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论骈文名称从“四六”到“骈文”之演变

        Zhang Zuo Dong 한국중국산문학회 2013 중국산문연구집간 Vol.3 No.-

        변문이란 명칭은 청대, 민국 시기에 출현하여 "四六"에서 "騈文"으로 변화하였다. 명칭 변화의 배경은 四六과 騈文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다. 청대, 민국시기 문론가들은 주로 세 가지 인식을 갖고 있었다. 첫째, 四六과 騈文을 당연히 동일시하는 것이다. 둘째, 四六과 騈文에 대해 분석과 부별을 진행하는 것이다. 셋째, 四六을 騈文의 별조로 보는 것이다. 그 중 두 번째 것에 구분을 하는 관점이 변문 발전 방향을 대표하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騈文"이란 명칭이 "四六"을 대신하였고 四六과 騈文의 다른 점을 분석하는 것이 騈文이란 체재를 존중하는 사상(騈文尊體思想)이며, 명실상부한 체현이다. 騈文 발전변화의 단계성과 명칭의 변화는 서로 맞물려 이것이 四六과 騈文을 구분하는 것에 커다란 편의를 제공한다. 청대 민국 시기 문론가들은 주로 창작 영역과 작문 구식, 심미적 풍격이란 세 가지 분야에서 四六과 騈文을 구별하였다. 四六과 騈文을 분석하면서 변문의 명실, 이론과 창작, 역사와 현상까지 섭급하는 것이야말로 변문이란 체재를 존중하는 사상의 중요 내용이며, 변문 발전에 중대한 의의를 갖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륙지(陸贄) 병문(騈文)의 특징과 『신당서(新唐書)』 「륙지전(陸贄傳)」에서의 개작 양상

        김우정 ( Kim Woo-jeong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이 글은 唐代의 역사, 정치, 제도, 통치관 등이 풍부하게 담겨 있어 조선과 일본에도 큰 영향을 끼친 陸贄의 奏議文이 지닌 騈文으로서의 특성을 살핀 것이다. 변문은 산문과 병립하는 문체 양식으로, 유구한 역사를 지니며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어 왔으나, 한국의 학계에서는 장식적이고 空疏한 글이라는 인식이 강해 기초적인 연구조차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변문의 주요 특징을 개괄함으로써 육지의 주의문이 성률면에서 ‘성조교체식’ 변문에 속하나 구성면에서는 ‘연쇄병렬식’ 구조를 띠고 있어 변문의 형식적 구속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였음을 밝혔으며, 『新唐書』 「陸贄傳」에서 그 형식적 특징이 어떻게 무너졌는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변문으로서의 육지 주의문의 성격을 되짚어보았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uZhi陸贄’s an suggestion to the emperor奏議, which contained richly the history, politics, state system, and philosophy of state affairs of Tang Dynasty,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Joseon and Japan. LuZhi’s writings was written in parallel prose騈文. Parallel prose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with a long history and a concomitant style with prose, but even basic research has not been done enough due to the strong perception in Korean academia that it is an ornamental and voluminous writings. Thus, Therefore, in this paper, first made a general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allel prose, and we confirmed that LuZhi’s writings belongs to ‘tonally alternating’ parallel prose on the rhythm side, but that the structure is ‘interlocking parallel’ on the composition side. LuZhi’s writings was able to overcome parallel prose’s formal restraints effectively because it had this characteristic. And based on the biographies of LuZhi陸贄傳 in the XinTangShu新唐書, that was compiled by SongQi宋祁, this paper analyzed how the formal features of LuZhi’s writings were damaged.

