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쇄미록』에 나타난 오희문의 전란 체험과 가족애

        김소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4

        본고는 전란 속 가족의 일상이라는 관점에 기반하여, 임진왜란 관련 실기인 『쇄미록(瑣尾錄)』에 기록된 오희문(吳希文, 1539~1613)과 그의 가족이 겪는 전란 체험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발현되는 오희문의 가족애를 연구하고자 한다. 오희문과 그의 가족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서로 단절되었다. 가족과 단절된 동안 그의 가족애는 가족의 부재로 인한 슬픔, 가족의 안위에 대한 걱정과 비관적인 예감,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족애는 그가 잠들었을 때 꿈으로도 발현되었다. 가족과 재회한 오희문은 본가로 돌아가지 못한 채 가족과 함께 객지에서 피난 생활을 하게 된다. 피난 생활을 하는 동안 오희문과 그의 가족은 식량난으로 인해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었고, 전염병으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 가장이었던 그는 가족의 생계유지를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질병에 걸린 가족들의 상태를 꼼꼼하게 살피고 이를 기록했다. 가족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오희문의 모습은 가족에 대한 그의 가족애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현대 사회에도 전세계적으로 곳곳에서 내전 및 전쟁이 일어나며, 그 속에서 개인과 가족은 일상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오희문 가족이 겪은 전란 체험과, 그 속에서 오희문이 보여준 가족애는 현대 사회에서 전쟁을 겪고 있을 누군가와 그 가족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전란이 없는 평범한 일상과 가족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다.

      • KCI등재후보

        김종상 동시연구 -가족애, 그 근원적 휴머니즘

        박영기(Park, Young Gi) 한국아동문학학회 200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3

        김종상 시인은 60년대의 시인이라고 평가된다. 그의 60년대 작품에는 아직도 전쟁의 화약 냄새가 곳곳에 배어 있다. 시인은 이러한 비이성적이며, 비상식적인 전쟁이라는 사건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 , 이로 인해 생겨난 상처들을 치료시킬 수 있는 치료제로 ‘휴머니티’라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가족애는 이러한 휴머니티의 뿌리가 된다. 시인은 아빠, 엄마, 가족들의 주는 사랑 안에서 당당히 봄을 맞아 꽃을 피우는 ‘아기꽃’을 보면서 본원적 생명력을 낙관하고 있다. 가족애로 시작된 ‘인정’의 회복은 전쟁으로 고향을 잃거나 가난과 외로움에 떠는 이들에게 확산된다. 그리고는 ‘휴전선’과 ‘굶주림’이 없는 역사의 그날을 염원하기에 이른다. 시인에게 역사를 긍정하는 정신은 또 하나의 휴머니즘을 이룬다. 시인의 낙관적 역사관은 현재의 ‘삶’이 달음질치는 역사의 ‘작은 징검다리’임을 역설한다. Kim, Jong-sang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poets in the 1960s. His works in the 1960s still reek of gunpowder and war. He tries to get out of the influences of this unreasonable and absurd event like a war, suggesting an alternative idea of humanity as a cure to treat the wounds thereby. His love for the family becomes the root of such humanity to him. The poet is optimistic about the original power of life, looking at Baby flowers which proudly blooms in spring after being loved from father, mother, and siblings.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hat was begun by the love for the family, spreads around to the people who lost their hometowns and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poverty and loneliness due to the war. And he comes to long for that historical day when Demilitarized Zone and hunger will disappear. The poets positive attitudes toward history form another humanism. His optimistic view of history stresses the fact that the present life is like little stepping stones across a stream for the running history.

