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향촌 재지사족의 향현 추숭활동 연구

        장동표(Jang, Dong-Pyo)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6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향현 追崇 활동을 경상도 밀양출신 孫起陽(1559∼1617)에 대한 추숭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손기양은 임진왜란 시기 의병활동, 鄕禮와 家禮의 실천, 道學의 정립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써, 국가적 차원과 향당적 차원의 추숭 덕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그에 대한 추숭활동은 비교적 늦게 시작되어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전개되었다. 손기양에 대한 추숭 활동은 후손들에 의한 사적인 추모 활동, 여러 단위의 재지사족이 향사의 공식적 승인을 국가에 요청하는 呈狀 활동, 경상도 각 지역의 서원과 향교 및 사우에서 발행한 通文을 통한 향사 여론 조성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정장과 통문에 서명한 재지사족은 연인원 모두 3천 명이 넘을 정도로 많았다. 정장에 대한 회답은 대부분 국가의 禁令 조치로 인해 향사 승인이 어렵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손기양에 대한 추숭이 공식 승인된 것인지에 대한 명료한 자료는 없지만, 1844년(헌종10) 향중의 公論에 의한 享祀가 사실상 이루어진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손기양 추숭은 후손들이 증수한 七灘亭에 편액을 걸어 七灘書院이라 하고, 서원 옆의 별사를 淸節祠라 하면서, 마침내 공론에 바탕한 추숭 활동의 결실이 맺어지게 된다. This study is cases of local worthies(鄕賢) worship of Jaeji-sajok(在地士族) compared mainly with worship for Son Gi-Yang(孫起陽). He is a man who resisted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as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and also strove to establish local ceremonial code, family rituals and Neo-Confucianism. Therefore, he was qualified for worship in national and local society. The worship movement for him was quiet late and its implementation was under late 18th century and middle 19th century. The activities of worship for Son Gi-Yang were under three ways : private reverence by his descendant, Jeong-jang(呈狀) movement that Jaeji-sajok asked government for official approval of ritual and development of the public opinion for ritual with Tong-mun(通文) which is a document by Seowon(書院), Hyanggyo(鄕校) and Sawoo(祠宇). The huge number of Jaeji-sajok’s who signed Tong-mun and Jeong-jang were over 3 thousand. The answer from government was almost that approval of ritual would have not been easy because of prohibition. It is not clear yet if worship for Son Gi-Yang was approved because clear evidence or materials are not enough. In 1844(Heonjong; 憲宗 10) it is obvious that activties of ritual was actually implemented by public opinion of local society. The worship for Son Gi-Yang based on public opinion was finally successful after his descendants opened Chiltan-Seowon(七灘書院) hanging a framed picture on Chiltan-Jeong(七灘亭) pavilion and called a shrine Cheongjeol-Sa(淸節祠) next to Seowon.

