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르비아의 축일와 세시풍속 연구

        김성환(Kim, Seong-H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

        이 논문은 세르비아의 주요 축일의 의미와 축일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에 대한 연구이다. 축일의 도래(dolazak praznika)’는 무엇보다도 도래하는 시간이 새로운 삶의 리듬에 맞춰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평일에 이행되 던 모든 일상적인 의무들과의 단절과 축일에 상용하는 일정한 행사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르비아의 세시풍속은 한 해를 시작하는 축일인 크리스마스와 새해를 중심으로 하는 겨울 세시풍속, 부활절을 전후한 봄 세시풍속, ‘성 요한 축일’과 같은 여름 세시풍속, ‘성모마리아 탄생절’과 같은 가을 세시풍속으로 나쉰다. 세시풍속을 구성하는 의식과 의례 또는 축제에는 많은 주술적 요소나 민간신앙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주술적 요소나 민간신앙은 기독교 수용 이전의 고대 슬라브족의 농경이나 목축 생활과 연관된 것들로서 자연숭배나 조상숭배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들이다. 해,바람,불,물,땅과 같은 자연적 요소를 숭배하는 의식은 특히 주된 농사철인 봄과 여름의 세시풍속에 반영되어 있다 가을 풍속과 관련된 의례나 의식은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것은 추수가 끝난 시기이기 때문이다. 세르비아에서 축일 행사(praznovanje) 는 두 가지 관점으로 해석되는데,기독교적 해석과 민속적 해석이 그것이다. 기독교적 해석에 따르면,축일은 기독교 전통과 관련된 인물이나 사건을 일정한 교회 의식을 통해 기리는 것이다. 그러나 민속적 해석에 따르연, 해당 축일과 관계된 기독교 성인을 기리는 행위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일정한 세시풍속을 행하는 것이다. 세시풍속 중에는 축일의 교회적 해석과는 전혀 무관한 것들도 많이 있으며,기독교 수용 이전의 고대종교나 민간신앙적 요소에 기독교적 요소가 겹쳐져 다층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세르비아의 많은 세시풍속들은 이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변화에 의해 소멸되거나 축소 변형된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세시풍속은 세르비아인들의 정신세계,가치관,과거의 생활상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holidays and related annual customs in the Serbian region, to express more precisely, among the Serbs in the Serbian region. People’s annual customs in Serbia are classified into four cyclic periods, that is, into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al ones. Rituals, acts and feasts consisting in annual customs are related to a lot of magical acts and folk beliefs. Ethnologists consider those magical acts and beliefs as the reflection of paganism of ancient Slavs whose agrarian way of life was heavily dependent on the power of nature. Thus the main elements of annual customs among the Serbs are animism, totemism, the cult of ancestors, the cult of natural elements such as the sun, water, fire , wind, flowers, verdure, and the like.Making a fire on special holidays ,consecration of water, hanging flower wreaths on the doors or windows of the house or church are some examples of those cults. The specific features of various holidays among the Serbs should be examined and interpreted in a very careful manner because the saints commemorated by the Church frequently are the christianized personification of the ancient Serbian or Slavic deities. People’s customs and beliefs related to them in Serbia had been practiced very intensively till the Second World War. After the War, due to introduction of a new social and political order some of the customs were lost while others have been practiced with reduced and modified contents and forms. And many of them have lost their religious character. This process was also encourag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the Serbian society. However, in spite of all the transformation and changes, annual customs still can help u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world view and the mentality rooted deep in mind of the Serbs.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축일과 기념일

