가한 남‧여 선수 현황 및 각 4체급, 체급별 준결승전(2게임), 결승전(1게임) 등 총 24게임 중 출전선수 부족으로 여자–49kg, +67kg 2게임, 남자 +80kg 1게임 등 총 3게임을 제외한 남 11게임, 여 10게임 등 총 21게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체급별 득‧감점 및 영상판독 신청의 수는 횟수로 계산하였으며, 각 체급별 회전별 차이는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장애인 태권도 경기에서 전국 시‧도 선수 참가 현황, 체급별 득‧감점, 영상판독 신청 내용, 판정형태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국 시‧도 참가 선수 현황을 보면 총 43명 중 서울이 11명(25.6%)으로 가장 많은 선수가 출전하였고, 광주가 5명(11.7%), 주최 측인 충북이 4명(9.3%), 충남, 울산, 제주가 각각 3명이 출전하였다. 또한 전국 17개 시‧도에서 한 명도 출전하지 않은 시‧도 가 3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급별 득점 분석에서는 남‧여 전체 21게임의 총 득점수 443점 중 남자 선수는 11게임 302점으로 평균 득점수는 27.4점, 여자 선수는 10게임에서 141점으로 평균 득점수는 14.1점으로 남자 선수의 득점력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급별 감점 분석에서는 남‧여 감점의 수는 총 87개로 남자 선수는 11게임에서 55개로 평균 감점의 수는 5.0개, 여자 선수는 10게임에서 32개, 평균 감점의 수는 3.2개로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보다 감점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상판독 신청 내용으로는 남‧여 21게임 중에서 남자 –58kg급 준결승전 경기 3회전에서 한계선 밖으로 나가는 행위(1회)로 나타났고, 영상 판독결과 불인정으로 기각되었다. 다섯째, 판정형태 분석에서는 총 21게임 중 기권승이 11게임, 판정승이 9게임, 골든 포인트 승 1게임으로 나타났다. 남자 경기에서는 총 11게임에서 판정승이 6게임, 기권승이 5게임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여자 경기에서는 총 10게임 중 기권승이 6게임, 판정승 3게임, 골든 포인트 승 1게임으로 기권승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에서 감점제가 시험 점수와 반응 포기에 미치는 영향

        송민해(Min Hae Song),박주용(Jooyong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7 인지과학 Vol.28 No.4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평가가 미래의 교육 평가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이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평가를 하게 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학생들의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선다형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답지가 문제와 함께 제시되는 선다형 시험 방식은 채점이 쉽지만, 학생들이 정답을 몰랐다가 답지를 보고 정답을 찾아낼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Park(2005)은 컴퓨터의 상호작용성을 이용하여, 문제만 먼저 제시하고, 답지는 학생이 답을 먼저 생각하게 하고 나서 요청하면 짧게 제시되도록 하고 그 때 선택하도록 하는,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 방식에 감점제를 추가하면 학생들이 잘 모르면서도 답지를 보고 정답을 찾고자 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반응을 포기하면 감점이 없지만, 반응을 해서 틀릴 경우에는 감점이 이루어진다는 지시와 함께, 116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식 시험을 보도록 하였다. 조작된 변인은 감점 비율과 시험 방식이었다. 높고 낮은 비율과 전통적 선다형과 변형 선다형 방식이 교차된 4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다. 종속측정치는 시험점수, 반응을 포기한 문항수, 그리고 자기보고 점수였다. 이들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반응을 포기한 문항수는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방식에서 유의미하게 많았고 시험 점수는 높은 감점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낮아짐을 발견하였다. 논의에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변형 선다형 시험방식에 감점제를 적용한 평가가 적용될 가능성과 함께 컴퓨터화 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의 활성화를 촉구하였다. Even though assess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most likely lead the future of educational assessment, there is little domestic research on this topic. Computerized assessment will not only cut costs but also measure students’ performance in ways not possible befo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roduces a tool which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multiple choice tests, which are most widely used type of assessment in current Korean educational setting. Multiple-choice tests, in which options are presented with the questions, are efficient in that grading can be automated; however, they allow for students who don’t know the answer, to find the correct answer from the options. Park(2005) has developed a modified multiple-choice testing system (CMMT) using the interactivity of computers, that presents questions first, and options later for a short time when the student requests for the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penalizing wrong answers could lower the possibility of students choosing an answer among the options when they don’t know the correct answer. 116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directions that they will be penalized for wrong answers, but not for no response. There were 4 experimental conditions: 2 conditions of high or low percentage of penalizing, each in traditional multiple-choice or CMMT forma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wo-way ANOVA for the number of no response, the test score and self-report scor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no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MMT format and that 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penalizing percentage was high.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MMT format tests while penalizing wrong answers in actual testing settings was addressed. In addition,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 cognitive sciences to develop computerized assessment tools, was discussed.