      • KCI등재

        조선후기 사친추숭과 능원제도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6

        Joseon was managed by the superintendent, leaving the tombs of the king and king’s wife[王后] tomb, and all the other graves were tombs. Instead of inheriting the throne by the father’s association, when the circumstances occurred, a case of king of the king’s parents mother to the king and queen was born. However, there was no choice but to call the Won[園] when the circumstances that can not be pursued by the king occurred based on the argument theory, but there was no hope of the king’s king. Injo[仁祖] tried to pursue his birth to the king. Although he kept himself in two stages, he first pursued his father to the crown gods, then made the tomb to Heung Gyeong Won[興慶園], then promoted to Gang Reung[章陵] pursuant to Won Jong[元宗]. Won’s philosophy which was smaller than king’ tomb, bigger than grave was created in this course. After that, the royal family system was established by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YoungJo family applied the GungWon[宮園] system to their own mother, and the king’s private parents, who had been pursued,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GungWon system. JeongJo has applied the GungWon system to his father’s mourning period and has enlarged the scale to make the scale of. After that, similar cases were introduced and the courtesy system was applied. In the HeungSunDaeWonGun[興宣大院君] regent the period, the royal tombs of the Crown Princes and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were raised to the Won, while the shrines remained as the Myo[廟]. In the case of HeungSunDaeWonGun’s tomb, which passed away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it was designated as a tomb as the tomb of the emperor, but it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the Joseon Dynasty Won. 조선왕실은 왕과 왕후의 무덤을 능이라 하여 그 외의 무덤은 모두 묘라 하였다. 부자관계에 의한 왕위 계승이 아닌 경우가 발생하자 국왕의 친부모를 왕과 왕비로 추숭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그러나 예제 논의에 따라 왕으로 추숭하지 못하고 대원군으로 호칭할 수밖에 없는 사례가 나타났는데, 이는 국왕이 바라던 바가 아니었다. 반정으로 즉위한 인조는 사친을 왕으로 추숭하기 위해 단계를 설정하여 우선 부친을 대원군으로 추숭한 뒤 무덤을 흥경원이라 하였고 나중에 원종으로 추숭하여 왕릉으로 승격하였다. 이 과정에서 왕릉보다 낮고 묘보다 높은 형태의 ‘園’개념이 만들어졌다. 그 후 영조와 정조에 의해 능원제가 정비되었는데, 영조는 자신의 생모 사당을 ‘宮’, 무덤을 ‘園’으로 승격하여 궁원제를 마련하였고, 이어서 추숭된 왕의 사친까지 궁원제의 대상으로 확대하였다. 정조는 생부 사도세자에게 궁원제를 적용하여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하면서 현륭원의 규모를 왕릉급으로 조성하였다. 그 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면 궁원제를 적용하여 예우함로써 조선왕실의 왕릉제도는 능원제도로 발전하였다. 고종 때 흥선대원군은 세자와 세손의 무덤을 원으로 격상시키면서 사당은 그대로 廟로 남겨두어 신분에 따른 예우를 더욱 세분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서거한 흥선대원군의 경우 황제국의 제후에 해당되는 무덤으로 興園이라 命名하였으나 조선시대 園의 형태로 조성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원종(元宗)의 추숭문제(追崇問題)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공빈(恭嬪) 추숭(追崇) 과정과 광해군의 모후(母后) 문제

        계승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본고에서는 광해군의 생모인 恭嬪金氏의 왕후 추숭 과정을 인목대비에 대한 정치적 압박과 관련하여 살핀다. 광해군이 생모를 왕후로 추숭하고 인목대비를 모후로 인정하지 않으려 한 근본 이유는 자신이 적자(대군)가 아니라는 출신상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함이었다. 懿仁王后와 仁穆王后(인목대비)로 이어지는 선조의 嫡妃를 의인왕후와 恭聖王后(공빈김씨)로 바꿈으로써 스스로 적자가 되려 한 것이다. 따라서 광해군의 생모 추숭작업과 인목대비에 대한 압박은 상관적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7년에 걸친 생모 추숭 과정(1610~1617)과 5년에 걸친 대비 유폐 과정(1613~1618)은 시기적으로도 거의 일치할 뿐만 아니라 인목대비 유폐를 위한 본격적인 논의는 공빈의 추숭이 완벽하게 마무리된 지 불과 달포 만에 갑자기 시작되었다. 이런 타이밍을 우연으로 볼 수는 없다.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추숭의 전 과정을 사실적으로 재구성하고 해석하되, 광해군의 입장과 역할에 중점을 두어 추숭과 유폐의 상관성을 밝힌다. King Kwanghae(r. 1608-1623) devoted all his energies to promote his deceased birth mother to the rank of queen and would not recognize the queen dowager as his mother because he wanted to defeat the defect of his being born of a palace concubine, not of a queen. By promoting his birth mother, therefore, he wanted to transform himself from a secondary son (soja: the son of a concubine) to a primary son (chokcha: the son of a wife). The posthumous promotion of king's birth mother was thus closely related to the incidental demotion of the queen dowager. In fact, it was not an accident that a series of accusations against the queen dowager of being in cahoots with so-called traitors started only a month after the seven-year process of the posthumous promotion of king's birth mother was completed. In this view, this paper looks a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osthumous promotion of king's natural mother and his attack on the queen dowager, his legitimate mother.