        홍석우(Hong, Sog-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1991년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가 민족정체성의 확립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국가건설이라는 임무를 수행해 오는 과정에서 국민들에게 통치 이념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축일과 기념일등을 이용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기존의 사회주의적 축일과 기념일을 없애고 새로운 통치 이념을 반영하는 축일과 기념일 및 의례들을 어떻게 만들었으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것들을 상황에 맞게 바꾸었는가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과거사의 문제를 청산하고 국가내 존재하는 분열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려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축일과 기념일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 축일과 기념일들은 시대와 체제의 변화와 함께 새롭게 변화하는 문화적 실체이다. 둘째, 소련의 붕괴 이후에도 과거의 의례 문화는 완전히 사라지 않았으며, 일정정도 과거와 현재 의례와의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에 의해 소개된 새로운 의례는 새로운 우크라이나 민족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부여 받았으나, 그와 같은 의도가 새로운 축일과 기념일들을 통해 얼마나 대중들에게 전달이 되었으며, 대중들이 얼마나 호응을 해 가게 되었느냐는 다른 문제라는 사실을 언급했다. 따라서 정부주도의 의례문화의 형성과 민간 층에서 행해지는 실제 축일과 기념문화간의 관계와 괴리의 정도를 연구한다면 정부에서 주도해 나가는 민족정체성의 형성이 얼마나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contemporary Ukrainian authority uses holidays and commemorations as the means of nation-building in Ukraine. By analyzing how the post-Soviet Ukrainian state has revised holidays and commemorations, this study proves that we can see how the state restructures cyclical practice, the details of historical memory, and the perception of time. Ukrainian authority is actively shaping the daily lives of its citizens by attempting to foster cultural change. The author discusses many holidays, such as October Revolution Day, May Day, Independence Day, the reintroduction of religious holidays, and the impact of these commemorations on the dynamics of nation-building in Ukraine. This study shows that by replacing the original Soviet symbolism with an event centered on Ukrainian statehood and the Ukrainian historical experience, Ukrainian authority attempts to transform red anniversary' into a different one. Another key point of this study is that Soviet holiday does not completely disappear, but still exist in contemporary Ukraine. The manner in which Independence Day has been commemorated has come under criticism in the past several years. In 1998, 1999 and 2008, the festivities included a parade which featured an impressive showing of military hardware, soldiers from all branches of the armed forces, and marching athletes. Military might and athletic prowess, once a Soviet source of pride, are now included in celebrations of the Ukrainian state. With regard to the Ukraine state's reintroduction of religious holidays and their impact on nation-building, this study comments that while religion is clearly an important element in reviving traditions and fashioning a national culture,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process of nation-building thus far has been mixed. This study notes that religious festivities were not celebrated in the same collective way in the public realm and only by those who adhere to a particular faith, thereby lessening their impact on nation-building. However, recent event, "the 1020th Anniversary of Kievan Rus' Christening," proves that religious festivities can be also celebrated for the political purpose in the public realm. In reviewing the holidays discussed, this study shows that by using commemoration as a "fractured lens," one can see that the key fractures in society are not linguistically or nationally-based, but rather based on divergent.

      •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의 기원과 의미

        김기태(Kim Kit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Paschal mystery which has completed through the death of Jesus Christ and his resurrection is the heart of Christianity liturgy and faith. Always there is the Holy Cross, symbol of salvation, in the core of performing Paschal mystery. In liturgy, the Holy Cross is the holy sign to meet Paschal mystery more vividly and for certain. Rite of the Holy Cross Adoration on Good Friday is the biggest place where reveal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Holy Cross. This rite of the Holy Cross Exaltation originated from Jerusalem Triduum in the 4th century, and was the oldest liturgical element of Feast of the Exaltation of the Holy Cross. With historical discovering of the Holy Cross, and two churches (Martyrium and Anastasis dedicated in A.D. 335) built in Jerusalem shrine were the main motives to touch off rites of the Holy Cross and popular faith. The origin of Feast of the Exaltation of the Holy Cross has close relationship to rite of the Holy Cross Exaltation held on the 2nd day of Encaenia (September 14th) in Martyrium church, Jerusalem. This study looks into the processing history; from the adoration rite of the Holy Cross which was the 2nd component of the rite in the 4th century developed and came to be fixed as the independent Feast day to commemorate the Holy Cross in the 7th century. And with overviewing the traditional Roman old mass prayers for Feast of the Exaltation of the Holy Cross, try to think over the meaning of commemoration and exaltation of the Holy Cross in liturgy. 그리스도교 전례와 신앙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완성된 파스카 신비이다. 그리고 파스카 신비의 거행의 중심에 언제나 구원의 상징인 십자가가 자리하고 있다. 전례 안에서 십자가는 파스카 신비와의 만남을 더욱 생생하고 확실하게 해 주는 거룩한 표지이다. 성 금요일의 십자가 경배 예식은 십자가의 상징적 의미가 가장 크게 드러나는 자리이다. 4세기 예루살렘의 성 삼일 전례에 기원을 두고 있는 이 예식은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의 가장 오래된 예식적 요소이기도 했다. 주님의 십자가의 역사적 발견과 함께 예루살렘의 성지에 세워진 두 성당, 곧 마르티리움(Martyrium)과 아나스타시스(Anastasis)의 봉헌(335)은 십자가와 관계된 예식과 대중적 신심을 촉발시킨 주된 동인이었다.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의 기원은 바로 예루살렘의 성당 봉헌 축일(엔체니아)의 둘째 날(9월 14일)에 마르티리움(Martyrium)에서 거행되었던 십자가 경배 예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본래 4세기 예루살렘의 성당 봉헌 축일의 이차적인 예식 요소였던 십자가 경배 예식이 점차 발전되어 7세기에 십자가를 기념하는 독립적인 축일로 제정되기까지의 역사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을 위한 로마 전통의 옛 미사 기도문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전례 안에서 십자가를 기념하고 현양하는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축일과 기념일 - 국가건설의 측면에서 -

