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不空羂索陀羅尼經』의 신라 전래와 그 의미

        옥나영(Ok, Na-young)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1

        이 글에서는 신라 승려인 明曉가 『不空?索陀羅尼經』을 당나라에서 역경승으로 활동하고 있던 李無諂에게 새롭게 한역해 줄 것을 간곡히 부탁하여 신라에 들여오고자 했던 배경과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공견삭다라니경』의 성격 및 특징을 살펴 봄으로써 그 이유를 추측해 보았다. 이무첨은 이전의 번역본에 비하여 불공견삭관음의 진언의 한자 표기법 및 발음법을 수정하였다. 진언은 발음하는 소리 자체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경전을 번역하는 이들은 범어를 한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기존 寶思惟역본에 만족하지 못한 사람들도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범어와 한어 양쪽에 능통하여 여러 역장에서 度語의 역할을 맡았던 이무첨에게 새로운 한역을 요청했을 것이다. 신라 승려 명효도 이러한 상황에 민첩하게 반응하여 신라에 돌아올 때에는 새롭게 한역한 『불공견삭다라니경』을 가지고 올 수 있었다. 『불공견삭다라니경』은 다른 불공견삭관음류의 경전들과는 달리 여래를 親見하고 수기를 받으며 결국은 서방정토에 태어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그런데 여래를 친견하기 전, 여래가 신통력으로 관자재보살의 모습으로 변한다고 설하는 점이 흥미롭다. 당시 신라에서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서 수행의 과정에서 매개자로서의 관음을 직접 보고자 하는 관음신앙이 존재했다. 더불어 이 시기에 변화관음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그와 관련한 영험담이 다수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정황은 『불공견삭다라니경』이 신라에 전래 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명효는 『海印三昧論』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명효는 『해인삼매론』의 요점을 의상의 『一乘法界圖』에 영향을 받아 圖印이라는 형식으로 표현했다. 의상은 다라니가 주술적인 진언의 뜻을 지닌 것을 인식하고, 法界緣起의 諸法을 ‘陀羅尼法’이라고 칭하였으며, 화엄교설을 실천적 수행에 접합시켜 도인의 형식을 채택했다. 명효도 일체계경의 要義와 일체제불의 공덕을 지닌 다라니가 해인삼매에 포함되며, 다라니문에 의지함으로써 佛果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불공견삭다라니경』이 다라니 자체가 지닌 위력과 독송법 그리고 그 효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수행법에 구체성을 높여주었다는 점과 통한다. 한편, 금강계와 태장계의 밀교 양쪽을 부촉한 승려인 惠日이 『불공견삭다라니경』에 1품을 덧붙여 현존 17품으로 완성한 사실은 명효와 『불공견삭다라니경』이 지닌 성격이 신라에서 한 부분을 차지했음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According to 『開元釋敎錄』, Myoung-hyo(明曉), a monk of Silla(新羅), persuaded Lee mu-cheom(李無諂) earnestly who was a translator monk in Tang(唐) to translate 『Amogha-p??a’s Dharani sutra(不空?索陀羅尼經) 』. So it is known that 李無諂 translated 『不空?索陀羅尼經』 and 明曉 came back to Silla with this. 李無諂 modified the previous translation of 『不空?索陀羅尼經』 with Dharani’s Chinese words and pronunciation in large part. Translators should have trouble to translate Sanscrit mantras and spell into Chinese, because people believed that the sound itself had meaning. People didn"t satisfied with the previous translation. 李無諂 was good at both Sanscrit and Chinese, that’s why 明曉 quickly requested him to translate and he could come back to Silla with the new translation 『不空?索陀羅尼經』. 『不空?索陀羅尼經』 is different from the another Scriptures of Amogha-p??a(不空?索觀音), shows a view to see Buddha directly, and be born in the Western Paradise finally. Some people believed Avalokite?vara(觀音) and they wished to see Avalokite?vara as a mediator at that time in Silla. More than that, the modified figures of Avalokite?vara(變化觀音) began to create and we can see the stories about it. So it was introduced in those circumstances. Besides, 明曉 wrote 『S?gara-mudr?-sam?dhi(海印三昧論) 』. He expressed the point of 『海印三昧論』 is the Dharma-world Chart(法界圖) affected by Uisang(義相). 義相 realized Dharani has the meaning of enchantment mantra, called that all dharma of dependen origination of Dharmadhatu(法界緣起) is ‘Dharani dharma(陀羅尼法)’, chose the form of the Dharma-world Chart joining Hwaeom(華嚴) Doctrine and practice fulfillment. 明曉 also expressed that Dharani with important meaning of all the scriptures and a charitable deed of all the Buddhas belongs to s?garamudr?-sam?dhi(海印三昧) and we can reach Buddha leaning on Dharani. This is the same as 『不空?索陀羅尼經』 which is very emphatic on the power, recitation and effective value of Dharani itself. We cannot find the case which is influenced by 『不空?索陀羅尼經』. However, as time goes by Hye-il(惠日) completed it added 1Vagga to 『不空?索陀羅尼經』. Therefore 明曉 and 『不空?索陀羅尼經』 was important in Silla.

