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敬語観に関する一考察

        藤原 智栄美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4

        한국인 학습자에게는 어휘, 문법 등의 일본어 체계가 모국어인 한국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일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지만,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상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우 표현(待遇表現)과 경어(敬語)는 한국인 학습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본어 학습자에게 습득이 어려운 부 분이다. 한국어도 일본어와 같이 경어가 발달된 언어이지만 양 언어 간에는 경어체계와 그 사용법에 차이 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상 오해도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일본인과의 커뮤니케이 션에서 대우(待遇) 레벨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敬語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 한 일본어 학습자의 경어 의식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는 많지만 경어 의식에 초점을 맞춘 질적 연구는 적 다.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여 변화하는 「의식」에 대해서는 양적 연구만으로는 그 양상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개인별 태도구조 분석법(Analysis 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 이하, PAC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과 경어 사용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았다. 다음은 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피험자의 덴드로그램(dendrogram)에 나타난 자유연상항목(自由連想項 目)은 모두 66항목이다. 그 중에「긍정적 이미지 항목」이 42항목,「부정적 이미지 항목」이 10항목,「어느 쪽도 아닌 항목」이 14항목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서 한국인 학습자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경어관을 가지 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험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경어관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예의」, 「거리감」의 2항목이고, 이 이미지는 피험자 전원에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어를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정중함을 나타내는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화자간의 친소(親疏)관계와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고 조절하 는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거리감」에 대해서는 경어를 사용함으로써 상대방과 기분 좋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고 장점으로 보는 것으로 보아서 부정적 평가만 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자유연상항목(自由連想項目)에서 「경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 난 점이다. 발표나 비즈니스 등 공적인 장면에서 프로페셔널하게 일을 잘하는 것, 세련된 하이클라스의 사 람들 등의 공통된 이미지를 들 수 있으며, 지성・교양과 경어 사용자상이 명확한 연관 관계가 있다고 인 식하는 경어관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경어 사용은 언어적 센스와 언어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보고 있 고, 언어 장면에서의 적절한 언어 사용 능력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 언어 능력으로 보고 있는 양상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피험자가 경어 사용을 화자의 능력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교양・지성과 관련 지어서 보는 것은 「교양・지성을 가진 경어 사용자」는 한국의 가정에서 제대로 경어 교육을 받은 사람 이라고 생각하고, 그러한 가정교육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특징은 피험자가 경어 사용을 일본과 한국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평가하고 「동아시아」의 특 징이라고 보고 있으며, 넓은 시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PAC 분석을 이용해 서 조사한 藤原(인쇄중)의 연구에서 대만인이 일본어의 경어를 일본 문화에 한정된 특징으로 보고 있는 결 과와는 크게 다르다. 이 두 가지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한일 양언어간의 경어 체계의 유사성이 제2 언어인 일본어의 경어관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특징은 본 연구에서도 선행 연구(藤原2011, 藤原인쇄중)와 같이 경어의「어려움」과 「복잡성」 이라는 항목이 출현했지만 이것은 경어 체계 그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존경어 ․겸양어의 올바른 사 용법에 대한 어려움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어의 겸양 표현은 한국어에 비해서 다양하기(賈惠 京, 2001)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경어를 가장 어렵게 느끼게 되는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인 학습자의 경어관의 특징은 모국어의 경어에 대한 이미지가 자유연상항 목(自由連想項目)으로 나타났으며 경어 자체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대만인 학습자가 부정적 이미지가 많으며 경어에 대해서「간단했으면 좋겠다」「없는 게 좋다」고 지적하는(藤原, 인쇄중) 것과는 상 반적으로, 한국인 학습자는「없어져서는 안 된다」「반드시 몸에 익히는 편이 좋다」는 항목이 나타났으며, 경어 사용을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문화적 산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향후에는 서로 다른 속 성의 피험자(예:일본 체재 경험이 없는 한국인)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피험자수를 늘려서 정량조사를 실시하여 본연구의 결과와 고찰을 한층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approximately 960,000 South Koreans studying Japanese as of 2009, they comprise 26.4% of the total number of all learners of Japanese as a second language, more than any other nationality (The Japan Foundation, 2009).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he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Japanese— vocabulary and grammar, etc.—with their native Korean are factors that further their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it is not uncommon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mmunication involving speech levels, particularly honorific language, to be difficult.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has also developed a system of honorific language, it has many disparities with the structure and usage of Japanese honorific language. In addition, differences in normative consciousnesses regarding honorific language are considered to possibly be a frequent trigger for miscommunica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influence that their view of honorific language has upon Korean learners of Japanese with regard to their selection of speech levels when communicating with Japanese people. While much research in which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consciousness pertaining to Japanese honorific language has already been don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with aqual it ative examination focusing on Japanese language learners’ consci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Through quantit ative research alone, it is difficult to gain a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spects of “consciousness,” which change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contributing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will utilize the Analysisof Personal Attitude