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접고용 결정 요인: 거래비용 이론과 비용우위 이론을 중심으로

        김성훈 ( Sung Hoon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지역과 세계 Vol.35 No.1

        이 연구는 최근 한국 노동시장에서 파견, 용역, 호출 등의 간접고용 비정규직이 늘어나고 있는 현상을 거래비용 이론과 비용우위 이론을 통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설명하려고 하였다. 거래비용 이론에 따르면, 직무가 불확실하면 노동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나타나서 거래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해 고용주는 비정규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게 된다. 비용우위 이론에 따르면, 기업 외부의 전문 인력의 활용, 고정자본의 최소화, 시장 변동에 대한 유연한 대처, 저임금의 활용 등은 간접고용의 증가를 통해 기업의 생산비용의 절감과 수익의 증대로 이어지게 된다. 직접고용, 네트워크형 간접고용, 시장형 간접고용으로 나뉘는 비정규직 고용형태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짓분석의 결과는 거래비용 이론보다는 비용우위 이론이 간접고용을 분석하는 데 더 설명력이 높다는 점을 보여 준다. 비용우위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변수 가운데 산업 변수가 직접고용에 비해 간접고용, 특히 네트워크형 간접고용이 이루어질 가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거래비용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변수인 직무 불확실성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 고용형태 설명에 더 적절한 요인은 직무의 성격과 노동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라기보다는 생산비용의 절감을 위한 시장 기제나 여러 조직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fact that nonstandard workers under indirect employment such as temporary agency workers, contract workers, and on-call workers increased recently in the Korean labor market by analyz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in view of the transaction cost theory and the cost leadership theory.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cost theory, employers employ nonstandard workers directly to decrease transaction cost, which rises when uncertain tasks make workers behave in an opportunistic way. According to the cost leadership theory, utilizing outside experts, minimizing fixed capital, preparing flexibly for volatile markets, and utilizing low wages lead to decreasing firms` production cost and increasing their profits through increasing indirect employment. Results of multinomial logit analyses on the employment type of nonstandard workers consisting of direct employment, network-type indirect employment, and market-type indirect employment show that the cost leadership approach is more significant in analyzing indirect employment than the transaction cost approach: Among the variables used to test for the cost leadership theory, ``industry`` significantly affects the possibility of indirect employment, especially network-type indirect employment, vis-a-vis direct employment, but ``task uncertainty`` used to test for the transaction cost theory does not.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market mechanism or various organization-level factors for decreasing production cost are more appropriate in explaining the employment type of nonstandard workers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an characteristics of tasks and workers` opportunistic behaviors are.

      • KCI등재후보

        외화증권 예탁법리의 정립 방향에 관한 고찰

        천창민(Chun, Chang Mi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4 國際私法硏究 Vol.20 No.2