      • KCI등재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 산문(散文)의 연구(硏究) : 17세기 초 문단(文壇)의 풍정(風情)과 관련하여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우리나라 한문학에 있어서 조선전기와 후기를 가름하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은 다양한 문학적 양태들이 공존하며 명멸했던 시기였다. 비록 사상적으로는 문학의 의의를 소극적으로 파악하는 성리학의 영향력이 심화되는 추세였지만, 15세기에 만개한 자유로운 문학 정신은 이 시기에도 그 관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다. 산문의 경우, 오랜 시간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唐宋文에 秦漢文이라는 학습목록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복고적 경향을 띤 산문이 창작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고적 산문이 출현하는 데에는 당시 明代 文壇을 풍미하던 李攀龍·王世貞 등 복고파의 문학론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에 이들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취하였던 趙纘韓의 산문도 당연히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 종래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조찬한의 작품을 살펴 본 결과, 복고적 산문에서 발견되는 기이하고 간결한 문체, 자구의 할렬과 도치, 모호한 인용과 비유 따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前後七子에 대한 조찬한의 관심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문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조찬한을 굳이 복고적 작가라고 규정할 수 있다면, 이는 그가 당시의 작가들이 해묵은 양식이라고 외면하던 辭賦와 騈文을 고문보다 더 많이 지을 정도로 창작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옛스런 취향이 돋보이는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mid-Choso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blinking period that had been a great diverse literary aspect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Even though influence of Confucianism that set low value on the literature had been intensified, but a unrestricted literary spirit which had formed in the 15th century was maintained it`s inertia even in this period. A case of proses, There were formed afresh restorative style`s currents united Tang-sung writings that has been superior position with Qin-Han writings. However the advent of restorative prose w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a leader of restorative school as Li panlong and Wang shizhen who were predominated over the Ming Dynasty`s literary arena. therefore up to the present, the former researches inferred Cho Chanhan`s prose had a restorative style undoubtedly, because He was appraised a Mr. Li and Wang with a favorable eye. But in view of the results about his articles so far achieved, There was not found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restorative prose as a strange and concise style, partition and inversion of wording, ambiguous quotation and metaphor et cetera. For that reason, we could realized that Mr. Cho`s concern on restorative school was restrained under certain restricted level. But even though a critics recognize Mr. Cho as a restorative author, because he wrote Cifu(辭賦) and Pianwen(騈文) which was disregarded by the then author much more than prose, so that accomplished unique and antique style literary world.

      • KCI등재

        자유주제 :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의 「신루상량문(蜃樓上樑文)」 연구 -「신루기(蜃樓記)」와의 대비(對比)를 통하여-

