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과 조세회피 – 세무조정 비감사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임유니,김종일 한국세무학회 2019 세무와 회계저널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tax avoidance of auditor forced replacement companies. The conclusions of the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forced replacement system of auditors do not all have the same conclusion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for the forced replacement system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start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and doubts. If the auditor is forcibly re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will the auditor assist the tax avoidant in the affected company? Or would the tax evasion behavior be reduced because a certain degree of independence was secured by the auditor mandatory replacement system? In addition, if the auditor is forcibly replaced, will tax avoidance be increased if tax auditing services are provided simultaneously? Or will the degree of avoidance of the taxpayers be lowe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when the auditor forcibly replaced the system, the auditor measured the degree of tax avoidance of the compulsorily replaced company. As a result, I could. On the other hand, if the auditor is forcibly replaced, the auditor who has been forcibly replaced provides the tax avoidance non - audit service simultaneously.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presented by McGuire et al. (2012). McGuire et al. (2012) report that the degree of tax evasion increases when tax auditors provide tax audit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forcible substitution and tax avoidance. As shown in Bae, Seong-Ho and others (2016) Of the taxpayer 's tax evasion. This study is also relevant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iodical auditor designation system for the listed corporations of the sovereign rights as amended on November 1, 2018.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기업의 조세회피 정도를 분석해내는 것이 목적이다.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를 분석한 기존 연구의 결론도 모두 동일한 결론을 맺고 있지는 않기에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에 대해서는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과 의구심에서 출발한다. 감사인이 법률에 의거하여 강제적으로 교체되는 경우에도 감사인이 피감기업의 조세회피 활동에 조력할 것인가? 아니면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로 인하여 일정 정도의 독립성이 확보되었으므로 조세회피 행위가 감소할 것인가? 그리고, 감사인이 강제교체된 경우 세무조정 비감사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면 조세회피 정도는 늘어날 것인가? 아니면, 상기와 같은 이유로 피감기업의 조세회피 정도가 낮아질 것인가? 분석 결과에 의하면,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도입되었던 시기에 감사인이 강제교체된 기업의 조세회피 정도를 측정한 결과 강제교체된 감사인이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피감기업의 조세회피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감사인이 강제적으로 교체되는 경우 강제교체된 감사인이 세무조정 비감사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면 조세회피를 증가시키는 조절효과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McGuire et al.(2012)에서 제시한 바와 유사하다. McGuire et al.(2012)에서는 세무전문 감사인이 세무조정 비감사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조세회피 정도가 늘어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와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을 유추해보면, 배성호 외(2016)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강제로 교체된 감사인은 감사업무를 통하여 지득한 피감기업에 대한 정보를 피감기업의 조세회피 행위에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1일에 개정된 외감법 시행규칙의「주권상장법인 등에 대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도」시행과도 맞물려 있어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시의적절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감사품질과 감사인 강제교체 및 자율교체