      • KCI등재

        민영규본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의 구조와 특징

        김수연 ( Kim Soo Youn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4

        범자 다라니 모음집인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은 고려시대 밀교다라니신앙의 왕성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을 받아 왔다. 현재 총 6종의 『범서총지집』이 전해지는데, 민영규본 『범서총지집』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판본들과 차이를 보인다. 우선 판본들 중 유일하게 서문이 있다. 또한 내용과 구조의 측면에서, 전반 4/5 가량은 전반적으로 다른 판본들과 동일한 다라니를 유사한 순서에 따라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후반 1/5 가량을 차지하는 121개의 다라니는 민영규본에만 수록된 것 들이다. 전반 4/5 가량의 다라니는 해인사본과 내용 및 구조를 비교하며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민영규본 『범서총지집』이 체계화된 중기밀교 사상을 드러내지 않으려 노력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인사본에서 태장만다라(胎藏曼茶羅)를 구성하는 `원(院)`들을 직접적으로 드러낸 반면, 민영규본은 `원`이라는 글자를 빼서 다라니만 나열하고 있다. 이는 태장만다라의 구조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시도로 생각된다. 또한 밀교의 계율인 삼매야계(三昧耶戒) 관련 진언도 수록하지 않았다. 후반 1/5 가량의 121개 다라니를 검토하는 과정에서도 몇 가지 의미 있는 특징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우선 관음 40수 진언의 40개 다라니가 나온다는 점이다. 이는 조선시대 『영험약초(靈驗略抄)』로 이어지는 관음보수진언(觀音寶手眞言)의 원형으로 추정된다. 또 고려시대에 실제로 유통되었음이 확실하지만 다른 판본의 『범서총지집』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다라니들이 이 부분에 실려 있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보성다라니(寶星陀羅尼)이다. 아울러 다라니들의 출전 중에는 『소실지갈라공양법(蘇悉地?羅供養法)』이 가장 많았다. 이 경전은 초조대장경에는 포함이 되지 않았다가, 재조대장경 제작 시에 들어간 것이다. 서문에 있는 대로, `선정장(禪定藏)`으로서 민영규본『범서총지집』을 활용했던 승려들이 다라니 수행의 절차를 『소실지갈라공양법』에서 찾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Beomseo-chongji-jip, which is a collection of dharanis in Sanskri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case of showing the thriving condition of esoteric dharanis faith in Goryeo(高麗). There are total more than six versions of the Collection, and the one donated by Min Yeong-gyu(Min`s Beomseo-Chongji-jip) has differences from the other ones in various aspects. Of all the versions, only it has a preface. In terms of content and structure, it records the same dharanis as the other versions in a similar order in four fifths but presents 121 dharanis not found in the others in one fifth. The study reviewed and compared the dharanis in four fifths of Min`s Beomseo-Chongji-jip with the Haein-sa(海印寺) version in terms of content and structure and found that it tried not to show the middle stage of esoteric ideology as much as possible. While it listed only dharanis after omitting the letter "Won(院)," the Haein-sa version directly showed "Wons" that made up the Garbha-Dhatu-Mandala(胎藏曼茶羅). It is understood as an attempt not to reveal the structure of Garbha-Dhatu-Mandala. In addition, it did not carry the words of Buddha related to the Samaya Precept(三昧耶戒) that represented the religious precepts of esoteric Buddhism. The study also found som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121 dharanis in the remaining one fifth of Min`s Beomseo-chongji-jip. It introduced dharanis of Avalokitesvara`s 40 hands(觀音四十手眞言), and they are estimated to be the original form of Avalokitesvara`s treasure hands dharani(觀音寶手眞言) that led to Yeongheom-yakcho(靈驗略抄) in Joseon(朝鮮) Dynasty. The one fifth part also contained the dharanis that were certainly circulated in Goryeo and not found in the other versions of Beomseo-chongji-jip. One good example is Boseong Dharani(寶星陀羅尼, Mahasannipataratnaketu Dharani). The most popular source of dharanis was Sosilji-gala-gongyang-beop(蘇悉地?羅供養法), which scripture was not included in the first version of Korean Tripitaka(初彫高麗大藏經) and then included in that of second version. Those findings raised a possibility that the Buddhist monks who worked on making Min`s Beomseo-chongji-jip might have found a procedure of dharani asceticism in Sosilji-gala-gongyang-beop as they made use of this book as Dhyana Pitaka(禪定藏) written in its preface.

