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조운성(Cho Un-Seo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8

        이 글은 『동국정운』 음의 연원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조운성(2010)에 이어서 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을 전반적이고도 정밀하게 비교하여, 그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거요의 겉 체계인 반절 체계와 달리, 속 체계인 자모운 체계는 거요 편찬 당시의 현실음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이 거요의 218자모운을 정운의 192운류와 전반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魚:侵운의 정치음 2등자가 독립되고, 江운의 知:莊계자가 합구로 되었으며, 果섭 개구 3등자가 麻운 3등자와 합쳐지는 등 부분적인 대응을 보이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정운의 운모 체계는 거요의 자모운 체계를 따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 study of a comparison of the 「Zimuyun(字母韻)」 in the 『Gujiny unhu ijuyao(古今韻會擧要)』(1297 ) and the rhymes of the 『Donggukjeongun(東國正韻)』(1447). The Zimuyun system represents the real sounds of the late thirteenth century in China. In this paper, the rhymes of the Donggukjeongun are compared with the Zimuyun to shed light on the source of phonological system of the Donggukjeongu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confirmed that the rhymes of the Donggukjeongun didn’t follow the Zimuyun system with a few exception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자연학』 2권, 4-6장에서의 운과 자동성

        이영환(Lee, Yung-Whan)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이 논문의 주제는 아리스토텔레스가『자연학』 2권, 4-6장에서 개진하고 있는 운(τ?χη)과 자동성(α?τ?ματον)에 대한 설명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설명에 대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지금까지의 주석가들의 해석을 검토하고 새로운 대답을 내놓는다. 1) 운 좋게 생긴 일의 대표적인 예로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들고 있는, 시장에 갔다가 자신의 채무자를 만나게 된 채권자의 이야기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보기에 운으로 말미암은 일은 정확히 무엇인가? 2) 여기에 (구체적으로는, 196b21-22) 등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무언가를 지향하는’ (?νεκ? του)에 대한 설명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정의는 과연 어떤 것인가? 이 세 문제들은 사뭇 다른 문제들이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운과 자동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하려고 할 때 사실상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한꺼번에 다룰 수밖에 없는 문제들이다. 각각의 문제에 대해 필자의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운 좋은 채권자의 예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일차적으로 운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여기는 것은 채권자가 채무자를 만났다거나 그로부터 빚을 받은 일이 아니라 채권자가 시장에 간일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일차적으로 운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여기는 일은 많은 연구자들이 생각하듯이 행위의 어떤 좋은 결과가 되는 그런 일이 아니라 오히려 목적하지 않은 결과에 도달하게 된 행위이다. 2) 196b21-22에 등장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νεκ? του’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기 위해 로스 등이 도입하는 비표준적 해석 - 보통의 ‘무언가를 목적으로 가지는’ 보다 더 넓은 외연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는 -을 채택할 필요가 없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운의 본격적인 정의는 다른 연구자들이 생각한 것처럼 5장의 중간에 이미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장의 말미(197a32-35)에서야 비로소 등장한다. In this paper, I discuss Aristotle’s account of luck (τ?χη) and chance (α?τ?ματον) in Physics II. chapters 4-6. The passage in question has been much discussed by Aristotelian scholars but there are many issues that need reconsidering. I closely read the passage, especially chapter 5, line by line and discuss issues that come along. Particularly, I pose the following questions and suggest answ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interpretation adopted by scholars such as Ross: 1) What exactly is the thing that is due to luck, in the story of a lucky creditor, Aristotle’s paradigm example of a lucky incident? 2) How should we understand Aristotle’s explanation of ‘for the sake of something’ (?νεκ? του)? 3) What is the (fullest) definition of luck (and chance) Aristotle provides in these chapters? My answers are: 1) The (primary) thing due to luck in the example of the lucky creditor is not his meeting the debtor or getting his money back but his going to the market. 2) An ad hoc interpretation of ?νεκ? του is unnecessary. 3) Aristotle’s fullest definition of luck appears only in the last part of the chapter in 197a32-35.

