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가족가치관의 변화 및 영향 요인

        김혜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 여성연구 Vol.108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전반적으로 어떠한지,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이러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제7차 조사와 2008년 제2차 조사를 활용하여 10년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가족가치관은 결혼가치관, 자녀 가치관, 부부생활 가치관, 가족 내 성역할의 4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의가족가치관은 전반적으로 비전통적인 방향으로, 보다 개방적이고 성평등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령, 혼인상태, 학력이 작용하고 있으며전반적으로 20대 이하, 미혼, 전문대 및 대학 이상 학력자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비전통적이며 보다성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부생활 가치관에서는 60대 이상, 기혼, 중학교 이하 학력자의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아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더불어 2008년과 2018년의 변화를 통해, 가족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20대 이하, 미혼, 전문대 및 대학 이상 학력자에서 강화되는 현상을 발견하게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우리사회 지속적인 경제적 상황의 악화와 젠더 갈등으로 인한 것인지, 부산만의 문제인지는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면밀히 탐색할 필요가 있다. 향후 가족가치관의 변화에따라 가족의 다양성 및 가족 내 성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장하고 부산지역 가족 정책 및 제도를 어떻게 연결하고 모색할 것인지에 폭넓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청년세대의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가족가치관 유형의 효과를 중심으로

        임재연(Yim, Jaeyun)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4

        이 글은 한국 청년들의 자녀 출산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그들의 가족가치관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가족가치관을 결혼, 출산, 성 역할 규범 등 가족제도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태도로 정의하고, 청년들의 가족가치관 유형의 분화 및 그것이 그들의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의 18~39세 청년 표본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LCA)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청년들의 가족가치관은 (1) 평등주의(60%) (2) 가족주의(30%) (3) 가부장주의(10%)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었다. 즉 오늘날 한국 청년들의 절반 이상은 개인주의·자유주의적 평등을 지향하는 가족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약 1/3에 해당하는 청년들이 현행 제도상 가족을 옹호하는 태도를 보인다. 각 가족가치관 유형에 속할 가능성에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청년들의 가족가치관과 그들의 미래 자녀 출산 의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가족주의 또는 가부장주의적 가족가치관은 부정적 출산 의향보다 유보적, 긍정적 출산 의향의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높였다. 반대로 평등주의적 가족가치관은 부정적 출산 의향을 상대적으로 높였다. 즉 한국사회에서는 평등주의적 가족가치관이 청년들의 낮은 출산 의향과 관련이 있음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평등주의적 가족가치관을 보유하는 청년들이 출산을 희망하기 어렵도록 하는 사회구조적 제약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social determinants of Korean young adults’ fertility intentions, with a focus on family values. Using the sample (N=311) of Korean young adults aged 18-39 from the 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subtypes of family values among Korean young generation using LCA and explores their effects on fertility intentions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distinct subtypes of family values were revealed among Korean young adults: Egalitarian (60%), Familist (30%), and Patriarchal (10%). A little less than two-thirds of the whole Korean young adults hold individualistic and liberal values toward the family, and approximately one-third are in favor of the current family system. Second, various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sex,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were found to influence the likelihood of falling into each subtype of family values. Males and older people were more likely to support Familist or Patriarchal family values, whereas people with tertiary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support Egalitarian family values. Third, family values were associated with the fertility intentions of Korean young adults. Egalitarians had a relatively lower intention to have children compared to the supporters of the other two subtyp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ontexts in South Korea may be restricting young egalitarians’ fertility planning.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Z세대 10대 청소년 가족가치관 유형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김유나,이민영 한국가족학회 2023 가족과 문화 Vol.35 No.4