      • KCI등재

        황윤석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양상 -「월주가」를 중심으로-

        이상봉 ( Sang Bong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본고는 이齋 黃胤錫(1729∼1791) 한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의 한 단계로 이재가 가족애를 한시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월주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재는 벼슬을 위해 생애의 많은 시간을 고향을 떠나 지냈기에 스스로를 나그네로 상정한 경우가 많았고 자신을 노래한 「월주가」 1장에서도 그런 모습을 보였다. 2장에서는 비록 벼슬을 하지는 못했지만 선비로서의 자세를 유지했던 아버지를 추모하고 고향에 머물며 효도하지 못한 아쉬움을 노래했다. 이재에게 아버지는 스승과 같은 존재여서 이재가 관직생활 중에 어떤 문제에 직면할 때면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3장에서는 몸이 상하는 것도 잊고 가문의 일을 돌보셨던 어머니를 노래했다. 어머니는 벼슬을 위해 고향을 떠나있는 이재의 마음을 편히 해주려고 늘 노력하셨고 이런 어머니를 이재는 늘 그리워했다. 4장에서는 동생 황주석을 노래했다. 황주석은 두 살 아래의 동생이었지만 이재에게는 知己와 같은 존재여서 항상 좋은 조력자가 되어주었다. 5장과 6장에서는 가난한 삶을 살았던 두 명의 누이를 노래했다. 일곱 살 연상인 누나와 다섯 살 아래인 여동생은 늘 그립고 마음이 쓰이는 존재였다. 7장은 헌신적으로 자신을 도와준 아내를 노래했다. 이재는 평생 자신을 위해 노력만 하다가 세상을 떠난 아내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때문에 숙배하기 전날 꿈속에서 죽은 아내를 만나기도 했다. 8장과 9장은 자녀들을 노래했다. 일찍 세상을 떠나 애끊게 만든 자식도 있었지만 살아남아 장성한 2남 2녀의 자녀는 이재에게 삶의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남겨진 일기와 시 내용만 보면 이재는 거의 완벽한 부모 아래에서 교육받았고 聖人에 가까운 아내와 동생의 도움으로 삶을 영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과연 그랬을까? 이재의 시 속에서 가족에 대한 감사와 사랑의 내용이 주를 이루는 이유는 이재가 평소에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들과의 사이에서 서로의 고마운 점은 부각해서 보고, 서로의 단점은 가볍게 보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찍 떠나보낸 자녀에 있어서도 그 비통한 마음이야 이루 말 할 수 없겠지만, 살아남은 나머지 자녀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그 슬픔을 극복하며 삶을 영위해 갔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가족에게 감사하는 긍정적이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객지생활의 어려움 속에서도 길을 잃지 않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또한 한 국가의 관료로서의 삶을 건전하게 개척해 나아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at the shape of the family affection in the Chinese poetry of Hwang, yun-seok(1729∼1791). And it based on the 「Wuoljuga」. This is one stage of the process of overall analysis of his poetry. Hwang, yun-seok was living away from home a lot of time for the government post. So it was often assumed himself to travelers. And it was so in Chapter 1 of 「Wuoljuga」. In Chapter 2, in memory of his father, he sang the chagrin that could not be filial piety. His father was not a public official. However, his personality was great. His father was the same as the teacher. So he asked his father to solve the problem in public life. In Chapter 3, he sang a mother who has endeavored the household matters. She did a lot of housework, so it damaged her body. She was always striving to ease his mind. Because he has left the home for a government service. So he always missed his mother. In Chapter 4, he sang the brother, Hwang, joo-seok. He was two years younger than Hwang, yun-seok. However, he was a friend. So he always helped Hwang, yun-seok. In Chapter 5 and Chapter 6, he sang two sisters. His elder sister was five years older than him and His younger sister was five years younger than him. He always missed and loved his sisters. In Chapter 7, he sang his wife. She was devoted to help him for all her``s life long. So he was grateful to his wife. He met his wife who was passed away several years ago in a dream before the appointment. In Chapter 8 and Chapter 9 he sang his children. Some of his children were died young. So he was very sad. But the others grew up normally so they became the motive power of his life. According to Yijaenango and poetry, He was educated by perfect parent and saintly wife and wonderful brother helped him. But was that true? There were only gratitude and love to the family by the materials. That’s because, I think, he always wanted to find it in his``s heart to thanked to his family and did not wanted to look for the bad from his home and family. He lost one son and two daughters but he overcome the sorrow of loss and lead his life. I guess that he could overcome the sorrow of loss with an affection and attention to living children. Thus, he had a positive attitude and always thanks to his family. So, I guess, he could raise his family and could have been in public office for 20 years in spite of living away from home for a long time.