      • KCI등재

        운재(芸齋) 윤제술(尹濟述)의 교육(敎育)과 정치사상(政治思想)

        이은혁 ( Lee Eun-hyu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본고는 현대의 교육과 정치사에서 큰 족적을 남긴 芸齋 尹濟述(1904∼1986)의 교육사상과 정치사상을 논한 것이다. 운재는 어린 시절부터 유가경전을 섭렵하고 志學의 나이에 계화도의 艮齋 田愚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으며, 신학문으로 전향하여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25년간 교육계에 종사하였고, 광복 후 정계에 투신하여 연6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가이다. 운재는 구학문에서 신학문으로, 교육자에서 교육가로, 교육가에서 정치가로 거듭나며 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운재의 교육사상은 한마디로 ‘진실’ 즉 ‘誠’이다. 진실은 ‘毋自欺’ 또는 ‘無自欺’로 대치할 수 있다. 운재는 誠을 교육이념으로 삼고 구체적인 실천이념으로서 ‘誠以貫之’를 제시하였다. 誠으로 일관하는 교육이야말로 시대의 요청이며 ‘진실’보다 더 깊은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는 확신 때문이었다. 운재는 자신의 교육이념인 誠자를 ‘忠’과 ‘盡己’로 부연한다. 모두 유학적 개념으로 내면적 진실성과 관련이 있는 한자이다. 운재의 교육이념이 ‘誠’을 넘어 ‘忠’으로 확장되고 ‘盡己’로 구체화되면서 보다 실천적인 교육이념이 되었다. 운재는 간재선생의 일생은 ‘勤과 誠의 표본’이라고 역설하며, 운재가 일생 교육의 모토로 삼아 실천해왔던 誠이 간재의 학문 태도에서 본받았다는 점은 교육자의 수범적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운재의 정치사상은 유가의 德政에 기반을 두고 있다. 당시에 직면한 국가적 위기와 사회적 문제는 근본적으로 도덕정치를 통해서만 해결가능하다고 보았다. 교육이나 정치나 공히 사람을 바로하기 위한 것이며, 올바른 사람이 구성원을 이루어 사회와 국가를 이루고, 그런 건실한 사회와 국가에서 온전한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순환론적 세계관이 자리한다. 운재는 정치에서 出處觀을 분명히 하고 선비정신을 중시하였다. 운재의 정치사상은 덕을 강조하고 출처를 분명히 하며 절의를 지킬 줄 아는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삼는 것이지만, 정치는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정치와 교육이 근본적으로 동일한 목적을 가질 때 사회적 혼란을 해결할 수 있으며, 국가의 안녕과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고 믿었다. 현대사에서 운재는 진실한 교육가이자 올곧은 신념과 굳은 강단을 지닌 보기 드문 선비정치인으로 회자되고 있다. 시대가 변했지만 그가 어린 시절부터 익힌 유학 정신은 결코 퇴색함이 없었다. 급변하는 현실에서도 진실과 정의의 가치는 지켜져야 한다는 것을 몸소 실천하였다. 桎梏의 시대에 굴하지 않고, 교육과 정치에서 일관되게 유학 정신을 몸소 실천한 것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큰 의미를 안겨준다. This paper presents a discussion about the life and ideology of Woonjae Yun Je-sul that left a significant market in th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and politics. He was well-read i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s a child and started to study under Ganjae Jeon Woo in Gyehwado at the age of 15. He later moved to Japan where he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Tokyo Higher School of Education. He served in the community of education for 25 years and devoted himself to the political world after Liberation. He becam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hat served six straight terms. He kept evolving from a scholar of old study to that of new study, from a teacher to an educationist, and from an educationist to a politician, leaving a huge mark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His educational ideology can be summarized in one word "truth" or "Seong (誠)." Truth can be replaced with the "state of no deceiving oneself." He took "truth" as his educational ideology and proposed a specific idea of practice that was "being consistent with truth and sincerity." It came out of his conviction that it was an answer to the request of the times and that there could be no more profound teaching than "truth." He then elaborated on his educational ideology with "loyalty" and "Jingi," both of which are Confucian concepts and have something to do with internal truthfulness. "Truth," which he practiced as a lifelong motto for education,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a teacher to set an example with his or her act. Yoon's political ideas were based on the moral politics of Confucianism. He believed that Joseon would be able to solve the national crisis and social issues only through moral politics basically. He had a circular view of the world, which maintained that both education and politics should help to set people right and that right people should make up the society and the state and enjoy a full happy life in the society and the state. Leading a political life, he made clear sources and put an emphasis on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Although his political ideology emphasized morality, made clear sources, and was based on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that remained loyal to their principles, he claimed that politics must have an educational purpose. It was his belief that politics and education could resolve social confusion and ensure the well-being and happy life of the nation when they fundamentally had the same purpos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Yun Je-sul is considered as a truthful educationist and politician that practiced his straight faith and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Although the times changed, he did not let the Confucian spirit that he learned as a child fade away. He practiced himself the idea that the value of truth and justice should always be guarded even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He did not succumb to the dismal times and practiced the Confucian spirit consistently both in education and politics,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to modern people today.

