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언어 행동과 한국어 교육

        박갑수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오늘날은 국제화시대요, 다문화시대다. 따라서 사람들은 자국어만이 아닌, 외국어를 알아야 하고,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외국어를 배우는가 하면, 한국어를 외국인에게 가르친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행동에 의한 소통과 비언어행동에 의한 소통의 두 가지가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비언어행동에 의한 의사소통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가 하면, 중요성을 지닌다. 사람들은 언어행동보다 비언어행동을 신뢰한다. 그럼에도 그간 이에 대한 무지와 관심의 부족으로 교육이 소홀하였다. 광의의 언어교육은 문화교육이라 할 수 있다. 비언어행동은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은 앞으로 문화와 함께 비언어행동에 관심을 기울여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언어 행동은 독립적으로, 또는 언어행동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언어행동과 함께 수행되는 경우는 중복, 부정, 대체, 보충, 강조, 조절 등의 구실을 한다. 비언어행동은 크게 7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것은 신체동작학, 시선접촉학, 신체접촉학, 근접공간학, 시간개념학, 향취접촉학, 부차언어학의 대상으로서의 비언어행동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7대 영역에 걸쳐 한국의 비언어행동과 차이를 보이는 각 민족ㆍ 국가의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조사ㆍ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에 이러한 비언어행동의 사례를 잘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도(企圖)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원활한 이문화(異文化) 커뮤니케이션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한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행동의 사례는 앞으로 더욱 많은 것이 수집되어 한국어교육에 활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행동의 분석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방안

        허지애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본고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합형 한국어 교재에 비언어행동이 적절하게 제시되고 있는가를 교재의 삽화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한국어교육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한 항목은 '인사하기', '소개하기', '약속하기', '지시하기', '수량표현하기', '음식을 먹을 때의 자세', '바닥에 앉을 때의 자세'의 일곱 가지이다. 분석 결과, 일곱 가지 기능 모두가 비언어행동을 반영한 삽화를 제시할 수 있는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급별 주제와 기능에 따라 비언어행동항목을 선정하여 목록을 작성한다. 둘째, 교재의 삽화에 비언어행동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반영한다. 셋째, 비언어행동은 언어예절과 함께 교수·학습을 한다.

      • KCI등재

        한국의 관광안내소에서 나타나는 인사행동의 한일 비교

        김영주(金英朱)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0

        본고에서는 관광안내소를 방문하는 한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의 인사행동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차이를 밝혀서, 접객 상에서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오해와 마찰을 이해해고자 하였다. (1)커뮤니케이션 도입시점에서는 한일 양국 모두 인사말의 생략이 두드러지며, 비정형화된 인사말이 등장하는 않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사 생략에 있어 한국인의 경우 ‘용건"만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일본인은 ‘사죄 표현’과 ‘환기어구’ 등을 사용하여 인사를 생략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언어 행동의 출현 빈도수와 비언어 행동의 각도에도 한일 양국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커뮤니케이션 해소시점에서는 한일 양국 모두 언어·비언어 행동이 증가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경우 인사행동과 연령과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나, 일본인의 경우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한일 양국 간의 비정형화된 인사행동과 비언어 행동의 차이는 커뮤니케이션 상에서 오해와 마찰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양국 간의 인사행동을 비교함에 있어, 정형화된 인사말의 횟수만을 비교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문화적 의식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비정형화된 인사말과 비언어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향후 양 국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의사의 정보원 속성, 언어ㆍ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진료만족 및 행동 의도와의 관계 : 정교화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정미영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소 외에 의사의 다양한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요인을 FGI(심층인터뷰)를 통하여 도출하고, 의사의 중심경로로 전문성을, 진실성과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주변경로로 하여 의사의 정보원 속성과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진료만족도 및 행동의도(재방문 의도, 긍정적 구전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바탕으로 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에서 음성언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몸짓언어, 시간)을 도출해 냈으며, SPSS 프로그램 20.0을 이용해 각 요인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심경로인 의사의 전문성과 주변경로인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중에서 시간을 제외한 음성언어와 몸짓언어가 신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뢰성의 구성요소인 전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중심경로인 의사의 전문성과, 주변경로인 의사의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 모두 진료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것처럼 환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의사의 전문성이며, 이외 주변경로인 의사의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도 선행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의사는 환자를 대할 때 눈 맞춤과 환자의 말에 경청하며 웃어주고 고개를 끄덕여주는 등의 비언어를 많이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의사에 대한 신뢰성은 진료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의사의 신뢰성과 진료만족도 역시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신뢰성과 진료만족도의 매개역할을 조사한 결과, 의사의 전문성, 진실성,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신뢰성과 진료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의사의 언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재방문과 긍정적인 구전의도와 같은 행동의도를 위해서는 의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실성 인식, 언어・비언어커뮤니케이션 요인, 의사에 대한 신뢰성 인식, 성공적인 진료만족도 역시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 variety of do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attribute of a sourc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doctors on the treat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eir patients with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trustworthines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peripheral route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first conducted qualitative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hose results were used to categorize the 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doctors into one categorie of "vocal language" an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of doctors into two categories of "kinesics and chronemics". And assumed interaction among each factors with program called SPSS 20.0.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trustworthiness, the positive evaluation of doctors' vocal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ing chronemics as peripheral routes had positive effects on credibility. Finally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was especially a precedence factor to have bigger influences on credibil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leading factors study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all of the factors including doctor's expertise as a central route, and doctor's trustworthiness as a central route an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s peripheral routes were found to affec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As stated in previous studies, the most critical element to satisfying the patients’s need is the expertise of docto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do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s also important as a leading factor. In the end, it is also important for doctors to use a lot of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nudging their heads and smiling at the words of a patient when they deal with patients. Third, the study also analyzed that the credibility to doctors affects positive effect on the treatment satisfaction of the patient. Fourth, the study also analyzed that the credibility to doctors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affects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mediating roles of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a doctor's expertise, a doctor's trustworthiness, the positive evaluation of do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s behavioral intentions. These finding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verbal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communication styles of doctors. Also For a behavioral intention like a revisit intention and a positive oral inten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s of a doctor's expertise and a doctor's trustworthiness,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the credibility of the doctor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of the patient should be preceeded.