        홍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contemporary Ukrainian authority uses holidays and commemorations as the means of nation-building in Ukraine. By analyzing how the post-Soviet Ukrainian state has revised holidays and commemorations, this study proves that we can see how the state restructures cyclical practice, the details of historical memory, and the perception of time. Ukrainian authority is actively shaping the daily lives of its citizens by attempting to foster cultural change. The author discusses many holidays, such as October Revolution Day, May Day, Independence Day, the reintroduction of religious holidays, and the impact of these commemorations on the dynamics of nation-building in Ukraine.
This study shows that by replacing the original Soviet symbolism with an event centered on Ukrainian statehood and the Ukrainian historical experience, Ukrainian authority attempts to transform red anniversary' into a different one. Another key point of this study is that Soviet holiday does not completely disappear, but still exist in contemporary Ukraine. The manner in which Independence Day has been commemorated has come under criticism in the past several years. In 1998, 1999 and 2008, the festivities included a parade which featured an impressive showing of military hardware, soldiers from all branches of the armed forces, and marching athletes. Military might and athletic prowess, once a Soviet source of pride, are now included in celebrations of the Ukrainian state.

With regard to the Ukraine state's reintroduction of religious holidays and their impact on nation-building, this study comments that while religion is clearly an important element in reviving traditions and fashioning a national culture,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process of nation-building thus far has been mixed. This study notes that religious festivities were not celebrated in the same collective way in the public realm and only by those who adhere to a particular faith, thereby lessening their impact on nation-building. However, recent event, "the 1020th Anniversary of Kievan Rus' Christening," proves that religious festivities can be also celebrated for the political purpose in the public realm.
In reviewing the holidays discussed, this study shows that by using commemoration as a "fractured lens," one can see that the key fractures in society are not linguistically or nationally-based, but rather based on divergent. 본 논문은 1991년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가 민족정체성의 확립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국가건설이라는 임무를 수행해 오는 과정에서 국민들에게 통치 이념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축일과 기념일등을 이용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기존의 사회주의적 축일과 기념일을 없애고 새로운 통치 이념을 반영하는 축일과 기념일 및 의례들을 어떻게 만들었으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것들을 상황에 맞게 바꾸었는가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과거사의 문제를 청산하고 국가내 존재하는 분열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려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축일과 기념일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 축일과 기념일들은 시대와 체제의 변화와 함께 새롭게 변화하는 문화적 실체이다. 둘째, 소련의 붕괴 이후에도 과거의 의례 문화는 완전히 사라지 않았으며, 일정정도 과거와 현재 의례와의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에 의해 소개된 새로운 의례는 새로운 우크라이나 민족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부여 받았으나, 그와 같은 의도가 새로운 축일과 기념일들을 통해 얼마나 대중들에게 전달이 되었으며, 대중들이 얼마나 호응을 해 가게 되었느냐는 다른 문제라는 사실을 언급했다. 따라서 정부주도의 의례문화의 형성과 민간 층에서 행해지는 실제 축일과 기념문화간의 관계와 괴리의 정도를 연구한다면 정부에서 주도해 나가는 민족정체성의 형성이 얼마나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KCI등재

        19세기 한국 천주교 문헌 『주년첨례광익』 연구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50