        김선미,유승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가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감사인 강제교체 제도가 감사인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기 위해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과 자율교체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6년-2007년에 감사인을 변경한 유가증권상장법인과 코스닥 등록법인 중 제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강제교체 대상기업 172개와 자율교체 대상기업 216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재량적 발생액(Dechow et al. 1995)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Kothari et al.)이 감사인 교체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감사인 강제교체와 재량적 발생액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인 자율교체 기업에 비하여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보였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의 분포를 실증분석 한 결과, 양(+)의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의 경우와 상위 33.33%에 속하는 재량적 발생액과 그 변동분에서만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극단적(extreme)으로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기업에 대해서 감사인 강제교체가 감사인 자율교체보다 이익조정을 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추가적으로 감사인 교체유형별 감사인 강제교체가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BIG에서 Non-BIG으로 교체하는 기업에 대해서만 감사인 강제교체가 더 나은 감사품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 강제교체 제도가 더 나은 감사품질 제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익을 조정하려는 유인이 강하다고 판단되는 기업에 대하여 강제교체 제도의 정책적 효과가 기대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tory/voluntary auditor changes and audit quality.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whether auditors changed by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improve audit quality for non-finance firms during our sample period, 2006-2007. Auditor-selection mechanism has been switched from an assignment rule to the market competition since 1982. Under the current auditor-selection mechanism, firms may undermine auditor independence because of a possible threat of auditor dismissal and/or friendly relationship from the long-term audit engagement. In order to improve auditor independence,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has been enforced since 2006.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firms have to replace their incumbent auditors with new auditors if the firms are audited by the same auditors during the last 6 years. According to prior research, auditor changes are likely to occur due to different belief between auditors and managers in the free audit market. For example, auditor changes may occur when managers prefer to increase their earnings while auditors object it. If managers switch their incumbent auditors in order to positively manage their earnings, then the mandatory auditor retention regime would be more valuable as means of preventing managers' earnings manipulations and increasing audit quality.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may tend to provide lower audit quality because of the lack of experiences and expertises on new clients. Howev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implemented to improve the auditor independence, provides an additional benefit to newly engaging auditors in contrast to the voluntary auditor change regime. If the successor auditors expect an event that firms should replace incumbent auditors due to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then the successor auditors are likely to seek information about the potential clients. That is, audit firms, knowing that firms should change auditors after 6 years audit engagements, will try to collect prior information of potential clients, identify industries trends, or compose task force teams in order to engage new audit contracts. In the process, the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have more information about new clients than the successor auditors changed by firms' voluntary decision makings.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the successor auditors under the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ill provide higher audit quality than the successor auditors changed by firms' voluntary decision makings. Our research hypothesis is that audit quality provid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is higher than audit quality provided by the voluntarily changed auditors In this study, we use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and 388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our sample period, 2006-2007. Specifically, we employ discretionary accruals based on Jones-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Kothari et al. 2005).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level and change of firms' discretionary accruals audit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are lower than those audited by the voluntarily changed auditors: The coefficients on the mandatory-change dummy variable (MCH) are significantly negative at least 1% level. The results of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re qualitatively identical. In addition, the coefficients of the level and change of discretionary accruals in top 33.33 percentile are significantly negative at least 1% level. We also find that the level and change of firms'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udited by the mandatorily changed auditors are lower than those audited by the voluntary auditors at least 1% level. We conclude that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may provide the intented effect of improving audit quality, which is suggested by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mandatory auditor changes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provide an implication on evaluating the adequacy of the auditors' audit contract termination rights that is adopted since 2009.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에 대해 시장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주가붕괴위험을 중심으로

        황지회 ( Jihoe Hwang ),남기만 ( Giman Nam ),이재형 ( Jaehyoung Lee )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4