        외화증권은 외국통화로 표시된 증권 또는 외국에서 이자·배당금 등의 지급을 받을 수 있는 증권이며, 외화증권거래란 이러한 외화증권을 목적물로 한 거래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화증권거래의 문리적 의미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소에 상관없이 외화증권을 매매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등의 거래행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의미의 외화증권거래에는 외국 보관기관, 국제중앙예탁결제기관(ICSD) 등의 중개기관이 개입하여 해당 외화증권을 예탁하는 국제증권예탁이라는 요소가 개입하게 된다. 국내의 증권예탁과는 달리 외화증권의 예탁에는 우선 준거법의 결정에 관한 저촉규칙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준거법에 따라 결정된 실질규범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대법원 2010. 1. 28. 선고 2008다54587 판결에 대한 평석을 통해 국제증권예탁제도에 관한 소개와 더불어 동 판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대상판결은 회사법적·계약법적 문제와 예탁법적 문제를 분리하고 별도의 분석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대단히 환영할 만하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외화증권 예탁법리와 관련하여, 이를 정면으로 다루지 않거나 회피하고, 또 이를 잘못 이해하여 설시한 부분도 있어 향후 보다 정치한 판결의 전개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이 글은 광의의 개념으로서 외화증권 거래를 거래장소와는 상관없이 외화증권을 거래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국내에 상장된 외국원주의 예탁과 관련한 자본시장법상의 규정을 검토하여 현행규정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외국에서 외화증권이나 원화증권을 거래하는 협의의 외화증권거래에 대하여, 이 글은 현행 외화증권거래와 관련한 저촉규범의 도입이 시급함을 강조한다. 나아가, 실질법적 측면에서 관련 근거규정의 마련이 필수적임을 지적하며, 자본시장법상의 개정안을 제시한다. 국내투자자의 외화증권거래에 수반된 외화증권의 예탁법리와 관련한 국내의 논의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외화증권 예탁법리의 문제가 투자자의 물권적 권리에 관한 매우 중대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외화증권예탁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예탁결제원은 물론 금융당국이 십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이에 관한 책임 있는 해결노력을 보이지 못한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2014년 11월 17일부터 시행된 후강퉁(?港通) 제도가 외화증권거래와 이에 따른 외화증권예탁의 문제가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어, 조속한 시일 내에 국제증권거래와 관련한 정치한 논의와 입법적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Under Korean law, foreign securities mean securities that are denominated by a foreign currency or that can be paid from a foreign country. Foreign securities transactions mean trading of such foreign securities as objects of the trading. Accordingly, foreign securities transactions refer to the trading activities of sales or collateral provision of securities, without regard to the place where such activities occur. In general, however, foreign securities transactions mean transactions of securities entered into abroad and they involve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securities deposit intermediated by foreign custodians and/or international central securities depositori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ies deposit, firstly, conflict of laws issues must be clarified and then substantive norms determined by choice of law rules must also be clearly understood. This article, above all, tries to introduce and analyse a Supreme court"s decision rendered on 28 January 28 2010 (the 2008Da54587 Decision). This welcoming decision develops its analysis differentiating corporate and contractual issues from deposit law ones. This decision, however, does not or escape to squarely cover international securities deposit issues, and shows some flaws in its reasoning. Secondly, this article deals with foreign shar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the broad concept of international securities transactions, focusing on deposit law issues. From the general concept of international securities transactions, this article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roduction of a clear choice of law provision in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In addition, this article shows urgent necessity of substantive norms applicable to the proprietary issues of internationally deposited securities transactions, proposing amendment of the Financial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Currently, deficient is the detailed substantive discussion as to foreign securities deposit involved in foreign securities transactions. It is regretable that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y, as well as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that is in charge of the practices of foreign securities deposit does not actively try to solve such issues, even if foreign securities deposit issues that cover investors" proprietary rights are crucial. The Shanghai-Hong Kong Connect implemented from 17 November 2014 functions as a trigger of voluminous involvements of individual investors in foreign securities transactions. This article wishes, in the near future, more discussion and legislative overhaul as to foreign securities deposit, stimulated by such environmental change as the Shanghai-Hong Kong Connect.

