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문소설 투기대목의 화소결합방식과 유형화 -<사씨남정기>·<창선감의록>·<소현성록>을 대상으로-

        김현주 한국고소설학회 2008 古小說 硏究 Vol.26 No.-

        The scene of jealousy of remarriage wife in the Korean Family Novel has a set of pattern in combining motives, and thereby dividing into several types. The scene of jealousy for the early stage of works of the Korean Family Novel such as <Sassinamjungki(謝氏南征記)>, <Changsungamuirok(倡善感義錄)>, <Sohyunsungrok(蘇賢聖錄)>, seems to be the typical model of latter period of works, and the useful spot in analyzing the important family problems. In analyzing the scene of jealousy with combining system of motives and patternning of types, it is impotant to prospect with following problems or situations ; how is the authorial situation of the family of remarried woman, what is the motive of remarriage, what is the problem in question within family, what is the attitude or reaction of individuals including husb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outside authority etc. 가문소설의 핵심 부위인 재취처·첩의 투기 대목은 화소들이 결합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정형성을 보여주며, 그에 따라 투기 대목은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초창기 가문소설인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소현성록>의 투기 대목은 그 화소결합방식이나 그 유형의 측면에서 후대 가문소설의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고, 또한 전체 가문소설의 다양한 가문적 문제들을 다루는데 유익한 지정학적 위치를 제공해줄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재취처·첩 친정 집안의 문벌적 위상이 열등한 <사씨남정기>와 <창선감의록>의 경우는, 지적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세력이 가문 문제에 깊숙이 개입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여기에 첩의 탐욕적 자질과 가부장적 존재의 부재, 그리고 남편의 판단력 부족과 무능력 등의 상황적 요소들이 부가되어 ‘간부와의 사통’이라는 화소와 ‘문서 위조’라는 화소를 반복 변주시키면서 투기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친정 집안의 문벌적 위상이 시집보다 우월한 <소현성록>의 소운성의 경우는, 가문 내부의 위계질서가 엄정하고 남편도 엄격하게 대처하기 때문에 재취처의 투기는 쟁총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친정 집안이 군왕이기 때문에 ‘궁궐 참소’ 화소가 반복되고, 거기에 ‘상사병’과 같은 감정적인 대응 화소가 반복 등장하게 되며, 이성적인 행동과 표현이 수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짜 부고나 가짜 관과 같은 ‘가짜 증거물’ 화소가 반복 등장하는 경향도 보여준다. 친정 집안과 시집의 문벌적 위상이 비슷한 <소현성록>의 소현성과 소운명의 경우에서 소현성은 위인이 공명정대하고 판단력도 정확하여 빈틈이 없으며, 가문 내부의 위계질서가 엄정하기 때문에 재취처의 투기는 순수한 쟁총에 가깝다. 그래서 상대를 완벽하게 속일 수 있는 ‘개용단 변신’ 화소와 ‘정탐’ 화소를 반복 채택하면서 투기가 벌어진다. 소운명의 경우는 소현성과 같은 가문적 조건이긴 하나 남편의 판단력이 부족하고 가부장적 존재가 출타한 까닭에 재취처와 연결된 가내 문객이 꾸미는 ‘간통 상황 위장 연출’이라는 화소가 계속 반복 변주되면서 투기 효과를 낸다. 이와 같이 가문소설의 투기 대목을 분석함에 있어 재취처·첩의 친당의 문벌적 위상과 재취처·첩이 가문에 들어오게 된 동기, 가문의 문제적 상황과 가족 구성원들의 태도, 가문과 외부 정치세력 등등의 상황적 요소들을 연결시키면 화소가 결합되는 일정한 방식과 그 유형화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南宋吴氏家族和吕氏家族比较研究

