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주곡에 대한 슈만의 새로운 시도: <즉흥곡> Op. 5를 중심으로

        조미정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3 음악교수법연구 Vol.24 No.2

        슈만(R. Schumann)의 변주곡은 다른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을 받은 장르이다. 그러나, 슈만은 그의작품활동 초기(1828-1835)에 변주곡을 새로운 차원의 장르로 발전시키고자 다양한 시도를 한다. 특히, 그에게문학적 영감을 준 ‘파피용’ 철학과 더불어 음악적 영감을 준 바흐와 베토벤의 영향을 변주곡에 풀어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슈만의 문학적 그리고 음악적 영감이 변주곡 형식의 변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그 핵심 내용을 담고 있는 <즉흥곡> Op. 5의 의미와 가치를 밝혀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슈만 초기 변주곡인 <아베크 변주곡> Op. 1, <즉흥곡> Op. 5, <카니발> Op. 9, <교향적 연습곡> Op. 13의 특징들을 살펴보며 새로운 변주곡의 형성과 변형과정을 추적하고 이들의 공통분모를 탐색했다. 그 결과, 슈만이 향하고자 했던 방향은 변주곡의 ‘총체성’이었으며 성격소품과 변주곡의 융합인 ‘성격적 변주곡’이라는 독특한 장르를통해 그 이상을 구현하고자 했고 그 여정의 중심에 <즉흥곡>이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가 슈만의 새로운 변주곡 기법의 이해를 돕고 <즉흥곡>의 가치를 알리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변주곡에 관한 연구: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베토벤 《디아벨리 변주곡》, 브람스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중심으로

        Fang Lan,조대명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는 변주곡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널리 연주되는 3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변주곡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베토벤 《디아벨리 변주곡》, 브람스의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를 분석하였다. 작품 분석에는 각 변주곡의 주제와 대위법적인 ‘캐논’ 기법으로 변주한 악장을 하나씩 선정하였다. 《골드베르크 변주곡》의 <주제>와 <제21변주>, 《디아벨리 변주곡》의 <주제>와 <제19변주>,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의 <주제>와 <제16변주>를 형식 구조, 음악 요소, 변주 기법의 측면에서 분석해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단락적 변주곡인 세 작품은 주제에서 나타나는 두 개의 반복 형식과 변주 악장에서 나타나는 화성 종지감 약화, 여러 가지 변주 기법의 결합은 시대와 관계없는 보편적인 특징이었다. 한편, 바흐는 대위법, 행진곡, 춤곡 등을 활용하여 변주한 점, 베토벤은 주제의 음악 요소를 바탕으로 새로운 동기를 구성한 점, 브람스는 성격 자체를 바꾸며 주제를 자유롭게 변주한 점에서 성격 변주곡의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요한 변주곡 작품 분석을 통하여 변주곡 형식이 전개되는 모습을 살펴보았기에 의의가 있으나, 연구 결과는 독창성을 지닌 작품까지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시대별 여러 변주곡 작품을 분석해 다양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는 현시대 작곡가들이 변주곡 형식을 활용하는 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elected three of the most famous and widely performed works of variation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variation music. The works analyzed were Bach's 《Gold¬berg Variations》, Beethoven's 《Diabelli Variations》, and Brahms'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For the analysis, a theme and one variation movement utilizing the contrapuntal canon technique, which transcends different eras, were selected from each set of variations: the <Theme> and the <Variation 21> from the 《Goldberg Variations》, the <Theme> and the <Variation 19> from the 《Diabelli Variations》, and the <Theme> and the <Variation 16> from the 《Variations on a Theme by Hande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formal structure, musical elements, and variation techniqu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se three discrete variations works share univers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esentation of two repeated phrases in the Theme, the weakening of harmonic cadences in the variation movements, and the utilization of various combinations of variation techniques, regardless of the era. However, each composer was influenced b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eras in terms of musical elements. Furthermore, Bach combined contrapuntal, march, and dance elements in his variations, Beethoven constructed new motives based on the musical elements of the Theme, and Brahms freely varied the Theme by altering its character, illustrating how the 'character vari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era. At the same time, Bach varied his themes by incorporating contrapuntal techniques, marches, and dance forms. Beethoven constructed new motifs based on the musical elements of the theme, and Brahms freely varied the theme itself, changing its character, thus revealing different aspects of character variations.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exploration of how the variation form unfolds through the analysis of important variations compositions, although the findings have limited applicability to works with originality. Further analysis of variation works from various eras is necessary to explore diversity, and ongoing research can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contemporary composers utilizing variation forms.