      • KCI등재

        중국 화엄과 밀교 교섭의 양상에 대한 고찰 - 타라니(陀羅尼)의 수용(受容)을 중심으로

        정성준 ( Seong Joon Cheo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4 No.-

        대승불교의 다라니는 그 연원이 인도의 베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본래 다라니는 암기를 목적으로 한 인도 요가수행이었지만, 대승불교시대에 경전을 암기, 수지, 독송하는 보살수행의 하나로 수용되었다. 다라니는 경전에 담긴 사상이나 내용을 산스끄리뜨의 자음이나 어구에 요약하여 암기하는 방편이었으며, 나아가 정각을 향한 출세간적 목적과 더불어 세간적 공능을 지닌 것으로도 해석되었다. 다라니가 지닌 세간적 원력의 성취와 출세간적 성불수행의 양면성은 중국의 화엄종에서도 수용되었으며, 중국적 사상과 융합하여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화엄경(華嚴經)』에 나타난 42字門의 다라니는 『반야경(般若經)』의 종자관(種子觀)을 수용하여 반야사상에 입각한 공성의 교리를 보여주었고, 화엄의 일즉일절(一卽一切)의 철학과 교섭한 흔적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다라니에 대한 세간적 원력의 신앙적 소망은 화엄신중신앙으로 전개되었고, 나아가 부공(不空)에 의해 문수보살의 화현인 Yamantaka의 신앙으로 전개되었다. 불공이 오대산(五臺山)에서 선양한 문수신앙은 밀교의 5선정불(禪定佛) 사상인 부족사상의 견지에서 해석되었으며, 징관(澄觀)은 밀교적 토대위에 화엄과 밀교의 융섭(融攝)을 모색한 자취를 그의 저서에서 남기고 있다. 당 이후 요시대에 활약한 도전(道殿)은 『현밀원통성불심요집(顯密圓通成佛心要集)』에서 원종(圓宗)의 해석에 입각해 화엄과 밀교의 교상(敎相)을 확립하였는데, 현교의 원종은 화엄을, 밀교인 밀원(密圓)은 타라니교(陀羅尼敎)로 정의하여 중국의 종학 가운데 현교와 밀교를 구분하고, 밀교에 관해서는 당대에 이미 소실되어 사라진 『대일경』과 『금강정경』의 양부부법(兩部付法) 대신 다라니를 밀교의 중심교학과 수법으로 해석하였다. The Dharani thought on the scope of Chinese Huayuan`s doctrine dates back its origin to Veda era of Indian`s ancient religion. The Dharani was a part of Indian Yogic system but developed to a major element of practices of Bodhisattva`s memorizing and retention of Sutras in Mahayana Buddhism, which integrates the contents and ideas of large Sutras into a letter and expressions of Sanskrit. The Dharani was developed to possess both the purposes of accomplishing Buddhahood and achieve the mundane goal of satisfy wishes of sentient beings, which aspects were adopted to the Huayu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42 Syllable Gate(字門) in Huayuan Sutra was adopted to the Sutra for the purpose of compensate for the doctrines of emptiness taught in Paramita Sutra and the religious factors of Huayuan school which believes in the panteon of Huayuan Sutra were developed to the belief of Dharani of Yamantaka by Amoghavajra(不空), who`s owner of Dharani an incarnation of Manjusri which by his wisdom to subdue the cycle of life and death. Amoghavajra enhanced the belief of Mt.Wudai(五臺山) by esoteric Buddhism but at the same time Changuan(澄觀) enhanced the Huayuan school who attempted the fusion of Esoteric Buddhism and Huayuan school which ideas were promoted by Daodian(道殿) defining Esoteric Buddhism by sole system of Dharani and by Miyuan(密圓) in the system of Yuanzong(圓宗) on the foundation of Huayuan`s doctrine.

      • KCI등재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보이는 불교의 영향

        송미경(Song Mi-Kyung) 한복문화학회 2018 韓服文化 Vol.21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stumes excavated from Joseon Dynasty tombs as well as dharani, beon, beads, which are presumed as Buddhist rosary, that were collected from coffins and ancestral rites tools. The consideration aims to explore until when the influence of Buddhism led on the tradition of Joseon mourning and funeral. As of 2018, among the 200 or more cases reported of excavated costumes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10 cases that reported collection of artifacts that are related to Buddhism, such as beon, dharani, Buddhist rosary. The distribution of the regions where dharani, beon, and Buddhist rosary were collected includes 5 locations in Gyeonggi/Incheon (Incheon, Namyangju, Paju, Yangpyeong, Seongnam), 2 locations in Chungbuk (Eumseong, Goesan), 1 location in Chungnam (Cheongyang), 1 location in Jeonbuk (Buan), and 1 location in Gyeongnam (Ulsan). This leads to the presumption that Buddhism influenced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cross regions. Looking at the tombs by sex, male tombs were 2, and female tombs were 8, from which artifacts related to Buddhism were collected. This makes it presumable to infer that more females were friendly to Buddhism in early Joseon period. The period in which the tombs from which Buddhism related artifacts were collected were created ranges from mid 15<SUP>th</SUP> century to late 17<SUP>th</SUP> century. The period during which the influence of Buddhism is seen from the excavated tombs is mostly early Joseon, and it disappeared in the 17<SUP>th</SUP> century. In the 17th century, the dissemination of decorum manuals of Confucianism prevailed after wars such as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Byeongjahoran had ended.

