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불교 상장례(喪葬禮)

        문상련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본 논문은 고려 묘지명 중 재가자의 묘지명을 바탕으로 임종의례와 시다림, 다비의례 등 불교 상장례 전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임종의례의 경우, 불설관무량수불경과 불설무량수경, 불설아미타경 등에 근거한 십육관(十六觀)과 십념(十念)이 통일신라 이래 고려에 전습되었으며, 8세기 초반에 신라에 유입된 불설무상경은 고려시대 재가자의 임종 행법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하였다. 한편 시다림 행법의 경우 범망경에 근거한 신라시대의 예와 함께, 불설관정수원왕생시방정토경에 따른 시다림 행법이 고려시대에 행해졌음을 말하였다. 한편 삼국 이래 행해진 다비는 고려시대에 민간에까지 확산되었음을 말하는 가운데, 이차장(二次葬)과 관련해 고려시대에 시행된 권안(權安)의 예와 의미를 설명하였다. 또한 묘지명에 기록된 묘장다라니(墓葬陀羅尼)의 전통과 관련해 불설관무량수불경 내지 현밀원통성불심요집 등이 고려 묘지명 내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분 출토의 범자경(梵字鏡) 역시 묘장다라니의 한 예로서 불교 상장례의 한 요소가 되었음을 말하였다. This study surveys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uals(喪葬禮) by examining epitaphs(墓誌銘) of lay Buddhists of the Goryeo period. As for deathbed rites(臨終儀禮), the sixteen meditations(十六觀) and ten recollections(十念) based on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Sukhavati-vyuha Sutra(佛說無量壽經), and Amitabha Sutra(阿彌陀經), which had been practiced in Korea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performed. The Anityata Sutra(無常經), transmitted to Silla in the early eighth century, appears to have impacted deathbed rites of lay Buddhists during the Goryeo period. A funerary rite, known as Sitarim(屍多林) and based on the Dharma Net Sutra(梵網經), was performed in the Silla period, and another practice following the teaching of the Foshuo guanding suiyuan wangsheng shifang jingtu jing(佛說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 was also carried out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cremation(茶毘), which began to be practi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adopted by lay Buddhists in the Goryeo period. This study also examines cases of “kwonan(權安),”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temporary placement of the body at Buddhist temples, and elaborates upon its meaning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secondary burials(二次葬). With regard to the practice of funerary dharani(墓葬陀羅尼), it shows that the 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佛說觀無量壽佛經) or Xianmi yuantong chengfo xinyao ji(顯密圓通成佛心要集) influenced the contents of Goryeo epitaphs. It further demonstrates that bronze mirrors with Sanskrit letters(梵字鏡) found within tombs were also formed a part of Buddhist funerary and burial rites during the Goryeo.

      • KCI등재

        농소고분(農所古墳) 다라니관(陀羅尼棺)과 고려시대 파지옥(破地獄) 신앙

        이승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Inscriptions of Buddhist mantras and dhāraṇīs were put into Chinese tombs on behalf of the deceased from the Tang dynasty onward as the fear of postmortem judgment and punishment at ten courts of hell was firmly established. Such notion of the afterlife and the practice of putting dhāraṇī inscriptions in tombs seem to have been received by Korean Buddhist by the beginning of Goryeo (918‒1392).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use of dhāraṇīs on the funerary objects and structures during the Goryeo period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a wooden coffin excavated in 2014 from a tomb located in Nongso‒myeon, Ullim‒ri, Sunchang‒gun, North Jeolla Province. The coffin bears inscriptions of the “Six‒Syllable Mantra of the Luminous King” (Oṃ maṇi padme hūṃ) and the “Mantra for Shattering Hell” (Oṃ karadeya svāhā) on its lacquered exterior walls. While defining the dhāraṇī coffin from Nongso Tomb as one form of funerary dhāraṇīs, this paper situates it i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such practice by comparing it with the Liao precedents. The dhāraṇī coffins from the Goryeo and Liao tombs attest that the Buddhist of the time practiced mantras and dhāraṇīs promising salvation of the deceased from hell during their lifetime and beyond. The dhāraṇī coffin from the Nongso Tomb further shows that the Goryeo Buddhist opted for the “Mantra for Shattering Hell” (Oṃ karadeya svāhā) that is seldom attested in the Liao funerary context. It proposes that the mantra may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s part of the food bestowal ritual and incorporated into funerary context. 불교가 사회전반에 큰 영향력을 미쳤던 고려시대에는 화장 이외의 불교적 요소도 상장례에 수용됐기 때문에 주목을 요한다. 이 논문은 2014년에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운림리 농소고분(農所古墳)에서 발굴된 목관의 검토를 통해 고려시대에 수용된 불교적 내세관과 다라니 신앙의 양상을 살펴봤다. 외면에 옻칠을 한 이 목관 위에는 범자(梵字)로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과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이 가득 서사돼 있어서 출토 직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농소고분 출토 다라니관을 중국에서는 당대에 출현한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한 변형이라고 보고, 요대 묘장 다라니의 흐름과의 연결선상에서 살펴봤다. 요와 고려의 분묘에서 발견되는 다라니관(陀羅尼棺)은 당시 사람들이 지옥의 고통을 해소해준다고 약속하는 많은 진언 다라니를 생전에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자신의 몸을 눕힐 분묘 속에도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고려후기 목관에 서사된 파지옥진언의 계통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고려, 조선시대에 수용된 파지옥진언이 당과 요대에 유행했던 지거여래파지옥진언과는 다른 계통이었다는 점을 밝히고, 우리나라에서 선호됐던 파지옥진언은 시식의례와의 관련선상에서 전해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그간의 연구에서는 명확하게 논의되지 못 했던 한국 파지옥진언 신앙의 수용과 양상의 일면을 논구하고, 고려시대의 장의미술에 반영된 불교적 내세관과 묘장 다라니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