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로공간에서의 가로시설물 조형인지평가에 관한 연구 -충주시 성서동 젊음의 거리를 중심으로-

        박억철,윤명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충북 충주시 성서동 젊음의 거리의 가로시설물을 중심으로 가로시설물 특성을 분석하였고, 조형인지 평가를 통해 연구대상지에 가장 적합한 가로시설물 조형특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로시설물의 조형적 특성을 점, 선, 면적 요소로 시설물을 분리하였으며, 현재 연구대상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시설물 4종(볼라드, 보안등, 벤치, 가로화분대)을 중심으로 조형인지평가를 실시하였다. 조형인지평가에 사용한 평가방법은 디자인된 가로시설물을 영상을 통해 보여주고 공간과 가장 조화 될 수 있는 시설물을 선택하는 ‘사진이미지 잔상평가’기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인지평가를 위해 누구나 쉽게 조형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5가지 유형의 시설물형태(원기둥형, 원형, 사각형, 타원형, 곡선형 등)를 디자인하여 평가하였다. 사진이미지잔상 평가기법은 사람마다 천차만별인 이미지 기억력을 감안하여 이미지잔상이 없어지지 않도록 3초씩 투사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는 대상지 공간과 가장 어울리는 형태이미지와 가장 느낌이 좋은 이미지를 생각하여 순서대로 작성하게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서동 젊음의 거리를 이용하는 20대 대학생들은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의 시설물과 차별화된 형태의 시설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시설물과 공간의 개방감 즉, 공간과의 관계성을 중요한 조형요소로 평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가로공간의 정체성은 공간을 구성하는 시설물들의 조형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연구방법을 통해 가로공간별 가로시설물의 특성화, 차별화, 공간과의 조화성에의한 가로공간디자인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treet furniture most ideal to study site through formative cognition test and analysis of street furniture of the site. The furniture is categorized into spot, line, and plain elements. The test focused on four types of street furniture (bollard, streetlight, bench, and flower pot). The formative cognition test used "photo afterimage evaluation" method, which shows street furniture to testees and allows them to select the best furniture for a given space. The most familiar types of furniture (cylinder, circle, rectangle, oval, and wavy line) were used in the test. Each furniture design was shown for three seconds to the testees. They were requested to list the images in the order that fits the best to the test site. The test showed that the testees who use the test sit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strongly prefer simple and differentiated furniture and focus on relations between furniture and space as a core formative ele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identity of a street space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ts street furniture, and that street space can be designed in harmony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treet furniture.

      • KCI등재

        충청남도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 남문1로와 남문2로의 가로시설물의 특성 분석을 통한 디자인 제안

        백설,시치팡,한상윤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Local culture is rapidly disappearing due to continuous globalization and large-scale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particular, many historic villages and historic sites are gradually isolated,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local street facilities and historic village sites, uniformity, leveling and non-characteristics of facility design, facility design that does no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ack of street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asonable design proposals necessary to supplement street facilities around the Haemieupseong.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A systematic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street facilities, focusing on the roads around Haemieupseong. Based on the on-site inspection of Nammun 1-ro and Nammun 2-ro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sidents and tourists to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of street facilities and to derive design elements for street facilities. Then, this study proposed a rational for an applicable and reasonal street facility design.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two meanings. First, in order to continuously inherit history and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of street facilities that could utilize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historic sites for residents living areas centered on Haemieupseong, Historic Site No. 116. Second, this study raised the problem to be solved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and proposed a design model and color suitable for stree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asic design direction for the appearance and contents of street facilitie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be able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the village by presenting the design rationale and specific method for street facilities suitable for Haemieupseong based on design cases. 세계화가 지속되면서 대규모 도시계획과 건설에 의해 지역문화가 빠르게 소실되고 있다. 특히 많은 역사마을과 유적지 등이 점차 고립되고 있으며 지역 내 가로시설물과 마을 유적지 간의 연결점 부족과시설물 디자인의 획일화와 평준화 및 무특색으로 지역 특색을 반영하지 못한 시설물 디자인 및 가로시설물 부족 등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성이 두터운 해미읍성 유적지를 보호하며 고유성을 진작시키고 특색있는 주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주변의 가로시설물 보완에 필요한 합리적인 디자인 제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의 도로를 중심으로 가로시설물의 개념과 분류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체계적인 이론 고찰과 더불어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의 남문1로와 남문2로에 대한 대상지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로시설물의 현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가로시설물디자인 근거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역사및 문화를 지속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사적 116호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한 주민생활권에 대해 역사유적지의 기존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가로시설물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둘째, 시설물 현황 연구를 기반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가로시설물의 외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디자인 방향에 따른디자인 모델 및 가로시설물에 적합한 색채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사례를 기반으로 해미읍성에 적합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근거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마을의 문화 계승 및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장애물존 설치에 관한 연구