        2017년에 개정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에서는 6년 연속 동일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상장회사는 감사인을 교체하여, 새로운 감사인에게 3년 동안 외부감사를 받도록 의무화하는 주기적 지정제를 도입하였다. 강제교체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강제교체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에도 한차례 도입되었다 폐지된 강제교체제도를 재도입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과거 감사인 강제교체와 감사품질에 대한 선행연구가 재무보고의 품질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과 실질적 독립성 측면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시장에서 투자자가 인지하는 독립성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도입이 주가붕괴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적용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이 강제교체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그리고 감사인이 강제교체된 기업의 강제교체 전후 기간의 주가붕괴위험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제교체된 감사인에게 감사받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주가붕괴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사인이 강제교체된 기업만을 대상으로 강제교체 전후를 비교한 결과, 강제교체된 감사인에게 감사받은 기간은 강제교체 전에 비하여 주가 붕괴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의 강제교체로 독립성이 강화되어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감사인 강제교체로 인한 독립성 강화로 경영자가 부정적인 정보를 은폐할 가능성을 낮추고, 정보이용자의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가붕괴위험이 낮아진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의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와 맥을 같이 하는 감사인 주기적 지정제가 시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해당 제도의 실효성을 예측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vision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2017 re-introduced the 6-year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rule called by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policy. The new policy differs in that the new audit firm is chosen not by the audited firm but by regulators. However, as the effect of the 6-year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rule on audit quality has not been consistent in prior studies, the reintroduction of the previously abolished policy is controversial. Although most prior studies examine the effect of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on audit quality or independence-in-fact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studies on independence-in- appearance perceived by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are insufficien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rule and stock price crash risk using 574 mandatory auditor change firms from 2006 to 2010. Specifically, we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ock price crash risk between mandatory auditor changed firms and the other firms, and the differences in stock price crash risk of mandatory auditor changed firms before and after the mandatory auditor change. First, we find that the stock price crash risk of mandatory auditor change firms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firms. Second, we also find that the stock price crash risk of mandatory auditor changed firms decreased from pre to post mandatory auditor change. Our study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regulators.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와 자율교체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김은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what effect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and their related auditor size had on the Book-Tax Differences(BTDIFF), the proxies of earnings management. Auditor-related data and financial variables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Kis Value database. The sample consists of 366 firm/year observation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The reduced model attempted to test the effect of mandatory auditor change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book and taxable incomes(BTDIFF). Statistical test result produced some evidences that mandatory auditor changes firms te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BTDIFF than that of voluntary auditor changes firms. As to auditor size in the enlarged model, there se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TDIFF under mandatory auditor changes firm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benefit. First, there have been preceding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and audit quality. However, it is the first time to deal with the theme of the relation betwee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and BTDIFF in this study. Second,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mandatory auditor regime provide an implication on evaluating the adequacy of auditors' audit contract termination rights that is adopted since 2009. Finally, this study reviews the validity of abolition of the recent modified issue,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and provides relative policy & academic implications to regulating authorities, practical circles, and academia. Fu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provide new clues for audit quality and auditing contract environment.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 강제교체와 관련된 감사인 규모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기간은 2006-2007년으로, 검증대상은 유가증권상장법인과 코스닥상장법인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강제교체기업 144개와 자율교체기업 222개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감사인 강제교체 기업의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자율교체 기업의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보다 낮음을 보였다. 이는 강제교체 제도가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강제교체와 관련된 감사인 규모 변수인 상향강제교체(NONBIG4→BIG4)는 예상과 같이 음(-)의 방향성을 보였으나 비유의적이었다. 더 나아가 하향강제교체(BIG4→NONBIG4)는 예상과 같이 양(+)의 방향성을 보였으나 비유의적이었다. 이는 감사인 강제교체에서 감사인 규모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지 않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을 갖는다. 첫째,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와 이익조정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루어졌지만, 세부적으로 감사인 강제교체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최초로 다루어진 주제이다. 둘째, 감사인 자율교체 기업보다 강제교체 기업의 이익조정이 보다 통제됨을 보임으로써 2009년에 도입된 감사인의 감사계약 해지권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최근 개정된 감사인 강제교체 제도 폐지의 적절성 여부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과 학술적 시사점을 규제기관, 학계, 실무계에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동일 감사인 6년 강제교체제도는 실패한 제도인가? : 강제교체 직전연도의 감사품질을 중심으로

