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중성리비를 통해 본 麻立干시기 신라의 분쟁처리 절차와 六部체제의 운영

        노중국(Noh Choong-Kook)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9

        본비의 건립연대의 기준은 辛巳年이라는 干支이다. 그리고 1행 6번째 글자는 ‘只’자가 아니라 ‘中’자라는 사실과 2행 11번째 글자는 ‘德’자로 확정하기 어렵다는 사실 및 六部에 壹伐이라는 새로운 관명이 보인다는 사실 등에 근거하면 본 비의 건립 연대는 441년이 된다. 본 비의 내용은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먼저 중앙에서 교를 내리자 몇 사람이 분쟁의 당사자가 누구인지 밝힌 후 중앙에서는 使人을 파견하여 분쟁 지역 출신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빼앗은 자인 豆智沙干支宮 등에게 빼앗은 것을 빼앗긴 자인 牟旦伐喙 作民沙 干支에게 되돌려주라는 판결을 내리고 차후 이 판결에 이의를 달지 못하도록 하였다는 것이 중심 내용이다. 중성리비는 마립간 시기에 신라의 육부체제 운영 모습을 보여준다. 육부체제는 나물마립간대에 성립되었고 눌지마립간대에 오면 왕권의 강화와 더불어 탁부와 사탁부 중심의 운영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아간지, 사간지 등의 관등은 탁부와 사탁부 출신자만이 지닐 수 있었고 나머지 4부의 長은 干支를 칭하였다. 본 비에는 부 간지 휘하에 두어진 일벌이 보이는데 이를 외위 조직과 연계시켜 보면 일벌 이외에도 일척, 피일, 아척 등도 두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관명은 외위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는 部官으로 부르기로 한다. 부의 내부 분화의 진전은 부의 유력자들의 수를 증가시켰고 이들 상호간의 서열을 정하기 위해 4부에 한해 간지를 분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간지는 重간지, 三干支등으로 분화ㆍ격상되었으며 봉평비에서 보듯이 오간지까지 분화되었다. 마립간 시기 신라의 영역은 왕의 직할지와 부의 干支가 주관하는 지역으로 크게 구분된다. 왕의 직할지와 부의 간지가 주관하는 촌에는 村干支-壹金知라는 지배조직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를 村干으로 부를 수 있다. 왕은 자신의 직할지에는 도사를 파견하여 지배하였고 여타 지역은 부의 간지가 部官을 통해 그 지역의 일을 처리하였다. 이때 촌간은 도사나 부관이 각 지역을 지배하는데 보좌역할을 하였다. 봉평비단계는 신라의 관등이 경위와 외위로 정비된 것을 보여준다. 경위는 종래의 아간지, 나마, 사지 등을 분화ㆍ격상시키는 방법과 육부의 장 아래에 두어졌던 일벌, 일척, 피일 등에 간지를 붙여 격상시키는 방법으로 정비되었다. 외위 역시 두 방향에서 정비되었다. 하나는 육부 간지 아래에 있던 일벌-일척-피일 등을 지방민이 지니는 관등으로 바꾸어 격하시킨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장을 지칭하는 간지를 분화ㆍ격상시킨 것이다. 이리하여 경위 17관등과 외위 11관등이 정비된 시기는 521년의 사실을 전하는 『양서』, 신라전에 子賁旱支(이벌찬)와 齊旱支(잡찬)가 보이고 있는 사실과 연계시켜 볼 때 냉수리비가 만들어진 503년에서 521년 사이로 볼 수 있겠다. Pohang Jungseongribi(浦項中城里碑) was erected in Sinsa Year(辛巳年). The age of the erection has been assumed as A.D.501 by many scholars. However, the age of the erection also can be assumed as A.D. 441. The reasons following provide the evidence; the sixth letter of the first line is not ‘只’ but ‘中’. There is no definite proof that the eleventh letter of the second line is ‘德’. A new official title, Ilbeol(壹伐), appeared in Capital’ Six Bu(王京六部). The contents of the Pohang Jungseongribi is about the process of settling disputes. The process is as follows; After clarifying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affair, the person in charg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delivered a judgement. The defendant was ordered to return the property which he took away from the plaintiff. The judgement delivered based on the testimony. After retrial, it is prohibited filing protest petitions. It shows that the trial system at the time was the second trial. Silla Capital’ Six Bu(新羅六部),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Maribgan(麻立干) period, was operated with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as the center. The status of the rest of Bu(部) fell. Therefore, the people from Takbu and Satakbu we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they were given official ranks such as Aganji(阿干支) and Saganji(沙干支). The people from the rest of Bu(部) only could be given Ganji(干支) or Jungganji(重干支)~Oganj(五干支) which are differentiated and elevated from Ganji. Ilbeol(壹伐) appears in Pohang Jungseongribi which is the official rank below Ganji, the head ofModanbeoltak(牟丹伐喙) and Bonpatak(本波喙). It show that men of influence had management systems directly belonging to them. It consists of Ilcheok(一尺)-Piil(彼日)-Acheok(阿尺) including Ilbeol. The area of Silla in the Maribgan perio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 one which i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another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Ganji from Bu. Each village(村) had management systems called Chonganji(村干支)-Ilgeumji(壹金支). The King dispatched an administrator called Dosa(道使) to the area under the direct control to govern. Chongan(村官) performed a role of assisting Dosa(道使). The rest of the area were in charge of Ganji from Bu.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신라 部體制의 특징