      • KCI등재후보

        이사의 자기거래

        권기범(KWON Kiboum)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9

        이 글은 상법 제398조가 규정하는 이사와 회사와의 거래(자기거래)를 다루고 있는바, 해석론상 (1) 이해충돌(이해상반) 우려 있는 거래만 자기거래에 해당되고, (2) 직접거래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의 간접거래도 그 대상이 되고, (3) 이해충돌(이해상반) 우려 유무는 행위의 객관적 성질에 의해 형식적?추상적으로만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해 거래의 내용을 고려한 실질적?구체적인 판단까지 가미하여 판단하여야 하고(따라서 해당 거래가 회사에 이익이 되거나 적어도 공정한 것으로 드러나면 자기거래에서 제외된다), (4) 이사회의 사후승인도 일반 무효행위의 소급적 추인으로 허용되어야 하고, (5) 적어도 이사회가 설치된 회사에서는 총주주의 동의로 이사회의 승인을 대체하지 못하며, (6) 이사회 승인이 있더라도 거래의 불공정성을 치유하거나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을 면제하지는 아니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입법론으로는 (1) 제398조의 입법목적이라든지 그동안 학설과 판례가 이사와 회사와의 거래 중 이해충돌의 우려가 있는 것만 규율대상으로 삼아 온 점에 비추어 제398조의 법문 중 별다른 의미가 없는 ‘이사 또는 제3자의 계산으로’를 ‘이해충돌(이해상반) 우려 있는 거래’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고, (2) 제398조 단서를 삭제하고, (3) 제398조의 적용범위와 이사회의 승인의 효력 등에 대한 보다 정교한 입법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Article 398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KCC), which like other jurisdictions regulates self-dealing transactions between a director and his/her corporation.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398 of the KCC lies undoubtedly in the protection of the corporation including shareholders and creditors from unfair self-dealing transactions. Under Article 398 of the KCC director's self-dealing transactions fall into two categories : direct self-dealing transactions and indirect self-dealing transactions.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both types potentially create a conflict of interest. The core regulatory mechanism of Article 398 of the KCC is that all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self-dealing transactions are subject to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or shareholders when the corporation may not establish board of directors). Once properly approved, the director self-dealing transaction is sanitized. But the sanitization does not conclusively validate the director self-dealing transaction : it simply removes a possible legal attack based on the fact that a director was involved in the transaction. Article 398 of the KCC entails not a little interpretational issues : (1) what types among the indirect self-dealing transactions are subject to the board's approval? (2) is the board's ratification valid? (3) does the unanimous consent of all shareholders substitute the board's approval? (4) how to measure whether or not a certain self- dealing transaction is unfair and injurious to the corporation? : is the so-called formal/abstract test sufficient? In regard to the above issue (1), relevant legal theories and court decisions are introduced and examined. And then it is argued that conflict of interest indirect self-dealing transactions are to be regulated in the same way as for those direct ones. It is noted that the regulatory scope of indirect self-dealing transactions remains not so clear and further study is called for on this aspect. In regard to the above issue (2), it is argued that the ratification(ex post approval of the board) is to be treated valid. There are two reasons : one is that the ratification removes merely a possible attack based on the fact that a director was involved in the transaction. the other is that the corporation suffers no harm because the ratification does not release the director's liability. In regard to the above issue (3), it is argued that even the unanimous consent of all shareholders can not substitute the board's approval because under Article 398 of the KCC the board must protect the interest of both shareholders and creditors of the corporation. In regard to the above issue (4), the traditional formal/abstract test is critically examined in that it still treats a fair self-dealing as a conflict of interest transaction. It is therefore strongly argued that not only the traditional formal/abstract test but the substantial/concrete test should be applied to measure whether a certain self-dealing transaction is truly unfair and injurious to the corporation. If the self-dealing transaction proves to be fair under the substantial/concrete test(in other words, the director did not advance his/her interests at the expense of the corporation), it is not a conflict of interest transaction at all and therefore it does not need a board's approval.