        乔东山(치아오 둥 산)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4 No.-

        吳氏 가문과 呂氏 가문은 남송시기에 중요한 무장 집안이었다. 이 두 집안을 비교 해 보면 공통점과 차이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두 집안의 공통점은 첫째, 軍 功이 탁월했다는 점이다. 오씨 가문과 여씨 가문은 宋金․宋蒙 전쟁에서 수차례 적을 물리쳐 군공을 세웠다. 둘째, 權勢가 매우 컸다는 점이다. 오씨 가문과 여씨 가문은 군공을 세워 그 권세를 높였고 보통의 가문에서 세가대족이 되었다. 셋째, 나라를 배신하고 적에게 투항한 것이다. 오씨 가문의 吳曦는 남송 開禧北伐 시기에 宋을 배신하고 金에 투항하였다. 여씨 가문의 呂文煥․呂師夔․如文福․ 范文虎 등은 宋元 전쟁에서 원에 투항하였다. 두 가문의 차이점은 적에게 투항한 후 행적과 남송의 끼친 영향을 통해 알 수 있다. 오씨 가문의 오희 등과 같은 인물은 金에 투항한 후 송의 忠義之士에게 바 로 살해되었고, 가문의 다른 사람들도 오희의 영향으로 송 조정에서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여씨 가문은 元에 투항한 후 원이 그들을 남송 정벌에 이용을 하고 그들로 하여금 남송 지역을 다스리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元 朝廷 은 여씨 가문을 중요하였고, 많은 가문 사람들이 高官의 자리에까지 올라 그 세력을 유지 할 수 있었다. 오씨 가문과 여씨 가문은 남송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함께 끼쳤다. 그 중 오씨 가문은 남송시기에 토지를 겸병하고 금에 투항한 후 남송에 매 우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그렇지만 오씨 가문이 송금 전쟁에서 세운 전공을 따져 보면 그들이 부정적인 영향만을 끼쳤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와 반대로 여씨 가문은 여러 차례 군공을 세웠고 전쟁에서 중요한 공헌도 많이 하였지만, 부정부패 혹은 원을 도와 송을 멸망하게 했던 점을 보면 여씨 가문은 남송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Wu family and Lv Family were important generals famil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Through a comparative study could be found that the two families had the same points and different points. The same point was that, first, military medals were outstanding. Wu family and Lv Family were fighting in Song Jin war and Song Meng war, often hurting the enemy, and setting the excellence in the military. The second was powerful. Wu family and Lv Family were all because of the military and held positions of power by the ordinary family to become generation tide. Three was a treason to defect. Wu Xi defected the Song Dynasty, surrender of the Ji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Kai xi northern expedition . Lv Wen huan, Lu Shi kui, Lv Wen fu, Fan Wen hu etc. mutiny the Song Dynasty, surrendered to the Yuan Dynasty in the war between Song and Yu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families were the situation and producing a major impact on the Southern Song Dynasty after the enemy surrender. Wu Xi after the surrender of Jin Dynasty, and soon to be killed by loyalty of Song Dynasty, family others imposed sanctions by the Song government, from then on, out of the Wu family, withdrew from the historical stage. Lv family after the surrender of the Yuan Dynasty, because of the Yuan Dynasty to take advantage of them calming down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Governance in Southern Song Dynasty pastly, so by the Yuan Dynasty reuse, many people in local officials, continued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family. Wu family and Lv family were producing positive influence to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also had a negative effect. Among them, Wu family annexation of land, treason against the behavior such as brought negative influence to the Southern Song Dynasty, but compared with their military to defend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 secondary position, its influence to the Southern Song dynasty was given priority to with positive. Although Lv family repeatedly making the meritorious military service, making important contribution to defend the Southern Song Dynasty, but their corruption, being jealous of real talent and helping Yuan destroy Song behavior influence more prominent, so the family mainly produced negative influence on the Southern Song Dynasty.

      • KCI등재

        풍산홍씨문중(豊山洪氏門中)의 가문의식(家門意識) -홍량호(洪良浩)와 홍경모(洪敬謨)를 중심으로-

        이군선 ( Gun Seon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3 No.-

        지금은 그래도 많이 퇴색되었지만 어느 정도 행세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늘 조상과 가문을 언급한다. 우리 조상 중에 어떤 분이 있고 어떤 일을 했으며 얼마나 훌륭한지에 대하여 말하며 은연중에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낸다. 이러한 가문의식은 한 사람의 행동에 제한을 주기도하고 행동 양식을 결정해주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洪履祥에서 洪重聖까지 풍산 홍씨가 명문으로 위상이 확립되는 과정과 洪良浩와 洪敬謨의 가문의식 표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풍산 홍씨는 고려 때 홍지경에서 시작되었는데 조선에 들어와 모당 홍이상이 문과에 급제하여 발신하며 가문의 중흥을 이끌었고 홍영이 가세를 확장하였으며 선조의 부마인 홍주원이 선조의 부마가 되며 가문을 명분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홍주원의 아들 중에서는 장남인 홍만용의 자손이 가장 번성하였고, 홍만회의 경우는 홍중성으로 이어져 풍산 홍씨 가문의 문한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였다. 뒤를 이은 홍양호와 홍경모는 조상의 문집을 정리하고 묘지를 찬술하며 가계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것으로 가문의식을 표출하였다. 홍양호와 홍경모의 가문의식 표출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가문의식이 위기의 상황이 닥쳤을 때 자신을 부지하고 이를 극복하는 동력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문의식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그 의미가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People whose family has declined but was somewhat influential in the past always love to mention their ancestors and family. Telling about who their ancestors were, what they did, and how great they were, they implicitly reveal their pride in family. Such family consciousness may restrict a person`s behavior or determine his/her behavioral pattern.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that Hong`s family from Pungsan established its status as a reputable family from Hong Yi-sang(洪履祥) to Hong Joong -seong(洪重聖) and family consciousness expressed by Hong Ryang-ho and Hong Gyeong-mo. Hong`s family from Pungsan originated from Hong Ji-gyeong in the Koryo Dynasty. Entering the Joseon Dynasty, Modang Hong Yi-sang led the revival of family through his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successful career, Hong Yeong extended the influence of the family, and Hong Joo-won, who was a son-in-law of King Seonjo, raised the family to the rank of noble family. Among the sons of Hong Joo-won, the eldest one Hong Man-yong was most prosperous in descendents, and Hong Man-hoi was succeeded by Hong Joong-seong who played the role of expanding the boundary of Hong`s family. Following them, Hong Yang-ho and Hong Gyeong-mo expressed their family cons- ciousness by organizing the ancestors` anthology, compiling epitaphs, and integrating records on the pedigree. A finding from the pattern of family consciousness expressions by Hong Yang-ho and Hong Gyeong-mo is that, when the family confronted with a situation of crisis, family cons- ciousness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to support the family and overcome the crisis. In this sense, the meaning of family consciousness is considered still valid to us who are living the present age.