Construct(below, PAC analysis), which inrecent years has come to be used as a psychological approach to analyz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 examin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consciousness pertaining to the view and usage of honorific languag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09 to January 2011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our intermediate to advanced Korean speakers of Japanese, each of whom had studied in Japan. The survey followed the PAC analysis format with “What is your image of honorific language and its usage?” as the stimulus te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ll be given below. Sixty-six free association items were found in dendrograms of respondents’ answers. Overall, they showed a positive view of honorific language with 42 items for a “positive image,” 10 for a “negative image,” and 14 for “neither.” The first common characteristic among respondents was the appearance of the two items: “manners,” and “feeling of distance.” From the appearance of these two items in all of the respondents’ answ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for verbal communication, honorific language is an important means of showing politeness and that respondents are aware that it has a function of maintaining and adjusting the degree of intimacy and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speakers. In terms of the “feeling of distance,” there was also mention of the advantage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for keeping a comfortable level of distance, thus, respondents did not necessarily evaluate “feeling of distance” to be a negative thing. The second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free association items was a strongly positive image of users of honorific language. In presentations or in business, there was a shared impression among respondents of honorific language users being professional, disciplined workers who get the job done, belong to a higher class, and have refinement. The view of honorific language that emerged among respondents is clearly connected to an impression of its users as being intelligent and sophisticat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respondents view honorific language use as a sense and skill for language and that correct usage of honorific language in communication situations connotes sociolinguistic competence—the ability to use language. In this way, honorific language users a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ability. The tendency to tie honorific language usage to ability of speakers, sophistication, and intelligence could stem from the consciousness of Korean respondents, which is of “sophisticated, intelligent honorific language users” as having received a solid at-home education on honorific language in South Korea, and their positive image of that education in the home. The third characteristic was that respondents identified honorific language as a characteristic shared by Japan and South Korea, evincing their broad perspective that views honorific language in an overall sense as an East Asian characteristic. This differs greatly from Taiwanese speakers of Japanese, who tend to view honorific language as a characteristic limited to Japanese culture as shown by the research by Fujiwara using PAC analysis to clarify their view of honorific language (under review). The disparity between these two sets of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onorific language influence the way Koreans view the honorific language of Japanese. As for the fourth characteristic, just as in previous research (Fujiwara, 2011, under review), responses showed an image of honorific language as “difficult” and “complicated.” However, rather than the difficulty of honorific language itself, this refers to the difficulty of knowing when to correctly use respectful and/or humble honorific words. As Japanese humble honorific expressions display greater variation than those of Korean (Hekyon Ka, 2001), this can possibly be considered the most difficult part of Japanese honorific language for Korean learners. As seen abov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 in which Korean learners of Japanese view honorific language, there was a tendency to have a positive image of honorific language itself, as seen in responses to the free association items for observing the image of honorific language in native-language situations. As for Taiwanese learners of Japanese, many negative-image responses appeared, such as those indicating that honorific language “should be simplified” and “should be done away with” (under review). Whereas in data on Korean learners, items were observed stating that honorific language is “something that shouldn’t be lost” and is “a must-have skill,” reflecting a tendency to view honorific language usage as a vital part of cultural heritage necessary for running social lifestyles. Along with influencing this positive consciousness, it is possible that similarities between the structure of honorific language in their native language of Korean and their second language of Japanese also leads to a consciousness of honorific language, which is informed by a general image that lumps the honorific language of the two languages together. In addition, it can also be surmised that honorific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families as well as daily lifestyles, which are deeply-rooted in Korean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ve consciousness toward such things, also exerts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regarding honorific language. In the future, the results and observations of this paper should be pursued in greater depth through studies conducted with respondents from different groups (for example, Koreans who have not stayed in Japan) including larger groups of respondents and incorporation of qualitative analysis.