      • KCI등재

        애정표현행동 양상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 영상매체에 나타난 연인 간 담화를 중심으로 ─

        김지원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연인 간 애정표현행동 장면에 나타난 언어행동과 비언어행 동을 대조분석하기 위해 양국의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용례를 살펴보았다. 언어행동을 ‘감정표출 표현’ ‘관계 지속 희망 표현’ ‘행동에 관한 어필 표현’ ‘소유 욕이 드러나는 표현’ ‘소속감을 나타내는 표현’ ‘스킨십 유도 표현’인 5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비언어행동을 ‘스킨십’ ‘정서적 표현’ ‘물질적 표현’인 3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일 모두 ‘감정표출 표현’과 ‘스킨십’을 통해 애정표현을 하는 경 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본이 보다 간결하고 직설적인 화법으로 애정을 표현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유욕이 드러나는 표현’은 한국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한국이 일본에 비해 다른 이성에 대한 경계심이나 질투심을 더 강하게 표현하는 경 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례를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 문말에 명령형이나 금지표 현을 사용하여 연인의 행동을 제한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일본의 경우 연인 사이 일지라도 의뢰형식이나 헤지(Hedge) 표현을 사용하여 상대의 체면을 위협하지 않으 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계 지속 희망 표현’은 일본에만 나타났 는데 앞으로도 계속 함께일 것이란 믿음이나 약속은 일본의 연인들에게 중시되는 듯하다. ‘행동에 관한 어필 표현’과 ‘소속감을 나타내는 표현’은 일본의 연인들에게 더 많이 나타났으며, ‘스킨십 유도 표현’과 ‘스킨십’ 은 한국의 연인들에게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한국은 일본보다 스킨십을 유도하는 언동과 스킨십으로 애정을 표현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표현’은 한국의 연인들 에게 더 많이 나타났지만 ‘물질적 표현’은 일본의 연인들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used movies and TV dramas to analyze language behavior and nonverbal behavior in emotional scenes between lovers in Korea and Japan. The language behavior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expression of emotion’, ‘expression of the future on relationships’, ‘expression of appeal about behavior’, ‘expression of ownership’, ‘expression of belonging’ and ‘expression of inducing touch’. Nonverbal behavior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hysical affection’, ‘affective offer’ and ‘material offer’. As a result, both Korea and Japan showed the most frequent expressions of affection through ‘expression of emotion’ and ‘physical affection’. In addition, ‘expression of ownership’ showed more Korea movies comparing with Japan. Korea tends to express more vigilance or jealousy against other reasons than Japan. On the other hand, ‘expression of the future on relationship’ only appeared in Japan. Believing or promising to stay together seems important to Japanese lovers. ‘expression of appeal about behavior’ and ‘expression of belonging’ were more common in Japanese lovers, while ‘expression of inducing touch’ and ‘physical affection’ were more common in Korean lovers, Therefore Korea tends to express affection with physical affection than in Japan. ‘affective offer’ indicated more to Korean lovers, but ‘material offer’ appeared more to Japanese lovers.