        朴貞珉 ( Jeong Min Park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玄洲 趙纘韓(1572~1631)은 당시 ‘後五子’의 일인으로 지목될 만큼 文才가 출중했으며, 특히 騈文에 있어서는 공공연히 그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망과 인지도에 비해 그의 문학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그의 산문에 대해서는 傳과 記에 국한된 논의가 전개되었을 뿐이다. 이에 본고는 기존에 연구가 미진했던 조찬한의 산문-특히 騈文體 산문-영역에 관심을 두고, 「蜃樓上樑文」의 분석을 통해 조찬한 산문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내용을 개관하고 3장에서는 수사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조찬한 산문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신루상량문」의 특징을 살피는 과정에서 「蜃樓記」와의 대비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신루상량문」의 내용은 처소에 대한 일반적 의론과 신령한 건축물 건립의 필요성에 대한 序詞, 신루 건립에 대한 모의와 준비 과정 및 신루 건립 이후의 정경을 묘사한 本詞, 東西南北上下 六面 공간에 대한 송축인 六位訟, 上梁後의 평화와 안정을 기원하는 結詞로 구성되어 상량문의 일반적인 내용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간결한 이야기 형식으로 쓰여진 「신루기」와는 다른 방식이지만 與民偕樂의 공간인 신루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신루상량문」의 수사기법은 의미, 자수, 음절에 이르기까지 균제와 조화를 중시한 변문체의 특성을 그대로 살리고 있다. 그러면서도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내용 전개에서 다양한 수사적 장치를 마련하여 다채롭고 풍부한 내용 전개를 이루어냈다. 변문체 특유의 유탕미와 어휘미를 부각시킨 「신루상량문」의 수사 기법은, 우언과 패러디의 기법으로 뚜렷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문체의 간결미가 돋보이는 「신루기」의 그것과는 사뭇다른 양상이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본 조찬한 산문의 특징은 첫째 取材의 측면에서 문예지향의 작문 특성이 다분함, 둘째 각 문체의 특성을 적절히 운용하여 내용 전달력을 높임, 셋째 장자 의 표현 특색이 농후함을 들 수 있다. Hyun Ju Cho, chan-han(1572~1631) was an excellent person of literary ability as being pointed to be a member of ``Huoja(後五子)``, in particular, was openly recognized as an excellent ability in Byounmun(騈文) at that time. However, his literatur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his reputation and awareness, and discussion limited delivery and record regarding his prose has been done. This paper is to focus on Cho, Chan-han`s prose-expecially Byoun-style prose-area lack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aspects of Cho, Chan-han`s prose through the analysis of 「Sinroo Sangryangmun」. Chapter 2 addresses a general view of the contents, Chapter 3 examines rhetorical features, based on this, Chapter 4 draws out Cho, Chan-han`s pros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characteristics of 「Sinroo Sangryangmun」, a contrast study on it and 「Sinroogi」. 「Sinroo Sangryangmun」`s contents follow general contents structure of Sangryangmun(上樑文), consisting of a general argument for habitation and a prologue of the need for divine architecture, practices and preparation process for Sinroo construction, original saying depicting its scene after Sinroo(蜃樓) construction and Yukwisong(六位訟) blessing for the six sides such as North, South, East and West, Top and Bottom, and closing remarks saying praying for peace and stability. Though its way is different from that of「Sinroogi」 written in a concise narrative form, it`s the same as emphasizing the value of Sinroo where is Yeominhaerock(與民偕樂)`s space.「Sinroo Sangryangmun」 `s rhetorical techniques are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Byounmun style focusing on the balance and harmony of meaning, number of characters, syllables. Yet, its techniques are to have a variety of rhetorical devices in developing the contents which may be liable bored and to do colorful and rich contents development.「Sinroo Sangryangmun」`s rhetorical techniques which are to emphasize Byounmun style`s Yutang beauty and vocabulary beauty have the opposite pattern of those of 「Sinroogi」which are to focus on Gomun (古文) style`s beauty of brevity by delivering a clear message with Wooeon (寓言) and parody techniques. With respect of Cho, Chan-han`s prose characteristics see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first there are a lot of literature-oriented writing features in terms of coverage. Second, the ability of delivering contents is improv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of writing properly. Third, there are a lot of _Zhuangzi(莊子)_`s express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