      • KCI등재

        韻書史上 宋⋅元代의 時代的 價値와 정확한 認識

        왕옥지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5 No.-

        本文針對宋元兩代在歷代韻書史上所具有的時代性價値, 進行了一番全面性的考察. 幷對於『古今韻會擧要』⋅『蒙古字韻』⋅『中原音韻』重新作了一番糾正. 導出一些新的結果, 將結論略述如下. 1. 宋代建國三百一十九年, 一半的期間中國北方被異民族統治, 接着八十九年的期間中國 全國最初處於異民族的統治下, 宋元兩代在中國韻書史上, 出現了『切韻』的最後增訂本, 科試實用本, 傳統韻書在編纂上起了變化, 甚至誕生了劃時代性的又革新的各種韻書. 除了『切 韻, 宋元兩代是中國韻書史上最有價値的時代. 2. 宋『廣韻』不但持續了四百多年的中國古代標準語之脈, 而且, 在以隋唐兩代爲中心遵守古今南北漢字音, 具備標準語音的規範上, 可以說是中國最初, 也是最後的一本韻書. 3. 宋代是中國最初依皇命纂韻書的時代, 也是最初實行中國古今南北以及禮部科試等漢字讀音統一政策的時代. 4. 隨着韻書語言和實際語言之差激烈現象, 韻書韻目的減少也是宋代韻書的現象. 5. 『古今韻會擧要』(1297年)⋅『蒙古字韻』(1308年)⋅『中原音韻』(1324年)等韻書是 同時代具有獨創性的韻書. 它們是一本近代漢語官話語音體系和現代標準語的結晶體. 此外, 同時代出現的這三本韻書却以各自的立場反映了元代社會現象. 6. 宋代都市經濟發達, 都市商人和手工業者的文化興起, 官方對於這種工商業改變態度. 因此産生了對傳統文化革新的庶民文化. 到了異民族統治的元代發展的更加巨烈. 由此, 宋元兩代就出現了各種色彩的韻書. 則超四百餘年的“南北是非, 古今通塞”性格的韻書⋅應試作文性的韻書⋅等韻圖⋅近代詩韻⋅內外二重語音系統韻書⋅以一種新文學和特定地域爲中心韻書. 宋元兩代韻書可分爲① “南北是非, 古今通塞” ② 應試作文 ③ 等韻圖 ④ 使用等韻音韻原理的韻書 ⑤ 近代詩韻(106韻, 107韻) ⑥ 反映了創意性的體裁⋅編纂方式, 以及革新的語音系統的韻書 ⑦ 反映了北曲⋅北音等北方特定地域語音體系的韻書 ⑧ 以拼音文字八思巴表記漢字音的韻書 ⑨ 達成中國‘人造國語’⋅‘書面語言的標準和傳統’的韻書. 7. 『古今韻會擧要』的目的是在於反映內部語音系統上, 但它又考慮到傳統韻書, 所以 用‘舊甁新酒’的方式設定了外部語音系統. 可是, 『古今韻會擧要』的目的也在於反映外部傳統 語音系統上. 8. 『古今韻會擧要』⋅『四聲通解』都拿『蒙古韻略』的語音作比較作參考上來看, 當時流行於世的『蒙古韻』類韻書中, 『蒙古韻略』是一本官訂韻書可能性較大. 元至元六年(1269)頒布了八思巴文字, 忽必烈下了詔書, 幷以“有願充生徒者免一身差役”, “約量授以官職”等政治之力誘惑漢人等政策上看來, 可以推測『蒙古韻略』成書年代是1269年以後, 1292年 『古今韻會』以前. 則『古今韻會』的內部語音系統是根據『蒙古韻略』的. 9. 『蒙古字韻』在語音系統上, 和『古今韻會擧要』一樣反映了傳統和革新兩種語音系統, 但在編纂體裁上, 『蒙古字韻』却脫離了傳統韻書體裁而採取了又簡明又獨特的編纂方式. 10. 北音日漸强烈, 戲曲文學和北音韻書所盛行之因, 雖然在語音變化上, 但更重要的是因爲國家政策, 各種社會現象, 如宋代政策而盛行的庶民士大夫文化, 金和元代以北京爲首都, 蒙古族統治下的元代政策及社會現象, 因而北音盛行起來. 接着戲曲文學, 北音韻書也跟着盛行起來的. 中國音韻史上, 現在『中原音韻』的價値與『廣韻』一樣.所謂價値是隨着時代⋅國家政策⋅社會 ...