      • KCI등재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송민해(Min Hae Song),박주용(Jooyo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선다형의 단점인 역행풀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역행풀이란 답지를 이용하여 답을 추측해내는 전략이다. 이를 막기 위해 문제만 먼저 제시하고, 학습자가 요청하는 경우에 선지를 짧게 제시하는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CMMT)을 고려했다. CMMT는 선지가 짧은 시간만 제시되어 역행풀이를 일부 줄일 수 있지만 학습자가 선지가 보이는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답을 추론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CMMT 방식에 감점제와 선다형으로 풀기 전에 단답형으로 답을 쓰는 절차를 도입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실험을 진행한 결과 CMMT 방식에 감점 비율이 높을 때 역행풀이가 유의하게 줄어듦을 발견하였다. 전체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함께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 방향을 다루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 way of reducing the problem of multiple-choice test, which is widely used in current Korean educational setting. The problem of multiple-choice test is that students could find the correct answer from the options by guessing when they do not know the answer.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we considered the modified multiple-choice testing system (CMMT). CMMT could lessen the possibility of guessing by showing options briefly upon their request. However, even with the CMMT system, some students tried to select options during short time when they do not know the correct answer. The aim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if penalizing wrong answers and combining short answer could lower the possibility of guess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students who were tested with the directions that they will be penalized for wrong answers, but not for no response. In experiment 1, two factors were manipulated: levels of penalizing (high and low) and formats of testing (traditional multiple-choice format and CMMT forma)t. The number of no response and probability of guessing were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no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probability of guessing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using the CMMT with high penalizing percentage. In Experiment 2, we replica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using higher penalizing percentages than those of Experiment 1.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were speculated in General discussion.

      • KCI등재후보

        복수의 답 선택을 허용하고 오답에 감점을 주는 객관식 시험

        이창영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1 현장과학교육 Vol.5 No.1

        In an effort to remedy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objective test, we propose a new type of test that allows multiple choice for the correct answer and imposes appropriate penalty for the incorrect choic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posed method, two examinee groups were employed to take two kinds of examinations each. The one is to evaluate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answer. The other is to get the examinee's degree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for the given test by requiring them to expound the reason for the choice of the answer. By several estimations for comparison of the current and the proposed methods, it has been found that the MCP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superior to the current one in every respect examined. 현행 객관식 시험 방식에 내재되어 있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험자가 문항의 답을 둘 이상 복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틀린 답을 선택한 경우에는 감점을 주는 객관식 시험 방식인 MCP (Multiple-Choice with Penalty) 평가 방법을 고려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수험자 A, B 그룹에 대해 각기 두 번씩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객관식 시험으로, A 그룹은 현행의 오지선다 평가 방법에 의해, B 그룹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MCP 평가 방법에 의해 시험을 치렀다. 두 번째 시험은 첫 번째 시험에서의 답 선택이 문항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근거로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답을 선택한 근거를 상세히 기술토록 하였다. 현행 오지선다와 MCP 평가 방법의 호불호를 비교하기 위해 몇 가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MCP 평가 방법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오지선다 평가 방법에 비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남자 마루운동 연기내용 분석을 통한 전략수립 연구