        윤진석(Youn, Jin-seok)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7

        <중성리비> · <냉수리비> · <봉평리비>에 보이는 탁부·사탁부 중심의 정치운영 양상에 대해, 종래에는 5세기경 탁부 왕실이 집권력을 강화하여 사탁부를 통합한 때문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매금왕·갈문왕 병존과 탁부·사탁부 중심 정치운영은 신라 부체제의 특징이며, 두 部의 통합은 6세기 초반 사탁부 至都盧 葛文王의 비상적인 집권과 즉위 이후 부체제 해체 또는 사탁부 중심의 부체제 재편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냉수리비>와 <봉평리비> 건립기 사이에 부체제 변동이 일어났던 것이다. 한편 <중성리비>에서는 王이 등장하지 않고 탁부 阿干支와 사탁부 아간지가 함께 下敎한 특징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두 아간지를 탁부와 사탁부의 相적 존재로 이해했다. 신라 부체제에서는 모든 부에 1인의 部長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복수의 干支가 공존하는 경우도 있었다. 매금왕의 諸部 지배방식도 부장을 통한 수직적 납공관계였던 것이 아니라 諸干支들이 매금왕과 개별적 납공 관계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사탁부는 갈문왕이 독자적으로 지배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읍락지배방식은, 국왕은 道使 등의 대리인을 파견하여 직할지를 ‘직접지배’하고, 간지들은 예하 관료를 거느리고 別主하면서 생산물의 일부를 국왕에게 납공하는 형식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지방통치방식은 비교적 늦은 시기까지 금동관 賜與와 납공을 통한 공납제적 지배가 일부 유지된 것이 확인된다. The old explanations interpreted the patterns of political operation in “Jungseongribi,” “Naengsuribi,” and “Bongpyeongribi” with a focus on Takbu and Satakbu as the results of the royal family of Takbu reinforcing its strength to seize power and integrating Satakbu in the 5th century. The coexistence of King Maegeum and King Galmun and the Takbu and Satakbu-centric political operation were characteristics of Bu system in Shilla. The integration of the two Bus happened in the abnormal process of King Jidoro Galmun of Satakbu seizing power in the early 6th century and in the breakup process of Bu system or Satakbu-centric reorganization process of Bu system after he came to throne. That is, there were changes to the Bu system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Naengsuribi” and “Bongpyeongribi.” In “Jungseongribi,” both the Aganji of Takbu and that of Satakbu made an order together with no appearance of king. The present study understood the two Aganjis as Guksang of Takbu and Satakbu. In the Bu system of Shilla, not all Bus had a single head.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re were multiple Ganjis. The Jebu ruling method of King Maegeum was not a vertical tributary relation through heads of Bus but an individual tributary relation between the king and individual Jeganjis. Satakbu is estimated to have been under the sole ruling of King Galmun. As for the ruling method of towns and villages, kings “directly ruled” the local districts by dispatching their agents such as Dosas, whereas Ganjis played the roles of masters with officials working for them and paid tributes of some products to the kings. As for the method of local governance, “indirect ruling” through gilded copper crowns as imperial gifts or tributes was maintained in some areas until relatively later peri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