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체형장애, 정신신체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간의 가족지지도지각의 비교

        고경봉,우용일,Koh, Kyung-Bong,Woo, Yong-Il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본 연구는 신체형장애, 정신신체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가족지지도지각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신체형장애 환자 49명, 정신신체장애 환자 43명, 우울장애 환자 5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가족지지도 지각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 비해 가족지지도의 접수가 유의하게 더 낮았다. 그러나 신체형장애환자들과 우울장애환자들 간, 정신신체장애환자들과 우울장애환자들 간에 가족지지도점수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들 전체 환자들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가족지지도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기혼자들이 미혼자들보다 가족지지도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신체형장애 환자들에서 낮은 가족지지도가 신체화의 원인 및 후유증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따라서 신체형장애 환자 들에 대한 평가 및 치료에 있어서 가족지지의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앞으로 가족지지도가 신체화의 원인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종적인 연구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A comprison was made regarding perceived family support among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psychosomatic disorders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subjects included 49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43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50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Perceived social support-famil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extent of family support.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amily support than the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as well as between patients with psychosomatic disorders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s. Patients with older ag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family support than those with younger age. Marrie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amily support than unmarried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family support may be associated with either the etiology or the sequelae of somatization. Thus, it is emphasized that the role of family support is essential i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omatization. In addition, longitudinal studies will b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causative role of low family support in somatization.

      • 기혼 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과 가족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가족의 신앙 일치도와 신앙활동 지지도의 영향

        권영길,고순자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2 인권복지연구 Vol.- No.12

        가족생활 만족도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활동과 가족생활 만족도의 관계가 가족의 신앙 일치도와 신앙활동 지지도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회귀분석(regression)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기독교 신앙 활동정도와 가족생활만족도는 서로 정(+)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생활의 일치도가 있는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셋째, 기혼여성의 신앙 활동의 정도는 가족들의 신앙 활동 지지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생활만족도와 정(+)의 관계를 형성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후속연구들에서는 좀 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폭 넓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짐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들이 더욱 일반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quality of a personal life, and this quality is in close connection to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s women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have mo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cultural life, family members have less time to spend together. The satisfaction of family life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ye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which effect religious activities have on family ties in modern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ristian activities of married women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s the basis of social welf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re is found a plus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s religious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econ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when there is religious unity among family members. Third, the degree to which married women a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as a plus relationship with such satisfaction,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religious support from the family members.

      • KCI등재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족 지지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지흠,하규수,Lee, Ji Heum,Ha, Kyu So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가족요인을 조절효과로 반영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농촌으로 이주율이 증가하고, 귀농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는 시점에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독립변수로 제시된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과 종속변수인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귀농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37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가족요인 조절효과는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흡인 요인 중 경제적 요인이 높을수록 귀농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귀농준비정도에서는 작목준비가, 귀농지 주거환경에서는 안전성, 귀농지원정책에서는 창농지원이 귀농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경제적 요인, 작목준비, 편리성과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귀농만족을 높이고 도시로의 재 이주율을 줄이기 위해 귀농정책의 적극적인 지원과 귀농지의 안정성 그리고 귀농흡인 요소에서 경제적인 이익이 증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ural migration factors,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festyle conditions and support policies reflected against the family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In this study family factor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actors of rural migratio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migration, living conditions of the farmers and the support policies, whe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satisfaction of migration with an adjusting factor of the family satisfaction which will be further analyse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sidents and 23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re demographic attributes being the controlling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djusting variable of the family. As the economic factor increa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generated to be higher in rural migration. As for the degree of preparation, living condition and support policies resulted, great quantity of green nature, safety and agriculture startup support, respectively, indicated a positive effect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migration. From the results, adjustment effect of the family factors on the economic, natur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migration have appear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policy support, regional stability, and economic gai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to reduce re-migration rate to c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