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의 연구개발 전문성과 연구개발 투자-가격 민감도

        하원석 ( Wonsuk Ha ),박선영 ( Sunyou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6

        본 연구는 감사인의 연구개발 전문성이 피감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격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연구개발 투자 의사결정에서 비롯되는 대리인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를 완화하는 감사인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감사인이 연구개발 투자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인의 연구개발 전문성이, 경영자가 연구개발 투자를 수행할 때 주가에 의존하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 상장된 기업들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사인이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는 경우 피감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격 민감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감기업의 연구개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갖춘 감사인이 피감기업에 대한 감독 기능(monitoring role)을 수행하면서 경영자와 투자자 간의 대리인 비용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경영자가 주식시장이 제공하는 정보에 더욱 의존하여 연구개발 투자의사결정을 내린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가분석에서 감사인 연구개발 전문성의 효과는 감사인의 산업전문성 또는 규모와 관계없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여, 감사인의 연구개발 전문성이 감사인의 산업전문성, 규모 등 선행연구에서 널리 연구된 감사인 속성과는 구분되는 속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사인 연구개발 전문성의 효과는 피감기업의 자본재투자 의사결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초도감사계약에서는 그 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인 연구개발 전문성의 효과는 최근 연도로 올수록 점차 중요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인이 경영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연구개발 전문성을 제시함으로써 감사인의 속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auditor R&D specialization affects the sensitivity of R&D investments to Tobin’s Q. Given that the value of managers’ R&D investment decisions is highly subject to the agency problem, prior research has focused mostly on the demand for high-quality audit services that may mitigate the agency problem surrounding the R&D investment decisions. However, limited evidence exists on how auditors specifically affect the R&D investments of their clients. To fill this gap in the prior literature, this study explores how auditor R&D specialization has an impa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R&D investments and Tobin’s Q. Based on a sample of Korean listed firms over 2004-2018,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auditor R&D specialization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R&D investments to Tobin’s Q that captures investors’ expectation of investment opportunit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onitoring role of R&D specialist auditors increases the propensity of managers to learn from stock price in making R&D investment decisions. Additional analysis further shows that the effect of auditor R&D specialization does not hold for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and the effect is attenuated for initial audit engagements. Lastly, the time-series analysis shows that the effect of auditor R&D specialization increases over time, which is suggestive of the increasing role of auditors in real economic decisions of the clients in recent years. The study offers novel insight into auditor R&D specialization, while complementing the growing literature on the effect of auditor characteristics on the client firm’s investment behavior.

