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감상 수업모형의 이론적 탐색

        정재은,최미영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1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음악수업을 위한 모형의 개발과 적용은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감상교육의 내실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모형의 제시를 위한 이론적 탐색을 주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여러 학자들이 제시한 음악 감상의 유형을 기초로 감상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수업모형의 단계를 감각적 감상, 분석적 감상, 심미적 감상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단계별 감상활동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감상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에서의 감상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상수업모형을 적용한 예시 수업지도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모형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감상수업지도안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둘째, 감상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적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감상수업모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 음악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re meaningful which contributions to a systematic approach to music appreci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t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nd evaluate which models were helpful in reinforcing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was examined based on suggestions by music educators and scholars. Secon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music appreciation: sensuous appreciation, analytical appreciation, and aesthetic appreciation, three sequenc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teaching were designed. Third,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applied then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draw upon the learning elements for each sequence models. Lastly, a sample lesson plan was applied to each of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plan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be appli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musical activities in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Third, the music teacher``s expertise is requi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odels of music appreciation.

      • KCI등재

        감상수업맵(Appreciation Lesson Map)에 따른 초등학교 학년군별 미술감상수업모형의 탐색

        오재환,전선화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5 No.-

        This research has shown the exploration into a model of an appreciation of fine arts by elementary school level children. This paper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ility to appreciate fine arts, based on many theories as well as advanced research for art criticism. Given the large gap between the reality of teachers and that of new curriculum revision, there are many practical limits to fully un derstanding the essence of subjects and to reflect this effectively to students. With awareness of these matters, this study has collected related data from numerous sources, and has re-sorted and re organized every stage of the appreciation by characteristic. The result of this work is the “Appreciation Lesson Map”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series of processes of a class at a glance. We also have invented 3 different models of “appreciation of fine arts by elementary school level children, so that they can easily be applied to the lesson map. Furthermore, this model is designed to be applied to certain units within curriculum, with the results to be analyzed. 본 연구는 아동 감상 능력의 발달 단계별 특징과 기존의 미술비평을 위한 여러 이론과 선행 연구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현행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년군별 미술감상수업모형을 탐색하였다. 갈수록 업무가 가중되는 교사의 현장 상황과는 괴리된 교육과정개정의 홍수 속에서, 교과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구체화 시킨 제대로 된 감상수업을 진행해 나가기엔 현실적 제약이 너무나 많다. 이러한 문제점의 인식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곳곳에 산재해 있는 감상법에 관련된 여러 자료들을 수집하고 탐색하여 그 특성에 따라 선별하고 재분류하여 감상 수업의 각 단계에 자리하도록 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 감상 수업의 일련의 과정을 구조화하여 한눈에 확인 가능하도록 한 감상수업맵(Appreciation Lesson Map)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라 초등학교 현장에서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세가지 유형의 학년군별 미술감상수업모형을 고안하였다. 이를 현행 교과서 특정 단원에적용한 수업안을 설계하여 아동들에게 지도한 결과물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