      • KCI등재

        숙종대 명사(明史) 진강과 명 사적의 재인식 - 『황명통기(皇明通紀)』의 진강을 중심으로 -

        윤정(Yoon, Jeong)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4 No.-

        본고는 숙종 후반 처음으로 진강된 명사에 대한 인식을 『황명통기(皇明通紀)』를 매개로 살펴본 것이다. 명사가 사서(史書) 진강의 대상이 된 것은 당대사의 범주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 조정이 공식적으로 明이 멸망한 과거의 왕조임을 천명하는 것이었다. 『황명통기』는 명대 당대사로 편찬된 직후 조선에 유입되었는데, 이에 대한 인식은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임진왜란 후 명의 전례(典禮)가 강조되고 명 사적을 이해하는 전거로 활용되면서 변화하였고, 숙종대 진강교재로 채택되었다. 명대 사적 중에서 현안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었던 것은 명 세종(嘉靖帝) 때 있었던 사친(私親) 추숭(追崇)이었다. 『황명통기』는 저자인 진건(陳建) 당대에 있었던 추숭에 대해 긍정적이었고 광해군과 인조가 명의 사적을 명분으로 사친을 추숭하여 현종대까지도 이에 대해 비판적인 기조가 이어졌다. 하지만 숙종은 역사적 전례를 매개로 원종 추숭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제기하는 신하들에게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인조 왕계의 시원으로 가지는 원종의 위상이 정립되고 추숭에 대한 부정적 입론이 약화되었다. 이와 함께 건국 과정에서 갈등을 빚었던 명 태조(洪武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병자호란 후 북벌(北伐)과 권농(勸農) 등 긍정적인 요소가 지적되곤 하였지만 형정(刑政) 운영 등을 매개로 비판적인 인식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숙종대 들어 명 태조의 권농정책과 예제정비를 매개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숙종대 당시 북벌(北伐)을 폐기하고 내수(內修)를 위한 정책을 실시하는 정책기조의 전환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is piece of writing examines the perception of Ming-Shi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the royal study sessions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through 『Hwang-myeong-tong-gi(皇明通紀)』. That the history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included Ming-Shi means the history lecture overstepped the bounds of contemporary history, and it also means the royal government in Joseon officially defined its standpoint that Ming dynasty(明) was fallen dynasty. After being compiled as contemporary history of Ming dynasty, 『Hwang-myeong-tong-gi(皇明通紀)』 came into Joseon. And in King Sukjong"s reign, it was selected as a textbook for the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The most notable change in the process of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was raising king"s real parents" rank(私親追崇) in the reign of King Sejong of Ming(嘉靖帝). Because King Gwanghaegun and King Injo raised their real parents" rank based on precedents of Ming dynasty,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on the issue. However, King Sukjong stood firm against vassals who criticized the issue of raising Wonjong"s rank based on historical precedents. Thus, the status of Wonjong as the origin of King Injo"s royal genealogy was established and negative opinions on raising his rank became weakened. In addition, because of operating penal administration(刑政), the perception of King Taejo of Ming was critical. However, the perception of King Taejo of Ming have changed positively through active agriculture encouragement policies and organization of ceremony. This perception provided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abolishing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北伐) and implementing policy for domestic demands(內修).

      • KCI등재

        元宗의 追崇問題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연구

        장동표 효원사학회 2017 역사와 세계 Vol.- No.52

        This thesis studied ritual comparing worship culture for local worthies that was implemented in local society during Chosun and Ming dynasty. The worship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showed a certain difference in the form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he period. In Korea way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as that confucians made Sôwons(書院) and schrines(祠宇) and carried out ceremony of confucianism with a mortuary tablet(位牌), but was not that they built confucian shrine(大成殿) with east corridor(東廡) and west corridor(西廡). In china of Ming dynasty, culture of worship of local worthies was that bureaucrat at the local shrine of worthies built in school(學宮) of local government became center and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The ruling class in both countries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with building a lot of shrines and the number local worthies who wanted to be in the shrines had increased in spite of regulation from government. Korean and Chinese worship culture weren't different originally because implementation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ho had moral influence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was able to educate people at local society. 본 연구는 조선중기 이래 향촌사회에서 전개된 鄕賢 追崇 문화와 명대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향현 崇祀 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양국의 향촌사회사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 것이다. 양국의 추숭 문화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전개되는 형태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조선의 향현 추숭은 향교의 大成殿과 그 앞의 좌우에 위치한 東廡나 西廡에서가 아니라, 재지사족이 주도적으로 관아 바깥에 서원이나 사우를 지어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하는 방식이었다. 명대 지방사회의 추숭 문화는 관아의 學宮 안에 설치된 향현사에서 官이 중심이 되어 여러 향현들을 제사 지내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국의 지배층은 활발하게 향현사를 지어 향현들을 추숭하였으며, 향현사에 入祀하려는 향현의 수는 당국의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기가 내려갈수록 증가하였다. 조선과 명의 추숭문화는 덕망과 학문이 높은 지역의 향현을 받들어 제향 하였다는 것과 이로써 지방사회의 백성들을 다스린다는 교화 체계의 하나가 되었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 KCI등재