      • KCI등재

        江華學派 李匡師 家門의 家門文學 형성과 계승에 관하여

        이승용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7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family literature (家門文學) formation, based on the literary works from the collections of the Lee Gwang Sah (李匡師) Family classified as the Kanghwa School (江華學派) memb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plored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family households, and related traces. Although only few literary collections remain as whole due to the collapse of the family, the remaining literary collections show how the Lee family continued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generations or family households by holding poet clubs regularly until they faced collapse. The Lee family gathered and lived around Bangsongbang (盤松坊), Seodaemun and often held poet clubs to form a closer relationship with relatives, as well as to write literary works. The Lee family also organized a specialized poet club named Sacheon Maehwasa (西泉梅花社) as a platform for literary exchange, as well as for paving the way for perpetuating the literary traditions between generations. When the Palgwang (八匡) clan was exiled after the Eulhae Purge (乙亥獄事), the Lee Gwang Sah and Ik clans (翊字), including Lee Yeong Ik (李令翊) of the following generation, continued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the letters. This paper also identifies parts related to family literature's continuous flow and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the members of the Lee Gwang Sah Family and related traces. Hyepjungjip (篋中集) is a currently remaining collection with the Chinese poems written by the figures from the clans following the Gwang clan (匡字). The fact that the Lee family wrote an anthology by selecting the Chinese poems of various figures instead of specific persons of the Lee family, shows that the Lee family continued the tradition of poetic works at the family level. It also implies that the masterpiece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were used, as the learning material for writing the Chinese poems.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江華學派로 분류되는 李匡師 가문 구성원들의 문집에 남아있는 詩文 자료를 근거로 家門文學의 형성 배경과 실제 세대 구성원 간에 이루어졌던 문학적 교유의 실제와 그 흔적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가문의 몰락으로 말미암아 이들의 文集이 온전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었지만, 남아있는 자료들을 통해 이들은 가문의 시련이 닥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詩會를 열어 세대 간 혹은 가문 구성원 간에 문학적 교유를 이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서대문 盤松坊 인근에 모여 살면서 자주 시회를 열어 남다른 친척 간의 우의를 다지며 詩文을 창작하였고, 그와 함께 전문적인 詩社라 할 수 있는 西泉梅花社를 결성하여 문학적 교유의 場을 마련하고 세대 간의 문학적 전통이 계승될 수 있었던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뿐만 아니라 乙亥獄事 이후로 八匡行列이 유배에 처해진 뒤에도 이광사가 주축이 되어 편지로 가문의 후속 세대인 李令翊을 비롯한 翊字行列과 문학 활동을 이어갔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들의 가문문학이 형성되어 갔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또 이광사 가문 구성원 간에 이루어졌던 문학적 교유의 실제와 그 흔적을 고증하는 과정에서 가문 문학의 연속적 흐름과 공통적 특질과 관련된 부분들도 포착하였다. 이광사 가문 구성원 가운데 匡字行列 이하 인물들의 漢詩를 가려 뽑은 篋中集 이 현재 남아있는데, 가문에서 특정 인물이 아니라 여러 인물의 한시를 선별하여 詩選集을 남긴 사실 자체가 이들이 가문의 범주에서 시문학의 전통을 이어갔던 사실을 방증하고, 이들이 가문 내에서 이전 세대의 秀作을 전범으로 삼아 한시 창작의 학습자료로 활용했으리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潘南 朴氏 西溪 家門의 宗中 운영