      • KCI등재

        언어행동의 금기의식에 대한 한, 중, 일 3국의 사회언어학적 대조연구

        홍민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한, 중, 일 3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상식에 벗어난 다양한 장면을 이용하여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에 대한 불쾌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불쾌도를 토대로 그 행동이 해당 국가에서 어느 정도 금기시되고 있는지를 계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상당히’와 ‘약간’ 불쾌하다는 비율, 즉 불쾌도가 50%를 넘는 언어행동이나 비언어행동은 그 나라에서 금기시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살쪘다’는 말은 한, 중, 일 3국 모두에서 금기시되고 있다. (2)대화중에 맞장구를 치지 않고 잠자코 듣기만 하는 행위, 또는 대화중에 혀를 차는 행위는 한국과 일본에서 금기시되고 있다. (3)대화중에 자기 가족 자랑을 많이 하거나 집게손가락으로 상대방을 가리키는 행위는 중국에서 금기시 되고 있다. (4)아무 양해 없이 상대방의 티슈를 사용하는 행위 또는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핸드폰으로 통화를 하는 행위는 일본에서 금기시 되고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s the discomforts of language and non-verbal behavior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using various scenes that are considered out of common sense. Based on the discomforts, we quantitatively confirmed to what degree the actions were being tabooed in the countries concerned. In this study, we have determined that language and non-verbal behaviors that are ‘fairly’ and ‘somewhat’ unpleasant, ie, more than 50% offensive, were tabooed in that country. The main cont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ord ‘get stout’ was tabooed in all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2) The act of not reacting in the conversation but only listening or tonguing in the conversation was being tabooed in Korea and Japan; 3) The act of boasting of the family during conversation or pointing the opponent with the index finger during conversation was tabooed in China; and 4) The use of the other person's tissues without the permission and the use of mobile phones on subways or buses were tabooed in Japan.

      • 비언어행동(몸짓ㆍ손짓언어)에 관한 한ㆍ일 비교연구

        민지영(Min, Ji-Young)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40 No.-

        The medium of non-verbal communication, gestures, physical contact, prosody of voice, appearance, environment and so on. By body movement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body posture, gestures, eye movement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fers to the act. Suggestive body movements, such as the speaker’s attitude, status, emotional status, and a crush on the other sid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amount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to non-verbal behavior. Study results were expressed using body parts. Many emotions expressed by the face, especially the upper part was done. Man’s physical and mental state, cognitive, social contact, and emotionalism is represented as an element of non-verbal behavior. Also hand using non-verbal behavior,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encouraged, instructed, were represented.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learning along with the elements of language, and should be accompanied by non-verbal behavior as well as the beginner textbooks to include the elements of a variety of non-verbal behavior of advanced textbooks will need to be organized.

      • KCI등재
      • KCI등재

        한 · 일 양 언어 들숨 쉿소리의 의미와 기능

        민광준(閔光準)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한·일 양 언어의 음성커뮤니케이션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e적인 연구로서 들숨 쉿소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기로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사다노부(2007)의 발화자료를 이용하고, 한국어의 경우는 텔레비전 방송의 각종 대담, 인터뷰, 토크 프로그램과 드라마를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양언어의 들숨 쉿소리는 공통적으로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 정중도 표시자적 들숨 쉿소리, 국면 회피적 들숨 쉿소리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의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에는 공격적인 것과 비공격적인 것이 관찰되나, 일본어의 경우는 공격적인 들숨 쉿소리는 관찰되지 않는다.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에는 시선 돌리기, 눈살 찌푸리기, 고개 갸웃거리기 등의 행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특징은 한일 양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된다. 셋째, 정중도 표시자적 들숨 쉿소리와 국면 회피적 들숨 쉿소리는 한일 양 언어에 모두 존재하며 그 의미 기능 또한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간투사적 들숨 쉿소리와는 달리, 시선 돌리기, 눈살 찌푸리기, 고개 갸웃거리기 등의 행동이 동반되지 않는다.

      • KCI등재

        한일 언어문화관련 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일고찰

        전종미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88 No.-

        In this article, I present a questionnaire-based analysis of the classes on Korean-Japanese Language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the Japanese language.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29 questions, and were answered by the 107 students of the class “Understanding Japanese-Korean communication.” The students provided a number of answers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ents looked forward to the class and they found it to be helpful for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As for the content of the class, the students seemed to be especially interested in topics whe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clear. Other opinions suggest that they got interested in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the class and changed their views on it. In this connection, notable opinions include “Audiovisual materials were prepared, and they wer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class” and “This class should be taken by the first year students.” Other remarkable opinions suggest the need for classes relating to language and culture to form and maintain the peaceful interpersonal rel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This is indicative tha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s required for the learners of Japanes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human interactions are quite active. It is necessary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uld be a basi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y forming a meaningful connection with other classes and incorporating into classes various teaching methods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