      • KCI등재

        ‘叱’의 음독 유래에 대하여

        위국봉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2 No.-

        ‘叱’ was used to write ‘s’ or ‘si’ in the Old Korean literature data written in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ny researchers suggested lots of alternatives to try to explain this phenomenon, but still it is a remanent puzzle now. In this study, I consider that ‘叱’ in the data was not an abbreviation of another character. I try to explain this problem in the category of Old Korean Sino-Korean sounds. In Chapter 2, I use the data and the methods which was adduced in the previous studies again to approach this problem. I search the dental consonant systems of Old Korean, Ancient Chinese and Old Japanese, it turns up that both the omission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fricative and affricative can not be explained. In Chapter 3, I find that ‘叱’ was used to write Sanskrit ‘śi, ṣ, s’ in the Chinese translation dharanis. Meanwhile, I believe that ancient Koreans imitated Sanskrit to recite the dharanis. I consider that for this reason, ‘叱’ was used to write Old Korean ‘s’ or ‘si’. ‘叱’은 고대한국어 차자표기 자료에서 ‘ㅅ’ 내지 ‘시’를 표기하였다. 종래에 ‘叱’과 ‘ㅅ’ 및 ‘시’의 대응 원인에 대해서 많은 학설이 제시되어 왔지만 이 문제는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謎題로 남아 있다. 본고에서는 ‘叱’을 다른 한자의 약자로 보지 않고 고대한국한자음의 범주 안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해 왔던 자료 및 연구 방법을 재검토하면서 거기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필자는 고대한국어, 중고한어, 고대일본어의 치음 체계를 모두 살펴보았으나 ‘叱’의 韻尾의 생략은 물론 파찰음과 마찰음 사이의 차이점을 모두 설명할 수 없었다. 3장에서 필자는 陀羅尼經에서 범어의 ‘śi, ṣ, s’를 漢譯 佛經에서 ‘叱’로 音譯한 것에 주목하여 고대한국에서도 漢譯된 陀羅尼를 범음으로 송독했으리라고 보고, 그 영향으로 ‘叱’이 고대한국어의 ‘시’ 혹은 ‘ㅅ’을 표기한 것으로 보았다.

      • KCI우수등재

        遼慶州白塔천궁출토 鳳銜珠銀鎏金法舍利塔의 조상 연구

        성서영 한국미술사학회 2022 美術史學硏究 Vol.315 No.315

        The Qingzhou White Pagoda is a śarīra pagoda of the Buddha Śākyamuni built by the commission of Empress Dowager Zhangsheng in the Liao Dynasty. This paper illuminates the aim of the Buddhist services undertaken at the Heavenly Palace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and the Empress Dowager’s religious aspirations and wishes by examining the “gilt silver sutra plate” enshrined in the (Gilt Silver) Dharma Relics Pagoda and the engraved images and a statue on the Pagoda’s body and pedestal. Through the latter analysis, the paper also brings to light how the Pagoda conveys the shamanistic tradition of the Liao imperial court. At the time, the Buddhist services had been mainly intended for Emperor Shengzong’s rebirth in the Tuṣita Heaven. For this reason, the “gilt silver sutra plate” is inscribed with an excerpt only relating to a rebirth in Tuṣita from the “Root Dharani” of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Moreover, the images on the Pagoda’s body are engraved with the unprecedented inclusion of Jiebiluozhancha, a Brahman who also notably appears in the Sutra. The Empress Dowager wished Maitreya would descend to the earth, and she aspired to become a Chakravarti (King Saṅkha) destined to rule over Jambudvîpa in the Final Dharma Age. On the Pagoda’s body, the Empress Dowager is depicted wearing a crown of a bodhisattva with a golden grand mountain ornament(Jinboshan) and holding a branch of the naga-puspa tree. Meanwhile, Maitreya is shown on the pedestal of the Pagoda with Śākyamuni’s alms bowl in one hand and the other hand carrying Abstract A Study on the Gilt Silver Dharma Relics Pagoda Excavated from the Heavenly Palace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of the Liao Dynasty Sung, Suhyoung The Qingzhou White Pagoda is a śarīra pagoda of the Buddha Śākyamuni built by the commission of Empress Dowager Zhangsheng in the Liao Dynasty. This paper illuminates the aim of the Buddhist services undertaken at the Heavenly Palace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and the Empress Dowager’s religious aspirations and wishes by examining the “gilt silver sutra plate” enshrined in the (Gilt Silver) Dharma Relics Pagoda and the engraved images and a statue on the Pagoda’s body and pedestal. Through the latter analysis, the paper also brings to light how the Pagoda conveys the shamanistic tradition of the Liao imperial court. At the time, the Buddhist services had been mainly intended for Emperor Shengzong’s rebirth in the Tuṣita Heaven. For this reason, the “gilt silver sutra plate” is inscribed with an excerpt only relating to a rebirth in Tuṣita from the “Root Dharani” of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Moreover, the images on the Pagoda’s body are engraved with the unprecedented inclusion of Jiebiluozhancha, a Brahman who also notably appears in the Sutra. The Empress Dowager wished Maitreya would descend to the earth, and she aspired to become a Chakravarti (King Saṅkha) destined to rule over Jambudvîpa in the Final Dharma Age. On the Pagoda’s body, the Empress Dowager is depicted wearing a crown of a bodhisattva with a golden grand mountain ornament(Jinboshan) and holding a branch of the naga-puspa tree. Meanwhile, Maitreya is shown on the pedestal of the Pagoda with Śākyamuni’s alms bowl in one hand and the other hand carrying * Affiliated Professor at Mokwon University a staff adorned with the head of a wild goose. The wild goose's head, in particular, is an imag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hamanistic rituals of the Liao imperial family. In sum, the inner space of the Dharma Relics Pagoda is a “gilt silver sutra plate,” which manifests the faith of Maitreya and rebirth in his Tuṣita Heaven, and its outer surface are the images displaying the aspiration of the royal donor for Maitreya’s descent and the corresponding portrayal of Maitreya Buddha. 요 경주백탑은 장성황태후가 발원한 석가불사리탑이다. 필자는 천궁 출토 봉함주은누금법사리탑에 안 치된 누금은경판과 탑신과 대좌의 조상 분석을 통해 당시 불사의 목적과 장성황태후의 염원을 구체적으로 밝 혔다. 또한 조상 표현에 요 황실 고유의 샤머니즘 습속이 반영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당시 불사의 주된 목적은 성종의 도솔천 왕생 기원이었다. 그리하여 법사리탑 내 안치된 누금은경판에 『무구정경』중에서도 근본다라니의 망자 도솔천 왕생 문구만을 새겼다. 또한 탑신에는 경전 중의 인물 외도 겁 비라전다를 최초로 조형화하였다. 장성황태후는 다가올 말법 시대에 요나라에 미륵이 하생하고, 자신이 염부 제를 다스리는 전륜성왕 양거가 되길 염원했다. 그리하여 장성황태후는 탑신에서 금박산이 표현된 보살관을 쓰고 용화수 가지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미륵불은 대좌에서 석가의 발우와 기러기 머리가 표현된 장대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기러기 머리는 요 황실의 샤머니즘 제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합해 보면, 법사리탑 내부에는 미륵 상생 신앙에 기초한 누금은경판을 안치하였으며, 외부에는 미륵불 하생을 염 원하는 황실 공양자와 이와 관련 있는 미륵불을 표현하였다.