      • KCI등재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에 관한 연구

        안치현,정형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 between auditors’ industry specialization and audit hours. It is hypothesized that an auditor specializing in a certain industry is expected to be more efficient in performing the audit and that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the auditor will be able to reduce audit hours, known as an audit cost. However, it is also argued that concerns to maintain industry reputation and audit quality lead to an increase in audit hours. To test these competing hypotheses a sample of 3,145 firm years with available data from 1999 to 2009 for 17 industries is collected.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a positive relation, in general, between auditors’ industry specialization and audit hours. However, we found that a negative relation between auditors’ industry specialization and audit hours for non-big4 auditors but a positive relation for big4 auditors. These results imply that a non-big4 auditor with highly specialized knowledge of an industry tends to reduce audit hours by performing auditing effectively while a big4 auditor with industry specialty tries to maintain their industry reputations by spending more audit hours. Therefore industry specialization does not mean the same according to auditor's size. In an additional test, we use industry audit tenure and assume that the longer the industry tenure an auditor maintains the higher knowledge and more experience the auditor earns, affecting the relation between industry specialization and audit hours. Even we controlled industry tenure, the main results were not changed. On the auditor's perspective, this study may help enhance our understandings over auditors’ industry specialization by showing that the industry specialty enables an auditor to reduce required audit hours and therefore to magnify the revenue. However this finding is not always the case for big4 auditors who try to hold their industry reputation and enhance audit quality. 본 연구는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평균적으로 산업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일수록 산업내 명성을 유지하려는 유인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감사인의 규모에 따른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Non-Big4 회계법인에서 음(-)의 관계를 보인 반면, Big4 회계법인에서는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Non-Big4 회계법인에서는 산업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일수록 감사업무의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감사시간을 적게 투입하여 감사보수 극대화를 달성하려는 유인이 있으며, Big4 회계법인에서는 산업전문성이 높을수록 산업내 명성유지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은 특정산업의 계속감사를 통하여 축적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산업계속감사기간이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의 관계는 Non-Big4 회계법인에서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으며, Big4 회계법인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어 산업계속감사기간을 통제하고도 주요 결과는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업전문성과 감사시간의 관계를 산업전문감사인의 명성유지 유인과 감사의 효율성 유인의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감사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산업전문성을 통해 감사인이 얻는 효익이 감사인의 규모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증거를 제시하여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에 대한 추가적인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피 감사기업 감사복잡성의 상호작용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혜상,차승민,유용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of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audit complexity of client on audit fee. Previous studies revealed auditor’s industry expertise has an effect of increasing audit fee through improvement of audit service. At the same time, it also effectively performs audit, causing in reduction of audit cost that will ultimately result in audit fee. This complexity in process diminishes consistency in results among different but relevant studies. Current study assumes the increment of audit complexity will lead to increment of the influence of industry expertise on audit fee. Under such assumption, study sets audit complexity of client as conditional facto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expertise and audit fee. According to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on Kospi and Kosdaq listed companies who posted data of audit fee on DART system between years2000 to 2008, the significance between industry expertise and audit fee was not proven without considering audit complexity. However, we found out when audit complexity was considered conditionally, the increment of audit complexity lead to the increment of audit fee on average. At the same time, industry expertise can diminish audit fee through effective operation of audit, resulting in cost reduction of audit fee on client. The implication of result indicates that for clients with relatively complex mechanisms at work, the employment of auditors with high industry expertise can reduce audit cost.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get-go’ of the research which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industry expertise and audit fee being explained with conditional function of audit complexity of client, namely understanding of determinants of audit fee in audit market is further expanded by pointing out indispensable inclusion of audit complexity on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expertise and audit fee.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피감사기업 감사복잡성의 상호작용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은 감사서비스의 품질제고를 통해 감사보수를 높이는 효과와 아울러 감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감사원가를 절감함으로써 감사보수를 낮추는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보수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서로 일관된 실증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감사기업의 감사복잡성이 증가할수록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이 증폭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피감사기업 감사복잡성을 조건부변수로 고려한 후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보수 사이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감사보수 자료를 공시한 우리나라의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피감사기업의 감사복잡성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보수 사이에는 평균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피감사기업의 감사복잡성을 조건부 변수로 고려할 경우, 피감사기업의 감사복잡성이 높아질수록 평균적으로는 감사보수가 높아지지만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은 감사업무의 효율적 수행 및 이를 통한 감사원가의 절감을 통해 해당 피감사기업의 감사보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업무구조를 가지는 피감사기업의 경우 산업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을 선임함으로써 감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를 통틀어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보수의 상관관계를 피감사기업 감사복잡성의 조건부함수로 설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즉,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에는 피감사기업의 감사복잡성을 조건부 변수로 명확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감사시장에서의 감사보수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감사인력의 전문성

        김난영,조원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감사원의 감사인력 전문성 현황을 파악하고, 전문성의 제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감사원의 감사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원 감사인력의 법률 전문성과 회계 전문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과학적 분석기법 전문성과 대상기관 업무내용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요소 중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되고있는 대상기관 업무내용 전문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부서 대상기관 업무내용 전문성, 감사원 근무 기간, 부서 근무 기간, 자격증 소지(박사학위)여부가 종속변수인 개인수준의 대상기관 업무내용 전문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감사인력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감사위원회 전문성이 영업권 손상차손 인식 및 감사인 교체에 미치는 영향