        The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nging family values among Generation Z teenagers and aimed to predict future changes in social families by analyzing these values. To this end, the family values of teenagers in Generation Z were categorized, focusing on perspective of marriage, child, and family support, and family rituals, various family accept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mily value type were analyzed. The study used data from 5,73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nd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its analytical methods. The key findings were that the family values of Generation Z teenag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family-centered group” and “individualistic group.” The family-centered group comprised 39.2% of the participants, while the individualistic group made up 60.8%. Several factors including gender, the importance of family, social fairness, and social gender equality predicted the type of family values in Generation Z. These findings informed family policies to adapt them to the evolving needs and preferences of younger generations, and contributed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dynamics of family and society. 본 연구는 우리 사회 가족의 변화와 함께 가족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기성세대와 구별되는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족가치관을 이해함으로써 미래 사회 가족의 변화 양상을 예측하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가치관을 구성하는 결혼관, 자녀관, 부양관, 가족의례, 다양한 가족 수용성을 중심으로 Z세대 10대 청소년들의 가족가치관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같은 유형을 구분짓는 영향요인들을 탐색해봄으로써 가족가치관의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치관 변화 연구」에서 전국 중고등학생을대상으로 층화다단계집락표집을 통해 구축한 5,73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족가치관은 ‘가족중심주의 집단’과 ‘개인주의 집단’ 2개 집단으로 유형화 되었고, 가족중심주의 집단은 39.2%, 개인주의 집단은 60.8%로 개인주의 집단이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가치관 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성별, 가족중요도 인식, 사회 공정성에 대한 인식, 사회 성평등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Z세대 10대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유형과 특성 이해에기반하여 미래 사회 가족의 변화를 예측함과 동시에 가족정책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했다는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

        정기현(Gee Hyun Ch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0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9 No.4

        가족주의적 가치관을 사회통합의 핵심 중의 핵심으로 올려놓았던 전통이 현대사회에서 아직 영향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에서의 가족변동은 사회전반의 변동으로 직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1970년부터 2006년까지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가정용품, 가정용 전기전자, 식품류의 광고물 중에서 가족가치관을 나타내는 광고 488편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이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광고에 나타난 가족 모습의 변화는 가족가치관의 변화와 가족구성원의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회가 변화하면 가족 역시 변화한다. 급변하는 한국사회 속에서 가족은 그 기능은 물론 유형이나 출산자녀수, 생활주기 등과 같은 가족구조, 가족관계 역시 변화되었다. 가장이 가지던 가족구성 원에 대한 권위와 통제력이 약해졌고, 부자관계보다 부부관계가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수직상하적인 가족관계 대신에 평등과 사랑을 강조하는 수평적인 가족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가족가치관과 가족구성원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는 아내와 남편, 어머니와 아버지의 관계는 여성에 대한 정책의 변화,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 그에 따른 사회진출의 증가와 함께 더 이상 전통적인 모습이 아니라 현대적인 모습으로, 수직적인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관계로 묘사되고 있다. 광고는 많은 문화적 코드를 함유하고 있는 사회적 제도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광고학 분야에서 사회생활의 기초단계인 가족과 관련된 광고에 나타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광고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지 못했던 광고에 나타난 가족가치관의 변화추이를 텔레비전 광고가 시작된 시점부터 오늘날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밝혀보고자 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how the Korean family value system in television advertising has been changed from 1970 to 2006, in 488 television advertisements which reflect the family value system and family members especially in family products, home appliances and food products advertisements. If the society is changed, the family is also changed. Because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ed, the family is changed in terms of the function, type, number of children, life cycle, family structure and also family relationships. The authority of the husband is weakened, wife and husband relationship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nd the horizontal family relationship emphasizing love and equality rather than the vertical family relationship is brought to the 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try to appreciate the change of family value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television advertising, which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advertising field.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 고찰

        김하강,강희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Hagang Kim & Heesu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Korean families. Before the screening of the movie, a family valu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participants, and after the screening of the movie, they were asked to work on a personal activity sheet with structured questions, and a total of 218 cop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view on marriage was the highest among factors related to family values, followed by parental support, children’s view, familyism, and gender role attitude. The higher the gender role attitude, the more important parenting consciousness, family-centered thinking, and the view of children were, and at the same time, the view of marriage was lowered. As a result of the film activity paper, the most impressive aspect of the daughter’s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with her mother in the plot of the film was the fact that many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at they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ir parents’ thoughts as a whole through the film. Therefore, I think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 film therapy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establish correct family values ​​by using movies Key Words: Female College Student, Family Values, Gender Role Attitude, View on Marriage, Movie 영화를 활용한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 고찰김 하 강**ㆍ강 희 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가족정서를 담은 영화를 활용하여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고찰하고 긍정적 가족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는 영화치료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S시 소재 여대생 218명을 대상으로 영화 상영 전 가족가치관 설문조사와 영화 상영 후 구조화된 질문으로 개인 활동지 작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영화 상영 전 설문을 통해 가족가치관 관련 요인인 성역할태도, 부모부양의식, 자녀관, 가족주의, 결혼관의 정도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영화 상영 후 개인 활동지 작업을 하게 하여 가족 가치관을 파악하였다. 결론 및 제언: 가족가치관 관련 요인에서 결혼관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모부양의식, 자녀관, 가족주의, 성역할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평등의식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양, 가족의 중요성, 부모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결혼을 필수라는 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활동지 결과, 엄마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딸의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었고, 자식이 보는 부모님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며 전체를 이해하고 싶다는 답변 등이 표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하여 여대생들의 긍정적 가족 가치관 정립을 위한 영화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성별을 고려한 연구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여대생, 가족가치관, 성역할태도, 결혼관, 영화 □ 접수일: 2022년 10월 5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목포가톡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주저자,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First Author, Mokpo Catholic Univ., Email: khg9090@mcu.ac.kr)*** 교신저자,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chon National Univ., Email: kanghs@scnu.ac.kr)