        장석진,정도진,김종현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1

        On September 21, 2017, the Political Affairs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agreed to revise the Act that a listed company, which has been audited by the same audit firm for six consecutive years, should change mandatorily the auditor. According to the Act, the new audit firms will be chosen by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rather than by the firms. However, as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was adopted in the past but it was abolished soon, there is no clear conclusion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mandatory changes. Therefore the reintroduction of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can be a controversial issue.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reintroduction fo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through analyzing the effects of that system, which was temporarily adopted in 2006.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audit quality in the year preceding the mandatory changes, comparing to the prior research that focuses on audit quality after replacement.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enforced in 2006, companies could choose the new audit firms, so that they might tend to provide lower audit quality thanks to adverse effects such as the low audit fee according to the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auditors. On the other hand, the auditors who are supposed to be forced to replace should bear the consequences such as the enforcement action of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defamation if the problems occur after their replacement. Thus we expect that the auditors will have the incentive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audit service on the verge of the chang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 whether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affects discretionary accruals and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s a proxy for audit quality using the sample that is composed of compulsorily rotated audit firms only. Also we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tory auditor rotation and audit quality is a general phenomenon occurring prior to the replacement of audit firms. For the second purpose, voluntarily changed audit firms are used as matched sample. The results in total sample (2006 to 2010) show that research hypotheses are supported partially. Also, statistical significance is being larger in the results using a sub-sample (2006 to 2008), it mean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at system is dampened since 2009 when the abolition of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was decided. In addition,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is more likely to be detected in using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s (or absolute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instead of raw data. In summary, these results are partially consistent with our expectation that the auditors who are aware of the timing of change in advance will perform a stricter audit service just prior to being forced to replace, and that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temporarily enforced in 2006 has an effect on improving prior audit quality by limiting the continuing audit perio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limited evidence, we provide the empirical evidence which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audit quality. Espec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imely and important in that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will be re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국회 정무위원회는 2017년 9월 21일 동일 감사인에 의해 6년 연속 외부감사를 받은 상장회사가 의무적으로 회계법인을 교체하는 법 개정에 합의하였다. 이 때 새로운 회계법인은 기업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선물위원회가 지정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과거 동일 감사인 6년 강제교체제도가 도입되었다가 곧 폐지되었듯이, 감사인 강제교체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재도입은 논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6년에 한시적으로 도입되었던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재도입에 대한 당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감사인 강제교체 이후의 감사품질보다 감사인 강제교체 직전연도의 감사품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2006년에 도입되었던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는 최근 정무위원회에서 추진하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와 달리 기업이 새로운 회계법인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회계법인 간 과당 경쟁에 따른 감사보수 할인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강제교체 이후에 감사품질이 오히려 훼손될 수 있다. 반면에, 강제로 교체될 예정인 감사인은 계속감사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차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감리지적과 명성의 훼손 등과 같은 손실을 부담해야 되기 때문에, 교체 직전연도에 보다 높은 수준의 감사서비스를 제공할 유인을 가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품질의 대용치로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재량적 발생액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여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 사이에 감사인을 강제로 교체한 기업 및 대응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사인이 강제로 교체되기 직전연도의 감사품질이 다른 기간에 비해 높다는 가설과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교체한 기업보다 강제로 교체한 기업의 감사인 교체 직전연도의 감사품질이 높다는 가설을 일부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제교체제도 폐지 결정 이전 기간(2006년~2008년)을 대상으로 할 경우 통계적인 유의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2009년부터 강제교체제도의 효과성이 축소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 및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의 원값보다는 절대값을 사용하는 경우에 강제교체효과를 포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감사인이 강제로 교체되는 상황에서 교체 직전의 감사품질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일부 확인하였다. 이는 비록 제한적인 증거(limited evidence)이지만 2006년에 한시적으로 시행되었던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동시에 동일 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을 6년으로 제한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재도입에 대한 당위성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감사시장 내 경쟁 및 역동성에 변화를 가져오는가?