        조은혜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1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udit committee accounting expertise helps to improve audit quality by encouraging auditors to conduct diligent goodwill audits and make appropriate goodwill assessments and by safeguarding auditors from dismissal following goodwill impairment recognitions. K-IFR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accounting for goodwill. By eliminating the amortization of goodwill and establishing annual impairment testing by reporting unit, this standard greatly increased the degree of management discretion in the financial reporting of goodwill. Prior studies highlight company incentives to avoid goodwill write-offs and reveal the need for an effective external monitor(Watts 2003; Beatty and Weber 2006; Ramanma and Watts 2012). Financial expertise arguably improves the ability of audit committee members to understand the financial reporting process and, thus, helps to improve monitoring effectiveness. So we test whether greater audit committee accounting expertise is associated with goodwill impairment decision outcomes. Auditors desire to minimize the bias in management's goodwill impairment testing in order to reduce the likelihood of material misstatements in financial statements and therefore provide investors with reliable information. However, this runs in contrast to the desires of managers who likely prefer to avoid recording an impairment to prevent sending a negative signal about future cash flows(Beatty and Weber 2006; Ramanma and Watts 2012). This potential misalignment of incentives between auditors and management opens the door to significant disagreements. If an auditor requires the client to impair, it may result in such a strain on the auditor-client relationship that the auditor is dismissed by the client. Using 937 sample firms with available goodwill data, we are able to find the evidence that the likelihood of an impairment is more strongly related to an expected impairment when audit committees have greater accounting expertise. And we find that the less favorable that goodwill decisions is for the client, the more likely the auditor will be switched(from Big4 to Non-Big 4). We also find audit committees with greater accounting expertise do not shield the auditor from dismissal following less favorable goodwill decision. Prior studies highlight company incentives to avoid goodwill write-offs and reveal the need for an effective monitor. No study, however, has examined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monitors: audit committees on the recognition of goodwill impairment. We fill this void by providing meaningful insights. K-IFRS 도입 이후 영업권 손상차손 관련 회계처리에 부여된 경영자의 재량권이 기회주의적인 재무보고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정대현 등 2015; 서영미 2017 등). 본 연구는 K-IFRS 도입 이후 감사위원회 전문성이 영업권 손상 인식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전문성을 보유한 감사위원회가 본래의 감시 및 감독 역할을 제대로 수행한다면, 경영자들이 기회주의적인 의도 하에 손상 인식을 지연하거나 회피하려는 행위를 억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문성을 갖춘 감사위원회는 영업권과 관련하여 감사인과 경영자간 의견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감사인을 교체하려는 행위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간 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들 중 영업권이 존재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감사위원회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손상 징후를 보이는 영업권에 대해 손상차손을 인식할 가능성과 인식 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감사위원회가 손상 인식을 회피하려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억제하고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감사위원회 전문성이 영업권 손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감사위원회 내 회계 또는 재무 전문 감사위원이 1명인 경우보다는 2명 이상인 경우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최근 확정된 감사위원회 모범규준은 감사위원회의 위원 중 최소 2명 이상의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를 선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내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의 비율이 높을수록 감사위원회가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모범규준의 타당성을 제공한다. 둘째, 경영자가 예상한 손상보다 감사인이 손상을 높게 인식할수록 감사인을 하향 교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과 경영자 간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경영자는 손상차손 인식을 회피하기 위해 전임 경영자보다 덜 보수적인 후임 감사인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감사위원회 전문성은 경영자의 예상 보다 손상을 높게 인식한 감사인의 하향 교체 가능성을 낮추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위원회 전문성은 감사인으로 하여금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적절히 감시・감독하도록 유도하지만, 이들 감사인을 교체 위험으로부터 보호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K-IFRS 도입 이후 영업권 평가에 있어 경영자에게 부여된 재량권이 기회주의적 재무보고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들은 영업권 평가에 있어 효율적인 감시 및 감독 메커니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전문성이 영업권 손상 차손 인식과 이로 인한 감사인 교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 KCI우수등재

        감사위원회 재무전문성의 세부구성이 산업전문가 감사인 선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송보미 ( Bomi Song ),안혜진 ( Hyejin Ahn ),최종학 ( Jong-hag Choi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5

        감사위원회를 구성하는 사외이사의 재무전문성은 회계전문성, 금융전문성, 감독전문성의 세 세부전문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이들 전문성이 산업전문가 감사인의 선임과 감사보수에 반영되는 감사인의 노력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계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회계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과 금융 또는 감독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업이 산업전문가 감사인을 선임하고, 동시에 감사보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발견은 여러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감사위원회가 감사인의 감시활동에 대해 보다 더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발견을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감사위원회의 구성원 중 회계전문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다른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들이 함께 감사위원회에 포함되어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각 세부전문성을 별도로 구분하여 수행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할 때, 본 연구는 여러 세부전문성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한 것이므로 감사위원회의 현실과 구성효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udit committee financial expertise on industry specialist auditor choice and audit effort reflected in audit fees. Specifically, we divide the financial expertise of outside directors in the audit committee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unting expertise, finance expertise, and supervisory expertise. While most prior studies specifically focus on accounting expertise, this study regards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valuable non-accounting financial expertise as those who can also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s by helping the role of the members with accounting expertise. From this view, we investigate the joint effect of the existence of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various financial expertise. When we examine each expertise independently, we find that audit committees are more likely to hire an industry specialist auditor and pay higher audit fees when the committees include at least one member with accounting expertise.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ose documented in prior studies. However, when we examine the joint effect of multiple expertise, we find that the previously documented effects of accounting expertise are significant only when the audit committees include members with accounting expertise and a member with other expertise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counting expertise itself, which has been identified by several prior studies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audit committee characteristics, does not play an enough monitoring role when there are no other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different expertise.