        滄溪의 시문과 학술에 대한 일고찰

        심경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滄溪 林泳(1649~1696)은 17세에 李端相에게 수학하기 시작한 후, 13년 연상의 외숙 趙聖期, 金昌協 등과 학문적으로 깊이 토론하는 한편, 소론의 朴世采, 南九萬과도 가까이 지냈다. 임영은 젊어서 경전 대문과 朱子 註와 大全本 小註까지 숙독하고 主一工夫를 專習했다. 동시에, 騈文을 익히고, 《事文類聚》를 열람하여 典故에 밝았다. 1688년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이후 이조참의에 이르기까지 知製敎를 兼帶하면서 館閣文을 다수 製述했다. 이로써 창계는 일생 騈文, 程式詩, 述志詩 등에서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다. 임영은 ‘因文入道’의 학자로 손꼽힌다. 이는 詞章에 주목했지만 사장에 매몰되지 않고 사장을 도구로 삼고 사장을 극복하고 도학을 닦았다는 뜻이다. 본고는 《창계집》 수록의 시문과 경해, 《辛酉日錄》 등의 과거 관련 기록을 통해 임영의 격물치지와 하학상달의 공부법 확립과 그 문학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Ch'ang'gye (滄溪) Yim Yŏng (林泳, 1649-1696) started studying with Yi Tansang (李端相) at the age of seventeen. He also had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with Cho Sŏng'gi (趙聖基) and Kim Ch'anghyŏp (金昌協). Additionally,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Pak Sech'ae (朴世采) and Nam Kuman (南九萬) who were members of the Soron (少論) faction. In his early age, Yim perused not only the main text of the Confucian Classics but also the commentaries by Zhuxi and the minor commentaries to practice the idea of ‘staying focused by forgetting distractions’ (主一無適). At the same time, he also learned to write Pianwen (騈文, parallel prose) and read The Shiwen leiju (事文類聚, a classified collection of historical and literary texts). These sources provided him with a wealth of knowledge on ‘Diangu’ (典故, ancient events or stories in literature). He also composed several ‘court literature’ (館閣文) during his tenure as Chijekyo (知製敎, Overseer of the Drafting of Royal Edicts) while holding various positions from Sŏnggyun’gwan taesasŏng (成均館 大司成, the chancellor of the National Academy) to Ijo ch’amŭi (吏曹參議, the third minister of Personnel). In this way, he established a distinct literary world that encompassed parallel prose, Civil Service Examination poetry (程式詩), and poetry expressing aspirations (述志詩) during his lifetime. He is considered a scholar who ‘achieved the way through literature’ (因文入道). This means that he primarily practiced Confucianism and used literature as a tool for his learning although he also paid attention to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Yim's understanding of ‘gewu zhizhi’ (格物致知,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and xiaxue shangda (下達上學, study the lower to arrive at the higher), and how it is reflected in his literature, based on his literary works an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which are included in his collection Ch'ang'gyejip (滄溪集), as well as his record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his Sinyu Illok (辛酉日錄).

      • KCI등재

        玄洲 趙纘韓 散文의 硏究 -17세기 초 文壇의 風情과 관련하여-

        김우정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e mid-Choso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blinking period that had been a great diverse literary aspect in th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Even though influence of Con -fucianism that set low value on the literature had been intensified, but a unrestricted literary spirit which had formed in the 15th century was maintained it’s inertia even in this period. A case of proses, There were formed afresh restorative style’s currents united Tang-sung writings that has been superior position with Qin-Han writings. However the advent of restorative prose w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a leader of restorative school as Li panlong and Wang shizhen who were predominated over the Ming Dynasty’s literary arena. therefore up to the present, the former researches inferred Cho Chanhan’s prose had a restorative style undoubtedly, because He was appraised a Mr. Li and Wang with a favorable eye. But in view of the results about his articles so far achieved, There was not found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restorative prose as a strange and concise style, partition and inversion of wording, ambiguous quotation and metaphor et cetera. For that reason, we could realized that Mr. Cho’s concern on restorative school was restrained under certain restricted level. But even though a critics recognize Mr. Cho as a restorative author, because he wrote Cifu(辭賦) and Pianwen(騈文) which was disregarded by the then author much more than prose, so that accomplished unique and antique style literary world. 우리나라 한문학에 있어서 조선전기와 후기를 가름하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은 다양한 문학적 양태들이 공존하며 명멸했던 시기였다. 비록 사상적으로는 문학의 의의를 소극적으로 파악하는 성리학의 영향력이 심화되는 추세였지만, 15세기에 만개한 자유로운 문학 정신은 이 시기에도 그 관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다. 산문의 경우, 오랜 시간 절대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唐宋文에 秦漢文이라는 학습목록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복고적 경향을 띤 산문이 창작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고적 산문이 출현하는 데에는 당시 明代 文壇을 풍미하던 李攀龍·王世貞 등 복고파의 문학론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기에 이들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취하였던 趙纘韓의 산문도 당연히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 종래의 판단이었다. 그러나 조찬한의 작품을 살펴 본 결과, 복고적 산문에서 발견되는 기이하고 간결한 문체, 자구의 할렬과 도치, 모호한 인용과 비유 따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前後七子에 대한 조찬한의 관심은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문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조찬한을 굳이 복고적 작가라고 규정할 수 있다면, 이는 그가 당시의 작가들이 해묵은 양식이라고 외면하던 辭賦와 騈文을 고문보다 더 많이 지을 정도로 창작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옛스런 취향이 돋보이는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滄溪의 시문과 학술에 대한 일고찰