        이 글은 1860년대부터 조선 천주교의 프랑스 선교사들이 목판과 활판으로 보급하 였던 천주교 서적 『주년첨례광익』이 지니는 문헌적 성격을 해명하고, 본문 분석을 통하여 문화적 번역의 실제 양상과 그 의미를 찾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주년첨례광익』이 목판본과 활판본으로 간행된 저간의 사정들을 당시 선교사들의 서한 자료를 통하여 재구성하였다. 그런 다음에는 현재 남아 있는 활판본의 판본들을 모두 수집 하여 판본 사이의 상이점과 공통점을 추출하고, 간행 상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문헌의 간행 과정에 대한 탐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뒤에는 『주년첨례광익』이 성립하는 과정에서 참고하였던 각종 천주교 문헌들과의 대조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내용은 성인전 『성년광익』에서 가져왔음이 밝혀졌다. 이어서 『성경직해』 에서 몇몇 축일들을 설명하면서 『주년첨례광익』을 찾아보라고 하였으므로 『주년첨례 광익』과 『성경직해』가 함께 읽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년첨례광익』에 등장하는 해당 축일의 날짜에 대한 정보는 대개 「첨례표」에 실려 있었다. 『주년첨례광익』의 내용 분석에서는 네 가지 축일을 사례로 하여 서양과 동양, 유럽과 동아시아, 천주교와 유교의 상호 작용이라 부를 수 있는 현상들을 소개하였다. 문헌의 본문에 존재하는 번역의 양상과 그 문화적 의미를 추적한 결과, 많은 경우에 천주교의 교리와 신앙을 매개로 하여 동양이 받아들인 서양의 지식, 서양이 이해한 동양의 윤리 관념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만남과 길항 등이 교차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to clarif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Catholic book Junyeon Cheomryeo Gwangik (A Guide for Annual Feast Days), which was distributed by French missionaries of Joseon Catholicism in woodblock and type printing from the 1860s, and to find the actual aspect and meaning of cultural translation through text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n it was published in woodblock and type were reconstructed from the letters of the missionaries of that time. Then, all the existing printed copies were collecte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were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ublication were studied. After the study of the publication process of the literature was completed, a comparison was made with various Catholic literature that was referenced in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ontents were taken from the Seongnyeon Gwangik (A Guide for Holy Years). Later, the Seonggyeong Jikhae (Introduction to the Holy Bible) mentioned the Junyeon Cheomryeo Gwangik for reference when explaining some of the holidays. This shows that two works were read togeth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ate of the holiday that appeared in the Junyeon Cheomryeo Gwangik was usually included in the Cheomrye Pyo (Table of Feast Days). I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Junyeon Cheomryeo Gwangik, four holidays were taken as examples to explain the phenomena that can be called interaction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Europe and East Asia, and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Tracing the aspects of translation and its cultural meaning in the text of the work shows that in many cases, Western knowledge accepted by the East through the medium of Catholic doctrine and faith, Eastern ethical concepts understood by the West coexist in the work.