        이근호(Lee, Geun-ho)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장서각 Vol.0 No.34

        이 글은 현재 경기도 의정부 일대에서 세거하던 서계 가문의 종중 운영 양상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단, 본격적인 분석이기보다는 후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정리 수준임을 자인하다. 서계 가문은 17세기 전반기 이래 반남 박씨 대종과 함께 족보 편찬을 주도하였다. 아울러 18세기 후반에는 宗契를 만들었다. 이때 종계는 西溪 朴世堂의 제사를 받드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면서도 구성원들의 상호부조를 함께 규정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族契 유형 상 친족 제도가 친계로 변화하는 과정에 편승한 족계 혹은 종계의 양상이었다. 서계 가문은 또한 종중 운영을 위한 경비마련 차원에서 禮木制를 실시하였다. 서계 가문에서 행해진 예목제 관행은 앞서부터 공공기관에서 행해지던 것을 차용한 것으로 보이며 비단 서계 가문에서만 나타나는 관행은 아니었다. 서계 가문의 예목제 운영은 종중의 경비 마련을 위한 것이지만, 이를 통해서 구성원들에게 일종의 책임의식을 심어주는 장치로서 작용하면서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종중의 일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서계 가문은 이처럼 종계의 제정이나 예목제의 운영을 통해 내적으로 결속을 다졌다. 그리고 외부적으로는 유력 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자신들의 가격을 유지하였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혼인 관계를 기반으로 世交를 유지하였다. 『世講契帖』과 『五聯契座目』은 이를 반영하는 자료라 하겠다. 다른 가문과의 세교는 서계 가문이 가격을 유지하면서 조선 후기 사회 경화사족으로서 명성과 위상을 유지하는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서계 가문의 이같은 양상은 조선 후기 경화사족의 종중 운영 양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사례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서계 가문의 한 사례로 경화사족의 운영 양상을 정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음에, 차후 보다 다양한 가문의 사례가 집적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review the aspect of Seogye family’s clan management who now settle down in Uijeongbu, Gyeonggi-do. However, I admit that this article is more about arrangement of basic materials rather than full-scale and serious analysis. The Seogye family took lead of compiling the pedigree with Bannam parkssi, the head clan, sicne the first half of 17th. They also made jong-gae (宗契) in the late 18th. At this time, jong-gae (宗契) basically aimed to hold a memorial service to Seogye (西溪) Park-Se-Dang (朴世堂) and regulated mutual aid of members. Based on the type of Jok-gae (族契) in korea, this is aspect of Jok-gae or jong-gae which go along with the process that change from relative system to parental lineal. Besides, Seogye family implemented Yemok (禮木)-system for preparing budget to manage clan. The yemok system carried out at Seogye family seems to have been borrowed from a public institution. It was not only conducted at Seogye family. Although it was for financial goal, it also functioned as a system to make their members responsible and consistently interested in stuffs of clan. Like this, the Seogye family internall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through clan management and Jong-gae enactment. Additionally, they externally kept their family status through marriage with influential family. And based on this marriage relationships, they continued Long Standing relationship. Seganggaechup (世講契帖) and Oryeongyejwamok (五聯契座目) were materials that reflected these circumstances. A long standing friendship between families was likely to be a foundation to keep their status and prestige as Kyunghwa-sajok in the late Joseon. The instance of seogye familyt carries important meaning as the example that suggests the appearance of Kyunghwa sajok’s clan management in the late Joseon. However, it is little bit difficult to conclude how Kyunghwa-sajok operated clan only by the example of Seogye family at once, much more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accumul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정혜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7