      • KCI등재

        토함산 석굴 문수,보현보살상 연구

        주수완 ( Soo Wan J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4 No.-

        이 논문은 石窟庵 本室 앞쪽에 위치한 두 菩薩立像의 尊名 및 圖像的 淵源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 두 보살상은 석굴암 본존불이 보드가야의 降魔成道像을 바탕으로 한 釋迦牟尼로 해석됨에 따라석가모니의 권속인 文殊·普賢菩薩로 해석되고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의 협시보살이 문수·보현보살이어야 한다는 경전상의 근거는 찾기가 어렵다. 아울러 문수·보현보살이 찻잔(茶婉)과 經冊을 들고 있는 도상적 전거 역시 분명하지 않다. 석가모니의 권속으로서 분명하게 문수·보현보살이 확인되는 경우는 獅子와 코끼리(象)를 탄 보살이 등장하는 경우이다. 이는 『陀羅尼集經』에서 그 전거를 찾아볼 수 있는데, 석굴암이 제작되던시기보다 1 세기가량 앞서 번역되었기 때문에 석굴암 제작자들은 이 경전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725 년의 명문을 지닌 山東省 城武縣의 石造舍利塔 門扉에도 사자와 코끼리를 탄 문수·보현보살상이 등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굴암에서 사자·코끼리를 탄 도상을 문수·보현보살의 도상으로 채택하지 않았던 것은 이러한 도상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었거나, 『다라니집경』의 문수·보현보살과는 성격이 다른 도상임을 의도적으로 강조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만약 이들 도상이 사자·코끼리를 탄 보살도상이 알려지기 전의 도상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면, 우리나라나 혹은 중국에 이와 같은 유형의 문수·보현보살 도상이 존재해야겠지만, 현재까지 석굴암에서와 같은 문수·보현보살 도상이 짝을 이루어 등장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석굴암 보살도상에 보이는 찻잔이나 경책을 든 보살상은 敦煌 莫高窟, 洛陽 龍門石窟 등에서 보이고 있지만, 이런 유사한 도상이 문수·보현을 의미한다는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중국에 존재하고 있던 도상이지만, 이 도상을 각각 문수와 보현보살을 상징하는 개념으로 재해석하여 석가모니의 권속으로서 짝을 이루어 등장시킨 것은 석굴암 설계자의 창안이었다고 해석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찻잔과 경권이 문수·보현보살과 연관될 수 있는 몇몇 전거들을 고찰했다. 찻잔은 『宋高僧傳』에 등장하는 文殊菩薩을 만난 無著의 설화와 연관지어보았으며, 경책은 中國 五台山 南禪寺 大殿의 普賢菩薩이 經卷을 들고 있는 도상과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문수의 찻잔은 參禪을, 보현보살의 經冊은 敎學을 상징하는 지물을 의도했던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는 각각 석가의 깨달음의 요체와 실천적 보살행의 개념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a result of study on the iconographic origin of two bodhisattvas located in the front of main hall of Seokguram(石窟庵). These two bodhisattvas are interpreted as Manjusri and Samantabhadra because the main image of Seokguram is regarded as Sakyamuni buddha which is based on the image in Mahabodhi shrine on Bodhgaya, India.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doctrinal evidence that Sakyamuni is flanked by Manjusri and Samantabhadra. Further, it is more difficult to confirm the iconographic reference that Manjusri and Samantabhadra distinguished by tea bawl and sutra booklet. If Manjusri and Samantabhadra ride on lion and elephant, it is easy to define. We can find out that these bodhisattva’s iconography of riding lion and elephant are based on Dharani Collection Sutra, and this was known to the designers of Seokguram because this sutra was translated before about one hundred years ago from Seokguram. The first made example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with lion and elephant can be found at the relief door leaf on stone Sarira stupa in Chengwu xian(城,武縣) Shandong sheng(山東省), dated the year of 725. Inspite of these type of bodhisattva were already known to the United Shilla at that age, these were not applied for iconography of Seokgura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which were not a regular symbol image of two bodhisattvas or intended to be based on the other doctrinal tex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Dharani Collection Sutra. If the image of two bodhisattva in Seokguram were based on the precedent iconography, similar images have to be found at the former periods. But no example can be found at least until now. Even the similar bodhisattva images with tea bawl and sutra booklet as Seokguram can be found in Dunhwang Mogaoku and Luoyang Longmen cave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y means Manjusri or Samantabhadra. It shows that the bodhisattva images with these symbols were already exist in China, but applying it to Manjusri and Samantabhadra iconography was inventional idea from the designers of Seokguram. This essay tried to contemplate the reason of relationship between tea bawl, stura booklet and Manjusri and Samantabhadra. The tea bawl can be concerned with the meeting of monk Wuzhuo and Manjusri which described in Song Gaoseng chuan(宋高僧傳) while sutra booklet connected to Samantabhadra image of Nanshansi(南禪寺) in Wutaishan(五台山). According to these connection, the tea bawl can be interpreted as Samadhi(dhyana, 定) while sutra booklet may means Prajna(literary learning, 慧). Further more, it could be meaning the contrast with ultimate invisible enlightenment and practical asceticism.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관음삼존상 협시에 나타나는 위태천 관련 도상 분석