      • KCI등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 설계와 구축

        정채관 ( Jung¸ Chae Kw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사용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설계하고 구축한 대규모 공개형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에 관한 소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개 대학의 대학생과 만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 3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듣고 요약하여 말하기와 읽고 요약하여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유럽 공통 언어 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영어 말하기 등급을 A1, A2, B1, B2, C1, C2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의 영어 원어민 3인이 교차 검토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고, 이후 연구 참여자의 음성 파일을 전사하여 텍스트화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참여 인원 237명, 총 474개의 텍스트, 36,588 토큰, 1,799개 타입을 포함하는 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가 완성되었다. KELSC에는 특정 대학이 아닌 국내 10개 대학의 재학생과 성인이 참여하였고, 시험 상황에서 인터넷이나 영어 사전 등 보조 수단이나 도구의 도움 없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발화하는 것을 채집한 국내 최초의 공개형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이다. KELSC가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하며, 이를 위해 KELSC를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This study is an introduction to the first large-scale public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designed and built in Korea to understand aspects of Korean learners’ use of English-speaking patterns. Over 300 ordinary Korean adults and students from 10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English-speaking performances were recorded using a real-time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and their English-speaking was assessed on a scale with six grades: A1, A2, B1, B2, C1, and C2. For evaluation,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cross-examination by three native English speakers with over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at university level. The participants’ voice files were transcribed using MS Word 2019 and converted into plain text using Notepad++ v8.1.1. Through this process, the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 켈스크), which involves 237 participants, 474 texts, 36,588 tokens, and 1,799 types, was completed. KELSC is the first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in Korea to collect the real-time utterances of Korean English learners without the help of an English dictionary or the Internet, allowing it to be used in many ways for research purposes. KELSC will be available for free download if a user agrees to the terms of use through the website of the Institute for Corpus Research,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고찰

        고승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 동유럽발칸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의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교수 방안 고찰을 목표로 한다. 언어 학습에서 오류 분석은 교수자에게는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며, 학습자들의 불완전한 목표어 사용의 문제점을 찾고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화석화 방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오류 분석과 더불어 교수자의 피드백은 유창성을 중시하는 최근의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목표어를 보다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단계별로 성취도 평가 및 자유 글쓰기 형식으로 학습자 오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한국인 폴란드어 학습자들의 오류는 형태적, 통사적 유형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언어 간 또는 언어 내 오류 등 오류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효율적 교수를 위해 문법학습에서도 학습자 간 협력 학습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그룹 학습을 제안하였다. 협력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스스로 또는 상호 간 오류를 수정할 수 있으며, 교수자는 단순히 정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소그룹 활동은 교수자가 학습자 개개인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쉽고 이해 정도에 따라 오류 수정을 도와줌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개선시키고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류 분석과 더불어 교수자의 피드백은 유창성을 중시하는 최근의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목표어를 보다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This study aimed to analyze grammatical errors of Korean learners of Polish and consider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Error analysis in language learning is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for educators to understand how learners understand and use the contents correctly an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problems of incomplete using of learners and to prevent fossilization by misuse. In addition to the error analysis, the professor's feedback plays an important role in using the target language more accurately in language learning that recently focused on fluency. So I also considered feedback methods for error correction. For a start, I had collected Polish learners’ errors data in evaluations of student achievement and free writing for each stage of learning and this study analyzed the errors of Korean learners of Polish language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types and examined the causes of them such as interlingual and intralingual errors. For effective teaching I suggested “Small group lesson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between learners”. In the course of cooperative learning, learners themselves or between learners can correct each other's errors. The professor should not simply tell the answer, but should act as a helper to find the answer. Small group activities will be more efficient because professors are more likely to grasp the degree of each student's understanding and can help the error correction of learn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 learner individual.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복합동사 친밀도에 관한 고찰