      • KCI등재

        오키나와 운가미(海神祭)와 오봉(お盆)의 관련성

        이현숙(Lee, Hyun-soo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5 No.-

        운가미는 오키나와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음력 7월 15일, 오봉 전후로 해신을 맞이하여 풍어와 풍작,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제사의식이다. 운가미가 오봉과 같은 기간에 행해지고 또 오봉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운가미를 오봉행사의 연장선상의 행사라는 인식은 거의 없다. 여기에 의문을 가지고 오봉과 운가미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운가미와 오봉은 조상제사와 관련이 있다. 운가미의 한자표기가 지금은 ‘海神’을 사용하지만, 이전에는 씨족의 조상신을 의미하는 ‘우지가미(氏神)’를 사용하였다. 또 운가미에 찾아오는 니라이카나이에 있는 신은 해신이 아니라 조상신이라는 점이다. 그 외에 운가미는 풍어뿐만 아니라 풍작을 기원하는 농경행사와 관련이 있다. 또 오키나와 오봉민속예능 행사인 에이사, 누바레, 하타스가시, 이타시키바레와 같이 조상신을 보내는 의례임과 동시에 악령(厄)을 쫓는 하라이(祓)의 의미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행사이다. 이상, 본 논문에서는 오봉관련 행사를 하라이, 농경과 조령행사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운가미와 오봉행사는 비슷한 시기에 행해지는 조령제, 농신제, 하라이의 의미를 가진 유사한 행사로 운가미는 오봉의 연속선상의 마을 공동체행사라는 것을 밝혔다. Ungami is a village rite in which people greet the god of the sea around Obong on July 15 of the lunar calendar, centering on the northern part of Okinawa, to pray for a good harvest and the well-being of the village. Although Ungami is performed during the Obong period and has similar meaning to Obong, there is no recognition that Ungami is an extension of Obong event. Questioned about this, we considered the relevant aspects of Obong and Ungami. First, Ungami and Obong are related to ancestral rites. In Chinese characters, ‘Haesin’ is now used, but in the past, ‘Ujigami’ meaning the ancestral god of the clan, was used. In addition, the god in Niraikanai, which comes to Ungami, is not a sea god, but an ancestral god. Other than that, Ungami is related to farming events that wish for a good harvest as well as a good haul. It is also a ritual to send ancestral gods such as Aisa, Nubare, Hatasugashi and Itashikibare, which is an event of Obong Folk Arts in Okinawa, and also has the common meaning of Hari, which is to chase away evil spirits. This paper examines Obong-related events in terms of purification, Harai, agriculture and ordination events, and reveals that Ungami and Obong events are similar events with the meanings of the ordinances, Nongshinje and Harai held at similar times, and Ungami is a community event on the continuous line of Obong.