      • 한국과 아시아 음악에 보이는 변주 양상

        전인평(Chun, In-pyong) 한국음악문화학회 2019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서양음악은 제외한 한국과 아시아 여러 나라 음악의 변주 양상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변주곡이란 어떤 주제 또는 악구를 변형시켜 나타내는 작곡 기법으로, 작곡 기법 중 기본적인 기법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해탄(解彈), 변조(變調), 여치조(與致調)란 말로 사용해 왔다. 우리나라 전통음악 대부분은 변주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즉, 상영산에서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 등이 생성되었다.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지역의 변주곡 양상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 변주곡을 만들 때는 주제에 간음을 넣어 음을 길게 만들고 느린 속도로 연주한다. 그리고 새로 만든 변주곡은 주제의 앞에 연주한다. 변주된 선율에 간음을 더 넣어 제2변주곡을 만들면 제1변주곡의 앞에 연주하며 속도는 제1변주곡보다 더 느리게 연주 한다. 이렇게 주제를 변주하여 더 느리게 만들고 주제보다 먼저 연주하는 방법으로 변주곡을 만드는 양상은 인도의 라가에서도 볼 수 있다. 즉, 중국의 판식, 인도네시아의 이라마 등에서도 볼 수 있는 공통적인 양상이다. 그러나 한국의 가곡과 영산회상 경우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영산회상을 살펴보면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에서 ‘가락덜이’라는 용어에서 보듯이 가락을 덜어낸 것으로 보이고, 또한 이혜구 등 여러 학자들의 여러 논문에서 상영산이 주제라는 것으로 결론을 내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 음악의 변주 양상 관점으로 살펴보면 가락덜이가 주제이고, 다른 음악이 변주가 된다. 그리고 산조 장단에서는 자진모리 장단이 원형이고, 중중모리 중모리 진양조는 자진모리의 변화형이다. 이처럼 한국의 변주 기법은 다른 나라의 변주 양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양상은 앞으로 국악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논의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spects of music i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except for Western music. Variations are musical techniques that modify a subject or a musical instrument and are one of the basic techniques of composition. There was much musical technique in Korean music also. Mos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made by the transformation method. The following is the sample of variations in music in China, Indonesia, and Vietnam. When they make variations, they make the original theme and play at slow speeds. And the new variations play in front of the theme. If second variations are created by adding a note to the melody, the first variations will be played before the first variations and the tempo will be slower than the first variations. This technique has used the pattern of variations in India"s laga also by changing the original theme to make it slower and playing it before the subject. The Korean music youngsanhoesang’s vari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variation technique of other countries technique, it needs more detail further studies.

      • KCI등재

        리버만(Lowell Liebermann b. 1961)의 변주곡 연구와 교수 방안

        최재원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tions by an active, renowned American composer, Lowell Liebernmann(b. 1961). This paper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composer Liebermann. The main chapter examines two selected piano works, Variations on theme by Anton Bruckner and Variations on theme of Schubert, comparing other earlier models from the Classic, Romantic piano literature.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piano variations mainl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variation technique and musical style of Lowell Liebermann. The main part of paper covers a pedagogical survey of both musical and technical aspects of each variation and proposes an ideal solu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se variations by Liebermann exhibit unique lyricism with virtuosity and can exemplify a good command of contemporary piano literature. It is worthwhile to discover new brilliant concert repertoire for advanced students. This paper offers to contribute to pianists who study and perform Liebermann's works. 로웰 리버만(Lowell Liebermann, 1961 ~ )은 현재 세계 각지에서 위촉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미국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현대작품에 대한 선입견과 어려움을 넘어서 청중들에게 흥미를 일으키는 점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리버만의 피아노 작품 중 학문적인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변주곡 두 곡을 선정한다. 리버만의 <안톤 부르크너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슈베르트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다른 작곡가의 주제를 기반으로 변주한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장식적인 변주로 시작하여 그 이후 자유로운 성격변주로 작곡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음악사상 중요하게 쓰인 작곡기법 중의 하나인 변주기법을 기반으로 낭만주의적인 음악스타일을 새롭게 발전시키고 있다. <안톤 부르크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원래 트럼본을 위해 작곡된 코랄풍의 주제를 바탕으로 9개의 변주곡으로 되어있다. <슈베르트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유명한 가곡 <들장미>를 주제로 다양한 스타일의 변주곡들이 기교적으로 쓰여 있다. 특히 마지막 변주곡은 푸가 기법으로 장대하게 전개 되다가 주요 주제가 재현되는 작품이다. 리버만이 전통적인 변주기법을 기반으로 어떻게 그만의 독특한 어법을 구사하였는지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아직 자주 연주되지 않는 리버만의 작품들을 발굴하여 교수 방안을 같이 연구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남성의 이상적 삶과 그 변주의 양상