        송주호,이진석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 메달획득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직접 참관하여 현장에서 수집한 2019년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마루운동 결승경기 영상과 국제체조연맹(FIG)에서 제공하는 결승경기 결과를 참고하여 분석한 결과 KHS 선수의 전략을 수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HS 선수는 6.300점을 받았는데, 난도점 수는 연기도중 0.3점의 가치점이 있는 press to japanese hdst. 기술에서 큰 실수를 범하여 0.1점의 가치점이 있는 split 기술로 강등되어 채점된 것이다. 따라서 press to japanese hdst.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경우 6.500점의 난도점수이기 때문에 메달리스트들과 대등한 연기구성으로 도전할 수 있다. 둘째, KHS 선수의 연기는 매 동작마다 착지 시 다리를 벌리 는 결점이 노출되었다. 착지의 안정성을 위해 기저면을 넓혀주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이는 곧바로 감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아시안게임 전까지는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KHS 선수는 도약라인을 시작하기 직전에 쓸데없이 매번 팔이나 신체가 흔들리면서 자세 불안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HS 선수의 연기구성은 세계 최상급이며 매우 역동적인 기술을 구사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금메달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집중력을 갖고 반복연습을 통해 기술의 성공률 을 높이는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비 아크로바틱 기술인 press to japanese hdst. 동작을 보다 완벽하게 보완하고, 착지자 세의 교정 및 흔들거리는 신체의 움직임을 해소시킨다면 금메달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inning medals at the 2022 Hangzhou Asian Games. The analysis targe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video of the men's floor exercise final match at the 2019 World Championships collected directly from the stadium and the results of the match provided by FIG. First, the KHS player scored 6.300 points, and the difficulty score was demoted to a split technology with a value of 0.1 points due to a big mistake in press to japanese hdst. technology with a value of 0.3 points during acting. Therefore, if you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ress to Japanese hdst. technology, you will challenge with an acting composition equivalent to that of medalists because it is a difficulty score of 6.500 points. Second, the KHS player's acting exposed the defect of spreading his legs when landing every movement. It is good to expand the base plane for the stability of landing, but this immediately leads to a deduction, so efforts to resolve it before the Asian Games are needed. In addition, KHS players showed posture anxiety as their arms or body shook unnecessarily every time just before starting the leap line. In conclusion, the KHS player's acting composition is the best in the world and has the advantage of using very dynamic techniques. Therefore, in order to win the gold medal, training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he technology through repeated practice with more concentration is necessary. In particular, a gold medal can be expected if it complements the non-acrobatic technology press to japanese hdst. movement more perfectly, corrects landing posture, and relieves shaking body movements.

      • KCI등재

        평행봉 double piked 내리기 동작의 향상도 평가

        송주호 ( Joo Ho Song ),백진호 ( Jin Ho Back ),박종훈 ( Jong Hoon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whose subjects are two excellent and selected players in parallel bars that is one of Korean main events is an analysis of landing movements of parallel bars double piked dropping movements through 3 dimensional image analysis. Through first technical analysis I provided feedback, through second technical analysis evaluated improvement and accomplishment of their technique. After those analyses, I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e case of a testee S1, while flying in the air, he performed rapid vertical rise and accelerated in the left direction, so the danger to bump against the bar was eliminated. In the case of a testee S2, he got out of the bar after raising his COG (center of gravity) up, and then he performed more dynamic spin movements in the air by making his shoulder joint and hip joint curve broadly. Since up and down flying movement in the air led to decelerate left moving and horizontal moving right before landing, he could conduct composed and stable landing movemen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계체조 주종목인 평행봉 종목의 선별된 엘리트 선수 2명을 대상으로 평행봉 double piked 내리기 착지동작을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1차 기술 분석을 통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에 반영한 후 2차 기술 분석을 통하여 대상기술의 향상도 및 완성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험자 S1의 경우 공중 비행 동안 빠른 수직 상승과 함께 좌측방향으로 빠르게 가속되어 봉에 부딪칠 위험이 제거되었고, 체공높이 증가에 따른 여유로운 공중회전운동과 함께 무릎을 곧게 뻗어줌으로써 신체 자세에 따른 감점요소가 제거되었다. 또한 역동적이고 이상적인 착지각이 유발되어 정확한 착지동작으로 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험자 S2의 경우 신체중심을 높인 상태에서 봉을 이탈하게 되었고, 견관절각과 고관절각을 크게 굴곡시키면서 보다 역동적인 공중회전운동을 수행하였으며, 상하중심의 공중 비행운동으로 인해 착지 직전 좌측이동과 수평이동의 감속이 유발되어 여유롭고 안정된 착지동작이 제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