        채민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Diverse types of street facilities such as street trees and lights, signal lights, and bus stops are installed on the street to ensure safety and convenience of pedestrians and drivers. Although there are national level standards such as 「Road Design Standard」, 「Sidewalk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 and others related to street road design, these standards can be considered to be drafted mostly for the benefit of motorists, cyclists, and pedestrians. However, there are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in a disorderly manner and without a standard that take over the sidewalk secured for pedestrians, thus encroaching upon effective width for walking and damaging the streetscape from a scenery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se problems by installing a barrier zone. (Method)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legal definition of the road where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design of roads currently in use in Korea. Among them, this study identifies the existenc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acility installation. Secondly, the study distinguished the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on roads in Korea from three aspects: space, usage, and scenery. The study then carried out research on the integrated design and installation of street facilities in advanced nations for comparison purposes. Thirdly, the need for the adoption of an obstacle zone is highlighted as a measure for solving the road-related problems caused by indiscriminate facility installation. Lastly, the study presents detailed installation standards for the definition of barrier zone and standards for barrier zone installation, type, installation location, effective width, and facility installation. (Results) As a mean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recommends separating spaces for sidewalks and facility installation by creating a separate barrier zone where all types of facilities can be installed from an initial stage of design. Barrier zones can be a realistic measure to prevent the encroaching of facilities on space for pedestrians and improve streetscapes. (Conclusions) For most of the roads in Korea, the effective width of the sidewalk for pedestrian safety is not secured due to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indiscriminately. A barrier zone is an effective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Active adoption of the concept of the barrier zone can secure aesthetic harmony and safety from a pedestrian viewpoint. From a civic perspective, it can produce positive results by improving the streetscape. Furthermore, in order for the concept of the barrier zone to become established nationwide, this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legal standards for installing barrier zone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연구배경 및 목적) 도로에는 보행자나 자동차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가로수, 가로등, 신호등, 버스승차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로시설물이 설치된다. 도로설계와 관련해서는「도로설계기준」,「보도설치 및 관리지침」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준들은 대부분 자동차나 자전거, 보행자의 측면에서 제시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형식을 이용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설치방법이나 위치 등에 관한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통일된 기준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설물의 관리주체가 지자체, 경찰청, 한국전력 등과 같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설치 또는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기준이 없이 무질서하게 설치되는 시설물들은 보행자를 위해 확보한 보도공간을 점유해 보행 유효 폭을 잠식하거나 경관적 측면에서는 가로경관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설계에 장애물존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가로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고, 정돈된 가로경관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시설물이 설치되는 도로의 법적 정의 및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도로설계와 관련된 설치기준 및 지침 등을 알아보고, 그 중에서 시설물 설치와 관련된 내용의 유무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 도로의 시설물 설치 현황을 공간적 측면, 이용적 측면, 경관적 측면의 세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선진국 도로의 가로시설물 통합설계 사례를 비교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한다. 셋째, 무분별한 시설물 설치로 인한 국내 도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장애물존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장애물존의 정의 및 장애물존의 설치 기준, 유형, 설치 위치, 유효 폭, 장애물존 내의 시설물 설치기준 등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을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서 도로를 설계하는 초기 단계부터 각종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장애물존을 별도로 마련하여 보도와 시설물 설치공간을 분리시킬 것을 제안한다. 장애물존은 시설물로 인한 보행공간의 잠식을 방지하고, 가로경관을 개선시키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결론) 국내 도로의 대부분은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시설물들로 인해 보행자를 위한 최소 보행 유효 폭이 감소하거나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장애물존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장애물존 개념의 적극적인 도입은 보행자 측면에서는 보행의 쾌적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고, 도시 측면에서는 가로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존 개념이 전국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장애물존을 설치해야 하는 법적기준을 마련할 것을 향후 연구의 방향성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가로시설물의 정량분포에 관한 조사 연구-부산광역시 중구 주요 가로를 중심으로