      • KCI등재후보

        소비자 신용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배사라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명지법학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외국의 할부거래 및 소비자 신용(판매신용)에 관한 규제 내용 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간접할부거래 규제에 관하여 소비자보호 측면에서의 개 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미국, 영국, 독일에서는 ‘소비자신용’에 관한 법 률 속에서 할부거래를 다루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할부거래법을 독자적인 법률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각 나라별로 법령의 명칭, 세부적인 사 항은 상이하겠지만, 판매신용을 본래부터 보호받아야 할 가치로 생각하고 접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률은 할부거래업자 및 신용제공자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정보의 제공을 요구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정당한 절차에 따라 할부거래업자 뿐만 아니 라 신용제공자에 대하여도 항변권을 가지게 하고 있다. 신용카드, 리스 등의 보편화로 인하여 간접할부거래가 성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우리나라의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은 간접할부거래에 있어서 소비자를 효과적으 로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소비자 신용에 관한 입법례들을 참고로 간접할부 거래에 있어서 소비자보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cope out improvements in terms of consumer protection with regard to the regulation of Indirect Installment Transaction as looking at regulations about Installment Transactions and consumer credit(sales credit) in foreign countries. In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Germany, the Installment Transactions deals with the Act on ‘consumer credit.’ On the other hand, in Japan, Installment Transactions Act was enacted independently. Name of the regulations and the details may be different by individual countries, but sales credit is protected. Accordingly, credit providers as well as traders of installment should provide information of more than certain levels by these law. And consumers have the right of plea against both credit providers and traders of installment. Although Indirect Installment Transaction is very popular due to universalization of credit card lease, etc, Act on Installment Transactions of Korea do not effectively protect consumers on Indirect Installment Transactions. Therefore, our regulation will be improved to realize a consumer protection by reference to legislation case on consumer credit of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간접증명방식의 현행 印鑑證明法에서의 印鑑證明書의 本人推定力

        南孝淳(남효순) 한국법학원 2006 저스티스 Vol.- No.95

        현행 인감증명법은 인감자료의 전산화와 더불어, 증명청의 인영조회의 부담과 그에 따른 책임을 전제로 하는 직접증명방식을 폐지하고, 인감화일에서 印鑑을 복사하여 印鑑證明書를 발급하는 간접증명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그런데 간접증명방식에서는, 증명청이 실인의 인영을 확인하지 않고, 상대방이 거래당사자의 사용인영과 印鑑證明書의 인영을 대조하여 본인의 동일성을 확인하여야 하는 데에 따라 입증책임이 전환되므로, 印鑑證明書는 본인추정력을 상실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또 이 견해는 상대방은 印鑑證明書를 비롯하여 실인과 그 밖의 모든 주위상황을 고려하여 본인 또는 대리인이라는 것을 입증하게 되어 직접명방식에서보다 부담이 증가하게 되었으므로, 印鑑證明은 더 이상 존재이유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이 견해와 동일한 태도를 취하여, 종래의 判例를 부정하는 하급심판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행 인감증명법은 인영증명의 방식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印鑑證明의 본질과 관련된 규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즉, 印鑑證明이란 본인이 印鑑證明(書)을 신청하는 데에 대한 증명으로서, 신청인이 본인이라는 확인(본인확인)과 본인의 印鑑이 어떠한 것이라는 증명(협의의 印鑑證明: 인영증명)을 그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印鑑證明의 본질에 기초하여, 印鑑證明書는 신청인이 본인이라는 것과 그 위에 현출된 인영이 印鑑과 동일하다는 推定力을 가지게 된다(印鑑證明書의 신청인본인추정력). 인영증명은 직접증명방식이든 간접증명방식이든 본인확인을 전제로 하여 印鑑을 증명하는 것일 뿐이고, 그 자체는 본인확인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즉, 간접증명방식에서도 印鑑證明書의 신청인본인추정력은 인영증명과는 관계없이 본인확인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거래에서는 간접증명방식하에서도 印鑑證明書를 소지한 거래당사자가 문서에 날인한 인장의 인영이 印鑑證明書의 인영과 동일하다는 요건이 갖추어지는 경우에는, 印鑑證明書에 의하여 거래당사자가 본인이라고 推定될 수 있다(印鑑證明書의 거래당사자본인추정력). 이 경우 상대방은 직접증명방식에서와 마찬가지로 거래당사자의 사용 인영과 印鑑證明書의 인영을 대조하여 확인하여야 하고,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인영확인 이외에 본인을 확인할 다른 절차를 실행하여야 한다. 요컨대 간접증명방식을 택하고 있는 현행 인감증명법에서도, 印鑑證明의 본질이 유지되고 또 이에 기초하여 印鑑證明書의 기능이 발휘되고 있는 이상, 印鑑證明書의 본인추정력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간접보유증권에 관한 담보제도의 개선방향