        김민지 한국미술사학회 2020 美術史學硏究 Vol.306 No.306

        The eight examples of Avalokitesvara Triad that survive from late Joseon are products of their time, representing the currents of the Buddhism and of the Buddhist sculptures in Joseon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owever, as they have received little scholarly attention,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y were made, and their significance and standing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Korea have not been understood in depth. This study focuses on the mixed representation of Skanda-Karttikeya in Avalokitesvara Triad and analyzes the meaning and patterns of its appearance. Traditionally, the Avalokitesvara Triad were understood to be of the Bodhisattva Avalokitesvara attended by the Dragon King and Sudhana, but the iconography of Skanda-Karttikeya can be recognized in some examples. The reasons for the inclusion of this iconography can be found on the print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and Avalokitesvara Dharani included in the narrative paintings for the Buljeongsimdharani-gyeong, a scripture mass-produced in Joseon, where Skanda-Karttikeya appears as an important deity along with Avalokitesvara, Sudhana, and the Dragon King. As this new iconography of Water- Moon Avalokitesvara was widely distributed, the late Joseon sculptures of the Avalokitesvara Triad began to absorb Skanda-Karttikeya among them. As only two attendants could be present in a triad, different iconographies were merged into one. Whereas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of Goryeo was based on the “The Universal Gateway of the Bodhisattva Perceiver of the World’s Sounds” chapter of the Lotus Sutra, and the “Entering the Dharma Realm” chapter of the Avatamsaka Sutra, the Avalokitesvara Triad of late Joseon was a new type of Water-Moon Avalokitesvara, representing esoteric Buddhism and Dharani. The reception and diffusion of the new iconography that includes Skanda-Karttikeya images via prints, paintings, and sculptures demonstrate how iconographies were shared between different materials and influenced each other. The late Joseon Water-Moon Avalokitesvara that became popular through prints related to the practice of Dharani, and the new mixed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Triad made to express it in sculpture show how the desires of the contemporary people were reflected in religious sculptures. Images of Dharmapala as warrior-types were incorporated as people needed protection from danger, and they also stand as witness to the earnest desires of the people who wanted to guard something precious from harm. 총 8점의 조선후기 관음삼존상이 전해지고 있다. 이 상들은 17-18세기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기때문에조선후기의불교사적,조각사적특성을반영하고있다. 그러나그동안큰관심을받지못하여상의조성배경과 의미, 조각사적 의의 등이 심도있게 밝혀지지 못했다. 본논문에서는 관음삼존상에 혼재되어나타나는 위태천과 관련된 도상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양상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관음삼존상은기존에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용왕과 동자 협시가 나타나는 상으로 언급되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 관음의협시로동자와용왕뿐아니라위태천도상요소가나타남을밝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관음삼존상에 위태천의 도상이 혼재되어 나타남을 새로 밝히고, 그러한원인이 조선시대 대량으로 간행되었던 『불정심다라니경』의 권수 변상에 나타나는 수월관음 판화와<관음보살도>다라니임을제시하였다. 『불정심다라니경』의권수변상과<관음보살도>다라니에는관음, 동자,용왕과함께위태천이중요한존격으로함께등장한다. 이처럼위태천이비중있게등장하는새로운수월관음의 이미지가 널리 유통되면서, 조각으로 만들어진 조선후기 관음삼존상에는 용왕과 동자협시에 위태천의 도상이 혼재되어 나타나게 된다. 세 개 이상의 상을 제작할 수 없는 삼존이라는 조각의한계로 인해, 한 개의 상에 두 가지 도상을 표현한 혼합형 협시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조선후기관음삼존상은 기존의 『법화경』 「보문품」, 『화엄경』 「입법계품」에 기반한 고려의 수월관음도와는 계통이다른, 조선시대 유행한 『불정심다라니경』과 같은 다라니류, 진언과 관련된 밀교적 불교 신앙을 반영한 새로운수월관음이라는점에서주목을요한다. 위태천이 함께 나타나는 새로운 수월관음의 이미지가 판화, 회화, 조각이라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수용, 확산되었던 전체적 양상은 조선시대에 서로 다른 매체에서 도상이 공유되며 상호 영향을 미쳤던과정을잘보여준다. 다라니와관련된판화로인해조선시대유행하게된새로운수월관음도상의구성과, 이를 조각으로 옮겨 표현하기 위해 발생한 관음삼존상의 새로운 혼합형 도상은 그당시 사람들의 염원이조각상에 끼친 영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무장형 표현을 한호법신중의 도상적 요소가 관음삼존상에함께 혼재되어 조각된 것은 강하게 자신을 지켜줄 존재를 갈구해야 했던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어보이며, 넓게는 소중한 것을 악한 것으로부터 지키고픈 그 당시 사람들의 간절한 바람의 투영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수덕사 塑造 여래좌상 腹藏 典籍類 고찰