        이희주,유상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중구 주요가로인 3가로 (대청로/광복로/영선고갯길)의 가로시설물을 대상으로 각 가로에 분포 되어 있는 가로시설물의 양적인 실태파악을 목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각 가로별 평균기수표를 작성하고 각 가로의 배치 간 폭에 관하여 정량치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단계로써 먼저, 중구의 도시디자인 기본 조닝계획을 살펴보고 3가로 (대청로/광복로/영선고갯길)의 포지션을 파악 하였다. 다음으로 무분별하게 배치된 시설물의 양적인 현황파악을 위해 직접표기방식에 의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가로별 가로시설물의 정량평균치를 비교분석 하였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1) 중구의 입지환경적 특징과 경관축 경관거점에 관한 조닝계획을 살펴보고 중구의 중심 경관축이자 중심가로인 3가로 (대청로/광복로/영선고갯길)에 대한 포지션을 파악 하였다. 2) 가로시설물의 유형에 관한 선진사례를 검토 하고, 일본의 니시자와 분류법을 바탕으로 8개 시설물의 유형을 정리 하였다. 3) 현장조사 결과를 기호와 Color로 표시하여 도식화 하여 각 가로별 분포맵을 작성 하였다. 4) 8개 유형의 시설물을 3계 (공간계/ 정보계/ 시간계) 로 그룹핑하고, 각 가로를 100m간격으로 나누어 평균기수와 배치 간 폭의 정량치 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3계로 구분한 시설물의 종류별 배치 간 폭이 적은 종류와 간 폭의 차이가 큰 종류로 구분되었다. 각 가로에서 공통된 시설 간 폭이 적은 시설물은 공간계의 전신주, 정보계의 점자보도블럭, 시간계의 가로등, 가로수, 가로화분대로 나누어졌다. 또한 각 가로의 배치 간 폭의 차이가 있던 종류는 공간계의 벤치, 전기분전함, 정보계의 안내사인, 규제사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관적인 측면에서 연속경관형성요소와 개별경관형성요소로 나눌 수 있음 알 수 있었고, 또 각 가로의 종합적인 개선방향을 도출 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status of the street furniture of Gwangbokro Yeongseon uphill pass, Daecheongro, Junggu, Busan an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width between streets after writing an average radix table of each street. As for the research steps, first, the basic urban design zoning plan of Junggu was examined and the position of Gwangbokro Yeongseon uphill pass, Daecheongro was investigated. Lastly, the quantitative mean values of individual street furniture were comparatively analyzed. More specifically speaking, the processe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al environment of Junggu and the zoning plans of vista/view/axis in the landscape strongholds was examined and the position of Gwangbokro Yeongseon uphill pass, Daecheongro, the central vista/view/axis and street of Junggu, was investigated. 2) the best practices on the types of street furniture were reviewed and the types of 8 furniture was organized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by Nishizawa in Japan. 3) the findings of the field survey were schematized in signs and colors and distribution maps of individual street were made. 4) 8 types of furniture were grouped in 3 systems (spatial /informative/temporal system) and the average radix and the quantitative value of the width between the displacement of stree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dividing individual street into 100m intervals. As a result, there were narrow width and wide width of furniture classified into 3 systems. The furniture with narrow width between the common furniture of each street were divided into the utility poles in spatial system; the raised letters blocks in informative system; and street lamps, street tress and street flower pot stands in temporal system. Furthermore the types that had differences of width in the displacement of streets included benches and electrical distribution boxes in informative system and guide signs and regulatory signs in informative system. Based on the these results, it was known that the landscape aspects could be divided into continuous landscape and individual landscape formation elements and furthermore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s could be derived.