      • KCI등재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여성상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김성옥(Jin Cheng-yu)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9

        본 논문은 최서해 소설에서 부차적 인물 또는 전통적 여성상이라는 유형적 인물로 평가되어 기존연구들에서 주목받지 못한 여성상의 변모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서해 소설의 여성상은 가난의 주제학을 매개로 사회 제도 자체를 문제 삼는 서사 논리를 심층적으로 작동시키고, ‘도덕 의식’에 기반한 가족애 또는 확대된 가족애가 서사적 추동력으로 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주목되는 것은 그 ‘도덕의식’은 생명의 가치와 그 실현을 우위에 두는 것으로,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윤리도덕에 대한 탐구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기 작품에서 식민지하 하층민의 아내와 어머니는 전통적 여성이자 중층적 약자로서, 하층민 가장이 절망적인 궁핍 속에서 전통적인 윤리관의 파탄을 경험하고 사회에 대한 자발적인 반항을 하게 하는 데 일조한다. 중기 작품에서는 식민지 체제의 희생자인 하층민의 아내와 어머니가 나오는 한편, 어머니의 봉건사상으로 하여 갈등을 겪는 민족 운동가 또는 프로 인텔리겐치아, 아내의 애정과 배려에 정신적 힘을 얻는 가난한 지식인, 하층민 기족의 불행에 동정을 보내는 소시민 등을 등장시켜 도덕성에 대한 시각을 확장하면서 새로운 윤리도덕에 대한 다양한 탐구를 하게 한다. 후기 작품에서는 동반자형으로의 뚜렷한 변모를 보인 아내의 매개적 역할로 부르 심파다이저인 남편이 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더욱 동정하고 그 실천적 의지를 다지게 되며, 지식인의 아내와 어머니는 주인공에게 가난 속에서 ‘상호 의존’ 관계와 ‘배려 행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나중에 장편소설 《호외시대》에서는 이상적인 신여성을 내세워 악화되어 가는 민족 현실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 프로 심파다이저가 주축이 되고 부르 심파다이저가 조력하는 ‘상호의존의 동지애’를 구축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로써 최서해 소설의 여성상은 풍부한 정감 기호로 소설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는 인물들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aper, which aims at the female image neglected because they are appraised as minor characters or traditional women in the previous research on Choi Su-hae's novel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hange and meanings of the female images of Choi Su-hae's novels. The female images of Choi Su-hae's novels play the important roles in starting the narrating logic presenting doubts over the social system in the deep layer with the theme of poverty as the media and taking the family love or expanded family love based on the "awareness of ethics" as the driving force of narration. What especially strikes the people's eyes is that its "awareness of ethics" gives priority to the life value and its realization, with the directivity of exploring the new ethics and morals for getting rid of the black reality. The women occurringin his works at the early time were the wives and mothers of the lower-class poor people in the colony, who were both the traditional women and weak persons. They helped the parents who experienced the traditional ethics in the desperate poverty and consciously resisting the society. In his works at the middle stage also occurred the wives and mothers of the lower-class poor people as the sacrifices in the colonial system, and the national independent activists and proletarian intellectuals entangled with the mothersdue to their feudal thoughts, poor intellectuals moved and getting the spiritual power by the love and care of their wives and urban petty bourgeoisexpressing sympathy for the misfortuneof the lower-class poor families, etc., by whom the perspective of ethics is expanded and the diversified new ethics and morals are explored. In his works at the late stage were described the images of the wives who dare to contend with their husbands and promoted the husbands as the petty bourgeois intellectuals, the sympathizers of the lower-class people to express their deeper sympathy for the weak in the society and strengthened their will of practice. The wives and mothers of the intellectuals made the heroes experience the importance of the "mutual dependence" relations and "caring behavior" in the poor life. Finally, in the Special Times, a saga novel, Choi Su-hae described an ideal new female image, built the "sympathizers" of the tow different strata, that is, the "mutual dependence comrade love" relations dominated by the proletarian intellectuals and supported by the petty bourgeois intellectuals and disclosed the corresponding modes of the increasingly deteriorated national re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female images of Cboi Su-hae's novels are the characters of the novels with various implications entitled by the rich emotional symbols.