        안성포(An, Sung Po) 한국증권법학회 2011 증권법연구 Vol.12 No.2

        UNIDROIT는 ‘간접보유증권 관련 실질법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Substantive Rules regarding Intermediated Securities)의 제정을 통하여 증권의 간접보유에 따르는 실질법적 쟁점들을 정리하고 참가국에 적용될 공통적인 원칙과 규정을 정하고 있다. 특히 간접보유증권을 활용한 자금조달과 관련하여 이 협약은 유럽연합의 ‘금융담보제도지침’을 모델로 하여, 제5장(제31조-제38조)에서 담보거래에 관한 특칙을 규정하고 있다. 제31조는 담보거래특칙의 적용범위와 용어의 정의를 내용으로 하고 있고, 제32조에서는 소유권 이전형 담보계약을 인정하고 있다. 제33조는 담보권의 실행, 제34조는 담보증권의 사용권을 규정하면서, 제35조에서는 담보권을 실행하거나 채무를 정산하는 경우에 비협약 국내법에서 부과하는 상업적 합리성 기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제36조와 제37조는 특정한 담보물의 추가 또는 담보물의 대체와 담보계약에 있어서 담보제공에 적용되는 규정이다. 그러나 체약국은 담보거래에 관한 특칙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데(제38조), 다음 3가지의 쟁점에 대해서 그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첫째, 담보권자 및 담보설정자의 범위에 있어 개인 또는 특정 유형의 참가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둘째, 협약이 정하는 담보거래에 관한 제원칙들은 자본시장의 유동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상장증권에 대한 적용을 배제할 수 있다. 셋째, 담보계약이 어떠한 채무를 담보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국가마다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피담보채무를 ‘현금 또는 증권에 관한 채무를 발생시키는 금융채무’ 등으로 그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협약의 담보권에 관한 규정은 당사자간 합의에 의한 계약체결을 전제하는 것이므로 유치권 등 법정담보권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체약국은 소유권이전형 담보계약, 담보권의 실행, 담보증권의 사용권 및 추가, 대체 등에 관한 규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제할 수 있다. 다만, 지정기재나 지배계약 등에 의한 담보권 설정은 다른 권리의 취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간접보유증권 관련 실질법에 관한 협약’은 참가국들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 증권의 간접보유에 관한 법제의 국제표준이 될 것이기 때문에 각국의 국내법 정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협약에 관한 UNIDROIT의 공식 주석서에 기초하여 협약 제5장의 담보거래의 내용과 우리나라 간접보유증권의 담보제도를 비교·설명하면서 국내법이 정비해야 할 과제와 그 방향성을 살펴보고 있다.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nvention on Substantive Rules regarding Intermediated Securities," UNIDROIT has organized the issues of indirect possession of securities based on substantive rules and set general principles and regulations that will apply to all Contracting States. This convention stipulates the Special Provisions in Relation to Collateral Transactions in Chapter V(Article 31-38), which is based on the European Financial Collateral Arrangements Directive. Article 31 sets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definitions in Chapter V, Article 32 recognizes the title transfer collateral agreements. The issue of enforcement or realization of interests in securities is regulated in Article 33, Article 34 sets out the right to use collateral securities. The non-Convention law may contain a standard of commercial reasonableness where a right in respect of collateral securities is enforced or where the obligations between the parties are calculated. Such a standard is upheld under Article 35 in the event of enforcement under Article 33 and the calculation of obligations under Article 34. Article 36 and 37 set out top-up or substitution of collateral and certain non- applied insolvency provisions. Article 38 sets out a number of possible declarations that a Contracting State may make in respect of Chapter V. W here a Contracting State wishes to apply Chapter V, it may nonetheless limit its scope in respect of three specific issues (but only these three issues) mentioned in Article 38(2). First, Article 38(2)(a) makes it possible to exclude natural persons or persons in other specified categories. This provision should be read in connection with the definitions of "collateral taker" and "collateral provider"nine Article 31(3)(f)-(g), which place no limitations upon the market participants to which Chapter V applies. Secondly, Article 38(2)(b) makes it possible to exclude intermediated securities which are not permitted to be traded on an exchange or regulated market. This provision should be read together with the definition of "collateral securities: in Article 31(3)(e). Thirdly, Article 38(2)(c) permits a Contracting State to specify the categories of relevant oblig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Chapter V, for instance, only obligations to deliver cash and/or securities. For the definition of "relevant obligations," see Article 31(3)(d).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the Special Provisions in Relation to Collateral Transactions in Chapter V (Article 31-38) to the Korean regulations on collateral transactions of indirectly possessed securities.