      • KCI등재

        해수욕장의 가로시설물에 관한 현황 조사 연구 - 경포, 낙산, 망상, 삼척, 속초를 중심으로 -

        조원석,김흥기 한국농촌건축학회 2007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9 No.3

        The purpose of paper is to examine about Street Furniture in swimming beach. The beach space is the very important place not only to spend in season but also to use 4-seasons in leisure culture. To offer better landscape in spacial beach; Gyeongpo, Naksan, Mangsang, Samcheok and Sokcho, such as regional atmosphere and identification are to analyze with design criteria. For the amenity of users through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may be possible to work out future of beach surroundings. Accordingly material, form and color can be estimated systematic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design of street furniture is to be environmental and regional control. As a result, some proposal of Street Furniture by analysis, designer and officer have to focus 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attractive beach space.

      • KCI등재

        울산시 남구 삼산로 가로시설물 색채현황 분석연구

        신성영,이윤진,이규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design of the color scheme of the street furniture in Namgu, Ulsan city by analyzing the color status of the street furniture in Samsanro and examining the relation with the color regulation of color guideline in Namgu, Ulsan city. Methods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in Samsanro was investigated and photographed, and the color of the street furniture was measured three times using CIELAB value by a digital colorimeter to analyze the color condition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Result First, the result of hues and color analysis of the color condition of each type of street furniture shows that the hues of traffic furniture, management furniture, and protection furniture are low and medium degree, and YR·Y·GY·G·BG·B colors were used. The color of information furniture, lighting furniture, and service furniture were YR·G series with low saturation hues. In the case of mailboxes, high quality R series was used as a security facility. Second, the colors of the street furnitures in Samsanro are colored by similar color scheme and similar hues scheme. Third, comparing the recommended colors of the design guidelines of Namgu,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s and hues were used more than the recommended colors specified in the guidelines. Conclusion The color scheme of the street furniture applying the color harmony principle in the same street can express pleasant and sophisticated urban image as the center road.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color considering the harmony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and the environment, and to create a pleasant and high-quality landscape through unified feeling and balanced color. A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colo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Namgu Guideline in the color planning of the street furniture in the future. 연구배경 본 연구는 울산시 남구 삼산로 가로시설물의 색채 현황을 분석하고 울산시 남구 도시가이드라인 색채규정과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울산시 남구 가로시설물 색채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삼산로의 가로시설물 현황을 전수조사 및 사진촬영 하고 색채현황 분석을 위해 디지털 측색기를 사용하여 가로시설물의 색채를 CIELAB 값으로 3회 측색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로시설물 유형별 색채현황을 색조 및 색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교통시설물, 관리시설물, 보호시설물의 색조는 저·중명도이고, 저·중채도의 YR· Y·GY·G·BG·B계열의 다양한 색상들이 사용되었으며, 정보시설물, 조명시설물, 서비스시설물의 색조는 저채도이고 색상은 YR·G계열을 사용하였고, 우편함의 경우 고채도의 R계열의 안전시설물색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삼산로 가로시설물의 배색은 유사색상배색, 유사색조배색 등으로 색채적용 하였다. 셋째, 남구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권장 적용색상을 비교한 결과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권장 색채보다 다양한 색상과 색조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동일한 가로범위 안에서 색채조화 원리를 적용한 가로시설물 색채 배색은 중심가로로서의 쾌적하고 세련된 도시이미지를 표현해 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변 건축물이나 환경과의 색채조화를 고려한 색채선정과 통일감, 균형감 있는 배색을 통하여 쾌적하고 수준 높은 가로경관이 창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 남구 색채가이드라인에 따른 색채적용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도시공간의 가로시설물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숙,김장석,이승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1