      • KCI등재

        윤양래 시조에 나타난 유배 체험과 가족애

        송재연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2 No.-

        이 논문은 함경도 갑산에서 위리안치(圍籬安置)의 유배 생활을 했던 윤양래(尹陽來, 1673 〜1751)의 시조 19수를 검토하여 그의 시조에 형상화된 정서적 특징과 작가의식을 고찰하고, 그것이 가지는 문학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특히 유배지 갑산의 지역적 특성, 시조와 한시와의 내용적 연관성을 고려하여 시조 작품의 독해와 분석을 정확하게 함으로써유배문학에서 그의 시조가 가지는 변별적 가치를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논의의 결과 윤양래의 시조에는 유배지 갑산의 인문과 지리에 대한 타자적(他者的) 인식과 유배 생활이 형상화되었고, 유배지에서 느끼는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표출되어 있었다. 즉, 갑산의 지형적 특성과 기후, 왕화(王化)가 미치지 못하는 원악지적 성격,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형상, 갑산 사람들의 일상에 대한 적객(謫客)의 심회를 표출하였고, 또 멀리 떨어져 있는 형과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한편, 그의 시조에는 임금을 향해 자신의 결백을 호소한다거나 해배(解配)와 정계 복귀를 위한 연군지정을 표출하는 양상은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조선조 유배문학 작가들이 시조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문학적 지향과 차이가 드러나는 지점이다. 결국 윤양래의 시조는 유배지였던 갑산의 인문․지리적 특성과 생활문제를 포착하여 갑산의 진면(眞面)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고, 또 유배 체험이 일으킨 내면의 정감을 진정(眞情)으로 표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시는 인간 내면의 진실한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윤양래 시조의 문학적 의의는 더욱 분명해 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emotional features and writer consciousness with analyzing Sijo(시조) written by Yoon yang-rae(윤양래) who enclosed in a thorn hedge in Gapsan(갑산) area, and furthermore to find his Sijo(시조)’s literary significance. Especially, this paper is focused on revealing the distinctive value of his Sijo(시조) by reading and analysis of Sijo(시조) correctly with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apsan(갑산) and relations with Sijo(시조) and Chinese poetry. In conclusion, recognition as a the other existence about human geography of a place of exile, Gapsan(갑산) and life of exile was embodied in Yoon yang-rae(윤양래)’s Sijo(시조). Furthermore, longing for home and family was expressed strongly in his Sijo(시조). On the other hand, the aspect that will plead his innocence or express yearning for his king of lord to be out of exile did not show up. This means that literary inclinations of Yoon yang-rae(윤양래) and general writers of exile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is not the same. Sijo(시조) written by Yoon yang-rae(윤양래) have a significance in embodying realistically true character of Gapsan(갑산) through catching anthropogeographical features of Gapsan(갑산) and problem in life of exile, and expressing earnestly of the soul of human beings which caused through exile experience.