        기은선,정광화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2

        Using a unique setting in which th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was required for the period of 2006-2010,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mitigates audit market concentration and increases audit market share mobility. Policy makers believe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will lead to the enhanced audit quality by breaking off the economic bonding between an auditor and a client firm. In addition, the mandatory rotation is supposed to prevent harmful effects from auditing oligopoly. Prior studies focus on its effects on the audit quality or audit fe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regarding its effects on the audit market structure. This study fills the gap unexplored in the prior literature. We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market share mobility in Korean audit market over the period of 2000 to 2010.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both pre- and post-policy implementation. We observe that audit market concentration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n compared with the period of pre-2006. Audit market share mobility in the mandatory period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in the pre-mandatory period;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audit firm entry rate in the mandatory period decreased and audit firm exit rat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n compared with the period of pre-2006.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evidence audit firm rotation increases competition and mobility in the audit market. This paper has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analyzes the effects of mandatory audit firm ro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udit market rather than audit engagements. 우리나라는 2006년에 6년 단위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역기능에 대한 우려 때문에 2011년부터 동 제도를 폐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폐지 이후 현재까지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재도입을 요구하는 의원입법안이 꾸준히 제출되고 있고, EU 국가들 역시 감사시장이 BIG4 위주로 과점화되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감사인 강제교체제도 도입을 논의 중에 있다. 감사인 강제교체제도로 정책당국이 기대하는 효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감사인과 피감사회사간 유착관계 형성을 막아 감사품질을 제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감사시장 내 경쟁과 역동성을 높여 과점화의 폐해를 막는 것이다. 그 동안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감사품질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 위주로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감사시장 내 경쟁에 미친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감사시장 내 경쟁 및 역동성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 상장기업 감사보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 기대와 달리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상장법인 감사시장의 과점화를 해소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Willem 외(1998)의 방식으로 감사시장의 역동성(MOB)을 측정한 경우에는 다소 개선된 모습이 나타났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또 다른 역동성 측정치로 제도 도입 전후 시장진입률과 시장퇴출률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시장퇴출률은 기간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시장진입률은 오히려 감사인 강제교체제도 도입 후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입으로 인해 새로운 감사인을 찾아야 하는 상장기업들이 상장기업 감사 경험이 있는 감사인으로 몰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감사시장 내 경쟁과 역동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 유의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의 효과를 개별 감사계약 수준이 아닌 감사시장 수준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노준화 ( Joon Hwa Rho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에 감사인을 강제교체한 192개의 주권상장법인을 대상으로 감사인의 강제교체제도가 감사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감사품질은 다수의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하였으며, 재량적 발생액은 수정된 Jones(1991) 모형과 Kothari et al.(2005) 모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규제기관은 회계법인이 감사할 수 있는 최장 감사기간을 6년으로 제한하는 감사인의 강제교체제도(Mandatoy Audit Firm Rotation)가 감사인의 독립성을 강화하여 감사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2003년 당해 제도를 도입하였다. 만약 규제기관의 입법 취지가 타당하였다면 감사인의 강제교체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재의 감사인을 교체하여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의 감사인은 독립성을 타협할 유인이 약화될 것이고 따라서 이들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감사품질의 대용치)은 낮아졌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연 감사인을 강제교체하기로 예정된 기업의 감사품질이 다른 기업(기간)에 비하여 더 높아지는 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감사인을 강제교체한 연도로부터 이전 6년과 이후 3년 동안의 재량적 발생액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감사인 강제교체는 재량적 발생액과 유의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특히 본 연구는 감사인을 강제교체하기 직전 3년 동안의 재량적이 다른 연도(-6년에서 -4년까지, +1년에서 +3년까지)보다 낮은 지를 조사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감사인을 강제교체하기 직전 3년 동안의 재량적 발생액이 감사인을 강제교체하지 않은 기업보다 낮은지도 조사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량적 발생액의 측정 방법(수정된 Jones(1991)와 Kothari et al.(2005))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으며, Big4감사인 여부에 따라서도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후적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감사인 강제제도의 도입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공헌을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Korea`s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enforced from 2006 to 2008 improved audit quality. The logic behind Korea`s adopting a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is that a possible collusion resulting from long term auditor-client relationship could affect auditor independence, and therefore audit quality. While mandatory audit rotation had long been an issue among many advanced countries, accounting scandals involving Enron has made it more urgent. The U.S accounting regulators attribute those accounting scandals to a long-term auditor-client relationship between Enron and its auditor Arther Anderson. The U.S General Accounting Offic, or GAO for short, surveyed the feasibilty of enforcing a mandatory auditor rotation regime when the U.S Congress discussed a law, now known as Sarbanes-Oxley Act, or SOX, to reform accounting practices. On a survey conducted by GAO who asked auditors at top US audit firms, Fortune 1000 company managers and its audit committee chairpersons whether a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is desirabl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cost of enforcing mandatory audit rotation would exceed the benefits from it. (GAO, 2003).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ecurities Exchange Committee, or SEC, chose not to include mandatory audit rotation provisions in SOX. SEC`s decision seems due to its concerns that with little benefit being expected, enforcing a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could only cause additional costs. As talk went on about the feasibility of mandatory audit rotation in the U.S, Korea reformed the External Audit Act in December, 2003 to include mandatory audit rotation provisions in External Audit Act. But the new mandatory audit rotation provisions had applied to fiscal years starting Jan. 1, 2006 or later until they were abolished in the Feb, 2009 amendment, making Korea`s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a three-year experiment. As mentioned above, Korea`s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as introduced when the U.S regulators began to discuss how to regulate auditing practices by law. GAO conducted a survey and, based on the survey findings, decided not to enforce the first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ould-be in U.S history. But in Korea, a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as adopted without thorough reviews of its consequences in the lawmaking process. The fact that the US considered enforcing mandatory audit rotation seriously seemed to have made it more convincing than empirical evidences for Korean regulators that a new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would improve audit quality. The reasons that Korea again went back to a non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is, first, the US decided not to adopt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and, second, the newly introduced mandatory audit rotation regime in Korea had been under a severe criticism from the auditing profession. Nevertheless, no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one on whether mandatory audit rotation improved audit quality in Korea. So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effects of mandatory audit rotation on audit quality, one of the intriguing research topics among many advanced countries, but defies research efforts because of the lack of relevant data. Because of difficulty in measuring audit quality - a qualitative variable - directly, this study uses a proxy which is discretionary accruals (DA, henceforth) and measures it using two models; modified Jones` (1991) and Kothari et al`s (2005).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andatory audit rotation and D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 between sample periods which covers three years before auditor switching and control periods which cover three years each before and after the sample periods. There is no difference in DA between the sample periods and the same time periods of the control firms. The results are the same under both models and so are they when a new variable Big 4 Auditor, which denotes whether the client is audited by Big 4 auditor or not, is added to the models. This study, despite its ex-post nature, has made contributions academically in that as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the effects of mandatory audit rotation on local audit quality.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both to countries who consider enforcing mandatory audit rotation in the future or those who put mandatory audit rotation in place at present.