      • KCI등재

        연안해운 운임인상에 따른 물가파급효과 분석

        윤재호(Yoon, Jae-Ho)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5

        연안해운은 국가교통물류시스템에서 중요한 기간운송망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연안해운은 2014년을 기준으로 7억5,600만 인km를 수송하면서 0.4%의 국내 여객운송을 분담하였고 1억1,792만 톤의 화물을 수송하면서 14.5%의 국내 화물운송을 분담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의 연안해운은 영세한 업계, 노후한 선박, 선원과 경영진의 고령화 같은 구조적인 문제들 때문에 심각한 경영압박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항해운이 수출의 첨병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부의 해운정책은 연안해운보다는 주로 외항해운에 치우쳐 있는 편이다.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안해운업의 중요성을 산업경제학(mesoeconomics)적 시각에서 살펴보 았다. 심각한 경영압박을 받고 있는 연안해운 업계가 정부의 여타 보조정책이 없이 스스로 적자경영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하여 불가불 급격한 운임 인상을 단행할 경우를 가정하여, 운임을 인상할 경우 그 충격이 국내 여타 산업들과의 산업 연관 관계를 통하여 교통물류산업의 비용 및 전산업의 물가수준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추계 결과, 연안해운 운임이 5% 증가할 때마다 국내 교통물류산업과 전산업의 산출물가는 0.0042%와 0.0192%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우리나라의 교통물류산업과 전산업의 산출물가는 각각 연평균 –2.07%와 0.88%씩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연안해운 운임이 5% 인상될 때 국내 교통물류산업의 산출물가가 0.0042% 증가하고 전산업의 산출물가가 0.0192% 증가하는 물가 파급효과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물가 충격임을 알 수있다. 이는 연안해운이 국민의 다양한 경제사회적 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여타산업을 지원하는 국가 기간물류망으로써 중간재(서비스)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Recently Korean coastal and inland shipping industry suffers from serious management pressure because of its small scale business on average, old and outdated ships, aging crews and business managers. As a result korean coastal and inland shipping industry as a whole recorded operating deficit at the amount of 29billion won in 2014 year. This study estimated the spillover effects of coastal and inland shipping rate increase on both logistics costs and overall domestic price level, which is caused with an effort to compensate the operating deficit by coastal and inland shipping operators. An inter-industry analysis using 2014 input-output statistics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various level scenarios of coastal and inland shipping rate increases. In the case of 5% increase of Korean coastal and inland shipping rate, the output price level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ector as a whole was estimated to rise 0.0042% and the overall output price level of Korean industry as a whole to rise 0.0192%. During 2012~16 years, the output price level increased at the rate of –2.07% i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ector and the overall output price level of Korean industry as a whole increased 0.88%. Thus the estimated spillover effects of coastal and inland shipping rate increase of 5% are big enough to take note by Korean government’s policy makers. This result also shows that Korean coastal and inland shipping industry serves well as a intermediary goods for Korean passenger and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s.

      • KCI등재

        동국정운의 중성 배열 원리에 대하여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합용·상합의 관점에서 -