      • KCI등재

        공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성과: CEO와 내부감사인을 중심으로

        유승원 한국개발연구원 2009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1 No.1

        공기업을 주축으로 한 공공기관의 지출규모가 2007년 한국 GDP의 28%에 달하는 등 공공기관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 그러나 공기업의 방만경영이 오히려 국가경쟁력을 저해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업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는 새정부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공기업 CEO 등 임원선임에 대한 정치적 논란이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기업 개혁을 위한 여러 방안 중 공기업의 내부지배구조가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기업의 민영화 여부와 관계없이 공기업의 소프트웨어적인 지배구조 개선 문제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공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민간기업의 해당 연구에 비해 소수에 불과하다. 선행 연구는 대부분 공기업 CEO의 소위 낙하산 임용이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기업 CEO의 임용유형과 경영성과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반대의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된다. 첫째, 선행 연구는 공기업의 CEO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CEO뿐만 아니라 공기업 경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내부감사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도 더불어 분석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는 낙하산 인사에 집중하여 CEO의 임용유형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임용유형(독립성)뿐만 아니라 CEO 및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는 연구자별로 다양한 표본을 선택하여 비재무적인 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공기업과 외부 회계감사를 거친 해당 공기업의 재무제표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였다. 본 연구는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공기업 CEO와 내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과 당년도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샘플은 정부가 공기업으로 지정한 24개 기관의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재무정보와 해당 공기업의 이사회 회의록에서 추출한 인사정보를 활용하였다. CEO의 독립성은 CEO가 해당 공기업 출신 인사인지 아닌지로 파악하였고, 내부감사인의 독립성은 내부감사인이 학계․경제계․시민단체 출신인지 그렇지 않으면 정치권․정부부처․군 출신인지로 파악하였다. 또한 CEO와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은 업무전문성과 재무전문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공기업의 설립연수, 자산규모, 정부지원 비율, 연도별 더미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재무전문성과 당해 연도의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CEO의 업무전문성 및 재무전문성과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의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통상의 관념과 달리 CEO의 독립성과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의 관계가 있었다. 공기업 CEO의 독립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의 우려와 달리 최근 들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이며 독립성보다는 공기업 CEO와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공기업의 경영성과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공기업은 민간기업과 달리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그 ... Considering the expenditure size of public institutions centering on public enterprises, about 28% of Korea's GDP in 2007, public institu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economy. However, still in the new government, there are voices of criticism about the need of constant reform on public enterprises due to their irresponsible management imped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political controversy over appointment of executives such as CEOs of public enterprises has caused the distrust of the people. As one of various reform measures for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internal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enterprises on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since, regardless of privatization of public enterprises, improv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enterprises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here are only a few prior researches focusing on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compared to those of private enterprises. Most of prior researche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chuting employment of CEO and managerial performance, and concluded that parachuting produces negative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such researche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ior researches in view of following. First, prior research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public enterprises’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Second, unlike prior researches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public corporations’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with an emphasis on parachuting employment, this study researches impact of employment type as well as expertise of CEOs and internal auditors on managerial performance. Third, prior researchers mainly used non-financial indicators from various samples. However, this study eliminated subjectivity of researchers by analyzing public enterprise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ir financial statements, which were externally audited and inspected.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applied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public enterprises’ CEOs and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same year. Financial information from 2003 to 2007 of 24 public enterprises, which a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ir personnel information from the board of directors are used as samples. Independence of CEOs is identified by dividing CEOs into persons from the same public enterprise and persons from other organization, and independence of internal auditors is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two groups, people from academic field, economic world, and civic groups, and people from political community, government ministries, and military. Also, expertise of CEOs and internal auditors is divided into business expertis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applied foundation year, asset size, government subsidies as a proportion to corporate earnings, and dummy variables by year.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of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addition, although business expertise and financial expertise of CEO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unlike a general idea, independence of CEO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is negatively related to managerial performance. Contrary to general concer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independence of public enterprises’ CEOs on managerial performance has slightly decreased. Instead, it explains that expertise...