      • 임진왜란중 이순신일가의 動態와 이순신의 孝義

        신윤호(Shin, Yoon 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8

        이순신 일가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593년 5월 18일~6월 1일 사이에 순천도호부 관내의 여수 고음천에 들어와 거처를 정하고 1597년 4 월 일가가 고향 아산으로 돌아오기까지 약 5년간의 피란생활을 하였 다. 이순신 일가가 순천도호부 관내의 여수 고음천에서 피란생활을 하게 된 것은 전쟁이 장기적으로 접어드는 시점에 이르자 이순신은 그의 모친이 팔순에 가까워 임종이 머지않았음을 염려하여 어머니를 안전한 곳으로 거주케 하고자 하였다. 이순신 일가의 구성원인 우신(여필) ․ 子姪 ․ 從姪 ․ 노비들에 이르기 까지 끊임없이 전란극복을 위한 활동을 펼쳤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어머니에 대한 근심과 가족들에 대한 걱정으로 고민하는 모습을 살펴보 았고 특히, 혈육이 아닌 노비들에게까지 배려하는 세심함을 보였다. 이순신은 전쟁을 지휘하는 수장으로써 뛰어난 통솔력을 발휘하였으며 그로 인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일가의 가장으로써 겪어야 했던 심적 고통도 극복해야만 했다. 임란중 모친 초계변씨가 죽고 아들 면까지 잃어버려 비통해 하는 이순신의 모습은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다만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냈기 때문에 빛나는 戰功을 세울 수 있었다고 여긴다. When Japan s Invasion of Korea had occurred, Lee Soonshin s family has set their place to stay in Goumcheon, Yeosu under Sooncheon local government office during 18th May ~ 1st June 1593 and went through 5 years of refugee life until they have returned to their home in April 1597. The reason why Lee Soonshin s family undertook refugee life was because the war was had reached the point of becoming a long term war and Lee Soonshin had worried that his mother was going to die soon being nearly 80 years old and that wanted to let his mother live in a safe place. Members of the Lee Soonshin s family, Wooshin (Yeopil) ․ sons and nephews(子姪) ․ male cousin’s sons(從姪) ․ and even servants had continuously carried out activities to overcome the war. In such situation Lee Soonshin worried concerned about his mother and his family and especially he showed greatest care considering his servants who were not his family. Lee Soonshin displayed excellent leadership as a general of the sea commanding the war and through such leadership Chosun was able to overcome its national crisis. However on the other side he had to overcome the mental pain as a head of a family. The sorrow he had shown when his mother Cho Gyebyun died and he lost his son Myun during the war is not different from the features of us nowadays. I think that he was able to establish an excellent achievement in the war was only because he won the battle with himself.

