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혹논문 2 : 퇴계(退溪),남명(南冥)의 시와 대조적인 학문성향

        이상하 ( Sang Ha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6

        조선은 朱子學의 나라라 일컬어지지만 전기에는 아직 朱子學의 정치한 이론이 학자들 사이에 깊이 受用되지 못하였고 고려 때 크게 유행한 佛學이 아직 힘을 완전히 잃지는 않고 있었다. 南冥曹植이 靜坐공부를 좋아했던 것도, 退溪李滉이 辨異端의 칼날을 세웠던 것도 이러한 정황 위에서 이해될 수 있다. 조선에서 『朱子大全』을 최초로 완독하고 연구한 학자는 퇴계이다. 그 이전에도 『心經』, 『近思錄』, 『性理大全』 등 성리학 저술들이 간혹 일부 학자들에게 읽히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老佛의 사상이 儒學속에 渗透해 들어오는 것을 경계하였던 朱子의 학설을 이어받은 퇴계에 이르러 精緻한 辨異端의 논리가 세워졌다. 남명은 조선전기 성리학의 성향을 이어받고 『성리대전』에서 性理學의 이론을 흡수하여 敬·義로 요약함으로써 存養을 특히 중시하는 자신의 독특한 학문체계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퇴계와 남명의 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퇴계의 시에서는 자신을 성찰하고 理를 玩索하고 理에 순응하는 理學적인 면모를 볼 수 있는 반면 남명의 시에서는 외물을 압도하는 주체로서의 높고 큰 자아, 외물의 침입을 막아 맑은 心地를 지키려는 의지와 같은 心學의 특성을 찾을 수 있다. 퇴계의 학문이 주자학을 그대로 受用하여 理學의 전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면, 남명의 학문은 理를 완색하는 明理보다 心地공부를 비상하게 중시했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큰 틀 속에서 理學보다는 心學쪽에 치우친 것으로 파악된다. 외물의 침입을 단호히 막음으로써 心의 맑음을 지키는 그의 ‘敬’이 현실에서 ‘義’의 실천으로 옮겨질 때 處士型의 극히 介潔하고 고고한 정신으로 나타난다. Joseon is often called the nation of Zhuzi studies(朱子學). During theformer half of Joseon period, however, the elaborate theory of Zhuzistudies was not yet deeply accepted, and Buddhist studies which hadbeen very prevalent in Goryeo did not utterly lose its power. All thisexplains why Nammyeong Jo Sik(曹植) liked Quiet-sitting(靜坐) andToegye Yi Hwang(李滉) sharply discriminated between heresy andorthodoxy. The first scholar in Joseon who completely read and studiedJujadaejeon(朱子大全Complete Works of Zhuzi) was Yi Hwang. It is notthat some previous scholars occasionally read the Neo-Confucianwritings such as Simhak(心學Study of Mind), Geunsarok(近思錄Reflections on Things at Hand) and Seongridaejeon(性理大全GreatCompilation of Neo-Confucian Works), but the sophisticated logic todistinguish between heresy and orthodoxy was established by Toegye, who succeeded Zhuzi`s theory which was cautious to protectConfucianism from the influence of Laozi and Buddha`s thoughts. Nammyeong inherited the tendency of the early Joseon`s Neo-Confucianism, and absorbed Neo-Confucian theory to summarizeit as Gyeong(敬respect) and Ui(義righteousness). By doing so, he builthis unique academic system which put great stress on ‘preserving andnourishing(存養)’. These aspects can be found in the poetry of Toegye andNammyeong as well. Toegye`s poetry shows some features related toYihak(理學study of Principle), such as examining oneself, contemplating on Yi(理Principle) and conforming to Yi. On the otherhand, Nammyeong`s poet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Simhak(心學study of Mind), such as the high and big self overwhelming outwardthings and the will to protect lucid mind from the intrusion of outwardthings. It can be said that Toegye`s study adapted Zhuzi Studies as it wasand shows the archetype of Yihak, whereas Nammyeong`s study wasinclined to Simhak rather than Yihak in that it set great importance onstudy of mind rather than understanding Yi. When Nammyeong`s Gyeong(敬), which preserves the clearness of mind by adamantlypreventing the invasion of outward things, shifts to the practice of Ui(義) in reality, it appears as an extremely pure and noble mind.

      • KCI등재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가 조선조에 끼친 영향

        이상하 ( Sang Ha Yi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2 No.-

        우리나라에서 『주자대전』을 처음으로 완독하고 연구한 학자는 퇴계 이황이다. 이황의 편저인 『주자서절요』는 조선에 주자학을 보급 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였고, 이황과 그 門人에 의해 정리된 『주자서절요』 주석은 『주자대전』 연구를 촉발시켜 향후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에 성리설 논쟁을 惹起하는 한편 방대한 『주자대전』 주석을 양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자학 발전을 견인하는데 가장 큰 動因이 되었다. 『주자서절요』에는 주희의 정설이 축약되어 있어 조선의 학자들로 하여금 주자학의 정심한 이론을 쉽게 受用할 수 있게 하였다. 조선에 본격적인 주자학 시대를 여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주자서절요』와 『朱書百選』을 비교해 보면, 두 책의 편자의 견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주자서절요』의 영향을 받아 편찬되었으나 『주서백선』은 『주자서절요』의 내용을 산삭 또는 보완하여 율곡학파 학설의 입론 근거를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주자서절요』는 주희의 辨異端의 논리가 강하게 드러나 있어, 조선 전기까지 남아 있던 불교의 영향력을 일소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불교의 문제점을 쉽게 간파하고 주자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렇지만 학자들로 하여금 보다 더 깊이 불교를 알 수 있는 길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로운 학문 발전을 저해하고 道學 일색의 이념주의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주자서가 많이 읽히면서, 이황으로부터 주희의 만연체 문장이 서서히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황의 문집부터 『주자대전』의 영향을 받아 문집의 권질이 현저히 많아지고 서간문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 문집의 모양이 종전과 달라졌다. 뿐만 아니라 상소문, 서간문 등에 주자서에 나오는 어휘, 고사가 많이 쓰였으며, 碑誌類와 같은 다른 문장에서도 宋代 語錄體글이 많이 등장하여 문체를 바꾸어 놓았다. Yi Hwang (1501-1570), the most prominent Korean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tarted research on the Whole works of Zhu Xi (Jujadaejeon, 朱子大全). He edited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which became popular source of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in Korea. The annotations of of Yi Hwang and his school in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made a starting point of intensive research on the the whole works of Zhu Xi in Korea. Also it became the trip wire of the debates between Yi Hwang School and Yi I school on the orthodox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one of the important motives which eventually mad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Neo-Confucianism.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has brief ex- planation of the doctrines of Zhu Xi`s criticism on Buddhism which swept the academic residue of Buddhism which had significant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ventually this got rid of the chance of further studying on Buddhism.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had been committed to study Neo-Confucianism also this trend made the academic tolerance very narrow. As the works of Zhu Xi became read, the writing style of Yi Hwang who followed the long sentence style of Zhu Xi became popular. By means of the influence of the Whole works of Zhu Xi on the Works of Yi Hwang, the trends of the works of Korean scholars changed to became bigger and to include more letters than before. Moreover, there was lots of writing style changes, for example such as lots of quotation from the works of Zhu Xi, in such writing as the inscriptions which imitated the Sung dynasty dialogue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