      • KCI등재

        공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성과: CEO와 내부감사인을 중심으로

        유승원,Yu, Seung-Won 한국개발연구원 2009 韓國 開發 硏究 Vol.31 No.1

        공기업을 주축으로 한 공공기관의 지출 규모가 2007년 한국 GDP의 28%에 달하는 등 공공기관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 그러나 공기업의 방만경영이 오히려 국가경쟁력을 저해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업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는 새정부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공기업 CEO 등 임원 선임에 대한 정치적 논란이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기업 개혁을 위한 여러 방안 중 공기업의 내부지배구조가 공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기업의 민영화 여부와 관계 없이 공기업의 소프트웨어적인 지배구조 개선 문제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공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민간기업의 해당 연구에 비해 소수에 불과하다. 선행 연구는 대부분 공기업 CEO의 소위 낙하산 임용이 경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기업 CEO의 임용유형과 경영성과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반대의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된다. 첫째, 선행 연구는 공기업의 CEO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CEO뿐만 아니라 공기업 경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내부감사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도 더불어 분석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는 낙하산 인사에 집중하여 CEO의 임용유형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임용유형(독립성)뿐만 아니라 CEO 및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는 연구자별로 다양한 표본을 선택하여 비재무적인 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반면, 본 연구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공기업과 외부 회계감사를 거친 해당 공기업의 재무제표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였다. 본 연구는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공기업 CEO와 내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과 당년도 경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샘플은 정부가 공기업으로 지정한 24개 기관의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재무정보와 해당 공기업의 이사회 회의록에서 추출한 인사정보를 활용하였다. CEO의 독립성은 CEO가 해당 공기업 출신 인사인지 아닌지로 파악하였고, 내부감사인의 독립성은 내부감사인이 학계 경제계 시민단체 출신인지 그렇지 않으면 정치권 정부부처 군 출신인지로 파악하였다. 또한 CEO와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은 업무전문성과 재무전문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공기업의 설립연수, 자산규모, 정부지원 비율, 연도별 더미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재무전문성과 당해 연도의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CEO의 업무전문성 및 재무전문성과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의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통상의 관념과 달리 CEO의 독립성과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의 관계가 있었다. 공기업 CEO의 독립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보통의 우려와 달리 최근 들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이며 독립성보다는 공기업 CEO와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공기업의 경영성과에 보다 중요한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공기업은 민간기업과 달리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 Considering the expenditure size of public institutions centering on public enterprises, about 28% of Korea's GDP in 2007, public institu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economy. However, still in the new government, there are voices of criticism about the need of constant reform on public enterprises due to their irresponsible management imped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political controversy over appointment of executives such as CEOs of public enterprises has caused the distrust of the people. As one of various reform measures for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internal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enterprises on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since, regardless of privatization of public enterprises, improving the governance structure of public enterprises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here are only a few prior researches focusing on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compared to those of private enterprises. Most of prior researche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chuting employment of CEO and managerial performance, and concluded that parachuting produces negative effect on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such researche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public enterprises.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ior researches in view of following. First, prior research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public enterprises'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Second, unlike prior researches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ype of public corporations' CEOs and managerial performance with an emphasis on parachuting employment, this study researches impact of employment type as well as expertise of CEOs and internal auditors on managerial performance. Third, prior researchers mainly used non-financial indicators from various samples. However, this study eliminated subjectivity of researchers by analyzing public enterprise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ir financial statements, which were externally audited and inspected.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applied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public enterprises' CEOs and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the same year. Financial information from 2003 to 2007 of 24 public enterprises, which a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ir personnel information from the board of directors are used as samples. Independence of CEOs is identified by dividing CEOs into persons from the same public enterprise and persons from other organization, and independence of internal auditors is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two groups, people from academic field, economic world, and civic groups, and people from political community, government ministries, and military. Also, expertise of CEOs and internal auditors is divided into business expertis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applied foundation year, asset size, government subsidies as a proportion to corporate earnings, and dummy variables by year.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of internal audit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addition, although business expertise and financial expertise of CEO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nagerial performance. However, unlike a general idea, independence of CEO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is negatively related to managerial performance. Contrary to general concer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independence of public enterprises' CEOs on managerial performance has slightly decreased. Instead, it explains that expertise of public e