        차익종 ( Cha Ik-jong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0 No.-

        본고는 동국정운 91韻의 중성 배열을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합용·상합 원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동국정운 중성의 배열이 등운도(等韻圖)의 등(等)이나 사호(四呼) 즉 ‘開齊合撮’ 개념에 따른 것으로 파악하였다. 사호는 동국정운에서 각각 한 운류(韻類)로 묶인 ‘ㅗ, ㅛ’, ‘ㅏ-ㅑ-ㅘ’, ‘ㅜ, ㅠ’, ‘ㅓ-ㅕ-ㅝ-ㆊ’ 의 내부 배열순서와 대응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ㆍ, ㅡ ,ㅣ, ㆎ, ㅢ’가 한 운류로 묶인 것, 대표 중성의 배열순서(ㆍ, ㅚ, ㅐ, ㅖ, ㅟ, ㅗ, ㅏ, ㅜ, ㅓ)는 설명하기 어렵다. 특히 중국어의 음운변화에 따라 명말청초(明末淸初)에 정립된 사호 개념을 동국정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본고는 동국정운의 중성 배열을 명료히 설명하는 방편으로 해례본 제자해와 중성해에 제시된 원리로 접근하는 역발상의 가설을 제기하였다. 동국 정운의 중성 배열을 관찰하면 해례본에 제시된 중성의 성격 및 층위와 잘 대응한다. 운류의 대표 중성은 천지인(ㆍ, ㅡ, ㅣ), 초출자(ㅗ, ㅏ, ㅜ, ㅓ), 초출자와 ㅣ의 상합자(ㅚ, ㅐ, ㅖ, ㅟ)와 대응하며, 그 배열은 ‘천지인 - ㅣ상합자(ㅚ, ㅐ, ㅖ, ㆌ) - 초출자’의 차례로 나온다. ㅣ상합자가 초출자보다 앞선 것은 천지인의 ‘인(人,ㅣ)이 참여한 것이기 때문이다. ‘ㅗ, ㅏ, ㅜ, ㅓ’는 陽(ㅗ,ㅏ), 陰(ㅜ,ㅓ)의 차례로서 이는 동국정운 종성의 ‘양(양성운) - 음(음성운)’ 순서와도 대응한다. 한편 운류의 내부 배열은 ①대표 중성, ②천지와 ㅣ의 합자, 재출자와 ㅣ의 합자, 재출자, ③초출자의 합자, ④2자 중성의 합자 등의 순서로 배열된다. ‘ㅏ, ㅑ, ㅝ, ㆊ’의 순서 역시 ‘대표 중성 - 재출 -초출의 합용 - 재출의 합용’의 순서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원리에 따른 중성 배열표를 제시하였다. Dongguk jeongun(東國正韻), the Rhyme book in 1447, was issued as a royal standard for Sino-Korean pronunciation. Compiled by King Sejong's deep understanding on Chinese phonology, though, its system did not simply follow Chinese equivalents such as Guangyun(廣韻) or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but rather revealed some independent positions. One of these unique features was the arrangement of 91 rhymes or 26 rhyme groups, which are ordered by yang(陽) and yin (陰) of finals, and then 9 sets of vowels; (1)‘ㆍ, ㅡ, ㅣ, ㆎ, ㅢ’, (2)‘ㅚ’, (3)‘ㅐ, ㅙ’, (4)‘ㅟ, ㆌ’, (5)‘ㅖ, ㆋ’, (6)‘ㅗ, ㅛ’, (7)‘ㅏ, ㅑ, ㅘ’, (8)‘ㅜ, ㅠ’, (9) ‘ㅓ, ㅕ, ㅝ, ㆊ’. Some studies have tried to explain these features as adaptation of Chinese Rhyme Table, especially under the concept of ‘open mouth, even teeth, closed mouth, round mouth’ or ‘kaikou, qichi, hekou and cuokon hu(開齊合撮)’ This framework, however, cannot fully help to understand the order of the 26 groups or 9 sets of vowels, but, at best, can barely succeed in explaining the internal orders in ‘ㅗ, ㅛ’, ‘ㅜ, ㅠ’, ‘ㅓ, ㅕ, ㅝ, ㆊ’. This study explores the unique features with the theory of letter formation of Hangul as presented in Hunmin jeongeum Haerye(Explanation and Examples of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 The texts on letter formation in Haerye provide each of 18 medials letters with graphemic ranks; Three Germinants(Heaven, Earth, and Man, ㆍ, ㅡ, ㅣ), First Advents(ㅗ, ㅏ, ㅜ, ㅓ), and Second Advents(ㅛ, ㅑ, ㅠ, ㅕ). The latter two ranks are produced by combination of three germinants. In the next section on vowels, Haerye explains how the following 11 medial letters are generated under the principles such as medials by combining of two kinds of advents(ㅘ, ㅝ, ㆇ, ㆊ)‘ and 'medials by combining of medials and ㅣ(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ㆈ, ㆋ). Through analyzing these 29 medials into 4 graphemic ranks, this study proposes the order of rhymes as follows. (1) key medials(ㆍ, ㅡ, ㅣ, ㅚ, ㅐ, ㅟ, ㅗ, ㅏ, ㅜ, ㅓ). As for three geminants or first advent, or medials of combination of first advent and ㅣ(Man), they deserve the first and principal positions. (2) the secondary medials(ㆎ, ㅢ, ㆌ, ㅖ, ㅛ, ㅑ, ㅠ, ㅕ). As their ranks are decided by combination of ‘Heaven/Earth and Man’, ‘Second Advent and Man’, and ‘Second Advent’, these medials are proceeded by the key medials. (3)(4) are combinations of First Advent(ㅘ, ㅝ) and those of two kinds of advents(ㅙ, ㆋ, ㆊ), following (1)-(2). The order of key medials 'ㅗ, ㅏ, ㅜ, ㅓ’ represents yang(ㅗ, ㅏ) and yin(ㅜ,ㅓ).