        In this paper, to create spaces with different images according to their street characteristics, images of street furniture were examined, which are important components in street space. Based on that examination, suitable street spaces for each image have present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theoretical research in street furniture was conducted ahead o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reet furniture because street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urban spaces. In the second phase of the study, repertory grid interview method was used. in order to learn the assessment structure o f street furniture users. In that process image words, which were the main standards for the assessment of street furniture, were selected. In the third phase of the study, the assessment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Likert scale method based on selected words for assess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treet furniture by characteristic images, and to complete predictive index. According to the study, colorful and free form furniture made of metal materials was evaluated to have more aesthetic and unique images, and to be suitable to commercial areas. Simple line street furniture with achromatic colors was assessed to have simple and modern images, which fit well with office areas. Free-form curve designs that used natural materials and their natural colors, warm colors or black tone colors were evaluated to have dignified and classical images, and be ideal for the park areas. 본 연구에서는 가로공간의 성격에 따라 다른 이미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가로공간의 구성요소인 가로시설물의 특성별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에 따라 어울리는 가로공간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총 3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가로시설물의 특성분석에 앞서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로시설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2단계에서는 가로시설물 이용자의 평가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면접조사로서 평가그리드(Repertory Grid)법을 통하여 가로시설물 평가 시 주도적인 기준이 되는 이미지 어휘를 추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가로시설물의 특성별 이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예측지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앞서 추출된 평가 어휘를 바탕으로 리커트척도법 (Likert scale)을 사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스러운 형태와 금속재질, 다양한 색상의 시설물은 조형적이고 개성적인 이미지를 갖으며 상업지역에 어울린다고 평가되었다. 간결한 직선형태와 무채색계열의 시설물은 심플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갖는다고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의 시설물은 업무지역에 배치하였을 때 잘 어울린다고 평가되었다. 자유곡선형의 형태와 자연소재를 사용하며 소재색상이나 난색계열, Black계열의 색상을 사용하는 시설물은 클래식하고 중후한 이미지를 갖는다고 평가되었으며 이는 공원지역에 잘 어울린다고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강규범,조세환,Kang, Gui-Bum,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 KCI등재후보

        지역이미지 형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미옥,이성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2

        방자치단체가 실시된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은 재정적 자립을 위해, 좋을 지역이미지를 형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 가로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지역 특성화를 효과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시 환경적 부분, 문화적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는 근거아래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지역의 가로시설물을 통한 지역특성화 디자인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이미지 형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지역이미지 개념과 형성과정에 대하여 알아본 후 우리는 지역의 시각적 요소가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가로시설물들을 살펴봄으로 해서 가로시설물이 지역내 시각적 요소로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밝혔다. 이러한 중요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도시마케팅 측면에서 디자인 방향을 설정했다. 그리고 그의 실제 지역에 적용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경기도 구리시의 가로시설물을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이 지역의 정체확립과 지역이미지의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바람직하다고 본다. After the local government Act was come into force, every local autonomous entity tries to form a good local-image our study is about the street furniture of a territory. In order to achieve a distinctive quality of a territory effectively, I try to present my course of design for a distinctive quality of a territory through the street furniture of a territory including these two elements, the part of city-environment and the part of culture. In order to know of the design for the street facilities for formation of local image ,we realized that the elements, of the territory could have much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mage after investigating about the course of formation and conception of local image. And by investigating the street facilities, we made clear that the street facilities have much relative importance as the visual elements within the territoryThe local government playing active role for the formation of local image have keenly realized that the street facilities possessed their own important meaning. In order to fix the direction of design for the important street facilities, we set up the direction of design toward the parts urban-marketing. And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actual zone, we have designed the street facilities of the City Guri in Kyong-Gi Province.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 design of street facilities should be made toward the direction of public information of local image and also toward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terri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