      • KCI등재

        감사인 강제교체제도 하에서의 회계법인 선택요인과 감사품질

        황문호,안성희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1

        Firms which change an auditor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can’t avoid auditor changing cost. So, Factors considering in the selection of new audit firm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can be different from voluntary auditor changes. We examine factors considering in the selection of new audit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Additionall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and audit quality considering the patterns of client’s auditor selection. Our samples consist of 768 firms which change audit firm by Mandatory auditor rotation during 2006-2010.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7.7% of sample firms switch auditor from Big 4(non-Big 4) to Big 4(non-Big 4), and 33.3% of those switch auditor upward(from non- Big 4 to Big 4) or downward(from Big 4 to non-Big 4). Secon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larger a client’s total size, the higher is patterns that it choose Big 4, and that the more distressed firm, the higher is patterns that it choose non-Big 4.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 initial audit fee discount ratio under mandatory auditor rotation is positive. especially, the average of initial audit fee discount ratio in B-N cases reveal about 14.1%. This suggest that audit fee is a factor involved in the selection of new audit firm. Also, this means that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system causes to induce the serious price competition among auditors and decrease audit fee in Korea. Lastly, this study analyze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and audit quality considering the patterns of client’s auditor selection.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Our study contributes is that we study factors involved in the selection of new audit under the mandatory auditor rotation. Also, we find that audit fee is a factor which client considers in the selection of new audit.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에 의해 기업이 회계법인을 무조건 변경해야 하는 상황은 자율교체와 달리감사인 교체비용을 회피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감사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자율교체 상황과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최근 감사인 의무교체제도의 재도입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과거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에 의해 이루어진 감사인 교체행태를 통해 이들 의사결정에 내재하고 있는 감사인 선임요인을 분석하고 각 교체행태별 감사품질을 비교한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에 의해 회계법인을 변경한 768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기업의 67.7%는 수평교체를, 33.3%는 하향이나 상향교체를 선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Big 4의 점유율은 다소 하락한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Big 4를, 기업의 신용상태가 불량할수록 non-Big 4를 선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규모가 대변하는 대리인비용과 재무적 어려움이 회계법인을 선택하는 유의한 결정변수임을 재확인하는 결과이다. 셋째, 강제교체 첫 년도의 감사보수는 직전년도에비해 감소하였으며, 특히 Big 4에게 감사를 받았던 기업은 약 14%의 보수할인을 받으면서 non- Big 4로 이동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감사보수가 감사인 선택에 유의한 결정변수임을 보여주는 결과이자, 강제교체제도가 감사보수 하락을 유발시킨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강제교체 전․후에 걸쳐 유의한 감사품질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강제교체제도의도입이 감사품질의 향상을 유도하지는 못한 것으로 이해된다. 차별적 감사수요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자율적 감사인 교체를 대상으로 주로 대리인비용 관점에서 선임요인을 식별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감사인 강제교체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분석하고 있으며, 감사보수가 회계법인을 선택하는 주요 결정요인 중 하나임을 제시하는 차별적공헌점이 있다.