      • KCI등재

        理事會 承認 또는 公正性 要件을 欠缺한理事 등의 自己去來의 效力

        김동민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2

        Recently, in large-scale companie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directors' pursuit of personal gain through self-transactions, and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of company damage due to the arbitrariness of directors, such as making self-transactions through clever means. Thus, in the Commercial Act amended in 2011, the provisions of Article 398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subject of personal regulation in relation to self-transactions, the weighting of resolution requirem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obligation to disclose important matters, and the addition of fairness requirements. Therefore, in this paper, i) the requirements for including a case in which a director transacts with the company as an ‘agent or representative’ of the counterparty ar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elf-transaction, and ii) the types of self-transactions were divided into ‘direct transactions’ and ‘indirect transactions’, and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were considered. Also, iii)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relative invalidity, the position of precedent, was analyzed as the effect of self-transaction without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iv) the effect of self-transactions that have been approved by the board of directors but lack the ‘fairness requirement’ was considered. 주식회사의 이사와 회사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경우, 이사는 그 지위를 이용하여 회사나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희생시키면서 자신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도모함으로써 회사에 손해를 끼칠 수 있다. 특히 이사가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 즉 “자기거래”의 경우에는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될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법은 이사의 자기거래로 인한 회사나 주주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사와 회사 간의 자기거래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요건으로 하면서 이를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상법 제398조). 그런데 최근 대규모회사에서 이사의 자기거래를 통한 사익추구 행위가 급증하는 등 이사의 전횡에 따른 회사의 피해 사례가 속출하면서, 2011년 개정 상법에서 제398조의 자기거래 규정을 대폭 개선하였다. 즉 자기거래의 인적 규제대상이 ‘주요주주’와 그 가족 및 관련회사로 확대되었고, 거래 전에 이사회 승인을 ‘미리’ 받도록 하면서, 그 결의요건도 ‘이사 3분의 2 이상’으로 강화하였다. 또한 거래에 관한 중요사실을 ‘개시할 의무’를 부과하였으며, 거래의 내용과 절차에 대한 ‘공정성’ 요건을 추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가 대리나 대표를 하는 자기거래의 범위가 문제되고 있으며, 자기거래 위반의 효력인 상대적 효력설 및 공정성 요건의 흠결에 대한 효력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사의 “자기거래의 범위”와 관련하여, ⅰ) 이사 등이 거래상대방의 ‘대리나 대표’로서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가 자기거래에 포섭되기 위한 요건을 살펴보았고, ⅱ) 자기거래의 유형을 ‘직접거래’와 ‘간접거래’로 구분하여 구체적 형태를 분석하면서 상법 제398조의 적용요건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사의 “자기거래 위반”의 효력과 관련하여, ⅲ) 이사회 승인 없는 자기거래의 경우 그 사법적 효력으로서 판례의 입장인 상대적 무효설의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ⅳ) ‘공정성 요건’이 흠결된 자기거래의 경우 이사회 승인과 독립된 거래의 효력요건으로 기능하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국제거래에서 독립적 보증의 당사자간 계약관계

