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라별곡」에 나타난 제주사회 문제의 양상과 대응

        김아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6

        Jeong Eon-yoo(鄭彦儒) was served as Jeju Local Governors from 1749 to 1751. On the basis of inspection tour of Jeju Island, he composed 「Tamrabyeolgok(耽羅別曲)」. Therefore, the genre of 「Tamrabyeolgok」 is Travel Gasa. 「Tamrabyeolgok」 was one of Gazettes of Jeju(Jeju Eupji) publications and record paintings productions that started from Kim Sang-heon(金尙憲)’s Namsarok(南槎錄) written in 160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ocial problems and it’s responses in 「Tamrabyeolgok」.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amrabyeolgok」 consists of 120 verses and sequentially reorganizes inspection tour of coastline, scenic spots and middle area of Mt.Halla. in Jeju Island as Jeju Island inspection report and Jeju Island local written literature. 「Tamrabyeolgok」 have represented the social problems in Jeju Island in 18th century; A poor harvest, famine and pestilence caused b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people of Jeju Island had no personal assets by tributary system, and Jeong Eon-yoo under pressure for requesting relief rice and gifting to the king as a Jeju Local Governors. Meanwhile, 「Tamrabyeolgok」 have represented responses to problems in Jeju Island in 18th century; Jeong Eon-yoo asked the Joseon government for relief rice and educating people of Jeju Island to solved the social problems, and he had shown the consciousness of governing the people throughout the Taoist world. In conclusion, 「Tamrabyeolgok」 allows to find Jeong Eon-yoo’s professional side of social problems in Jeju Island. 정언유(鄭彦儒, 1687~1764)는 1749년(영조 25) 7월 25일부터 1751년(영조 27) 2월 29일까지 제주목사겸방어사(濟州牧使兼防禦使, 이하 제주목사)를 역임했다. 그는 자신의 제주 순력 체험을 토대로 기행가사 「탐라별곡(耽羅別曲)」을 지었다. 이 글은 「탐라별곡」이 김상헌(金尙憲)의 남사록(南槎錄)(1601)을 위시하여 제주읍지와 기록화를 제작하는 사회적·문화적 영향을 받아 창작된 것으로 이해하고, 「탐라별곡」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탐라별곡」에 나타난 18세기 중반 제주사회 문제의 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을 고구했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20구로 이루어진 「탐라별곡」은 정언유의 해안 지대 순력 체험, 제주 승지 유람 체험, 중산간 지대 순력 체험을 순차적으로 재구성한 제주 순력 보고서이자 제주 기록문학이다. 「탐라별곡」에는 정언유가 순력 중에 포착한 제주사회 문제가 재현되어 있다. 열악한 자연환경에 의한 흉년, 기근, 역병, 공납 제도에 의한 제주백성의 무항산(無恒産), 출륙금지령(出陸禁止令)에 의한 자생력 상실, 구휼곡 이전 요청과 진상 관리에 대한 제주목사의 부담 등이 그것이다. 「탐라별곡」에는 제주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언유의 대응이 투영되어 있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구휼곡을 조정에 요청하고 백성을 교화하며, 개인 차원에서 도가적 이상세계의 지향을 통해 선정 의지를 다지는 것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탐라별곡」은 정언유가 목민관의 시각에서 제주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탐라별곡」은 정언유의 제주 문제 전문가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迂軒 鄭彦儒의 生涯와 詩世界

        金南馨(Kim Nam Hyeong)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문인 정언유(1687∼1764)의 생애와 시세계를 검토하기 위해 집필된 것이다. 迂軒은 名門의 후예로 태어났으나 그가 태어날 무렵 그의 집은 여러 대에 걸쳐 직계 조상이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여 서서히 몰락해 가고 있었다. 迂軒의 유년시적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入仕이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四六文과 功令文字에 정통하였다는 〈行狀〉의 언급으로 미루어 경세에의 포부를 지니고 과거 준비에 매진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에 급제한 후 迂軒은 주로 牧民官과 言官의 직분을 담당하였는데, 牧民官으로서 迂軒은 자기희생적인 애민의식과 뛰어난 행정력을 바탕으로 탁월한 治積을 남겼으며, 言論을 담당하고 있을 때는 是非를 분명히 가려, 자신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직언을 서슴지 않았다. 필사본으로 편성된 ??迂軒集??에는 570首의 詩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작가의식에 따라 ‘경세에의 포부와 애민의식’, ‘사물에 대한 관심과 개방적 사고’, ‘가정적 불행과 자연동경’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우헌의 詩世界를 검토한 결과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인간의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양한 사물을 작품의 소재로 수용하여 이를 통해 현실주의적 작가의식을 투영하고 있다는 점과, 儒家의 禮敎的 엄숙주의에서 벗어나 情志를 진솔하게 표현하고, 道ㆍ佛과 관련이 있는 詩語나 詩想을 거리낌없이 수용하는 개방적 사고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다. 迂軒의 詩世界가 내포하고 있는 이러한 특징은 詩의 소재가 되는 사물을 주관적 관념 표현의 도구로 인식하고, 또 詩作에 있어서 감정의 절제를 통해 심성도야를 의도하였던 조선전기 사림파들의 문예의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실학파 문인들의 문예의식과 기식이 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life and poetry of Jeong Eon Yoo (1687∼1764) in the late Chosun dynasty. He was born into a noble family, which was gradually falling, as none of his direct ancestors for generations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s. Since there is no record on his childhood, it is impossible to know his life before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 According to Haejang, however, he had a good knowledge of Sarukmun and Gongryeongmunja, which implies that he prepared for the exam to work for the government. After passing the exam, he served mainly as a governor and an official in charge of the press. As a governor, he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with his self-sacrificing affection for the people and excellent administrative ability, and being in charge of the press, he distinguished between right and wrong fairly, did not follow his own interests, and dared to speak plainly. In Wooheonjip, compiled in manuscripts, there are 570 poems, and this study examined his poems by classifying in terms of his ambition for public services and affection for the people, interest in objects and open-mindedness, and family hardships and nostalgia for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s recogn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his poetry, it is noteworthy, in particular, that he projects realistic poetic recognition through a variety of objects closely related to daily lives of human being, expresses stillness straightforwardly, departing from the regulatory formalism of Confucianism, and shows open-mindedness to adopt poetic words or sentiments associated with Taoism and Buddhism without hesit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are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literary attitude of writers of the realistic school, being different from the literary attitude of the Sarim society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ich saw poetic objects as a tool of expressing subjective ideas and wrote poems as a means of controlling emotion and cultivating person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탐라별곡」에 표현된 제주목사의 책무와 그 시선