        조남성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고에서는 일본어 복합동사 교육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복합동사 1000개의 친밀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 수준이 높은 N1 학습자는 N2 학습자보다 친밀도를 높게 평정하고 있다. (2) 복합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い出す, 似合う, 付き合う, 引っ越す, 落ち着く, 召し上がる, 話しかける, 出かける, 支불う, 話し合う 등, N2 학습자는 出かける, 思い出す, 出會う, 付き合う, 見つける, 似合う, 話しかける, 召し上がる, 聞き取る, 知り合う 등의 순서로 높다. (3) 전항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う-, 見る-, 立つ-, 讀む-, 言う- 등, N2 학습자는 思う-, 言う-, 讀む-, 書く-, 見る- 등의 순서로 높다. (4) 후항동사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かける, -合う, -出す, -つく, -上がる 등, N2 학습자는 -かける, -合う, -出す, -合わせる, -上がる 등의 순서로 높다. (5) JLPT 복합동사(144개)의 친밀도를 보면, N1 학습자는 思い出す, 似合う, 付き合う, 落ち着く, 話しかける, 引っ越す, 出かける, 話し合う, 繰り返す, 出會う 등, N2 학습자는 出かける, 思い出す, 出會う, 付き合う, 似合う, 見つける, 話しかける, 話し合う, 申し上げる, 受け取る 등의 순서로 친밀도가 높다. 그리고 N1·N2 학습자는 똑같이 JLPT 복합동사의 수준이 낮을수록 친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6) 국립국어연구소의 복합동사 용례수와 N1·N2 학습자의 복합동사 친밀도의 관계를 보면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miliarity of Japanese compound verbs b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with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Japanese compound verb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1) Advanced level N1 learners have higher assessment of familiarity than level N2 learners. (2) In terms of compound verbs familiarity,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omoidasu, niau, tsukiau, hikkosu, ochitsuku, meshiagaru, hanashikakeru, dekakeru, shiharau, hanashia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dekakeru, omoidasu, deau, tsukiau, mitsukeru, niau, hanashikakeru, meshiagaru, kikitoru, shiriau, etc. (3) Analysis on familiarity of the first component verb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omou-, miru-, tatsu-, yomu-, i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omou-, iu-, yomu-, kaku-, miru-, etc. (4) Analysis on familiarity of the second component verb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ing verbs in the order of -kakeru, -au, -dasu, -tsuku, -agar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kakeru, -au, -dasu, -awaseru, -agaru, etc. (5) Analysis on familiarity of compound verbs (144)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JLPT) showed that level N1 learners were familiar with the follow verbs in the order of omoidasu, niau, tsukiau, ochitsuku, hanashikakeru, hikkosu, dekakeru, hanashiau, kurikaesu, deau, etc. whereas level N2 learners were familiar with dekakeru, omoidasu, deau, tsukiau, niau, mitsukeru, hanashikakeru, hanashiau, moshiageru, uketoru, etc. Also, as the level of compound verbs becomes lower, the familiarity increases for both N1 and N2 learners.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und verbs usage numbers of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NINJAL) and familiarity of compound verbs by level N1 and N2 shows regular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학습에 관한 학습신념 - 블로그를 이용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