        우암 송시열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과 평가

        한기범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2 No.-

        There are two short 'reviews of the life'(卒記) of Song, Shi-Yeol(송시열) in 『Shil-Rohk』(實錄). However, the fact that the two recor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makes the evaluation of him seen in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record that Noh-Rhon(老論) wrote is positive and praises about him being conversant with scholarship, his morality and political influence. On the contrary, Soh-Rhon(少論) states comments that are extremely pessimistic and critical. Park, Sae-Chae(박세채) noted that the keyword to the evaluation of Song, Shi-Yeol is ‘morality’(義理). The Choo-Soong(追崇) about Song, Shi-Yeol is recorded in Muhn-Myo-Jong-Sa(文廟從祀) and Won-Sa-Hyang-Sa(院祠享祀). The Muhn-Myo-Jong-Sa was done along with Song, Jun-Kil in the year of 1756. Muhn-Myo-Jong-Sa was the most honorable acknowledgement of a scholar. It was regarded as a symbol of political influence that the nation recognizes by his learning and virtue. There were about 70 Won-Sas of Song, Shi-Yeol and 37 Sa-Aek-Seo-Won(賜額書院) in the end of King Young-Joh(英祖). These are the highest numbers in the history of Won-Sa in Korea. The Won-Sas are found all over the country, 44% are in Choong-Chung region concentrated around his hometown and shrine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Hap-Sas(合祀) with Joo-Ja(朱子) in Song, Shi-Yeol’s Won-Sa is characteristic. This proves the contrary of cognizance of the scholarship in the era of King Jung-Joh(正祖). The Won-Sas of Song, Shi-Yeol in Late Chosen Korea proves that his aspect loyal to the king and opposing the foreign has acted as the foundation to protect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national evaluation of Song, Shi-Yeol after his death is confirmed by the nation redressing his grievance and granting a posthumous epithet, and offering incense at a Confucian shrine. It comes to a climax when King Jung-Joh wrote 『Yang-Hyun-Jeon-Shim-Rhok』(兩賢傳心錄), published 『Sohng-Jah-Dae-Jeon』(宋子大全), building Dae-Roh-Sa(大老祠) and granting an Uh-Jae-Hyun-Pahn(御製懸板) and Bi-Myung(碑銘). The school of Sa-Rim’s(士林) positive evaluation is represented by Song, Shi-Yeol’s Shin-Hoo-Moon-Ja(身後文字) and Hwa-Sang- Chan(畵像讚), and the negative assessment is done by denying his Buk-Buhl(北伐) and morality. The recent studies of the recognition of Woo-Ahm are also double-sided. The points of the debate were Song, Shi-Yeol’s subjectivity of his Jon-Joo-Sa-Sahng(尊周思想), confirmation of Buk-Beol, and the bias and autonomy of the academic traditions. The focus of the studies should not be confined to research on Song, Shi-Yeol alone, but in the aspect of reexamining the overall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the end of Chosen dynasty. 우암 송시열에 대한 『實錄』의 ‘卒記’는 두 가지로, 그 평가가 서로 상반된다. 노론이 주도한 졸기는 그의 學德과 義理와 事業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데 반하여, 소론이 주도한 졸기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송시열에 대한 追崇은 文廟從祀와 院祠享祀에서 잘 나타난다. 그는 1756년 문묘에 종사됨으로써 유현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국가적 추숭을 받기에 이른다. 또한 그를 제향하는 院祠는 전국적 분포를 보이면서 영조 말에 이미 70여개(사액서원 37개)에 이르렀는데, 이것은 원사배향의 인물 순위에서 조선 최고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문묘배향과 함께 이러한 원사배향의 실제는 그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이 거의 절대적이었음을 입증한다. 송시열에 대한 국가적 평가는 문묘종사 외에 正祖가 그를 위해 『兩賢傳心錄』과 『宋子大全』을 간행했으며, 또 大老祠, 御製 懸板과 碑銘을 내린 데에서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그에 대한 사림의 평가는 ‘理學의 嫡傳’, ‘北伐義理의 상징’ 등으로 평해진 긍정적 평가와, 그의 學德과 事業을 부정하면서 ‘空言은 실천하지 못했고, 高論은 이룬 것이 없었다.’는 부정적 평가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현대학계의 우암인식도 양면적이다. 그 쟁점은 송시열의 사대성과 북벌사업의 空論 문제, 노소분당의 책임과 闢異端의 문제, 노론정치세력의 문제 등으로서, 아직 공방이 팽팽히 맞서 있다. 따라서 이후의 우암연구는 이러한 쟁점들을 고려하면서 연구기초자료인 『연보』와 『송자대전』의 이해를 보다 확실하게 하고, 우암연구를 당파와 개인의 차원을 넘어 朝鮮史의 전체 구도에서 재검토할 것이 요청되며, 또한 尤庵學에 대한 연구를 一國史를 넘어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그 現代性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사학(史學) : 우암 송시열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과 평가