        Yuheung Min family grew up as prestigious aristocrats at the end of Koryo Dynasty through generating high officials continuously after Min Yung­mo who worked as Pyungjangsa at the Myung­Jong era that the time dominated by scholastic officials and his two sons Min Sik and Min Gong­gyu. Most of officials from Yuheung Min family worked as scholastic officials, thus the family got fame as scholastic family at the end of Koryo. In detail, the number of officials and high officials from Min Sik Family out numbers that of Min Gong­gyu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as prestigious family persistently still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oson Dynasty based on 1st son Min Sang­jung and 2nd son Min Sang­bak family of Min Ji line who is grand son of Min Sik, and 2nd son Min Yu and 3rd son Min Byun family who are the son of 1st son of Min Jong­yu line. Especially, Moondogong­Pa which consists Min Jong­yu, Min Juk, Min Byun, Min Je family is remarked as the most prestigious family of Yuheng Min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of scholastic family still in Choson Dynasty and the end of Koryo through having the element of political power and prosperity of offspring such as exam passers, high officials, patriotic officials, and marriage with royal family. The number of exam passers of Min Ji line outstands that of Min Jong­yu, however the number of officials higher or equal to 3­Poom of Min Jong­yu line out numbers that of Min Ji line. It means that the higher percentage of becoming high officials of Min Jong­yu line was affected more by something other than exam pass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number of patriotic officials and queens. In the field of marriage, Min Ji line of Yuheung Min family higher their status as queen’s family, and also Min Jong­yu line became famous by Tae­Jong’s enthronement. However, disgrace of grand daughter of Min Ji line who became queens and Tae­Jong’s policy of strengthening power of king, 4 sons of Min Je were eliminated in order. Thus the status of Yuheung Min family in early Choson Dynasty dramatically fell down. The restoration of Yuheung Min family takes at least until middle of Sae­Jong era.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회변동기의 하나로 인식되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정치지배세력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지배세력 교체론과 지배세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상반된 입장으로 정리된다. 이 글은 여말선초 지배세력의 지속성과 변동에 대한 개연적인 논의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가문의 사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밝힌 작업이다. 여흥민씨 가문은 고려 무신집권기인 명종조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한 민영모와 두 아들 민식, 민공규 이래 다수의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려후기에는 명문세족으로 성장한 가문이다. 이 가문 출신의 관료들은 대체로 문반직을 역임함으로써 고려후기 여흥민씨는 문반가문으로서 위상을 갖추었다. 가계별로는 민식의 가계가 민공규가계보다 관료배출수나 고위직 역임자의 수에 있어서 우세했다. 조선전기에 이르면 각 가문은 분파가 확대되면서 내부에서 가계가 번성하는 파와 그렇지 못한 파로 확연히 구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흥민씨 가문을 거족이라 지칭할 때, 적어도 조선전기에 한정해서 보면 구체적으로 민식의 계열에서는 증손 민지의 장자 민상정가계와 차자 민상백가계가, 민공규계열에서는 증손 민종유의 장자 민적의 가계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민적의 3자 민변-민제(문도공파)로 이어지는 가계는 조선전기를 통해 여흥민씨 가문 가운데 가장 명문 계열로 지목되는 가계다.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은 이들 가계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고위관료의 배출, 공신책봉, 왕실과의 통혼으로 외척으로서의 위상 등 권력의 핵심에 근접하는 요인이나 자손의 번성 등의 요건을 두루 갖춤으로서, 조선건국 이후에도 여전히 고려후기 이래의 명문 거족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왔다. 계열별로 보면 과거급제자수는 민지의 계열이 민종유의 계열보다 압도적 다수를 배출하였으나, 3품 이상의 고위직자의 배출은 오히려 민종유계열이 월등히 우세하다. 이는 민종유계열 인물들의 고위직 진출 요인은 과거 외의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였음을 의미하고, 이 계열에서 배출된 공신책봉과 왕실혼의 핵심인 왕비배출과 관련된다. 통혼권에 있어서도 조선건국 이후 여흥민씨 가문 민지계열은 왕실과 연결되며 왕비의 외조부가로서 가문의 위상을 높여 갔고, 민종유계열 또한 태종의 즉위로 인해 왕실의 외척가문으로서 가문의 위상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왕비로 간택된 민지계열 출신 외손녀들의 불운이 이어지면서, 또한 태종의 왕권강화책과 정치운영방식에 따른 외척세력 제거에 의해 여흥민씨 가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민제의 네 아들들이 차례로 죽임을 당하면서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의 위상과 위세는 급격히 추락하였다. 이 가문의 복권은 적어도 세종 중반 이후까지의 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인의 양상과 의미