        서유리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21

        In research related to Japanese studies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dentify is learners' individuality. To this end, the learning belief of the learners has been investigated primarily for learners attending class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s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and tablets provides the learners with more time to access Japanese language outside the clas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ir learning beliefs in addition to their learning habit in classroom environment. A survey was done among the Korean Japanese learners using blogs to see what they believe to continue their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s were strongly convinced that the way they studied was efficient with certain goals or objectives, and they believe that they could speak Japanese well on their own. In addition, the learners themselves prefer to challenge themselves and solve problems, but the shift to a passive attitude about how to learn has been a notable result.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were not aware of specific ways of learning that would help them improve their learning in Japanese depending on their efforts. As a growing number of learners use content, including blog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learners' propensity and learning beliefs in the future and propose more specific and diverse learning methods or strategies to suit them. 학습자의 개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요인 중 하나인 학습신념(ビリーフ)은 일본어학 및 일본어교육과 관련한 연구에서 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발달로 수업 시간 외에 학습자가 일본어를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교실 환경 외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신념 연구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블로그를 이용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속적으로 학습을 유지하는 데 어떠한 학습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확실한 목표나 목적을 갖고 공부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신념이 강했으며, 스스로 일본어를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학습자들의 성향 자체는 스스로 도전하고 문제를 해결하기를 선호하나, 학습방법에 관하여 소극적인 태도로 바뀌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 노력 여하에 따라 일본어 학습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생각하는 것에 비해, 그렇다면 어떠한 학습방법이 학습자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지 구체적인 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로그를 포함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이러한 학습자들의 성향과 학습신념을 인지하여 이들에게 어울리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학습방법이나 전략, 학습콘텐츠를 제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한자어 친밀도에 관한 고찰

        조남성 ( Cho Nam-s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0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한자어 742개의 친밀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1ㆍN2 학습자는 모두 5개 이상의 척도치를 사용하고 있어서 한자어에 친밀도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2) 학습 수준이 높은 N1 학습자는 N2 학습자보다 한자어 친밀도를 높게 판단하고 있으며, 개별 한자어에서도 92.2%나 높게 판단하고 있다. (3) 742개의 한자어 친밀도는, N1 학습자에서는 人氣, 相手, 明日, 勉强, 大丈夫 등, N2 학습자에서는 明日, 名前, 勉强, 大丈夫, 大人 등이 가장 높다. 그리고 N1 학습자에서는 嘴, 蝋燭, 艶, 瀨戶物, 壷 등, N2 학습자에서는 壷, 嘴, 艶, 贋物, 掏摸 등이 가장 낮다. (4) N1ㆍN2 학습자의 한자어 친밀도는 난이도가 높은 것(1ㆍ2급 어휘)이 반드시 친밀도가 낮은 것은 아니다. (5) N1ㆍN2 학습자의 급수별 한자어 친밀도에서, 1급(p<0.1) 이외 모든 급수에서 N1 학습자가 N2 학습자보다 친밀도가 높은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 0.05). (6) 학습 수준별(N1 학습자 >N2 학습자) 한자어 친밀도에 따른 난이도에서 한자어 비율은, N1 학습자는 난이도 D4(친밀도 5.00 이상~6.00 미만:34.2%), N2 학습자는 난이도 D3(친밀도 4.00 이상~5.00 미만:31.0%)에서 가장 높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familiarity of 742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N1 and N2 learners use more than 5 levels of scale, so I conclud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familiarity with Chinese character. (2) The N1 learners who have high levels of Japanese judge higher familiarity in Chinese character than N2 learners. The N1 learners also judge higher in individual Chinese characters as 92.2%. (3) In the familiarity of 742 Chinese character, N1 learners have high familiarity on 人氣, 相手, 明日, 勉强, 大丈夫, etc. N2 learners have high familiarity on 明日, 名前, 勉强, 大丈夫, 大人, etc. In addition, N1 learners have low familiarity on 嘴, 蝋燭, 艶, 瀨戶物, 壷, while N2 learners have low familiarity on 壷, 嘴, 艶, 贋物, 掏摸. (4) For N1ㆍN2 learners’ familiarity of Chinese characters, high levels of difficulty (D1 and D2) does not necessarily have low familiarity. (5) In the N1ㆍN2 learners’ familiarity of Chinese characters by levels, N1 learners have higher familiarity than N2 learners in all levels(p<0.05), except level 1 (p< 0.1). (6) In the difficulty according to familiarity of Chinese character by the level of learning (N1 learners > N2 learners), the propor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the highest in the N1 learners at the difficulty level D4 (familiarity from 5.00 to less than 6.00: 34.2%) and N2 learners at the difficulty level D3 (familiarity from 4.00 to less than 5.00: 31.0%).