        沈慶昊 ( Sim Kyung-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滄溪 林泳(1649~1696)은 17세에 李端相에게 수학하기 시작한 후, 13년 연상의 외숙 趙聖期, 金昌協 등과 학문적으로 깊이 토론하는 한편, 소론의 朴世采, 南九萬과도 가까이 지냈다. 임영은 젊어서 경전 대문과 朱子 註와 大全本 小註까지 숙독하고 主一工夫를 專習했다. 동시에, 騈文을 익히고, 『事文類聚』를 열람하여 典故에 밝았다. 1688년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이후 이조참의에 이르기까지 知製敎를 兼帶하면서 館閣文을 다수 製述했다. 이로써 창계는 일생 騈文, 程式詩, 述志詩 등에서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다. 임영은 ‘因文入道’의 학자로 손꼽힌다. 이는 詞章에 주목했지만 사장에 매몰되지 않고 사장을 도구로 삼고 사장을 극복하고 도학을 닦았다는 뜻이다. 본고는 『창계집』 수록의 시문과 경해, 『辛酉日錄』 등의 과거 관련 기록을 통해 임영의 격물치지와 하학상달의 공부법 확립과 그 문학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Ch'ang'gye (滄溪) Yim Yŏng (林泳, 1649-1696) started studying with Yi Tansang (李端相) at the age of seventeen. He also had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with Cho Sŏng'gi (趙聖基) and Kim Ch'anghyŏp (金昌協). Additionally,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Pak Sech'ae (朴世采) and Nam Kuman (南九萬) who were members of the Soron (少論) faction. In his early age, Yim perused not only the main text of the Confucian Classics but also the commentaries by Zhuxi and the minor commentaries to practice the idea of ‘staying focused by forgetting distractions’ (主一無適). At the same time, he also learned to write Pianwen (騈文, parallel prose) and read The Shiwen leiju (事文類聚, a classified collection of historical and literary texts). These sources provided him with a wealth of knowledge on ‘Diangu’ (典故, ancient events or stories in literature). He also composed several ‘court literature’ (館閣文) during his tenure as Chijekyo (知製敎, Overseer of the Drafting of Royal Edicts) while holding various positions from Sŏnggyun’gwan taesasŏng (成均館 大司成, the chancellor of the National Academy) to Ijo ch’amŭi (吏曹參議, the third minister of Personnel). In this way, he established a distinct literary world that encompassed parallel prose, Civil Service Examination poetry (程式詩), and poetry expressing aspirations (述志詩) during his lifetime. He is considered a scholar who ‘achieved the way through literature’ (因文入道). This means that he primarily practiced Confucianism and used literature as a tool for his learning although he also paid attention to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Yim's understanding of ‘gewu zhizhi’ (格物致知,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and xiaxue shangda (下達上學, study the lower to arrive at the higher), and how it is reflected in his literature, based on his literary works an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which are included in his collection Ch'ang'gyejip (滄溪集), as well as his record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his Sinyu Illok (辛酉日錄).