        김용길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무역보험연구 Vol.15 No.2

        오늘날 우리나라는 세계 무역 7대국의 위상을 과시하고 있다. 국제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면 서 그에 특유한 보증, 운송, 보험 등이 발달하였다. 국제거래는 국가별로 환경이나 거래 관행이 달라서 물품을 공급하고 대금을 제때에 회수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 국제거래에 있어서 당사 자들은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급인이 수급인에게 계약이행에 대한 보장수단으로 요구하 는 것이 독립적 보증(independent guarantees)이다. 즉 국제거래에서 대금지급과 보증수단 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신용장과 독립적 보증인데, 이들은 원인거래(underlying transaction)에 따른 약정에 의하여 발생된다. 독립적 은행보증서는 수익자인 채권자가 지급 요청을 하면 원인거래와는 독립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특성을 지님으로써 강력한 담보제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독립적 보증은 제출된 서류가 중요하기 때문에 수익자는 은행에 제출하는 서류에 대하여 사소한 부분까지 점검하는 치밀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제거래에 있어 독립적 보증의 이용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데, 그에 따른 당사자간의 계약분쟁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독립적 보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국제거래에 대한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공정거래법의 집행과 금지청구제도 -미국의 판례 및 도입과 관련된 쟁점을 중심으로-

        곽상현 ( Sang Hyean Gwak ) 법조협회 2007 法曹 Vol.56 No.4

        우리 공정거래법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법률이고, 그러한 공정거래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그 집행절차를 선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의 경우 경쟁당국인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정거래법의 집행을 거의 독점적, 배타적으로 담당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고, 최근 선진 시장경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사소제도의 활성화에 관하여 논의가 되고 있다. 사소제도는 일반적으로 공정거래법 위반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경쟁당국의 규제와는 상관없이 위반자를 상대로 법원에 직접 그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거나 그 위반행위의 중지 또는 예방을 청구하는 제도를 말하는바, 우리 공정거래법상 손해배상에 관하여는 특별규정을 두고 있으나 아직 금지청구에 관하여는 그 근거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우리와 비슷한 집행구조를 가지고 있는 일본이 최근 금지청구제도를 도입한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그 도입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공정거래위원회가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 글도 그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사인의 금지청구제도는 미국 클레이튼법 제16조에 규정되어 있는 제도이고, 그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입장은 미국의 집행체계에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할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우선 미국의 집행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미국의 집행구조와 미국법상 금지청구권의 내용 및 그에 관한 판례의 경향을 비교적 자세하게 다루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연방 경쟁당국에 의한 집행뿐만 아니라 주정부에 의한 집행 및 그들 상호간의 관계, 금지청구권이 도입되게 된 배경, 금지청구권의 행사요건에 관하여 미국 판례법상 형성된 독점금지법상의 손해(antitrust injury), passing-on과 간접구매자이론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그리고 우리가 금지청구권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 도입이 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입법을 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에 관하여 적고 있다. 결론적으로 경쟁당국의 집행을 보완하고 피해자 구제를 위하여 금지청구권은 도입되는 것이 타당하고, 그 입법의 방향에 대하여는 남소 방지를 위하여 금지청구권의 행사요건을 어느 정도 강화하되, 금지청구의 대상에 대하여는 제한하지 아니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광고선전비의 관세평가에 관한 연구

