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增類合 통용자 고찰

        정연실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SinjeungYuhap(新增類合)”is a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the Joseon period.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Therefore, this text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book “SinjeungYuhap(新增類合)” and 109 group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second part mainly analyzes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and classifies them. The third part main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last is the conclusion. Through analysis,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can be divided into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in which the variant characters predominates. The title characters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Most of the title characters belong to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but there are exceptions. We estimate that the titl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opular characters, the phonetic loan characters, and the mother characters are more commonly used at the time than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so they are selected as the title characters. 이 논문은 新增類合에서 제시한 109개의 통용자를 대상으로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은 서론,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 표제자와 통용자의 특징, 결론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新增類合의 표제자와 통용자는 이체 관계, 가차관계, 분화 관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이체 관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정자와 속자, 본자와 가차자, 모자와 분화자의 관점에서 표제자와 통용자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표제자는 정자, 본자, 분화자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셋째 표제자가 속자, 가차자, 모자인 경우는 新增類合 당시에 이 글자들이 정자, 본자, 분화자에 비해 더 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 KCI등재

        차자표기에 나타나는 초성·종성 통용자

        이용 구결학회 2023 구결연구 Vol.50 No.-

        이 글은 차자표기에서 ‘只’가 /기/와 /ㄱ/의 두 가지 독법을 지니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하나의 글자가 초성과 중성을 표기하는 음절자로 사용되기도 하고 종성의 표기에 사용되기도 하는 현상이 차자표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기와 장소의 문자에서 나타나는데 결국에는 이것이 종성부용초성과도 연결됨을 밝히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2장에서는 마야 문자, 고대 페르시아 문자, 파스파 문자 등 음절자의 초성을 이용해 종성 표기에 사용하는 문자들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한자의 음을 이용해 우리말의 종성을 표기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절자 또는 아부기다 자음자의 초성이, 종성과 음운론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종성의 표기에 음절자를 쓰는 현상이 범문자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차자표기에도 적용해 새로운 관점에서 향찰, 이두, 구결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훈몽자회 의 ‘ㄱᄂᆞᆫ’을 ‘기ᄂᆞᆫ’으로 읽어야 한다고 본 기존의 주장을 정리하고 한글의 자음자가 기본모음으로 ‘ㅣ’를 가졌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차자표기에 적용된 초성·종성 통용 현상을 보면 우리 조상들이 음절자의 초성이 종성과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것이 결국에는 ‘終聲復用初聲’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한 이해는 그동안 차자표기 연구에서 ‘종성부용초성’을 단순히 말음 첨기와 연관시켰던 데서 한걸음 나아가 좀 더 발전된 관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寫經 字形 디지털 아카이브 構築에 대하여

        박대범,김성주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3 No.-

        Silla’s Buddhist scripture copy is one of the oldest literature in Korean history. It has a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shape. Discerning Chinese characters’ shape enables researchers to more exactly read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 And the study on Chinese characters’ shape provides informations about its source, its copying date and its distribution process. Recently, this study is growing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e can improve an efficiency of th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shape by so using the digital images, the digital documents and the various software programs. The Silla’s Buddhist scripture copy project team makes the new digital images, compares between the texts and the images, writes it in the shape of a digital document and designs a software program for collecting Chinese character data. This paper presents a process of collecting Chinese character data, a part of the results of our research work and a blueprint of the digital archive. This project will affect the various parts of related studies, for example, graphonomy, calligraphy, a study on the variant form of chinese character, and its unicode extension. 新羅 寫經은 우리의 歷史에서 가장 오래된 文字 記錄 中의 하나라는 점에서 또 初期 文字 資料 중 상대적으로 많은 數의 字形을 確認할 수 있는 資料라는 점에서 意義가 있다. 文獻의 解釋에 앞서 文字의 判讀을 위한 첫걸음이 漢字의 字形을 理解하는 것이다. 字形 硏究는 文獻의 出處나 書寫年代, 流通過程과 같은 特徵을 알려 주는 基礎的인 要素가 된다. 字形 硏究는 最近 情報 技術의 發達과 함께 發展하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文書, 소프트웨어를 積極的으로 活用하여 硏究의 效率性을 높이고 보다 폭넓게 資料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新羅 寫經 硏究 프로젝트팀은 硏究對象 文獻에 書寫된 字形의 全體를 集成하기 위해 文獻을 디지털 이미지화하고, 內容을 校勘하여 디지털 문서로 記錄하고, 프로그램을 開發하였다. 이 글은 이들을 활용하여 大量의 字形 이미지를 抽出하는 過程과 結果物의 一部를 실었으며, 앞으로 構築하게 될 字形 디지털 아카이브의 基本 設計를 提示하였다. 이러한 作業은 字形 判讀, 書體, 異體字, 通假字, 通用字, 유니코드 擴張같은 여러 分野에 多樣한 도움을 줄 것으로 期待된다.

      • 釋甲骨文中的“(衝)”

        金赫,苗豐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2 한자연구 Vol.0 No.7

        Oracle bone script “car” glyph, there is a special writing is “ ”. According to the font structure, it may be like shaft end on the sharp instruments of ancient "punch" form.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said that the ancient blunt car pictographs, should release for one of the ancient city means “ ”. Objective group kind of mistakes, there is a in the usage and grammar is very close to the position with the word. Words from the example, also can regard as verb “ ”. Look from the font, like to break a high building or shape of the gate. In the “font” and “speech cases”, the two words are different words said the same word “衝” Tong-yong zi possibility is very l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