      • KCI등재

        한국 사회 가족가치관의 지형: 기성세대와 청년세대별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

        김정진,최유정,최샛별 한국문화사회학회 2024 문화와 사회 Vol.32 No.1

        본 연구는 기성세대와 청년세대를 가족가치관에 따라 유형화함으로써 현시점에서의 전반적인 가족가치관 체계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는 굉장히 빠른 근대화 과정을 경험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수반되는 개인화(individualization) 역시 압축적으로 진행되었다. 개인화는 각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속도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한국인의 가치관 조사>에서의 가족가치관 문항에 대해 군집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가족가치관 유형은 상당 부분 공통점을 갖지만 전반적으로 청년세대의 가족가치관이 보다 더 탈전통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몇몇 영역에서는 기성세대와 큰 차이가 없어, 청년세대라 할지라도 완전하게 가족주의적인 면모에서 벗어났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기성세대와 청년세대 모두 남성일 때, 그리고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 때 다른 유형에 비교하여 전통적인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청년세대의 경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종교와 혼인 상태의 영향력이 기성세대의 경우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 그리고 개인의 객관적 계층 대신 자신이 어떠한 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가족가치관이 양극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지금껏 가족가치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의미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주관적 계층의식이 가족가치관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general systems of family values by categorizing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each based on family value questions, and then look into 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on each categories causally. Korean society had been experienced unprecedented speed of modernization so far, and individualization, which is accompanied by it, also has been proceeded compressively. It requires to be analyzied comprehensively since individualization can be accomplished in different pace reflecting on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is, using questions in <Survey of Koreans’ values 2022>, the study examines types of family values of older/younger generations employ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It suggests although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have similiarities among their family value categories, younger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have relatively less traditional family value systems than the other. However, since some values show less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t’s difficult to assure younger generations are completely distant from conventional familism. After, the study searches what demographic variables affect causally on belonging to each groups. Each generation is highly affected by one’s sex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Both induce belonging to the most traditional groups than others when individuals are male and identify themselves with upper class. Additionally, having religion and not have been married relatively have larger impact on them than in older generations, in context that the family value categories youngers are less relatively determined by variables than olders. This suggests gender and subejective class status can be functioned as the basis of polarization among people’s family values, and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class status on people’s value system, which hasn’t been focused deeply previously.