      • KCI우수등재

        초도감사보수 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감사인 강제교체기업과 자율교체기업의 차이

        최종학 ( Jong-hag Choi ),안성희(교신저자) ( Sung Hee Ahn ),황문호(공동저자) ( Mun Ho Hwang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학연구 Vol.41 No.2

        일반적으로 감사인은 신규 감사고객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일정의 보수할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초도감사보수할인은 교체 첫 연도의 감사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하는 한편 이들 간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도감사보수할인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이 감사인 교체사유(강제교체 vs. 자율교체)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연구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적용되던 2006년부터 2010년 중 외부감사인을 교체한 1,100개 표본을 분석한 결과, 자율교체 기업에서는 초도감사보수의 할인규모가 클수록 감사품질이 유의하게 하락하는 결과가 발견되었으나, 강제교체 기업에서는 초도감사보수 할인과 감사품질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이는 초도감사보수할인과 감사품질과의 관계가 감사인을 교체하는 사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율교체 기업에서는 후임감사인이 non-Big 4인 경우에 초도감사보수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뚜렷히 나타났는데, 이는 감사의견 구매와 같은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의도가 감사인 교체 의사결정에 반영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Prior studies suggests that both frequent auditor switches and long auditor tenure could impair audit quality, through the impairment of auditor expertise and independence, respectively. Although the regulators abolished the 6-year mandatory rotation policy in 2010, it is still debating among politicians and media that the policy should be re-introduced to increase auditor independence. To resolve these conflicting views, Korean regulators adopted 3-year mandatory auditor retention and 6-year mandatory auditor rotation rules in 2003. Under the rules, after auditor change, clients need to hire the same auditor for at least 3 years, but have to change auditor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In this study, we define ‘mandatory auditor change’ as the change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while ‘voluntary auditor change’ as the change that occurred when auditor tenure is 3, 4, or 5 years. Unlike in the U.S. where the potential reasons for auditor change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auditor change are publicly reported through Form 8-K report, in Korea, any information that are potentially related to the reasons for auditor change is not disclosed. However, one can guess that there must be some reasons that clients voluntary change auditors before 6th year of maximum auditor tenure. Especially, clients have strong incentive to change auditors for the opinion shopping purpose. In that case, they are going to hire new auditors who are willing to acquiesce to client pressure (Choi and Chung 2015). In such a case, the low-quality auditors are likely to offer initial audit fee discounts. In contrast, it is less likely that mandatory auditor changes are related to opinion shopping motivations of clients, suggesting that the mandatory changes are less likely to lead to poor audit quality even in the case of low-balling. Thus, in this study, we tr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audit engagement year audit fee discount (i.e., low-balling) and audit quality in the auditor change year for voluntary versus mandatory auditor change clients. Through these analyses, we try to shed some lights into the potential reasons of voluntary auditor changes. We collect 1,100 auditor change observations from year 2006 to 2010 for the empirical analyses. It was the period that both mandatory auditor retention and rotation policy was in effect. We remove the observations that auditor was changed due to auditor assignment by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We also remove the observations from banking and finance industry and non-December fiscal year-end. Among our samples, 732 observations are those with the mandatory changes (after 6 years of auditor tenure) and the remaining 368 observations are those with voluntary changes. We define the low-balling as the case when actual audit fee is lower than estimated normal fee. Additionally, we use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s of client firms, estimated by using Kothari et al.’s (2005) method, to proxy for the audit quality.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both audit quality and hour of low-balling auditors is lower for the cases of voluntary auditor change. In general, low audit quality combined with smaller audit hour suggest that auditors exert relatively less audit efforts to lower the audit costs. Specifically, we observe that the poor audit quality occurs when success auditor is non-Big 4. However, in contrast to the case of mandatory rotation, we find that the audit quality is not associated with low-balling. We also find that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was not differ between voluntary auditor change samples and mandatory change samples in the year before the auditor change. Thus, audit quality becomes poorer at the year of auditor change for the voluntary change samples when there exist low-balling.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Client firms opt to change incumbent auditors with shorter than 6-year of tenure (before the maximum length of the tenure) due to some specific reasons. For example, the client may fire incumbent auditor and hire new auditor who is likely to acquiesce to the request of the clients. When there exists low-balling, new auditors are not able to provide high-quality audit service due to the lack of enough resources or independence. However, for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because the changes are not driven by the clients’ incentives to shop for opinion, there is less possibility that even low-balling leads to impaired independence and thus poor audit quality. These findings have several valuable implications. Most importantly, regulators and practitioners need to aware of the potential audit risks of the clients who voluntary change auditors. Regulators may need to consider the disclosures of the reasons for the auditor changes. Investors also need to be watchful for the such firms.

