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와 이방인: 현상학적 조망에서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1 사회이론 Vol.- No.59

        이 논문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사회적 현상을 현상학적 시각을 통해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별히 코로나19 속 세상이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유비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세상이 단지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것을 탐구하는데 동원될 현상학과도 그 맥을 크게 같이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코로나의 재앙과 비극 속에서 현상학과 이방인의 사회학의 중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는 부수적 결과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고려될 것은 후설과 슈츠, 그리고 버거와 내이튼슨, 러크만 등에 의해 개진된 현상학적 태도이다. 이것은 일상인들이 그들의 생활세계에서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연적 태도와 뚜렷이 대조된다. 이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환원, 괄호침, 에포케, 판단중지 등으로 대변되는 현상학적 태도가 자연적 태도의 본질과 함께 비교되면서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리고 현상학적 환원과 태도를 통해 도출되는, 즉 이화(異化)의 결과 간파되는 현상(실재)의 구성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현상학적 환원이 짐멜이 현대사회의 주된 특징으로 거론한 거리두기와도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코로나19의 세상을 짐멜의 거리두기와도 연결 지을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하면서 슈츠의 현상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은 민간방법론의 창시자 가핑켈이 보는 사회의 상이 코로나19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상호 조응하며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이 규명할 것은 코로나19 속 일상인들이 결국은 필자가 이방인의 사회학에서 개진한 바 있는 이방인의 상과 매우 잘 조응된다는 사실이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 재차 강조되는 것은 행동 없이 사회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19가 가져 온 일상의 멈춤이 그것을 새삼 확인시켜주었다고 주장하면서, 그 주된 대상은 현상학자와 사회학자들이 아니라 일상인이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물론 현상학자와 사회학자 같은 전문가들도 코로나19를 통해 그것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결국 코로나19라는 전 인류적 그리고 전 지구적 재앙은 전혀 의도하지 않게 현상학의 힘과 사회학의 굴기의 계기를 제공하였다고 주장될 수 있다. 또한 일상인들 모두 스스로를 이방인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이방인의 사회학의 타당성과 효용을 입증하는 예상치 못한 결과도 낳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끝으로 이 논문을 구성함에 있어 채택된 방법은 문헌연구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의 저작 분석을 통해 소기의 목적 달성을 시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phenomena caused by COVID-19 pandemic through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achieve such purpose, the paper specifically shows the analogy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world of strangers. Besides, one thing to notice in this paper is that not only the world of COVID-19 pandemic and the world of the Strangers are alike but also, it has absolutely something in common with phenomenology utilized in the inquiry of this study. Thus, through this paper, it demonstrates the incidental outcome of high-lighting the value of the sociology of strangers and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the midst of tragedy and calamity of the COVID-19. In this paper,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articulated by those who are Husserl, Schutz, and Berger, Natanston, Luckman and the natural attitude which ordinary men stick to in their life world are taken into account. Also, the paper discusses mainly on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represented by phenomen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epoché, suspension of judgement in comparison with the essence of natural attitude. Also, it examines the constitution of the social phenomena which are deduced from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attitude, i.e., estrangement. In addition, the paper emphasizes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which goes along the lines of the main feature of modern world, i.e., the process of distancing, and is trying to connect the world of COVID-19 and Simmel’s the process of distancing. The paper also looks into the manner in which Garfinkel’s view of image of society, the founder of ethnomethodology does correspond with the world of COVID-19. Finally,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corelation between ordinary man’s life i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image of strangers which I have elaborated in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The paper repeatedly stresses that the society can not exist without the actions of ordinary people. The suspension of everyday life due to the COVID-19 assures this argument and allows those who are lay men as well as phenomenologists and sociologists to recognize such. COVID-19, one of the greatest global ruin and misfortune of the humanity unintentionally provokes the power of phenomenology and the rise of sociology, which also makes all lay men to experience themselves as strangers. Thus, the paper argues that COVID-19 has unexpected outcome of confirming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Lastly, it necessary to mention that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has been manipulated to construct this paper. The paper attempts to accomplish the goal, by analyzing the original works of many philosophers and sociologists mentioned the above.