      • KCI등재

        明·淸 韻書의 漢語 語音史的 意義 고찰

        왕옥지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3

        明ㆍ淸代 운서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宋ㆍ元代 운서보다 시대적 가치를 낮게 보는 경향이 있고, 切韻系 운서 廣韻과 元代 특정지역의 방언과 北曲의 어음체계를 반영한 中原音韻을 중요시해왔으며, 그 후 實際讀書音을 반영하는 운서에 대해서 점차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明ㆍ淸 운서의 성격에 따라 도출한 운서의 유형과 宋ㆍ元 운서의 유형을 비교하여 명청 운서의 시대적 가치와 중요성을 재 규명하여 이를 근거로 더 나아가 중국 운서가 갖는 漢語 語音史的 의의에 대하여 살폈다. 宋代에는 皇命을 받아 편찬한 官韻書와 禮部科試 용도로 편찬된 운서가 최초로 출현하였고, 元代에는 中古 詩韻ㆍ南北是非, 古今通塞 성격의 운서가 없는 반면 創意的 體裁 및 革新的 語音體系를 다룬 운서 및 병음문자로 한자의 음을 표기한 운서 그리고 北曲, 北音 등 북방 특정지역의 어음체계를 반영한 운서가 최초로 출현하였으며, 明·淸代에는 남방과 북방 官話 方言의 어음체계, 早梅詩 20字母系 운서가 많이 출현하였다. 宋ㆍ元代의 운서는 혁신적인 다양한 형태의 운서 출현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중국 韻書史와 漢語 語音史上 꽃을 피운 한 편, 明ㆍ淸의 운서는 官韻書인 洪武正韻과 音韻闡微』이외 대부분 많은 韻書와 韻圖가 현대 중국 方言과 方言史ㆍ현대표준어 성모체계ㆍ古音 연구에 있어 값진 자료가 되며, 漢語 語音史上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드워킨의 운평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주현 ( Joo-hyun Kim ),김현철 ( Hyeon-cheol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集 Vol.23 No.4