      • KCI등재

        ‘첨례표’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

        방상근(Bang, Sang-Keun) 한국교회사연구소 2013 敎會史硏究 Vol.0 No.42

        천주교회는 고유한 1년의 시간 주기를 갖고 있다. 교회력(전례력)이라고 불리는 이 1년의 시간은 예수의 탄생, 죽음, 부활, 승천 등 그리스도의 삶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천주교 신자들은 이러한 전례력에 따라 신앙생활을 하면서 신자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게 된다. 천주교 신자로서의 1년은 조선 시대에도 마찬가지였고, 그러한 증거로 을축년(1865년)과 병인년(1866년)의 첨례표(瞻禮表)가 남아 있다. 첨례표란 오늘날의 축일표를 말하며, 여기에는 축일뿐만 아니라 신자들이 지켜야 할 여러 지침도 수록되어 있어, 신자들이 1년 동안 신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하는 준거로서 역할을 했다. 따라서 첨례표는 조선 후기 천주교인들의 신앙 내용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의 신자들은 《성경직해》와 같은 책을 통해 전례주년을 이해하였고, 《수진일과》에 수록된 〈영첨례표〉를 통해 첨례표의 작성 원리를 알았다. 그리하여 이들은 주문모 신부가 입국하기 이전부터 첨례표를 만들었고, 이 첨례표에 의거해서 신앙생활을 했다. 첨례표에는 주일과 대소재, 주님과 성모 성인들의 축일, 신심회와 관련된 날, 파공에 대한 규정 등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신자들은 첨례표에 정해진 날짜와 규정대로 이러한 내용들을 실천했다. 물론 첨례표에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모두 반영되어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첨례표에 있는 내용들은 공적으로 모든 신자에게 실천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박해 시대 신자들의 실질적인 신앙생활과 신앙생활의 기본 틀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한편 병인박해 이후 정의배 성인의 부인인 피 카타리나가 첨례표를 만들어 신자들에게 나누어주었다는 기록이 있고, 모리스 쿠랑의 《한국서지》에 기축년(1889년) 첨례표가 소개된 것으로 보아, 1866년 이후 선교사들이 없는 상황에서도 신자들은 첨례표를 만들어 신앙생활을 했고, 신앙의 자유 이후에는 다시 인쇄된 첨례표가 널리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its own annual cycle named ‘the Liturgical Calendar’ which is structured with the life of Jesus Christ including the birth, death, resurrection and ascension of Jesus. Roman Catholics lead a religious life according to the Liturgical Calendar and keep their identity as a believer. This kind of one-year period as a Roman Catholic existed during the Joseon period as well, and its trace can be found in the Liturgical Calendar in 1865 and 1866. This Roman Catholic Calendar includes various instructions for followers as well as feasts. It played a guideline for believers to live a Roman Catholic life for one year. Therefore, this calendar is important data which describes the religious life of Roman Catholic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elievers during the Joseon period understood liturgical year through books such as Sung-Gyeong-Jik-Hae and figured out how to prepare the calendar through the perpetual calendar in Su-jin-il-gwa. Therefore, made the calendar before Father Zhou Wen-mo, the first missionary priest in Korea, was invited into Korea. They lived a religious life according to the calendar. In the calendar, the Sabbath, fasting, abstinence, feasts of the lord, Marian feasts, days of confraternities, feast of all Saints and rules on rest from servile works. Believers observed these rules on the designated date according to the calendar. Of course, not all their religious life was reflected on the calendar. However, the information on the calendar is a framework for their religious life during the age of persecution because it requires all followers to observe. Meanwhile, since the Byeongin Persecution, Catarina, St. Chung ui-bae’s wife, made the calendar and distributed to believers. In addition, the Roman Catholic Calendar in 1889 was introduced in Korean Bibliography. Therefore, it appears that follows made the Liturgical Calendar and lived a religious life even though there were no missionary priests around since 1866. After the freedom of religion was declared, then, the calendar was reprinted and widely distributed.

      • Traditional Festive Days in the Czech Republic

        Marta Buš,ková,(마르따 부슈꼬바)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모든 개인과 공동체에 있어, 축제일들을 경축하는 전통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계절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축일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시간의 흐름을 인식하게 하고 친지들이나 친구들 게다가 우리 자신들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데 하나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본논문은, 체코의여러전통들이그특징상유럽의다른국가들의그것들 과 유사한 면을 지니고 있음을 보일 뿐만 아니라 체코 자체 내 각 지역이나 가족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체코전역에는다채롭고도흥미진진한민속풍습들이존재한다. 그중에서 대부분은 종교(기독교)적 성격을 지닌 축일들과 관련을 맺고 있는 반면 그 기원이 기독교가 전파되기 이전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들도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독자들은 체코인들이 과거에 어떻게 자신들의 명절들(특히 봄 축제들, 부활절 그리고 체코의 모든 가정에 가장 인기있는 성탄절)을 경축하고 또한 오늘날까지 이를 계승하고 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본고는 또한 새해나 동방박사 축일, 사순절이나 강림절 시기의 축제들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For every community and individual the tradition in celebrating festive days is very important. The festive days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change of seasons make us realize the change of time and reconsider the relations to our relatives and friends and to ourselves as well. This paper shows that many Czech traditions have features similar to those in other countries in Europe but also some, which have distinctive features in the Czech Republic alone, and which differ according to the region or a family. There are a lot of interesting folk customs still alive all over the Czech Republic. Many of them are connected with religious holidays, while others have origins dating from pre-Christian times. In this paper we will see how the Czech people celebrated and continue to celebrate some of their festive days, especially the most joyous spring festival, Easter, and probably the most loved family feast, Christmas. Some other traditional feasts like New Year' Day, feast of the Three Kings, celebrations during the Lenten season or during Advent will also be mentioned.