      • KCI등재

        위선이 위악보다 나은 사회학적 이유

        김광기(Kim, Kwang-ki)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8 No.-

        이 논문은 ‘위선’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이 문제와 관련해서 오히려 일상인들에겐 관대한 대접을 받는 듯해 보이는 ‘위악’이 과연 그런 대접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필자가 내린 결론은 일상인들의 그러한 태도와 인식은 합당치 않다는 것이다. 즉, 위선이 위악보다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이 논문은 위선과 위악 모두 공히 “애초에 없었던 것을 있는 척한다.”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것은 그러한 행함을 통해 도출된 결과가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상관없이 그런 행동 자체에는 기만적 성격과 허위(거짓)의 성격이 내재되어 있음을 파헤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볼 때 일상인이 몸담고 사는 사회의 모습과 사회적 행위의 모습에도 역시 이 기만적 성격과 허위의 성격이 본질적으로 내재해 있는 것이 발견된다. 그런 점에서 위선 및 위악의 문제는 곧 사회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의 기만적 그리고 허위적 성격을 부각시키고 그것을 위선과 위악이 내재적으로 안고 있는 기만과 허위의 모습과 중첩시킴으로써, 위선이 위악보다는 낫다는 것을 논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사회와 사회적 행위 그리고 역할수행의 기만적이고 허위적인 모습을 간파하고 사회학적으로 정교하게 했던 세 명의 대가들(고프만, 버거, 가핑켈)의 사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이 목표를 완료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hypocrisy’. In particular, regarding this problem, it examines whether ‘dysphemism’ which seems to be treated ordinary people generously has a qualification to be treated or not. The conclusion making the author is that attitude and awareness of ordinary people are inappropriate, i. e. hypocrisy is not worse than dysphemism. For this argument, this study comes into the spotlight on both hypocrisy and dysphemism pretend something was not there from the first to be there, and it discloses that deceptive and false character are inherent in acting itself regardless of being result drew from such an action good or bad. However, the author thinks that the pictures of society living people in and of social action are essentially found these deceptive and false characters. In that regard, the problems of hypocrisy and dysphemism are directly connected to social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hypocrisy is better than dysphemism by highlighting deceptive and false characters of society, and by being overlapped the deceptive and false picture fraught with hypocrisy and dysphemism inherently. So, for this, the author has completed this purpose by penetrating not only society and social action but also the picture of deceptive and false of role playing, and by spotlighting the thoughts of three great social thinkers - Goffman, Berger, Garfinkel - made sociolog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알프레드 슈츠와 ‘자연적 태도’

        김광기(Kwang-Ki Kim)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슈츠가 개진했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자연적 태도’에 관한 사회학적 비평의 시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그 개념에 대한 슈츠의 접근을 살펴보고, 그 개념이 어떻게 현대사회학이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슈츠의 사회학적 사유가 철학으로서의 현상학의 계발과 세련화에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 지를 규명하는 기회도 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철학과 사회학의 경계를 아우르는 대사상가로서의 슈츠의 면모를 재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o critique sociologically the concept of 'natural attitude' elaborated by Alfred Schutz. To do this, first of all, this essay explores Schutz's approach to the concept of 'natural attitude.' Secondly, it scrutinizes the manner in which the concept has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sociological theory, especially phenomenological sociology, ethnomethodology, interpretive sociology, etc. Since this paper has also an opportunity to identify Schutz'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sophistication of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t can be reached to an ultimate chance to demonstrate Schutz's significance as one of the greatest thinkers of our times across the boundaries of philosophy and sociology.