      • KCI등재후보

        감사인 변경이 재무보고의 적시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Kim, Eun),김태석(Kim, Tae-Seog)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2003~2009년에 감사인을 변경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중 1,523(기업/년)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 자율적 교체와 강제교체가 재무보고의 적시성의 대용지표인 감사시차와 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연구 결과 감사인 자율교체는 감사시차와 비유의 적인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시차의 누적일수가 짧아 비유의적인 값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자율교체는 보고시차와 양의 유의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교체기업은 강제교체기업에 비하여 보고시차가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교체 감사인의 감사체결 1차 사업연 도에는 피감사기업에 대한 지식과 정보의 부족으로 피감사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응하기 위해 많은 감사 시간을 소요할 것이고, 이는 재무제표 공시시기를 지연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면 강제교체 감사인은 감사수임을 위해 대상법인에 대한 사전적인 정보 수집과, 동일 업종의 업무흐름 파악을 사전에할 수 있어 피감사법인에 대한 전문지식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적전인 정보를 기반 으로 보고시차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선행연구에서 재무보고 환경 관련 변수들이 감사시차 혹은 재무보고 적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은 실증적으로 반복 검증되어 온 사항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에 추가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자율교체와 강제교체가 재무보고의 적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고, 이러한 분석틀은 이 분야에서 기존연 구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이다. 또한 감사시차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분석하거나 다루지 않았던 강제교체기업까지 포함하여 전체표본에 추가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감사인 자율교체와 강제교체가 재무보고의 지연에 미친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감사인 교체의 효익과 함께 비용 측면을 간접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rveyed the voluntary auditor changes and mandatory auditor changes affect on the audit report lag and report lag, which are the substitute indexes of the timeliness of financial reporting. The survey did so by using the sample that consisted of 1,523 (firm/year) observations of companies listed non-financial institutes Korean firms, which have changed auditors from 2003 to 2009. As a result of the survey, auditor voluntary changes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audit report lag. But, voluntary chang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port lag. This means that the report lag of voluntary changes firms was longer than that of the mandatory changes firms. In the first year of the contract of the voluntary auditor changes, they could not obtain enough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their clients, and it took a lot of time to audit, adjust, and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ir clients. So, this could cause the time delay of the disclosure of a financial statement. However,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collect their clients’ information in advance. Consequently, they can grasp the flow chart of the companies in the same line of business. According to this, the expert knowledge of their clients in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is superior. Therefore,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can reduce gaps in the report lags that are based on the advance information of cli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the fact that it looked up the causes that affect the audit report lag as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and then surveyed about how the voluntary auditor changes and mandatory auditor changes affected the audit report lag and report lag, which are the substitute indexes of the timeliness of financial reporting. Also, this study found out the mandatory changes firms were never dealt with or never had a chance to be analyzed by using an advance study related to the audit report lag. But this study added them in the whole sample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suggested the benefits of auditor change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out the cost side indirectly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voluntary auditor changes and the mandatory auditor changes linked to a delay of the disclosure of the financial stat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