      • KCI등재

        문학 :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한 양상 -부녀 관계를 중심으로-

        박동욱 ( Dong Wuk Bak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1

        남아선호사상은 딸의 존재는 아들을 낳은 후에는 잉여(剩餘)의 의미로, 아들을 낳기 전에는 결핍(缺乏)된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 때문에 부녀 관계는 아들을 대체할 수 없는 딸과 최소한의 책임감을 지닌 아버지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아버지가 딸에 대해 보이는 정은 지금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드러나지 않는 속정은 곰살맞기까지 하다. 여자 아이의 출생에서는 아쉬운 감정을 숨기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낙담하거나 실망하는 모습 또한 찾아볼 수 없다. 딸에 대한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딸을 기르면서 느꼈을 감정은 요즘 아버지의 정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딸을 시집보내는 아버지의 마음은 대견함과 상실감이 교차된다. 더군다나 지금처럼 왕래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헤어짐의 아쉬움은 더욱 절절하다. 딸아이의 출산을 통해 순산(順産)에 대한 안도와 대견함을 드러낸 내용도 인상적이다. 시집간 딸아이를 공식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근친(覲親)을 통해서이다. 딸의 방문을 기다리는 아버지의 애타는 마음이 진진하다. 만남의 기쁨에 마음을 놓기도 전에 다시 이별을 준비해야 하는 아버지는 서운하기만 하다. 자식의 죽음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극한의 아픔이다. 자식을 앞세운 아버지의 심정은 어떠한 시보다 애달프다. 뿐만 아니라 사위의 죽음을 겪은 딸아이의 불행에 대해서도 함께 상심(傷心)하고 있다. 한시에 나타난 아버지와 딸의 모습을 통해 부성애도 모성애에 못지않은 깊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딸에 대해서 아버지만이 가질 수 있는 가슴 시린 감정은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Preference for male offspring made the existence of a daughter mean the surplus after having a son and the lack before having a son. Thus, in the father-daughter relationship, a daughter can`t replace a son and a fatehr has the minimum responsibility on her. However, unlike general expectations, the affection of a father toward a daughter is the same even in the past as in these days and the internal affection which is not exposed is even generous and broad. While a father doesn`t hide his sad feeling when a daughter is born, he is never disappointed nor downhearted. The poem expressed mainly a father`s affection and appreciation on a daughter and a father`s sentiment while raising up a daughter in the past stands comparison with that in these days. A father is proud of his daughter as well as feels sense of loss as giving his daughter away in marriage. Moreover, his lament from sending his daughter away was more earnes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visit each other at that time. It is also impressive that a father exposes his proud and feeling of relief on his daughter`s easy delivery. It was the bride`s first visit to her family after marriage when a father could officially see his daughter. A father`s anxiety as waiting for his daughter`s first visit after marriage is overflowing in poems. A father is sad because he has to be ready for sending his daughter away again even after he is delighted by his daughter`s visit for a short moment. A death of a child is the most painful experience for a human being. The poem about the father whose child is dead is more heartbreaking than any other poems. Furthermore, a father is so heartbroken about the misfortune of a daughter after her husband is dead. The expression on father and daughter in Chinese poems indicated that a father`s instinctive love was as deep as a mother`s instinctive love. The heartbreaking feeling which only a father can have to his daughter is the same in the past as in these days.

      • 백하 김대락의 한시에 구현된 가족애와 그 의미

        전설련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2

        In this book, we looked at the family love embodied in the poem of Baekha Kim Dae-rak and its meaning. The family was a special being for Baekha, who went into exile with the exploitation of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family is also closely related to his hometown, which can be seen by the fact that the longing for his family left behind in his hometown is sublimated into a sense of musk. These were largely divided into 孝 and 友, which were about the ancestors, including their deceased parents and their uncle in their hometown. And fraternity was a longing for the brothers. He had three younger brothers and three younger sisters, and only one younger brother was alive when he left for exile. And I always expressed my gratitude and sorry for leaving my parents' birth. Baekha was also leading the way and always felt guilty about his children on their way to exile. This can be summed up as paternal love for children, and the part about family members in his poem is characterized by what he wants to express in everyday language rather than difficult exams. In the case of Baekha, he said that the family should be recognized as a community and that the community should strive for the public good. In this respect, it can be thought that his family, namely his son, grandson and sister, all worked hard for independence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at the time. This is not only meaningful at that time, but also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oday's era of nuclear familyization. Baekha's perception that women should learn is also very progressive in terms of gender equality. In this regard, the family that Baekha pursued and expressed as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untry.

      • KCI등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 『나목』, 『목마른 계절』, 『그 남자네 집』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6