        임치균(林治均)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한국고전연구 Vol.0 No.13

        <소현성록>은 혼인에 관련된 이야기가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본고는 작품 속에 드러나고 있는 다양한 혼인 형태와 그 의미에 대하여 살폈다. <소현성록>의 작가는 남성 개인이 여인을 만나 혼인하는 것을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생각하고 있다. 반면 가문끼리 정혼하는 가문혼에 대하여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사회혼과 여성 중심의 개인혼에 대하여는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회혼과 여성 개인혼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은 여성의 죽음이나 출거 등으로 혼인의 결말을 맺는 것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혼인에 대해서는 그 서술 순서도 같게 함으로써 그 혼인에서 더 이상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게 하기고 있다. 이로한 혼인은 결국 같은 결론밖에 나올 수 없다는 의미인 것이다. 이는 다양한 만남의 방식이 제기되고, 작품 전개에 따라 그 만남에서의 내용도 다채로우며 항상 행복한 결말로 끝이 나는 개인혼과는 대조적이다. 작품에서는 혼인의 배치를 적절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다. 즉 맨 처음 소현성의 혼인에는 가문혼, 개인+가문 결합혼, 사회혼을 설정한 후 점차 가문혼은 관심에서 제외하여 나간다. 그리고는 개인+가문 결합혼과 개인+사회 결합혼을 긍정과 부정의 시각으로 양분하여 서술한 후, 운명의 경우에 가서 다시 한번 가문혼의 문제를 제기한 후 극단적인 개인혼을 그림으로써 작가 의식의 일단을 마무리하고 있다. <소현성록>은 개인혼을 염두에 두면서 여성 개인혼과 사회혼을 철저하게 부정한 작품이다. 개인혼을 염두에 둔 것은 당시 남성들의 소망을 반영한 것이라면, 여성 개인혼과 사회혼을 부정한 것은 당대 남성들의 의식이 투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蘇賢聖彔>涉及到婚姻的方面是重要的部分。本稿就作品中出現的多种多樣的婚姻形態及意義進行了考察。<蘇賢聖彔>的作者認為男性自己与女子相遇并結合是最為理想的婚姻形態,而堅持批判由家門做主訂婚的家門婚姻,同時對于社會婚以女性為中心个人婚姻也是持非常否定的態度。這种否定通過以女性的死和出走作為婚姻的結局而充分表現出來。再有對這樣的婚姻的叙述順序也使之大体相同,意在表達這樣的婚姻是完全不可能的結論。這就和開始時多樣的相遇,隨着作品故事情節的展開,相遇的內容也更加多彩,最后又通常是幸福結局的个人婚形成對照。 作品通過對婚姻的合理安排,使這种意識表現的很充分。卽最開始設定蘇賢成的婚姻為家門婚,个人婚与句家門婚的結合婚姻,社會婚之后,漸漸不再關注家門婚,而對个人与家門结合的婚姻和个人与社會結合的婚姻運用肯定和否定兩种視覺來叙述,后來隨着命運的變化,再次提到家門婚的問題,最后描寫极端的个人婚,由此將作家的意識告一段落。 <蘇賢聖彔>是提倡令人婚,徹底否定女性个人婚和社會婚的作品。如果說對个人婚的肯定是当時男性愿望的反映的話,那么對女性个人婚和社會婚的否定則可以說是当時男性意識的投影。

      • KCI등재

        여말선초 정치변동과 배타적 家門意識 : 정도전을 중심으로

        김난옥(Kim Nan-ok)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7

        여말선초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던 정치세력들은 상대편을 적대적으로 내몰거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혈통적 결함이나 신분적 하자를 빌미로 삼았다. 고려 말 개혁을 주도하고 조선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도전이었지만, 그의 가문적하자 문제는 정치적 고비마다 탄핵 구실이 되었다. 家系不正 · 派系未明하며 賤根 출신이라는 당대의 비판을 전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지만, 그가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미한 가문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아울러 이러한 가문적 배타성이 정치적 공방에서 상대방을 폄하하여 입지를 약화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이는 중세 사회에서의 ‘나’는 ‘가’의 일원으로서의 ‘나’로 인식되고 평가되는 당대인의 가문의식을 잘 보여준다. 이후 정도전의 신분적 하자는 설원기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고, 특정 가문의 우월함을 드러내는 비교대상으로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개별 가문 차원에서의 배타적 가문의식의 변형에 그치지 않고, 『선조실록』의 상소문에서 나타나듯이 설원기에서 정도전을 車門4孼로 규정한 차씨가문의 차원부는 절개 높은 선량한 처사의 상징이 된다. 결국 배타적 가문의식의 확대를 넘어서 심각한 왜곡에까지 이른 것이다. 이러한 배타적 가문의식은 자신의 가문에 대한 강한 소속감과 자부심으로도 드러나지만, 다른 가문 내지 그 출신 개인에 대한 폄하 · 배척 및 상대적 우월감의 과시 등을 통해서도 표출된다. 그리고 가문 간 비교우위에서 비롯되는 신분적 우월성의 표현방식을 넘어 가문에 대한 과도한 왜곡 · 변형은 ‘가’를 매개로 ‘나’를 드러내려는 중세인의 家門觀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olitical parties of Goryeo competed with each other over hegemony in the period near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frequently used tactic to achieve their goal was to publicize the other's flaw in his blood line, or being a descendant of a lowly family. Jeong Dojeon, who was a leader of the major reformation of the Goryeo government, was also not free from this type of disgraceful rumor. Although we could not accept all the criticism of his being related to the lower people or his genealogy being untraceable, it is quite clear that his family was not considered as one of the noble families. Jeong Dojeon's case indicates that a person was recognized not as an individual personality, but as a member of a whole family which he was born to; we may call it 'the family consciousness' of the Goryeo-Joseon period. The family-consciousness was employed as a useful means of denouncing the opponents in the political debates both in the Goryeo and the Joseon court. Jeong's imperfection in his identity was massively reproduc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Vindication of Cha Wonbu during the king Sukjong's reign(1675-1720)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often brought up as a contrasting example to a noble identities. The Vindication of Cha Wonbu describes Cha Wonbu as a man of loyalty and Jeong as one of the 'Four By-Blows of the Cha family(車門4孼). We can see that the family consciousness at this stage had come to cause distortion of facts. This type of family consciousness reveals the members' strong attachment to their own familie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materialized in frequent derogation and exclusion of the members of other families, or in the way of self ostentation. The derogation, exclusion, and ostentation of a family in the Middle ages of Korea illustrate people's perception of 'family' through which they attempted to disclose individual selves.