      • KCI등재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심경호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Pianwen(騈文) has a strict rhyme structure with tonal pattern transposition, couplets, and synchronization of phrase-end tonal patterns in connected stanzas. Furthermore, it pursued splendor with complex literary quotations. In ancient state era Korea, rhetoric of Pianwen and classical Chinese culture were adopted simultaneously, forming distinctive aesthetics. Meanwhile, Pianwen was partly applied to passages of Idu scripts and classical Chinese literary works. This article traced development of Pianwen in pre-modern Korea, illustrating examples of such literary works in various categories, e.g. ①bestowed or tributed literary works, ②ceremonial works, ③examination papers and diplomatic documents, ④Buddhistic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⑤various applications of Pianwen style. In pre-modern Korea, Pianwen was used in epigraphs and diplomatic documents from around 7th century. Circa 654 CE (14th year of Uija of Baekje), an epigraph of Sat'aekchijŏkpi(砂宅智積碑) used Pianwen style couplets and tonal pattern transposition. Sasan Bimyŏng(四山碑銘) by Choe Chiwon in North-South Period was composed of a Pianwen style preface and an inscriptive poem with variation of rhyme. Pianwen style was prominent in North-South Period and the early Goryeo. In the late Goryeo, Choe Hae(崔瀣) compiled Tonginjimunsaryuk(東人之文四六).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Pianwen used in court occasions, e.g. political and diplomatic affairs, or ceremonie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Pianwen was criticized by intellectuals because of its stylistic restrictions. However, it had been valued in a transcription field due to following three reasons. (1) From Six Dynasties to Tang, Song, Yuan, Ming, Qing, every ordinances and addresses to the throne used Pianwen, and responsive works for royal demand are also required to apply couplets and rhyme. These literary works are called court literature. In China, conventional court literature had used Pianwen style rather than classics style. Even Ouyang Xiu and Su Shi of Classics school used Pianwen when they draft appointment certificates. In Korea, court literature was used frequently in the same manner. (2) Pianwen style was used in diplomacy to China, especially in imperial correspondences(表箋). Qing specified the format of a document, however, its format was altered every time a new emperor accede. Therefore, intellectuals needed to brush up their ability to compose such works, and tested proficiency of Pianwen in a civil service examination. (3) Pre-modern readers-intellectuals of Korea secured a literary hegemony by mastering tonal pattern and rhyme of literature. Pianwen style that apply such methods was rated high. An ability to compose a ceremonial address for the completion of the main beam was considered as a high- class cultural act. Even in classical writings, Pianwen style couplets are often used.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a realm of Buddhist intellectuals. 騈文은 평측 교대와 對偶를 지키며, 聯과 聯의 연결 시 句末 평측을 동일하게 하는 등 外在律이 까다롭다. 이와 더불어 典故를 번다하게 사용하여 華美를 추구했다. 한국에서는 고대국가 시기에 중국의 한문문화를 수용하면서 변문의 서사법을 동시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미학을 완성시켜 나가는 한편, 이두식 한문문장과 한문 고문의 행문에도 부분적으로 변문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변문이 발달한 역사를 추적하고, 실제 문장에 활용된 예들을 부류별로 나누어 예시했다. 즉 ① 변려체 변문 下行文字와 上行文字, ② 변문 儀式文字: 상량문의 예, ③ 科表 부과에 따른 변문 중시, ④ 불가한문의 변문, ⑤ 고문 행문의 변문 투식 대우법 활용 등이 그것이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는 7세기 경부터 변문이 금석문과 외교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654년(의자왕 14) 경 「砂宅智積碑」의 비문은 사륙변려체 즉 변문을 의식하여 대우법을 맞추고, 평측 교대법을 의식했다. 남북국 시대 신라의 최치원이 지은 四山碑銘은 변문의 序와 換韻의 銘으로 이루어졌다. 남북국시대와 고려 초에는 변문이 우세했다. 고려 말 崔瀣는 東人之文四六을 엮었다. 조선시대에도 조정의 정치와 외교, 상량식 등에서는 변문을 사용했다. 변문은 형식적 구속성 때문에 문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렇지만 다음 세 가지 이유에서 書寫 영역에서 줄곧 중시되었다. (1) 육조 이후 당ㆍ송ㆍ원ㆍ명에서 청초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詔誥表章은 모두 변문을 사용했다. 또 應製 등 館閣文章은 聲律을 강구하고 對偶를 활용하여야 했고, 그 문체는 변문이 중심이었다. 고문가 구양수와 소식도 制誥를 草할 때 고문을 사용하지 않고 변문을 사용했다. 한국의 고대국가, 고려, 조선 전기에서도 조정의 奏章이나 응제문은 변려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다. (2) 중국과의 외교에서 긴요하게 이용된 表箋은 변문으로 작성했다. 청나라는 표전의 서식을 정해 주었으나, 새 황제가 등극할 때마다 서식을 개변했으므로, 관각 문인들은 표전 제작의 능력을 연마해 둘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과거시험에서도 줄곧 변려 제술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시험이 부과되었다. (3) 근대이전 한국의 독서-지식층은 평측법과 압운법을 장악해서 문학적 역량을 온축함으로써 문자권력을 장악했다. 따라서 평측법을 行文에 활용하는 변려의 문체는 여전히 존중되었다. 더구나 지역 사회나 공공 정치영역에서 변문 등 상량문 제작 능력은 고급 문화역량으로 간주되었다. 산문의 고문에서도 변문 투의 連句를 활용하는 일이 많았다. 불가 지식층 사이에서도 변문의 제작 능력은 문자활용의 습숙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었다.