        박설아(Park, Seolah) 한국국제조세협회 2017 조세학술논집 Vol.33 No.3

        구매자가 재화를 수입하면서 직접 지출하거나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광고선전비를 관세의 과세가격에 포함시켜야 하는지에 관하여 실무상 많은 혼란이 있다. 그러나 관세법령은 거래가격방법을 규정하면서 광고선전비에 관한 규정을 두지 않고 있으며, WTO 관세협약의 광고선전비에 관한 주해 규정은 극히 제한된 범위만 규정하고 있는데다 해석상 논란의 여지도 있어, 광고선전비에 관한 관세평가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거래가격의 적용배제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거래가격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광고선전비를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포함시켜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는데, 마케팅활동을 수행할 의무가 누구에게 있는가하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마케팅활동의 수행 주체, 광고선전비의 부담 주체 및 활동 지역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구매자가 국내마케팅활동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비용을 부담한 경우 관세평가협약의 관련 주해 규정에 비추어 구매자가 지출한 광고선전비는 원칙적으로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매자가 판매자의 계산으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거나 판매자가 광고대행업체와 광고대행계약을 체결한 후 구매자가 광고대행업체에 비용을 지급한 경우 구매자가 지출한 광고선전비는 간접지급금액에 해당하여 과세가격에 포함된다. 판매자가 수입물품에 관한 국내마케팅활동을 수행한 후 광고선전비를 수입물품의 거래가격에 포함시키거나 구매자에게 별도의 광고선전비를 청구하는 경우 위 광고선전비는 과세가격에 포함된다. 그러나 판매자가 수입물품과 상관없이 국내마케팅활동을 수행한 경우, 즉 구매자가 사업상 필요에 의해 탁월한 마케팅 노하우를 가진 판매자와 별도의 마케팅용역계약을 체결하고 공급받은 용역의 가치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급하였다면, 구매자가 지출한 광고선전비는 별도의 용역에 대한 대가이므로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국적기업의 본사가 국제행사 후원 등 국제마케팅활동을 수행한 후 현지 판매법인과 체결한 ‘라이센스계약’에 따라 국제마케팅비를 지급받는 경우, 거래의 성격에 따른 라이센서와 라이센시의 일반적인 권리의무, 해당 라이센스계약의 구체적인 내용, 국제마케팅활동의 주체와 내용, 국제마케팅비의 지출과 정산과정 등을 고려하여, 실질과세원칙에 따라 국제마케팅비를 ‘권리사용료의 간접지급금액’으로 보아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만일 국제마케팅비가 ‘물품공급계약’에 따라 지급되었다면 ‘간접지급금액’으로서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에 포함된다. There have been a lot of confusion in practice in whether or not Advertising, Marketing and Promotion Expenses (hereinafter “AMP expenses”), paid directly by the buyer or to the seller during importation of goods, should be included in customs duty. However, in terms of the transaction value method, there is no regulation on AMP expenses defined by the customs law, but a regulation on Marketing activities noted by the Note to Article 1, Paragraph 1(b), paragraph 2 of GATT Customs Valuation Agreement (hereinafter “CVA regulation”) in a very limited scope with interpretative controversy, causing increase in controversy over customs valuation associated with AMP expenses. This paper suggested the criteria for including AMP expenses in the customs value of imported goods in terms of application of the transaction value method, by considering who among seller and buyer is in charge and takes lead in marketing activities, who pays for AMP expenses, where the target region for advertising is, etc. AMP expenses paid by the buyer are not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in principle, based on the CVA regulation, if the buyer takes the lead in performing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bearing expenses thereof. However, AMP expenses paid by the buyer are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as an indirect payment if the buyer undertakes marketing activities on the seller’s account or pays the advertising agency for AMP expenses after the seller concluded an advertising agency contract with the advertising agency. AMP expenses shall be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if: the seller performs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for the imported goods and includes the AMP expenses in the price of imported goods; and the seller performs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for the imported goods and separately charges the buyer for AMP expenses. However, AMP expenses paid by the buyer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as it is considered a price for an extra service if the seller performs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imported goods, i.e., the buyer concludes a separate marketing outsourcing contract with the seller who has an excellent marketing know-how, as necessary for business, and pays the selle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service provided. In case that the headquarter of multinational enterprise is paid for international marketing fee under the contract with the local sales subsidiaries upon completion of domestic marketing activities including sponsoring any international events, the international marketing fee might be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of the imported goods, as it corresponds to an indirect payment of royal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y considering general rights and duties of licenser and licensee per transaction characteristics, details of the license contract, principal agent and details of international marketing activities, process of spending and settling international marketing fee, etc. International marketing fee paid according to the goods supply contract shall be included in the customs value as an indirect pa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