      • KCI등재

        음악사회학과 음악현상학 — 후설과 슈츠를 중심으로

        김광기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and compare the ideas of Alfred Schutz and Edmund Husserl, two thinkers who explored the phenomenon of music and sought to discover its essence. Although Husserl did not deal with music per se, his analysis of time- consciousness and the explanation of notes (or sounds) and melodies discussed therein strongly influenced on Schutz and the later phenomenology of music. Schutz elaborated and developed the phenomenology of music based on Husserl’s analysis of time consciousness, adding a heavy emphasis on sociality. In the process, he outlined the essentials of sociology of music and laid the groundwork for its development. This paper scrutinizes how both Schutz and Husserl approached the essence of the musical phenomenon in terms of “inner time” and made this the key framework for their analyses. This will allow us to closely examine Schutz’s ideas and grasp the limitations of Husserl’s work for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y and sociology of music. The notes and various musical symbols in a score can never represent the music itself. Based on the inherent ambiguity and openness of musical scores, those who perform and listen to music together create music that is appropriate specifically to the place and time that a particular piece of music is being performed and appreciated, i.e., in situ. It is the memb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who fill in for the limitations or ambiguity of the score. This is the perspective foundational to both Shutz’s sociology of music and the Husserlian noetic-noematic (noesis-noema) structure that inspired it. 이 논문의 목적은 음악에 대한 본질을 파헤치기 위해 음악 현상에 대한 탐구를 시도했던 두 사상가들, 슈츠(Alfred Schutz)와 후설(Edmund Husserl)의 사상을 추적하고 그것들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학자의 분석에 핵심으로 작용하고 있는 “내적 시간”을 준거로 해 그들이 어떻게 음악 현상의 본질에 접근했는지를 살피려 한다. 이를 통해 음악현상학과 음악사회학의 발전에 있어 후설의 공과 한계를 분명히 하고, 명실상부하게 음악현상학과 음악사회학의 발전에 초석을 마련한 슈츠의 사상을 면밀하게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슈츠의 “유사동시성”개념을 통해 음악현상에서 그가 포착한 사회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것은 음악의 다단계적원칙, 비동일성, 즉흥성의 특징과 함께 논의될 것이다. 슈츠에 따르면 악보의 음표와 각종 음악 기호들이 결코 음악을 대변할 수는 없다. 음악을 연주하고 듣는 이들은 악보가 갖고 있는 본래적인 애매모호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특정 음악이 공연되는 동안 그 장소와 그 시간에만 해당하는 그런 음악을 함께 만들어간다. 악보의 허술함을 메워주는 것은 바로 거기에 참여하는 인간들인 것이다. 이 점이 바로 슈츠의 음악사회학이 그리고 그것에 모태가 된 노에시스-노에마 구조를 강조한 후설의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이다.

      • KCI등재

        “존재감”을 위한 일반적 조건, 그리고 한국적 조건

        김광기(Kwang-ki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3

        이 논문은 근자에 일상생활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존재감”에 관한사회학적 연구이다. 그 용어는 ‘어떤 것이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는 느낌”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어떤 것이 다른 것들과 함께 하는 와중에 그것 나름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으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존재감”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이 연구는 한 개인이 어떻게 타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객관적으로 각인시키는가에 대한 사회학적 탐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인에게 그렇게 객관적으로 인식시킬 때 필요한 조건을 천착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이다. 그리고 나아가 그러한 일반적인 조건을 넘어 우리네 사회에서만 유독 관찰되는 특수한 조건에 대한 탐색적 규명이 그 두 번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ense of consequential being, which is widely spoken among Korean lay people in everyday lif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manner in which an individual makes himself feel superior to others and simultaneously themselves also feel his consequence at a particular circumstance. This paper approaches to this issue through relating it the concept of ‘impression management’which is elaborated by Erving Goffman. Highly relying upon Goffman’s dramaturgy, this paper aims mainly to scrutinize the general necessary conditions for accomplishing to obtain the sense of consequential being.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readers with Korean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