        한기범 ( Kee Beo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2 No.-

        우암 송시열에 대한 『實錄』의 ``卒記``는 두 가지로, 그 평가가 서로 상반된다. 노론이 주도한 졸기는 그의 學德과 義理와 事業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데 반하여, 소론이 주도한 졸기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송시열에 대한 追崇은 文廟從祀와 院祠享祀에서 잘 나타난다. 그는 1756년 문묘에 종사됨으로써 유현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국가적 추숭을 받기에 이른다. 또한 그를 제향하는 院祠는 전국적 분포를 보이면서 영조 말에 이미 70여개(사액서원 37개)에 이르렀는데, 이것은 원사배향의 인물 순위에서 조선 최고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문묘배향과 함께 이러한 원사배향의 실제는 그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이 거의 절대적이었음을 입증한다. 송시열에 대한 국가적 평가는 문묘종사 외에 正祖가 그를 위해 『兩賢傳心錄』과 『宋子大全』을 간행했으며, 또 大老祠, 御製 懸板과 碑銘을 내린 데에서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그에 대한 사림의 평가는 ``理學의 嫡傳``, ``北伐義理의 상징`` 등으로 평해진 긍정적 평가와, 그의 學德과 事業을 부정하면서 ``空言은 실천하지 못했고, 高論은 이룬 것이 없었다.``는 부정적 평가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현대학계의 우암인식도 양면적이다. 그 쟁점은 송시열의 사대성과 북벌사업의 空論 문제, 노소분당의 책임과 闢異端의 문제, 노론정치세력의 문제 등으로서, 아직 공방이 팽팽히 맞서 있다. 따라서 이후의 우암연구는 이러한 쟁점들을 고려하면서 연구기초자료인 『연보』와 『송자대전』의 이해를 보다 확실하게 하고, 우암연구를 당파와 개인의 차원을 넘어 朝鮮史의 전체 구도에서 재검토할 것이 요청되며, 또한 尤庵學에 대한 연구를 一國史를 넘어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그 現代性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There are two short ``reviews of the life``(卒記) of Song, Shi-Yeol(송시열) in 『Shil-Rohk』(實錄). However, the fact that the two records are contrary to each other makes the evaluation of him seen in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record that Noh-Rhon(老論) wrote is positive and praises about him being conversant with scholarship, his morality and political influence. On the contrary, Soh-Rhon(少論) states comments that are extremely pessimistic and critical. Park, Sae-Chae(박세채) noted that the keyword to the evaluation of Song, Shi-Yeol is ``morality``(義理). The Choo-Soong(追崇) about Song, Shi-Yeol is recorded in Muhn-Myo-Jong-Sa(文廟從祀) and Won-Sa-Hyang-Sa(院祠享祀). The Muhn-Myo-Jong-Sa was done along with Song, Jun-Kil in the year of 1756. Muhn-Myo-Jong-Sa was the most honorable acknowledgement of a scholar. It was regarded as a symbol of political influence that the nation recognizes by his learning and virtue. There were about 70 Won-Sas of Song, Shi-Yeol and 37 Sa-Aek-Seo-Won(賜額書院) in the end of King Young-Joh(英祖). These are the highest numbers in the history of Won-Sa in Korea. The Won-Sas are found all over the country, 44% are in Choong-Chung region concentrated around his hometown and shrines.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Hap-Sas(合祀) with Joo-Ja(朱子) in Song, Shi-Yeol`s Won-Sa is characteristic. This proves the contrary of cognizance of the scholarship in the era of King Jung-Joh(正祖). The Won-Sas of Song, Shi-Yeol in Late Chosen Korea proves that his aspect loyal to the king and opposing the foreign has acted as the foundation to protect the national sovereignty. The national evaluation of Song, Shi-Yeol after his death is confirmed by the nation redressing his grievance and granting a posthumous epithet, and offering incense at a Confucian shrine. It comes to a climax when King Jung-Joh wrote 『Yang-Hyun-Jeon-Shim-Rhok』(兩賢傳心錄), published 『Sohng-Jah-Dae-Jeon』(宋子大全), building Dae-Roh-Sa(大老祠) and granting an Uh-Jae-Hyun-Pahn(御製懸板) and Bi-Myung(碑銘). The school of Sa-Rim`s(士林) positive evaluation is represented by Song, Shi-Yeol`s Shin-Hoo-Moon-Ja(身後文字) and Hwa-Sang-Chan(畵像讚), and the negative assessment is done by denying his Buk-Buhl(北伐) and morality. The recent studies of the recognition of Woo-Ahm are also double-sided. The points of the debate were Song, Shi-Yeol`s subjectivity of his Jon-Joo-Sa-Sahng(尊周思想), confirmation of Buk-Beol, and the bias and autonomy of the academic traditions. The focus of the studies should not be confined to research on Song, Shi-Yeol alone, but in the aspect of reexamining the overall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the end of Chosen dynasty.