      • 내부감사인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백기도(Ki Do Baek),한문성(Mun Sung Han)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본 연구는 최근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의 기본 요건으로 제시되고 있는 투명경영이나 회계정보의 투명성 등을 위해서 강조되고 있는 내부감사인의 활동과 관련하여 내부감사인의 특성이 기업의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내부감사제도가 있는 상장 및 해당기업을 중심으로 212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여 내부감사인의 특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설 1-1의 내부감사인의 독립성이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설 1-2의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가설 1-3의 내부감사인의 활동성이 기업의 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내부감사인의 활동성이 높을 경우 내부감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회계정보의 질이 제고되고 이는 투자자나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재무적 경영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 2-1의 내부감사인의 독립성이 비재무적성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설 2-2의 내부감사인의 전문성이 기업의 비재무적성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설 2-3의 내부감사인의 활동성은 기업의 비재무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감사인의 활동성이 높을 경우 내부감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회계정보의 질이 제고되고 이는 내부구성원들도 이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기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조직에 대한 만족도나 신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uditors and the performance of internal auditors in relation to the activities of internal auditors emphasized for transparent management and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auditor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ternal auditor was analyzed by 212 internal audi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ndependence of internal auditors in the hypothesis 1-1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financial aptitude, ,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internal auditor s activity in Hypothesis 1-3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rm s financial aptitude. The quality of information is enhanced,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s investors and stakeholders become more aware of the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auditor s independence in Hypothesis 2-1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non-financial aptitude, while the internal expertise in Hypothesis 2-2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on- -), and the activity of the internal auditor in hypothesis 2-3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rm s non-financial ap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audit quality of internal auditors is higher than that of internal auditors.

      • KCI등재

        외부감사인의 특성이 감리지적에 미치는 영향

        김정교(Kim Jeong-kyo),김경옥(Kim Gyeong-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의 특성(감사인규모(Big4), 산업전문성, 비정상감사보수)을 이용하여 외부감사인의 특성에 따라 감사품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또한, 현재 논의되고 있는 감사인 강제교체제도와 관련하여 외부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이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즉, 계속감사기간에 대한 두 논쟁인 기업과 감사인의 오랜 유대관계는 기업의 이익과 감사인 자신의 이익이 너무 밀접하게 동일시되어 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규제적 관점(regulatory view)과 감사인의 계속감사기간이 짧으면 감사인이 저가정책(low-balling)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을 단기에 즉시 회복하기 위하여 감사인의 독립성과 감사품질이 모두 훼손시킬 수 있다는 경제적 관점(economic view)에 대해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외부감사인의 규모(Big4)가 클수록, 산업전문성(Spec)이 높을수록 비정상감사보수(Afee)가 작을수록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감리지적을 받을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감사인의 특성과 계속감사기간(TA)의 상호작용항을 추가한 분석에서는 비정상감사보수를 제외한 모든 상호작용항 변수에서 감리지적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감사기업을 감사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감사인의 Big4여부와 산업전문성 여부가 감사품질을 높이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지만, 오랜 기간 동안 피감사기업을 감사한 경우에는 감사인이 피감사기업에 대한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감사품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감사인의 강제교체는 감사인의 독립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는 주장을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감리지적기업의 회계품질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였지만 향후 이에 대한 보완으로서 감리지적으로 인한 기업과 감사인의 행동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로 감리제도를 통해 행동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used accounting enforcement actions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a proxy variabl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audit quality with auditor characteristics(auditor size, auditor industry expertise, abnormal audit fees and auditor tenure). Thus,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nforced firms using information about enterprise accounting and auditors. We find that auditor size, auditor industry expertise and abnormal audit fees is associated audit quality(accounting enforcement actions). The literature on auditor tenure recognizes two opposing effects of auditor tenure on audit quality. According to the “regulatory view”, mandatory auditor rotation could enhance auditor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conomic view”, restricting auditor tenure could exacerbate auditor independence rather than enhancing i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of auditor characteristics and auditor tenure and audit quality(enforcement actions). We find that the interaction of auditor size and auditor tenur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nforcement actions. And the interaction of auditor industry expertise and auditor tenur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nforcement actions, as suggested by an regulatory view. But the interaction of abnormal audit fees and tenure increases is not have significance to audit quality(accounting enforcement ac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contributions to extant research by providing additional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audit tenure. This research also can give useful information to regulatory agencies to enact mandatory rotation of audi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