      • KCI등재

        자발음성을 통해 본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 습득 실태 : JSL 학습자와 JFL 학습자의 VOT 비교 

        진종복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2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ordinitial voiced stops, focusing on VOT, and compared the condition of acquisition with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 confirmed the following. First, Korean JSL learners perceived Japanese wordinitial voiced stops as +VOT. Examining this with places of articulation and followup vowels, VOT's length was longer in velar /g/ > alveolar /d/ > bilabial /b/. It was longer when closer to mouth. And VOT of front vowels /i, e/ was shorter than that of vowels except front vowels /a, o, u/. Second, pronunciation of VOT of wordinitial voiced stops by Korean JSL learners was mostly 0~50ms, which overlaps with the range of the pronnciation of Japanese speaker's wordinitial voiced stops. Third, Korean JFL and JSL learners were common in learning wordinitial voiced stops as +VOT, its range of 0~50ms, and its length in the order of Velar > Alveolar > Bilabial; the closer to vocal chords, the longer VOT appeared. With followup vowels, VOT average was longer when JFL learner's followup vowels were close vowels while JSL learner's were back vowel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 습득 실태를 VOT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학습 환경에 따른 습득 실태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한국인 JSL 학습자는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을 +VOT로 습득하고 있었다. 이를 조음위치와 후속모음에 따 라 살펴본 결과, VOT값은 연구개/g/>치경/d/>양순/b/의 순으로 나타나 성대에 가까울수록 그 값이 컸다. 또한 후속 모음이 전설모음(/i/, /e/)일 때에 비해 비전설모음일 때(/a/, /o/, /u/)가 VOT값이 컸다. 둘째, 한국인 JSL 학습자의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의 VOT는 대부분 0ms~50ms의 범위에 해당하여 일본어화자의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과 범위가 중복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한국인 JSL 학습자와 JFL 학습자는 모두 어두 유성파열음을 +VOT로 발음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VOT 는 0ms~50ms의 범위에 해당하며, VOT 길이는 조음위치가 연구개>치경>양순의 순으로 나타나 성대에 가까울수록 VOT값이 크게 나타난다는 공통점도 있었다. 후속모음에 따른 비교에서는 JSL 학습자에게서는 후속모음이 비전설모 음일 때, JFL 학습자에게서는 후속모음이 협모음일 때 각각 VOT 평균값이 컸다.

      • KCI등재

        'N+里'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신미경,유위 중국학연구회 2017 中國學硏究 Vol.- No.81

        본고는 한국인 학습자가 현대중국어 방위사 '里'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오류와 그러한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북경어언대학에서 제공하는 HSK중간언어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오류의 유형은 첨가, 대치, 누락 등 3가지로 구분하였고, 이를 다시 유형에 따라 세분하고 유형에 따른 오류 발생 원인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오류 발생의 원인을 주로 2가지 각도에서 접근하였다. 첫째는 한국인 학습자가 목표어인 중국어의 '里'의 용법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일종의 언어내 간섭이다. 둘째는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언어간 간섭이다. 첨가 오류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는 주로 일반명사, 지명, 방위사 등의 불필요한 곳에도 '里'를 첨가하였다. 이는 모국어의 영향뿐만 아니라 주로 '里'의 사용 제약을 인식하지 못하고 과잉일반화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대치 오류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는 '里'를 주로 '上', '中'과 혼동하여 사용하였다. 유사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는 이들 방위사의 기능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누락 오류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는 일반명사, 비전형적인 처소명사,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구 뒤에 '里'가 필요한 곳에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조사가 발달한 한국어의 영향과 '里'의 정확한 용법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接続辞「と」の使用実態