      • KCI등재

        이황의 表箋과 上樑文

        심경호(Sim, Kyung-ho)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본고는 퇴계집 권44에 수록된 表箋과 上樑文 작품을 중심으로 퇴계의 騈文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토 분쟁을 둘러싼 명나라와의 외교의 장에서 작성된 퇴계의 表箋은 어떠한 외교적 메세지를 담고 있으며 그 목적의식은 달성되었을까. 경복궁 화재 후 동궁과 사정전의 중건 후 작성된 두 상량문은 국가 경영과 관련된 어떠한 중요한 이념을 담고 있으며 그 사회문화적 기능은 무엇이었을까. 국왕의 선물 하사 받은 후 올린 謝箋과 관직의 제수를 완곡하게 거부하는 辭命箋에서 퇴계는 어떠한 레토릭으로 자신에 기대어 자신의 謝意와 謙退의 뜻을 적절히 표현했을까. 본고는 이러한 의문을 바탕으로 퇴계집에 수록된 다음과 같은 퇴계의 변문 작품을 분석하기로 한다. 表文으로는 조선과 명 사이의 긴요한 외교 사안에 대해 외교용 표전으로서 작성된 「夾江禁耕謝恩表」, 「謄黃謝恩表」을 분석한다. 箋文으로는 55세 되던 1555년 2월 병으로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명종이 음식물을 하사한 것에 대해 올린 「謝賜食物箋」, 70세 되던 1570년 치사를 청하기 위해 정월, 3월, 9월 세 차례 올린 세 편의 「乞致仕箋」을 검토한다. 상량문으로는 1553년 9월 경복궁에 화재가 난 후 이듬해 동궁과 사정전이 중건될 때 제진한 「東宮上樑文」과 「思政殿上樑文」을 분석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oegye s pianli-wen (駢儷文) writings focused on Biaojian (表箋) and Shangliang-wen (上樑文)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Toegye’s Works. What was the diplomatic message contained in his Biaojian works written in the chapters of diplomacy with the Ming Dynasty over territorial disputes, and was the purpose achieved? What was the ideology for state management contained in the two Shangliang-wen writings composed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Tonggung Hall and Sajŏongjŏn Hall after the fire at Kyŏngbokgung Palace and what were their socio-cultural functions? What were his rhetorical strategies in his Xiejian (謝箋, letter of gratitude) with which he expressed his gratitude for the king s gift, and in his Cimingjian (辭命箋, letter of rejection of the order) with which he obliquely refused to accept the official position?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following Toegye s pianli-wen works contained in in his Collection of Toegye’s Works. Among Biao-wen (表文), we will look into “夾江禁耕謝恩表” and “謄黃謝恩表” both written as diplomatic documents on important diplomatic issues between Chosŏn and Ming. Among Biao-wen (箋文), we will consider “謝賜食物箋” with which he expressed his gratitude for King Myŏngjong s offering of food after his resigning in February 1555, at the age of 55, and series of “乞致仕箋” which were submitted three times i.e. January, March and September in 1570 at his age of 70 to clarify his resignation. Among Shangliang-wen, we will analyze “東宮上樑文” and “思政殿上樑文” that were compoesd when the Tonggung Hall and Sajŏongjŏn Hall were reconstructed in September 1553.