        이 글은 박완서 소설 중에서 ‘사랑’ 또는 ‘첫 사랑’의 양상을 보여주는 서사를 대상으로 하여 작가의 애정관 및 여성주체의 자의식을 탐구하고 있다. 전쟁의 시기를 통과한 젊은 여성의 사랑과 노년이 되어 회상하는 전쟁 기간의 첫사랑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본 것이다. 『나목』에 그려진 사랑은 ‘환상으로서의 사랑’이다. 이는 가족애를 열망하는 여성과 예술혼을 불태우는 화가가 힘든 시기를 이겨낼 수 있었던 에너지가 된다. 그리고 전쟁의 한복판에서 이루어지는 사랑을 담고 있는 『목마른 계절』은 ‘감각으로서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20대 여성의 마음을 강렬하게 사로잡는 사랑은 이데올로기와 대립된 정념으로서 육체적 감각을 일깨우고 있는 사랑이다. 그러나 열정적인 모습의 외피를 지닌 이 사랑은 ‘이데올로기’, ‘생활’과 대립할 때 그 힘을 잃고 만다. 노년에 이르러 발표한 『그 남자네 집』에 나타난 첫사랑은 ‘일탈로서의 사랑’으로서 권태로운 일상생활에서 탈주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작품은 박완서가 주목하는 일상성, 일상의 행복을 선택하기 위해 사랑을 배제하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노년에 이르러 회상하는 그 첫 사랑은 화자의 관용적 삶의 태도를 드러낸다.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전쟁기의 사랑에는 사랑의 아픔, 사랑의 고뇌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는 ‘생활’보다 사랑이 먼저일 수 없다는 생존의 무게 때문일 것이다. 전쟁을 통과해야 하는 여성주체는 ‘생활’을 우선시하고, 이데올로기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또한 그의 ‘사랑 서사’에서 중요한 점은 삼각구도를 활용하고 있으되, 그 갈등의 강도는 미약하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사랑 서사’의 형상화는 음식과 의복을 통해 섬세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일상적 생활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는 박완서 소설의 특성이 ‘첫 사랑’ 또는 사랑의 서사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 시에 나타난 대상애(對象愛) 고찰 — 구상솟대문학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맹문재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3

        이 논문에서는 구상솟대문학상을 수상한 작품들을 텍스트로 삼고 장애인시에 나타난 대상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를 겪고 있는 시인들은 자신을 위해 헌신하는 어머니, 아버지, 아내에 대한 고마움과 아울러 형제, 자식에 대한 사랑을 전하는 가족애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주거 문제, 골목 상권 문제 등을 통해 공동체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애와, 전쟁에 반대하고 인류의 평화를 지향하는 인류애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장애인 시의 대상애는 신체 장애나 정신 장애로 인한 고통과장애로 말미암은 사회의 편견을 극복한 자기애(自己愛)가 확대되고 심화된것으로 볼 수 있다. 신체적・정신적 아픔으로 인한 절망감이나 좌절감에 함몰되어 자기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을 원망하거나 증오하지 않고 오히려 포옹하는 성숙한 세계인식을 내보인 것이다. 장애인 시인들이 시작품을 통해 자기 자신과 함께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장애인 시인들이 시작품에서 호명하는 가족이나인연의 상대는 객관적인 기호가 아니라 그들이 기꺼이 사랑하는 이름들이다. 그러므로 장애인 시의 대상애는 장애인과 함께하는 다른 장애인들은 물론 비장애인들에 대한 진심어린 사랑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비장애인이 주류인 우리 사회에서 장애인은 함께하기 어려운 존재로 여겨지고 차별받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일상생활 및 사회 참여를 제약하는폐쇄적인 문화를 극복해야 하는데, 장애인 시의 대상애가 그와 같은 방향을제시해주고 있다. 자기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며 장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를 인식하며 제역할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used works that winning work of KoosangSotdae Literature Award as text and looked at the object-love that appeared in disabled poetry. As a result, I could see the gratitude and the love of the mother, father and wife who devoted themselves to her suffering disability, and the love of the family who loved their brothers and children. Based on his experience, he could also see social love singing community values and humanity’s pursuit of peace against war. This type of object-love in disabled poetry can be seen as a widening and deepening of self-love that overcame social prejudice, which is caused by suffering and disability caused by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It is an expression of a mature world perception of embracing not only one’s own self but also others, immersed in despair or frustration caused by physical and mental pain. It is very meaningful for disabled poets to love others with themselves through their product. The relative of family or association that disabled poets call out in their opening product are not objective symbols but the names they are willing to love. Thus, the object love of disabled poetry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sincere love for the other disabled, as well as the non-disabled. In a society where the non-disabled are the mainstream, the disabled are considered difficult to get along with and are discriminated again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a closed culture that restricts the daily liv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with the object-love of disabled poetry showing such a tendency. He actively embraces himself and others, establishing his identity as a disabled person, recognizing his rights as a member of society and playing his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