        梁?絢(양정현)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중상급 일본어학습자(한국인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작문 자료에서 사실적 용법으로 사용된 접속사 「と」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인학습자의 접속사 「と」의 사용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학습자의 접속사 「と」의 사용 실태의 원인을 모어 영향의 측면과 교수상의 영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사실적용법「と」의 사용 건수가 5배 이상 차이가 나, 일본어 모어화자에 비해 한국어학습자의 사실적 용법 「と」의 사용 비율이 낮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실적 용법의 하위 용법 중에, 한국어학습자가 「연속」, 「발현」의 용법으로 「と」를 사용한 예는 찾을 수 없었고, 「발견」, 「계기」의 용법으로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한국인학습자의 사실적 용법 「と」의 사용 경향의 원인으로는 사실적 용법 「と」와 대응하는 모어(한국어) 접속사의 영향과 사실적 용법 「と」를 문법 항목으로 배울 기회가 적은 교수상의 영향을 들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국인학습자의 접속사 「と」의 운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실적 용법 「と」를 적극적으로 교수함과 동시에 접속사 「と」의 일부 용법이 가정 표현을 만들기는 하나, 「と」의 주된 특성은 가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순접의 병렬관계를 나타내는 것에 있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usage of the Japanese conjunction -to by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Korean Japanese learners(Korean Japanese learners), by comparing it with usage by native speakers of Japanese, focusing on factual u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Korean Japanese learners use factual use of -to five times less than do native speakers of Japanese. Furthermore, Korean Japanese learners only use the discovery and trigger meanings of -to, and they do not use its continuation and revelation meanings. This probably results from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as well as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se tendencies of using -to, it is necessary to more aggressively teach the factual use of -to and to explain that even if -to has one meaning as conditional, the main feature of -to is to explain resultative parallel connections.

      • KCI등재

        전치사 ‘对’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분석과 교육방안

        신미경(Shin, Me-gyeo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中語中文學 Vol.- No.85

        본고는 HSK말뭉치를 대상으로, 한국인 학습자가 현대중국어의 전치사 "对"을 사용할 때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세부 유형별로 그 발생 원인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 학습자에 적합한 유형별 교육 중점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다. 한국인 학습자의 유형별 오류 빈도 순서는 대치오류가 가장 많고, 누락오류가 그 다음으로 많고, 첨가오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그 중 대치 오류는 주로 한국인 학습자가 "对"와 "给", "在", "从" "跟/和/与", "拿", "就" 등의 어휘와 용법을 혼동하여 발생한 것이다. 누락 오류는 주로 "对"의 의미 항목 중에서 특히 판단·평가의 적용 또는 착안대상, 동작행위나 발전변화의 관련대상, 정서를 느끼는 대상이나 태도를 취하는 대상을 나타내는 기능을 파악하지 못해서 발생한 것이다. 첨가 오류는 주로 한국인 학습자가 모국어 "에 대하여"의 부정적인 간섭과 영어 전치사 용법의 간섭도 일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오류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 "对"을 교육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교육중점사항을 7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목표어 측면에서는 "对"의 여러 의미 항목에 따라 후행명사나 후행술어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분하고 문장에서 어떤 형식으로 나타나는지 명확히 익히도록 해야 한다. 모국어 측면에서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에게", "에 대하여" 등과 어떤 차이와 특징이 있는지도 구분하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of errors that occur when Korean students use the modern Chinese preposition "Dui" targeting the HSK corpus. Furthermore, based on this, the focus of education for each type suitable for Korean students was also presented. The frequency of errors by type of Korean students was shown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omission and addition. Among them, the substitution errors were mainly caused by the confusion of the usage of "Dui" and "Gei", "Zai", "Cong", "Gen/He/Yu", "Na", "Jiu" by Korean students. The omission errors were mainly caused by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rious meaning differences in "Dui". The addition error were mainly caused by Korean students being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seven education-focused points were presented to Korean students when training "Dui". In summary, th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Chinese, Korean students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nouns and predicates that appear together according to the various semantic items of "Dui".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in what form the various semantic items of "Dui" appear in the sentence. Next, in terms of Korean, Korean students should be able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Dui" and Korean "Ege", "E Daehay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