      • KCI등재

        출생담(出生譚)을 통해서 본 <소현성록(蘇賢聖錄)> 가문의식(家門意識)의 발현 양상

        김용기 ( Kim Yong-k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1 No.-

        이 글은 출생담을 통해 <소현성록>에 나타난 가문의식의 두 가지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작품에서 ‘가문의식’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포착될 수 있겠지만, 필자는 출생담을 통해 이 작품의 작자가 지향했던 ‘가문창달’과 ‘가문번성’에 주목해 보았다. 출생담은 고소설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문학적 전통과 관습의 하나인데, <소현성록>에서는 출생담이 아직 관습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의 모습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이 작품에서 출생담은 형식적 요소로 사용되지 않고, ‘가문의식’의 발현이라는 주제의식이 출생담을 통해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가문의식의 발현은 출생담의 기능에 따라 두 가지 양상으로 제시된다. 소경의 출생담은 장황하고 구체적이며, 그 속에 가문창달의식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자녀들과 소씨 가문의 圈外에 있는 그 배우자들의 출생담은 소경에 의해 창달된 가문을 번성시키는 것과 관련을 맺고 있다. 또 자녀들에 의한 가문 번성은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소운성의 출생담은 공적인 영역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가문의 번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소운명과 소수주, 그리고 이들의 배우자들의 출생담을 통해서는 얼마간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소씨 가문의 번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은 유교이념을 말하면서 초월계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정통 유교에서는 괴력난신으로 멀리하는 초월성을 통해 유교이념과 가문의식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유교이념과 초월성은 낯선 관계이지만 작가는 이 둘의 결합을 통해 <소현성록>에서 강조하는 가문의식이 보다 쉽게 전달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유교이념이 민간신앙적 초월성과 결합됨으로써 경직된 유교이념에서 탈피할 수도 있고, 소설 향유층에게도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two kinds of the family consciousness in < Soheonsungrok > through birth-folk tales. In this work, the family consciousness could be captured by various viewpoints but I focused on the writer’s intention toward the promotion and prosperity of family through birth-folk tales. The birth-folk tale is one of literary traditions and customs generally appeared in the old novel. But, I viewed it had the former feature that it had not been used to use conventionally because it did not use as aformal element and the theme to reveal the family consciousness was portrayed through the birth-folk tales. In this work, two kinds of the revelation aspects of the family consciousnes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birth-folk tales. The birth tale of Sokyong is long and detailed and the promotion of family was implied by it. On the other hand, the birth tales of children and spouses outside So’s family connect to the prosperity of family which was promoted by Sokyoung. The prosperity of family was flourished by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two. First, the birth tale of Sowoonsung contributes to the prosperity of family more directly in the public domain. In contrast, the birth tales of Sowoonmeong, Sosoojoo and their spouses reveal the prosperity of So’s family circuitously and indirectly. This work contains Confucianism but it draws in theworld of transcendence actively. Orthodox Confucianism avoided the world of transcendence because it is quite absurd but this work emphasized on Confucianism and consciousness of family. The writer thought that the combination of Confucianism and transcendence could deliver the consciousness of family more effectively although their relationship was unfamiliar. When Confucianism and transcendence were united, Confucianism could avoid the inflexible Confucian ideology and filtered in people who like novels.