        김새미오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4 No.-

        This paper analyzes Tamlabyulgok, the work of lyrics by Jeong Eoun-Yo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pproach to this work, this paper looks into the work by highlighting the ways by which Jeju is viewed as well as taking the humanity of the perspectives of Jeju. From the humanity of the perspectives of Jeju, I first looks at the status of Jeju moksa (administrative post during Chosun dynasty). Unlike the other regions’ mok, Jeju moksa was chong 2 pum amun (a government officer post which is the junior second grade of the second rank) to which the post of a marine defence officer was additionally imposed. Jeju moksa was mainly in charge of appointing competent military officers. As Jeong Eoun-Yoo being a civil servant, he started to write with a fear for taking a responsibility to defend Jeju Island. Afterwards, Jeong Eoun-Yoo identified the reality of the island by making an extensive tour and relieved starving people of the island. Tamlabyulgok covered extensive pages discussing relief, which indicates that the key subject of it is relief. The relief policy of Jeju Island was intensely made after the natioanl order of banning sailing to the mainland, this being enacted during the king Incho period of Chosun dynasty. Relieving Jeju islanders was fundamentally important to the island’s administrative officers. This is because relief policy was directly linked to the islanders’ lives. Tamlabyulgok discussed significantly tangerines and horses that were the island’s major offerings to the King. Jeong’s discussing tangerines and horses can be read as reminding him the offering responsibility as Jeju moksa. This is also for reminding the hard works of Jeju people for the offering duty. From the offering products, he was able to read the blood and sweat of Jeju people. This all leads to the key subject of his loving spirit of people. The last part of Tamlabyulgok expresses classical scholars’ taste for arts. In order to interpret this part, I approaches it from the standpoint of viewing Jeju at those days. While officers sent to the island by the central government felt significant responsibility as an officer, they also appreciated Jeju in terms of enjoying arts due to Jeju being far away from the central place of Chosun. I interpret the last part as a mind of Jeju island’s officers loving and enjoying arts. As information regarding Jeju becoming abundant, such trend in which officers enjoying arts has developed that Jeju is a destination wishing to visit one day. Summarizing synthetically w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we can conclude that Tamlabyulgok by Jeong Eoun-Yoo is the work that describes the duty of Jeju island’s officers and classical scholars’ loving and enjoying spirits for Jeju Island’s landscape. 본고는 정언유의 가사작품인 「탐라별곡」의 성격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본고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제주 관인문학의 관점에서 제주목사의 책무와 시선을 중심으로 작품을 읽었다. 제주 관인문학연구에 앞서 먼저 제주목사의 위치를 정리하였다. 제주목사는 다른 목과는 달리 수군방어사의 직책이 더해진 종2품 衙門의 관직이었다. 제주목사는 주로 유능한 무관을 임명되었다. 정언유는 문관이었다. 때문에 제주방어에 대한 두려운 책임감으로 글을 시작하였다. 이후 정언유는 제주순력을 통해서 제주의 실상을 파악하였고, 굶주린 제주백성들을 구휼하였다. 「탐라별곡」에서는 구휼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바로 작품의 중심주제가 구휼임을 의미한다. 제주의 구휼정책은 인조 대에 실시되었던 출륙금지령 이후에 집중되었다. 제주구휼은 제주관리들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백성들의 생명과 직결되었기 때문이다. 「탐라별곡」에서는 제주 진상품인 귤과 말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언급하였다. 귤과 말을 거론한 것은 제주목사로서의 진상임무를 상기시킨 것도 있지만, 이를 통해 제주백성들의 노고를 생각한 것이었다. 이는 제주의 진상품을 통해 백성의 피와 땀을 읽어낸 것이었다. 이런 제반사항은 모두 애민정신이라는 주제로 귀결된다. 마지막 부분은 선비의 풍류를 표현하였다. 이 부분의 해석을 위해 당시 제주를 바라보는 시선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제주에 왔던 관리들을 책임도 책임이었지만,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었기에 풍류라는 시각에서 제주를 느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마지막 부분은 풍류를 즐기고, 이를 표현한 관인들의 마음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제주에 대한 정보가 많아지면서 한 번쯤은 가고 싶은 곳으로 변화한 측면이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정언유의 「탐라별곡」은 제주목사로서의 책무와 제주경관에 대한 풍류를 표현한 작품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