      • KCI등재

        가족 기능, 가족 내 성역할 가치관 및 성평등 정도에 대한 인식

        김은정 한국가족학회 2024 가족과 문화 Vol.36 No.2

        이 연구는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8000명에 대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족 기능과 가족내 성역할 가치관 및 성평등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연구결과 사람들이 인식하는 가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통한 정서적 안정’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출산을 통한 재생산 기능’을 가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젊은 세대일수록, 미혼인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내 전통적 성 역할 가치관과 성평등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 우리 사회는 더 이상전통적 성 역할 가치관을 보편적 가치관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정 내 성평등 정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어 가치관 수준과 성평등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현대적 성역할 가치관에 대한 동의 수준은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성평등 정도는 경제적 부양책임 항목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남성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사와 육아의 성평등 정도에 대해서 여성은 남성만큼 평등하다고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 특성별로 봤을 때, 기혼, 유자녀, 여성의 경우 현대적 성역할가치관을 가지고 있음에도 실제 가족 내 성평등에 동의 수준이 낮아 가족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궁극적으로 여성과 남성에게 경제활동에 대한 동등한 책임과 권리와 함께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돌봄 및 가사노동에 대한 동등한 책임과 권리를 수행할 수 있는 사회적ㆍ제도적 환경이 요구된다. Using survey data from 8,000 men and women aged 19 and older,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gender role values, and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in the family, focusing on gender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perceive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perceive reproductive function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family decrease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those who are unmarried and those who do not have children. The analysis shows that society no longer accepts traditional gender role values as universal values, but perceives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in the family to be low, indicating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level of gender role values and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Women are more likely to agree with modern gender role values, but men are more likely to agree with gender equality in the home in all areas except financial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women do not perceive gender equality in housework and childcare as equitable as men. By respondent characteristics, those who are married, have children, and are female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family conflict because they disagree with the actual degree of gender equality in their families despite having modern gender role values. Ultimately, what is needed is a soci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enables women and men to fulfill equal responsibilities and rights to economic activity, as well as equal responsibilities and rights to care and domestic work within the home.

      • KCI등재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유계숙(Yoo, Gye-sook),강민지(Kang, Min-ji),윤지은(Yoon, Ji-Eun)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3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에코부머’ 세대인 2001년과 2017년의 20대 미혼 청년들이 보고한 가족개념 및 가치관의 전반적 경향을 비교해보고, 청년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고려하고도 두 시점의 청년세대가 가족구성의 다양성 수용도,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등에서 상이한 가족개념 및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 실증자료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2001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미혼 남녀 청년층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해 동일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01년 182명, 2017년 224명, 총 406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과 2017년 청년집단 모두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을 전적으로 가족으로 수용한 반면, ‘1인 가구’, ‘개인의 조상’, ‘동거하는 친구’, ‘공동체생활 집단’은 가족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또한 두 시기의 청년집단 모두 ‘한부모・재혼・입양・다세대확대가족’을 가족으로 수용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1년보다 2017년 청년층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두 시 기의 청년세대에서 가장 현격한 가족개념의 차이를 보인 형태는 ‘애완견을 키우는 노인’, ‘동거하는 사촌형제’, ‘동성애커플과 자녀’ 등으로, 2017년 청년들은 이러한 관계를 가족으로 수용한 반면, 2001년 청년들은 가족으로 규정하지 않는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가족가치 관에서는 2017년 청년들이 2001년 청년들에 비하여 부모-자녀 간 일체감이나 전통적 성역할 등 가족주의 이념에 매우 거부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획일적인 부계혈연중심 초혼핵가족에 편향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도 상당히 약화된 태도를 보였다. 둘째, 2017년 청년들은 개인의 인구학적 특징을 통제한 후에도 2001년 청년집단에 비하여 다양한 가족 형태에 보다 수용적이었으며,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 및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보다 거부하는 가치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현 세대인 2017년 20대 미혼 청년들은 과거 세대인 2001년 20대 미혼 청년들에 비하여 가족개념과 가치관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between the two cohorts of never-married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in 2001 and 2017. We also investigated the 2001 vs. 2017 cohort effects on the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The two-wave surveys with the same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mongst one hundred and eighty-two young adults in 2001 and two hundred and twenty-four young adults in 2017. The results showed that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young adults from both cohorts accepted the intact nuclear family of biological parents as ‘a family’, while the single household, one’s ancestors, cohabiting friends, and people living together in a communal fashion were viewed as ‘nonfamilies’. The majority of both cohorts showed similar patterns in high rates of accepting single-parent, remarried, adopted, and three-generation families as ‘families’, and these patterns were significantly salient in 2017.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horts were that the majority of young adults in 2017 accepted the single household with pets, adult cousins living together, or lesbian couples with children as ‘families’, while young adults in 2001 viewed them ‘nonfamilies’. Regarding family values, the young adults in 2017 showed more disagreement with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After controlling for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young adults in 2017 had higher levels of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and lower levels of traditional familism and normal family ideology than the young adults in 2001.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of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have become more flexible and liberal over the past sixteen years.

