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임보험에서의 가불금청구권에 관한 고찰

        김성완(Seongwan Kim) 한국법학원 2014 저스티스 Vol.- No.143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상법(제724조 제2항) 및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제10조)에서 피해자가 보험자에게 직접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외에도 교통사고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 또는 손해배상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자로 하여금 가해자가 가입하고 있는 보험회사등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가불금청구권(자배법 제11조)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불금청구권이 피해자 보호를 위한 유익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그 효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설사 가불금제도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가불금청구권과 관련하여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이 없는 경우 보험자의 가불금 지급책임, 자동차보험진료수가와 그 외 보험금등의 지급범위 및 정부보장사업에서의 가불금청구권의 행사여부 등 관련 쟁점으로 인한 다툼이 많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직접청구권에 근거하여 부여된 가불금청구권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먼저 직접청구권에 대하여 살펴보고 가불금청구권의 인정근거, 지급범위, 법적성질 및 직접청구권과의 관계 등을 검토하고 가불금청구와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선방안으로 가불금액의 지급방법을 현행 책임보험금 한도금액 범위에서의 정률제에서 한도금액 구간별 정액제로 변경할 필요성과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이 없는 경우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침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o protect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couldn"t have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inflictor, the direct right of action in liability insurance was established by Commercial Law(Article 724) and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0). Besides,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was established by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1) to tighten up on the victim’s right when liability of compensation or amount of indemnity aren"t exactly decided from car accident immediately. However, the people are not familiar with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in spite of it’s usefulness as a key element of compensation system, so this is ineffective to the victim of traffic accident. Even if the people knew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they couldn"t exert this right because of several disputes such as payment obligation of insurers who don"t have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traffic accident, range of payment about medical expenses and other indemnities, possibility of exerting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in case of the gover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so on.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through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understand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and then this paper centrically examined background, basis of acknowledge, range of payment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and analyzed points in dispute related with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Furthermore, this article intended to focus on the need for change of the method of payment for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from a fixed rate system to a fixed sum system and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amendment of definite and detailed guidelines for the insurer"s liability of compensation.

      • KCI등재

        자동차책임보험상 피해자의 법적지위 : 직접청구권 및 가불금청구권을 중심으로

        김성완(Kim, Seong Wan) 한국보험법학회 2020 보험법연구 Vol.14 No.2

        본고에서는 자동차사고 피해자가 자동차책임보험에서 손해전보를 위하여 행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청구권인 직접청구권과 가불금청구권에 대한 법적지위를 살펴본다. 자동차사고가 발생하였으나 피해자(제3자)가 가해자(피보험자)로부터 손해를 배상받을 수 없게 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우리 상법(제724조 제2항)과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제10조 제1항)은 피해자가 직접 보험자에게 보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직접청구권을 규정하고 있으며,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손해배상이 확정되지 않더라도 피해자가 가해자가 가입하고 있는 보험자에게 보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가불금청구권을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제11조 제1항)에 규정하고 있다. 양 청구권 모두 법에서 피해자의 손해전보를 위해 부여한 권리이며 이들 청구권은 피해자의 보호를 위해 법이 특별히 규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직접청구권과 가불금청구권이 피해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제도임에도 그 청구권행사에 있어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어 본고에서는 직접청구권의 법적성질, 청구권의 행사, 직접청구권과 타청구권과의 관계 및 소멸시효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가불금청구권에 있어서는 가불금청구권의 적용범위와 손해배상책임의 유무에 따른 가불금청구에 대한 지급의무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 청구권과 관련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looked through the legal status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and the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This rights is a representative rights of victims of automobile accident to make up damage in automobile insurance. To protect automobile accident victims who couldn t have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inflictor, the direct right of action in liability insurance was established by Commercial Law(Article 724) and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0). Besides,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was established by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1) to heighten up on the victim’s right when liability of compensation or amount of indemnity aren t exactly decided from automobile accident immediately. Both rights are granted to victims of automobile accident to make up damage and especially regulated by law to protect traffic accident victims. As such, even though the Direct right of action and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is a system designed to protect traffic accident victims,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in the exercise of the claim.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through the legal characteristics, exercise of claims,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right of action and other right of action and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and examined closely several disputes of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such as payment obligation of insurers who don t have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traffic accident, range of payment about medical expenses and other indemnities and so on. And then this article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 for the problems related to these rights.

      • KCI등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압류ㆍ양도 금지 조항에 관한 소고

        김성완 ( Seongwan Kim ) 보험연구원 2016 보험금융연구 Vol.27 No.3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서는 직접청구권, 가불금청구권 및 보장사업청구권에 대하여 압류 또는 양도할 수 없음을 규정하여 피해자의 청구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위 청구권의 압류 또는 양도금지 조항이 책임보험에 한정하여 적용되어야하는지, 피해자에게 지급된 보험금도 포함하는지 및 피해자의 적정치료를 위하여 사고당시 보험자가 의료기관에 지불보증을 하여 의료기관에 직접 보험금을 지급하는 행위가 양도에 해당하는지 등 금지조항과 관련한 여러 분쟁이 있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서 규정한 압류 및 양도금지 조항과 관련한 쟁점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40조에서 규정하는 위 청구권에 대하여 압류 및 양도를 금지한 조항은 피해자보호를 위하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서 특별히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써 이 조항을 적용함에 있어서 피해자의 권익을 우선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그 적용에 있어 피해자의 형평에 치우침 또한 없어야 할 것이다. To protect victims of automobile accident, there are several rights of claim in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 First of all, the direct right of action in liability insurance was established by Commercial Law(Article 724) and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0). Second,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of action was established by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1). Finally, government compensation right of action to make compensation for victims from car accident by hit-and-run or uninsured driver was established under the Article 30 in the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 Furthermore, the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 guarantees the claims of the victims in the institutional regulations cannot be seized or assigned with respect to the above three rights. However, there are several disputes related with prohibitive provisions of seize or assignment; for example, it needs to be applied to limited liability insurance, be included the insurance payments to victims and be applied the assignment of the deed of the insurer guarantee to pay directly to the medical institutions for the proper care of the victims.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through the direct right of action,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of action and the government compensation right of action, and then this paper put forward my opinions and suggested improvements about the point in dispute related with prohibitive provisions of seize or assignment regulated in the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 The Act provisions prohibiting the seizure and assignment with respect to the above rights prescribed in Article 40 will have to be applied by the interests of victims and in applying these provisions will also be no bias in the equity of the vict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