        운평등주의(luck egalitarianism)는 롤스 정의론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평등주의 이론이다. 법철학자 로널드 드워킨(Ronald Dworkin)이 대표적인 운평등주의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드워킨은 자원평등론에서 각각의 사람들이 삶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의 분배적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과 운을 구별한다. 그는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의 인성(personality)이 반영된 선택운(option luck)의 결과는 개인이 책임져야 하지만, 여건(circumstances)으로 인한 비선택운(brute luck)의 불평등은 부당하며 보상을 요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드워킨의 구별은 선택 책임과 불운 보상을 핵심으로 하는 운평등주의 이론의 핵심 주장으로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드워킨의 선택운과 비선택운 구별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선택운과 관련하여 드워킨은 개인의 소망, 취향과 같은 인성이 반영된 선택은 개인이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모든 선택운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으며, 인성이 형성되는 과정이나 선택 결과에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행운이나 불운이 개입되는 경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선택적 불운에 대한 금전적 보상은 시혜적 보상과 낙인찍기의 문제와 같은 자본주의 복지국가의 한계와 관료주의의 폐해를 발생시킨다. 결론적으로 드워킨의 운평등주의 이론은 선택 책임이라는 자유주의적 가치와 불운 보상이라는 평등주의적 가치를 통합하는 이론적 의의가 있지만, 현실의 평등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Luck Egalitarianism is an egalitarian theory based on the idea of Rawls’s A Theory of Justice. Legal philosopher Ronald Dworkin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luck egalitarian thinker. Dworkin distinguishes between choice and luck in order to realize the distributive equality of the resources available to each person in life. He argues that although the individual is responsible for the outcome of the option luck that reflects the personality of members of the political community, the inequality from brute luck caused by the circumstance can be unjust and require compensation. This distinction is cited as a core argument of the luck egalitarianism theory centered around choice-responsibility and unluck-compensation.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Dworkin’s option luck and brute luck has some limitations. First of all, with regard to option luck, Dworkin argues that choices that reflect personality such as an individual’s ambition and taste, should be entirely up to the individual responsibility. However, all of the result of option luck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considering the process of individual personality formation or the result of the choice may involve good or bad luck that cannot be controlled by the individual.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compensation for brute luck, the monetary compensation for bad luck causes the limitations of the capitalist welfare state and the abuses of bureaucracy such as the problem of dispensation of compensation and stigmatization. In conclusion, Dworkin’s theory of luck egalitarianism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integrating the liberal value of option-responsibility and the egalitarian value of unluck-compensation, but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fails to properly meet the demands for equality in reality.

      • KCI등재후보

        魏晉시기 陽聲韻 詩韻 分部考

        李雄吉 대한중국학회 2008 중국학 Vol.31 No.-

        중국사에서 약 400여년에 걸친 魏晋南北朝시대는 오랜 전란, 이민족의 침입, 잦은 왕조 교체 등으로 인해 역사상 유례가 없는 대혼란의 시기였다. 언어상으로는 대규모의 인구 이동 등으로 인해 북방어와 남방어가 융합되는 국면이 형성되었고, 또한 불교의 성행, 운문(韻文)의 발달, 문학비평의 번영 등으로 인해 언어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기초가 마련된 시기이기도 하다. 한어사에서 이 시기는 上古音시대부터 中古音시대에 이르기까지 언어체계의 변천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漢語音韻史에서 魏晋南北朝시대는 上古와 中古의 과도시기라 할 수 있다. 특히 魏晋시대는 兩漢시기와 南北朝시기의 교량 역할을 하는 과도기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양성운(陽聲韻)은 몇 개의 운부로 나누어지고, 또 각 운부 속에 어떠한 운류(韻類)의 글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周祖謨가 분류한 魏․晉의 운부 및 劉宋시기의 운부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각 운의 독용과 통압 상황으로 分部한 결과 이 시기의 陽聲韻은 魏代에 11운부(東部, 鍾部, 眞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登部, 侵部, 談部), 晋代에 12운부(東部, 鍾部, 眞部, 文部, 魂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侵部, 談部)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다. 在中國史上, 由于長期的戰爭、 頻繁的建國和興衰、 異族的中原侵入. 魏晉南北朝是大昏亂期. 在語言方面上, 北方語和南方語互相融合現象出現了. 還有由于佛敎的盛行、 韻文的發達、 文學批評繁榮, 對語言學發展起了很大的影響. 所以這時期是能够糾明上古音到中古音之音韻演變的重要的時代. 在漢語音韻史上, 魏晋南北朝時代是上古和 中古的過渡時期. 特別魏晋時代是兩漢時期和南北朝時期的過渡期. 本稿以《先秦兩漢魏晉南北朝詩》爲考察材料, 聯系魏晋時期文人使用的詩的押韻情況 分析來陽聲韻可以類分幾個韻部, 以及每一韻部里面有什么韻類, 進而考察比較周祖謨分類的魏晉的韻部及劉宋時期的韻部起來有什么樣的差異. 結論認爲, 魏晋時期的陽聲韻可以類分出魏代11韻部(東部, 鍾部, 眞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登部, 侵部, 談部), 晋代12韻部(東部, 鍾部, 眞部, 文部, 魂部, 元部, 寒部, 陽部, 庚部, 蒸部, 侵部, 談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