        문상련(정각)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수덕사 塑造 여래좌상 복장 유물」 중 전적과 다라니에 대한 고찰이다. 이 소조 여래좌상은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복장 전적 중에서 다수의 고려시대 간행 전적과 조선초의 다라니가 수습되었다. 필자는 수덕사 복장 수습 전적류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 등을 언급하였다. 복장본 중 『대방광불화엄경소』(권79~81, 91~93)는 義天이 宋에서 제작 간행한 敎藏 중 일부로, 권79, 80의 경우 기존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은 유일본임을 말하였다. 그럼에도 복장본 『대방광불화엄경소』는 宋에서 유래한 목판의 인출본이 아닌 번각 인출본으로, 우리나라 판각의 『대방광불화엄경소』 敎藏本이 고려말~조선초에 존재했음을 밝혀내었다. 이외에 1240년 崔怡 跋文本 『묘법연화경』 끝에 기록된 洪武23년(1390) 墨書 跋文 중 避諱缺劃의 예와, 표지화 표현 형식의 예를 통해 이 책이 고려 印成本임을 언급했으며, 이들 경전은 1286년 成敏 誌本 『묘법연화경』과 1382년 李穡 跋文本 『묘법연화경』, 재조대장경 중 『사아함모초해』, 사경본 『자비도량참법』 등과 함께 <1390년 당시 조성된 某 불상> 복장에 납입되었을 것임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복장에서 수습된 1422년 대자암 간행본 『묘법연화경』의 경우 1489년(弘治貳年己酉) 간행된 다라니와 함께 <1390년 조성된 某 불상>의 重修 내지 蓋金時거나 <1489년 조성된 또 다른 불상>에 납입되었을 것으로, <1489년 조성된 불상>의 경우 불복장 당시 이 불상은 德山縣 북쪽 沔川(당진군 면천면)의 <某 寺刹>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말하였다. 그럼에도 여래상의 相好 내지 불상 양식을 고려할 때 「수덕사 소조 여래좌상」은 <15세기 이후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이 불상의 腹藏時 <1390년 당시 조성된 某 佛像>의 佛腹藏 내지 <1489년 조성된 또 다른 불상>의 佛腹藏이 수습되어 현재의 「수덕사 소조 여래좌상」 복장에 납입된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腹藏物) found in the seated clay Buddha(塑造坐佛) at the Sudeok Buddhist Temple(修德寺). Made in early Joseon, this seated clay Buddha contained many Buddhist sutras published during Goryeo and dharani(陀羅尼) from early Joseon.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followings by looking into the Buddhist sutras and dharani found among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at the temple: Of the versions found among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Daebang gwangbul- hwaeomgyeongso(大方廣佛華嚴經疏)”(Volumes 79~81 and 91~93) was part of the Gyojang(敎藏) made and published by Yi-Tian(義天) in the Song Dynasty(宋). Volumes 79 and 80 are the only ones found in South Korea. Still, “Daebang gwangbul-hwaeomgyeongso” is a Korean block book rather than one transmitted from Song and demonstrates that the Gyojang version of Daebang gwangbul-hwaeomgyeongso engraved in Korea existe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The study also mentioned that “Lotus Sutra(妙法蓮華經)” was published during Goryeo based on the examples of Pi Hui(避諱, Naming Taboo) and the cover painting format in the postface(跋文) written in 1390 at the end of Choi-ui's(崔怡)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in 1240. It was estimated that these scriptures were placed in “A Buddha Statute of 1390” as part of its relics and votive objects along with Sung-min's(成敏)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286, Lee Seak’s(李穡) postface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382, and “Saahammochohe(四阿含暮抄解)” of Jaejodaejanggyeong(再雕大藏經) and “Jabidoryang-chambeop(慈悲道場懺法)”. The Daejaam(大慈庵) version of “Lotus Sutra” published in 1422 and discovered in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must have been put in “A Buddha Statute of 1390” when it was repaired or covered in gold or “Another Buddha Statute of 1489” along with the dharani published in 1489. “A Buddha Statute of 1489” was enshrined at “a Buddhist temple” in Myuncheng(沔川) north of Duksan province(德山縣) along with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Still, it was estimated that the seated clay Buddha of Sudeok Buddhist Temple was made in early Joseon(15th century). The relics and votive objects of “A Buddha Statute of 1390” and “Another Buddha Statute of 1489” must have been recovered and put in the current seated clay Buddha of Sudeok Buddhist Temple.