      • KCI등재

        야은 길재에 대한 추숭과 비판에 대한 연구

        안장리(An, Jang-Li)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유교국가인 조선시대 역사기록은 왕조중심으로 씌어졌고 자신이 속한 왕조의 입장에서 씌어질 수밖에 없었다. 길재는 왕조초기의 추숭, 사림시대도통의 제2인자로의 옹립과 추숭, 그리고 18세기 왕들과 서민교화의 전범으로서의 추숭 등 조선 전시대에 걸쳐 절대적인 추숭을 받았다. 남효온, 박세채 등에 의해 은연 중에 신씨를 섬긴 인물, 삼년상을 치를 필요 없는 스승에 대해 삼년상을 행한 인물 등으로 평가받기도 했으나 이런 논란에 대해서도 이황, 정경세, 안정복 등 당대 인사들로부터 옹호를 받았다. 이황은 공민왕이 우왕을 후계로 인정하였으므로 신씨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하였고, 정 경세는 신씨설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이 많다고 하였으며, 안정복은 신씨라는 설에 대해 논평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여 신씨설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나아가 길재와 정몽주와 같은 위인이 섬겼다면 신씨일리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신씨 조작설에 힘을 실어주었다. 본고에서는 길재 절의 추숭에 대한 시대적 변모를 정리했을 뿐 아니라 길재의 절의에 대한 논란을 통해 단편적으로 남아있는 역사기록의 한계, 세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역사기록의 맹점 등을 극복하는 과정도 확인할수 있었다. Built on the ideas of Confucianism, Chosun and it’s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around the kings. The historical records were only possible to be written in the perspective of the king during the time of documentation. It would not be considered overly exaggerated to state that Gil-Jae was praised after his death without further questioning during the entire Chosun Dynasty. Gil-Jae has been posthumously praised and enthroned as second-in-command of the Do-tong during the era of the Confucian scholars. He was also recognized after his death during the early years of Chosun, and recalled by his reformation act of the people and the kings during the 18th century. On the contrary, Kil-Jae was also denounced by critiques. He was well-known for serving Shin through Nam Hyo-on, Park sae-chae, etc and mourning a teacher, who did not need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of a third year memorial service, for three years. However, even after the negative judgements, the most recognized and eminent persons during the times of Chosun such as Lee Hwang, Ahn Jung-Bok, Jung Gyung-se, etc appraised that Kil-Jae should be highly respected by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Lee Hwang stated that King Gong-min has accepted King Woo as his successor and Jung Kyung-se announced that there are many who are doubtful towards the rumors of Shin. Ahn Jung-bok wanted more comments and further discussions regarding the rumors of Shin and heavily criticized such rumors. Ahn Jung-bok added his indication that if great men like Kil-Jae and Jung Mong-Joo served as followers, it would not have been Shin; Ahn empowered Shin’s fabricated story. This research will discuss the Kil-Jae’s posthumous praises about his fidelity to principle, integrity and honor have changed through time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the affect of loopholes through different social conditions, etc of historical documents by looking into the arguments and controversies of Kil-Jae’s fide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