      • KCI등재

        뮈텔 주교 재임기의 큰 첨례표(1916~1933년) 연구

        김정환(Kim, Jeong Hwan) 한국교회사연구소 2013 敎會史硏究 Vol.0 No.42

        한국 천주교회의 고유한 달력인 큰 첨례표는 현재 1865~1866년, 1916~1970년의 것들만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중 1916~1933년을 한정하여 다룬 연구로 뮈텔 주교가 재임하던 기간이다. 이렇게 기간을 한정한 이유는 이 큰 첨례표들이 한 주교의 관할 아래 발행된 것들이어서 일관 성이 있고, 조선 후기와 현대를 연결하는 시점이기에 신앙생활의 변화를 탐구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1916~1933년의 큰 첨례표는 뮈텔 주교의 관할 아래 작성되어 각 지역의 본당을 통해 보급되었다. 큰 첨례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주일과 축일이 음력으로 언제인지를 신자들에게 알려 신앙생활을 돕는 데 있었다. 1896년부터 양력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는 하였으나, 조선의 신자들은 여전히 음력 체계 속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신자들이 은사를 어떻게 얻는지를 알려주는 것이었다. 뮈텔 주교 재임기에 발행된 큰 첨례표들은 보편적인 면과 그 시기만의 고유한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보편적인 면은 신앙의 내용과 관련되어 있다. 천주교의 고유한 달력은 성경의 내용과 교리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큰 첨례표에 반영되는 내용도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로 천주교회가 큰 변화를 겪을 때까지 큰 첨례표의 내용이 근본적으로 바뀌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뮈텔 주교 재임기의 큰 첨례표들은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이전 시기에 없거나 변화된 내용들이 반영되어 있고, 그 이후와도 구분되는 변화의 양상들이 반영된 고유한 면들도 가지고 있다. There are only christian calendars, the unique calendar of Korean Catholic Church, for 1865 to 1866 and 1916 to 1970 left. This study is limited in the christian calendars for 1916 to 1933 during the Bishop Mutel’s term of administration. The reason why the study is limited in a certain period is that these christian calendars have consistency because they are issued under the command of the same bishop and it is easy to survey on the change of religious life since the period is connecting betwee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The christian calendars for 1916 to 1933 were prepared under the command of Bishop Mutel and distributed to regional parishes. The major purpose of christian calendars was to help religious lives of Catholics by informing dates of sundays and feast days on the lunar calendar. It is because Catholics of the Choseon Dynasty was living in the lunar calender system even though the solar calendar has been officially used since 1896.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christian calendars was to instruct Catholics that how indulgence can be obtained. The christian calendars issued during the Bishop Mutel’s term of service have the universality and the temporal uniqueness at the same time. The universality is related to contents of religious beliefs. Since the unique calendars of the Catholic Church is based on the Bible and dogma, the contents of christian calendars are maintained unless they basically change. Therefore, the contents of christian calendars did not fundamentally change until the Catholic Church experienced the big change due to Vatican Council II. Nevertheless, the christian calendars during the Bishop Mutel’s term of administration includes contents changed with time or not existed before and have the uniqueness reflecting changing aspects distinguished from the post-period.

      • KCI등재

        국가주의(國家主義) 교육과 의식창가(儀式唱歌) ―축일대제일창가(祝日大祭日唱歌)를 중심으로―

        이권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일본학 Vol.38 No.-

        儀式において音楽の効果は絶対的である。教会などで礼拝を行う時に流れる厳かな音楽や聖歌隊の合唱は、その場に臨席している人たちを夢幻的な気分にさせる不思議な力があり、非日常的世界や超越的なクラスの神の存在を信じさせ、結果的にその神に歸一させる、一種の催眠効果を作り出す。森有礼が学校の教育現場に国家的次元の祝日大祭日の儀式を行うようにし、その場において儀式唱歌を歌わせることで期待したのは、まさにこのような厳粛で珍重な雰囲気のなかで国家の象徴としての天皇を拝礼させる、即ち、非日常的な空間における視覚的․聴覚的効果を通じて国家主義思想の浸透やこれを極大化させることにあった。本稿は、學校儀式や儀式唱歌の制定․普及を中心に、明治時代後期の国家主義教育体制の確立と展開における學校の儀式や、その場で歌うように強制的に定められた儀式唱歌の意義を国家主義教育と結び付けて考えてみたものである。従来、近代日本の国家主義教育を考察するに当たって、儀式唱歌の存在はたいして注目されてこなかった。よって、本稿は、1890年代以降法制化された規定によって強制的に行われた学校の儀式や、その場で歌うことを強制された儀式唱歌の在り方の分析を通じて、儀式唱歌の斉唱が結果的に天皇制を内実化し、国家主義教育思想を浸透させることにすくなからざる効果をあげたということ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これによって国家主義教育の一環として行われた近代日本の音楽教育が担った教育思想的な意味は、いっそう明確になると言え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