      • 『東文選』문체 분류의 성격

        김종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문체 분류 자료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료들이 지니고 있는 분류기준과 방법, 성격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만 각 자료가 지닌 문체 분류 개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당연히 논의되었어야 했음에도 지금까지 한번도 본격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동문선』이 지니고 있는 문체 분류기준과 방식 그리고 그러한 기준과 방법으로 형성된 『동문선』문체 분류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동문선』은 문학의 형식을 분류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장을 분류함에 있어서 먼저 辭賦·詩·文의 문장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治敎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지닌 문장들을 모아 형식 분류하였다. 文類들을 나열하는 순서에 있어서도 辭賦→詩→騈體의 奏議類→散文體의 文類→有韻文인 儒彿道의 哀祭類와 같이 형식별로 나열하여 형식 분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보여 주고 있다. 다음으로 『동문선』은 文類를 제시하고 그 아래에 직접 문장을 제시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選文層次 분류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문체론이나 子目분류 없이 문장을 선집하여 직접 제시하는 선문층차 분류 방식은 詩文의 형식적 다양성을 문체론이나 자목의 제시 없이 선문된 문장으로 직접 보여주는 것이다. 『동문선』 편찬자들은 바로 이러한 선문층차 분류방식을 이용하여 중세 한문학의 다양한 형식적 모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동문선』은 騈文과 散文의 문류들을 균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騈散兼宗의 문체 분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동문선』이 문체 분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류들을 살펴보면 "詔勅→敎書→制誥→冊→批答→表箋→啓→狀→露布→檄書→箴→銘→頌→贊→奏議→箚子→文→書→記→序→說→論→傳→跋→致語→辨→對→志→原→牒→議→雜著→策題→上梁文→祭文→祝文→疏→道場文→齋詞→靑詞→哀詞→뢰→行狀→碑銘→墓誌"와 같이 분류되어 나타나고 있다. 詔勅에서 箚子까지는 四六의 騈文인 奏議類 문장이고, 文에서 策題까지는 文藝文으로서 산문의 형식을 가진 문류이고, 上梁文에서 墓誌까지는 의례에 사용되는 有韻文의 형식을 가진 문장들이다. 이렇게 『동문선』은 騈文문류와 散文문류 그리고 有韻文문류를 모두 포함하는 병산겸종의 성격을 나타낸다. 이상의 논의 결과로 『동문선』이 『문선』의 체계를 본받았다는 평가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시문선집들이 지니는 분류기준과 자료형태라는 보편성의 측면에서는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시문선집이 자료로서 지녀야 하는 개성적인 측면 즉 문체 분류 방식과 그 성격에 있어서는 『문선』과는 선명한 차별성을 지닌 개성적 문체 분류 자료라는 것이다. In studying the material for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each work would be shown only when the standard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specific character, and so on should be precisely suggested.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Dongmoonseon which have not genuinely been discussed once so far even though they should have been done. First of all, Dongmoonseon used a form of literature as classification standard. On classifying the sentences, they were classified after collecting the useful sentences to teach people, having the forms of writings such as Sabu, poetry, and prose as subject. According to the order arranged the kinds of sentences, it shows the clear position to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by plac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like Sabu -->poetry -->Joouiryoo of Byeonche -->sentences in prose -->Aejeryoo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 Yoowoonmoon. Next, Dongmoonseon takes the simplest way of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type of sentence and presents the sentence below it directly. The way of classification like this shows the formal variety of poetry and prose with the anthologized sentences straightly without presenting stylistics or Jamok. The compilers of Dongmoonseon tries to systematically show a variety of form of Korean literatures during the medieval times by using this way of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Dongmoonseon is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like Byeonsangyeomjong, which equally and generally includes all the types of sentences such as Byeonmoon, prose, and Yoounm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