      • KCI등재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정혜순 ( Hea Sun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7

        한국사에서 중요한 사회변동기의 하나로 인식되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정치지배세력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지배세력 교체론과 지배세력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상반된 입장으로 정리된다. 이 글은 여말선초 지배세력의 지속성과 변동에 대한 개연적인 논의를 보충하기 위해 개별가문의 사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밝힌 작업이다. 여흥민씨 가문은 고려 무신집권기인 명종조 문하시랑평장사를 역임한 민영모와 두 아들 민식, 민공규 이래 다수의 고위 관료를 지속적으로 배출함으로써 고려후기에는 명문세족으로 성장한 가문이다. 이 가문 출신의 관료들은 대체로 문반직을 역임함으로써 고려후기 여흥민씨는 문반가문으로서 위상을 갖추었다. 가계별로는 민식의 가계가 민공규가계보다 관료배출수나 고위직 역임자의 수에 있어서 우세했다. 조선전기에 이르면 각 가문은 분파가 확대되면서 내부에서 가계가 번성하는 파와 그렇지 못한 파로 확연히 구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흥민씨 가문을 거족이라 지칭할 때, 적어도 조선전기에 한정해서 보면 구체적으로 민식의 계열에서는 증손 민지의 장자 민상정가계와 차자 민상백가계가, 민공규계열에서는 증손 민종유의 장자 민적의 가계가 이에 해당된다. 특히 민적의 3자 민변-민제(문도공파)로 이어지는 가계는 조선전기를 통해 여흥민씨 가문 가운데 가장 명문 계열로 지목되는 가계다.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은 이들 가계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과거급제자와 고위관료의 배출, 공신책봉, 왕실과의 통혼으로 외척으로서의 위상 등 권력의 핵심에 근접하는 요인이나 자손의 번성 등의 요건을 두루 갖춤으로서, 조선건국 이후에도 여전히 고려후기 이래의 명문 거족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왔다. 계열별로 보면 과거급제자수는 민지의 계열이 민종유의 계열보다 압도적 다수를 배출하였으나, 3품 이상의 고위직자의 배출은 오히려 민종유계열이 월등히 우세하다. 이는 민종유계열 인물들의 고위직 진출 요인은 과거 외의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였음을 의미하고, 이 계열에서 배출된 공신책봉과 왕실혼의 핵심인 왕비배출과 관련된다. 통혼권에 있어서도 조선건국 이후 여흥민씨 가문 민지계열은 왕실과 연결되며 왕비의 외조부가로서 가문의 위상을 높여 갔고, 민종유계열 또한 태종의 즉위로 인해 왕실의 외척가문으로서 가문의 위상이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왕비로 간택된 민지계열 출신 외손녀들의 불운이 이어지면서, 또한 태종의 왕권강화책과 정치운영방식에 따른 외척세력 제거에 의해 여흥민씨 가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민제의 네 아들들이 차례로 죽임을 당하면서 조선전기 여흥민씨 가문의 위상과 위세는 급격히 추락하였다. 이 가문의 복권은 적어도 세종 중반 이후까지의 시간을 요하는 것이었다. Yuheung Min family grew up as prestigious aristocrats at the end of Koryo Dynasty through generating high officials continuously after Min Yung­mo who worked as Pyungjangsa at the Myung­Jong era that the time dominated by scholastic officials and his two sons Min Sik and Min Gong­gyu. Most of officials from Yuheung Min family worked as scholastic officials, thus the family got fame as scholastic family at the end of Koryo. In detail, the number of officials and high officials from Min Sik Family out numbers that of Min Gong­gyu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as prestigious family persistently still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oson Dynasty based on 1st son Min Sang­jung and 2nd son Min Sang­bak family of Min Ji line who is grand son of Min Sik, and 2nd son Min Yu and 3rd son Min Byun family who are the son of 1st son of Min Jong­yu line. Especially, Moondogong­Pa which consists Min Jong­yu, Min Juk, Min Byun, Min Je family is remarked as the most prestigious family of Yuheng Min family. Yuheung Min family maintained the fame of scholastic family still in Choson Dynasty and the end of Koryo through having the element of political power and prosperity of offspring such as exam passers, high officials, patriotic officials, and marriage with royal family. The number of exam passers of Min Ji line outstands that of Min Jong­yu, however the number of officials higher or equal to 3­Poom of Min Jong­yu line out numbers that of Min Ji line. It means that the higher percentage of becoming high officials of Min Jong­yu line was affected more by something other than exam pass and it is also related to the number of patriotic officials and queens. In the field of marriage, Min Ji line of Yuheung Min family higher their status as queen`s family, and also Min Jong­yu line became famous by Tae­Jong`s enthronement. However, disgrace of grand daughter of Min Ji line who became queens and Tae­Jong`s policy of strengthening power of king, 4 sons of Min Je were eliminated in order. Thus the status of Yuheung Min family in early Choson Dynasty dramatically fell down. The restoration of Yuheung Min family takes at least until middle of Sae­Jong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