      • KCI등재

        한국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관한 연구

        오지혜(Oh Ji hy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최근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이혼율과 이혼 사유의 다양성은 이혼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을 요구한다. 특히 핵가족 체제아래에서 증가되는 부부관계 중요성과 개인주의 가치관 확산은 가정 내 차원 또한 고려한 이혼 분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제적 요인이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같은 ‘가정 외 요인’과 가족관계 및 가치관과 같은 ‘가정 내 요인’을 개별적으로 다루어온 기존연구는 이혼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며,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가정 내 요인’과 ‘가정 외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총체적인 경험분석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1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해 기혼여성 응답자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기혼여성의 이혼 태도이고, 독립변수는 부부관계, 가족관계, 전통적 가치관, 개인주의 가치관으로 구성 된 가정 내 요인과 경제상태 및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한 가정 외 요인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치관 요인을 고려하게 될 경우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영향을 미쳤던 연령효과와 가구소득의 통계적 유의성은 사라지고, 관계적 요인을 고려하면 남편의 학력효과가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혼여성의 이혼태도는 가정 내 요인으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전통적 가치관 보다는 개인주의 가치관이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더 큰 영향을 끼쳐 한국사회의 이혼은 개인주의 가치관 확산에 의한 것으로 이해됐다. 그러나 이혼에 대한 태도는 여전히 전통적 가치관과 함께 혼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특히 시댁과의 관계가 기혼여성의 이혼태도에 매우 유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한국 특유의 전통적인 가족문화가 여전히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부관계 변수의 효과가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나, 부부생활의 갈등이나 만족이 이혼을 설명하는 중요 변수 임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이혼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특징, 가치관의 변화, 가족 및 부부관계라는 다각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가정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 모두를 고려한 총체적 분석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An increase in divorce rates and the diversity of the reasons for divorce in the Korean society accentuates the emergence of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comprehensive analysis.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of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spread of values of individualism under the family structure of industrial society require a further explanation starting from the household. However, existing researches on phenomenon of divorce have been individually focusing on the external factors and the internal factor. This provides only fragmentary understanding for divorce. In such context,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divorce and put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 analysis of the whole experience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of the household. An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target married women respondents with using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data in 2011. As the dependent variable, attitudes toward divorce of married women were considered an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marital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hip, the value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considering the factors of values, the significance of household income and age effect were eliminated, while the relationship factors, the effect of education of husband were appeared to change. That means that attitude toward divorce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 rather than external factor. In addition, values of individual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ivorce attitude formation of married women rather than traditional values. Therefore, divorce in Korean society can be seen as a result by the diffusion of individualism. However, attitudes toward divorce were appeared when both individualism and traditional values were mixed together, especially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of husband which has a high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divorce of married women. This result confirmed the fact that the family’s traditional culture still exists. Lastly, despite controlling all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impact of marital relationship variables, confirming that satisfaction and conflict of married life are important to explain divorce.

      • KCI등재

        부양가치관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의식을 중심으로

        강현정(Hyun-Jung Kang),김윤정(Yun-Jeo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대학생의 부양 가치관의 문화적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1월부터 20115년 2월까지 한국, 중국, 일본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 대학생 286명, 중국 대학생 250명, 일본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양가치관의 차이는 대학생의 성별, 연령, 가족형태 등 외생변수를 통제한 후 각국의 문화에 따라 분석되었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의 대학생들과의 가족주의 가치관의 차이와 관련하여 \아들 중심적\가치관은 중국, 일본, 한국의 순서대로 높았다. 가통계승 가치관은 한국과 일본보다 중국학생이 높았다. 문화는 가족주의 가치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다. 둘째, 세 나라의 대학생들의 효의식에 대한 차이점에서 중국대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한국대학생과 일본대학생이 뒤를 이었다. 문화는 효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의 가족주이 가치관과 효의식을 비롯한 부양기치관은 성별, 나이, 가족형태와 같은 외생변수의 특성이 아니라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value for supporting parents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by the culture.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from November 2014 to February 2015. Fina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of 286 Koreans, 250 Chinese, and 271 Japanese. The differences of value for supporting parents were analyzed by the culture of each country after controlling exogenous variables such as sex, age, and family 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First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of familism value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son-centric’ value showed higher in the order of China, Japan and Korea; ‘succession of family lineage’ showed higher in Chinese students tha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nd the cultur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value of familism.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on filial piety idea from the students in three countries, Chinese showed the highest, followed by Korean and Japanese, while the cultur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filial piety idea. In conclusion, values for supporting parents including familism value and filial piety idea in the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ed that they varied not by the sociodemographic parameters such as sex, age, and family types of the students but by th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