      • KCI등재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垸의 新자료와 梵字 검토

        고정용,서영남 한국문화사학회 2023 文化史學 Vol.- No.59

        The four a tin vessel inlaid and Incense Burners of the Goryeo Dynasty were newly introduc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examined focusing on Sanskrit. The newly discovered <Excavated remains Incense Burners of 167-1 Changrisan in Ganghwa-do>, which was newly discovered by the recent excavation survey, and <Old Inoue family's Incense Burners>, <Boju Bukak Temple's Incense Burners>, which had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for the time being, and <Jeongwoo Two-Year-Old Geonbong Temple Incense Burners>, which is known to have been destroyed by the Korean War. In these incense burners, there are different contents in the center of the old partr torso. First, the excavated items of Ganghwa-do Changri are hūṃ⇒vaṃ⇒hoḥ leftward based on the jaḥ, Inoue family’s incense burners are oṃ⇒dīḥ⇒gaḥ the rightward based on the aḥ, the incense burners of Boju Bukak Temple is composed of “dhṛ⇒vi⇒pha⇒vai” from the right, and the incense burners Sanskrit of Geonbong Temple was read as consisting of five characters of a vaṃ raṃ haṃ khaṃ. The production age of Geonbong Temple, Inoue family, Ganghwa-do Changri were made in the 13th century and the incense burner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Boju Bukak Temple was made in the 15th century after late 14th century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rm, pattern, and prestige. The Incense Burner Sanskrit is the central pattern of the incident tin vessel inlaid with silver Incense Burner,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so far. In the process of deciphering Incense Burner Sanskrit, which was reviewed this time, it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dharani as the Buddhist fabrics in the Buddhism that began to flourish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so I discussed Incense Burner Sanskrit and dharani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seed-syllablis and mantras in detail. While the seed-syllablis and mantras used at that time were used in the incense,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a common part with dharani in the incense that was reported this time. The incense burner tin vessel inlaid with silver unlike the Buddhist temple bell, bronze mirror, and roofing tile, it has been the subject of the design since the beginning of the 12th century. It is a Buddhist ritual tool accompanied by the Buddhist prayer under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I guess they might have carved Sanskrit into the incense and made it a visual effect of Buddhist prayer. 고려시대 청동은입사 향완 4점을 새롭게 소개하고, 범자를 중심으로 그 의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최근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강화도 창리 山167-1번지 유적 출토 향완>과 그동안 학계에 범자의 상세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던, <구 이노우에가 소장 향완>ㆍ<보주북악사명 향완>, 6.25전쟁으로 소실된 것으로 알려진 <정우이년명 건봉사 향완>이다. 향완에는 노신부 중앙에 각기 다른 내용의 범자가 입사되어 있는데, 먼저 강화도 창리 유적 출토품은 ja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으로 hūṃ⇒vaṃ⇒hoḥ, 이노우에가 소장 향완은 aḥ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oṃ⇒dīḥ⇒gaḥ, 보주북악사명 향완은 오른쪽에서 dhṛ⇒vi⇒pha⇒vai로 구성되며, 건봉사 향완 梵字는 a vaṃ raṃ haṃ khaṃ의 5자로 구성되었다고 판독하여 보았다. 이들 향완의 제작연대는 형태와 문양, 명문 등의 고찰을 통해, 건봉사 향완ㆍ이노우에가 소장 향완ㆍ강화도 창리유적 출토 향완은 13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주북악사명 향완은 14세기 후엽 이후 15세기 대 것으로 판단하였다. 향완범자는 입사향완의 중심 문양이면서도 그동안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에 검토한 향완 범자 석독 과정에서 고려시대 후기부터 융성하기 시작하는 불상 복장유물로서 만다라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구체적으로 종자ㆍ진언 구성에 대해서 검토하여 향완 범자와 만다라지에 대해 논해 보았다. 당시 사용되던 종자ㆍ진언이 향완에 채용되는 가운데 이번에 보고한 향완에서는 다라니지와 공통된 부분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청동입사 향완은 범종이나 동경, 기와 등과 달리 범자를 12세기 출현 초기부터 의장의 주체로 삼고 있는데, 이는 밀교의 영향 아래 진언 염송을 동반한 불교 의례 도구로서, 향완에 범자를 크게 새겨 넣어 진언 염송의 시각적 효과도 지닌 존재로 삼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