        정인숙(Jeong, In-Sook)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2 No.-

        본고는 남성의 이상적인 삶을 표방한 두 편의 사설시조가 후대에 지속적으로 향유되면서 다양하게 변주된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노랫말의 변주가 수용자의 다양한 반응과 요구에 기인한 것이라 할 때, 그 변주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후대에 이상적 삶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욕망과 현실 사이의 갈등 속에서 삶의 지향점이 어떻게 설정되는지 탐색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우선 논의의 중심이 되는 두 작품은 <남아의 소년행락?>이라는 작자미상의 사설시조(<1>)와 <대장부 공성신퇴후하야?>라는 이정보의 사설시조(<2>)이다. 전자가 남성들이 욕망하는 이상적 삶을 일대기 형식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라면, 후자는 치사 이후에 물질적 풍요를 근거로 한 여유롭고 풍류적인 삶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이 후대에 변주된 양상을 보면 첫 번째로 호기롭고 유락적인 삶이 강조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1>과 <2>의 노랫말을 적절히 결합하여 유락적 성격을 강조한 작품(<3>)과, <2>의 시상을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공성신퇴’라는 어휘를 배제한 채 유락적 삶의 모습을 강조하면서 ‘나’라는 주체를 부각시킨 작품(<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부귀공명의 불가능성을 인식하고 대안적 삶에 대한 소신을 드러낸 경우이다. 이는 작품 <5>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외부 세계와의 부조화 속에 욕망과 현실 사이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는 점이 <3>, <4>와 다르다. 세 번째는 세속적 출세의 욕망에서 벗어나 행복한 노년에 대한 관심을 표출한 경우이다. 여기에는 부귀공명의 욕망을 초탈하고 자발적으로 자연에 돌아와 노년을 보내면서 깊은 내면의 성찰을 보여준 작품(<9>)이 있는가 하면, 부귀공명의 욕망에서는 벗어난 듯하면서도 여전히 여색이나 장수의 욕망을 강하게 부각시킨 작품(<10>)도 확인된다. 이러한 노랫말의 변주 양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첫 번째 변주 양상은 우선 유흥공간의 간섭의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즉 유흥공간의 분위기에 요구되는 노랫말이 선택 첨가되면서 자연스럽게 호기롭고 유락적인 삶이 강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아울러 유락적 분위기의 고조와 더불어 풍요로운 물질적 조건이 갖춰진 상황에서 유흥을 만끽하는 자신을 부각시킴으로써 호기로운 삶의 주인공을 ‘남아(대장부)’에서 ‘나’로 구체화하는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두 번째 변주 양상은 처음부터 부귀공명의 실현불가능성을 상정하고 있는 점에서 외부적 성공이 쉽지 않은 계층적 한계를 엿보게 한다. 그런 점에서 두 번째 경우는 그러한 계층적 한계에 공감하는 수용자가 적극 반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세 번째 변주 양상은 무엇보다 노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출사의 경험이 있든 그렇지 않든 노년의 행복한 일상을 구체적으로 담아낸 점은, 늙어서의 편안한 삶 혹은 쾌락적 삶을 갈구하는 통속적 욕망을 스스럼없이 표출한 것으로 추상적 이념이 아닌 구체적 삶의 일상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면모를 보여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n"s ideal lives and the aspects of variation in Sijo. In this paper the focus is two texts of Saseol-Sijo. One is the Saseol-Sijo without any known author, the other is the Saseol-Sijo written by Lee Jeong-bo. These works were enjoyed by many people to posterity, and they were played a variation. The first aspect of variation is the emphasis on men"s magnanimous and amusable life. This aspect is thought to be a result of the interference of entertainment space. The second aspect of variation is to show the awareness of impossibility of riches and honors and belief in his alternative life. We can see the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desire. This case is thought to be enjoyed by the person who can sympathize with that situation. The third aspect of variation is to show the transcendence of desire for worldly success and the interest in a happy old age. This case is worthy of notice because it shows the interest in old age. This case expresses the desire for comfortable life or pleasure-seeking life, and it is thought to be more concerned with a concrete everyday life than an abstract idea. Sometimes we can see the works that show reflection of his(her) life and mature attitude to life. More studies on these works should be done.

      • 바흐의 음악을 차용한 현대 피아노변주곡의 분석: 코플랜드와 록버그를 중심으로

        이의진 ( Rhee Iejin ) 한국피아노학회 2016 피아노음악연구 Vol.10 No.-

        19세기에 멘델스존(Mendelssohn)이 바흐(J.S. Bach)의 음악을 재조명한 이래, 그의 음악에 영감을 받아 쓰여진 작품들은 많았다. 바흐가 즐겨 사용하던 장르나 형식에 영향을 받기도 했고 그의 선율이나 음형을 차용하기도 했다. 다양한 음악의 차용(borrowing)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형식은 주제와 변주곡(Theme and Variations)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흐의 음악적 요소들을 차용한 두 미국음악가의 작품을 비교분석하였다. 1930년에 쓰여진 코플랜드(Copland)의<피아노 변주곡>과 1976년에 완성된 록버그(Rochberg)의<파르티타-변주곡>은 같은 영감에서 시작되어 동일한 형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재창조하는 방식이 전혀 다른 작품으로 탄생하였다. 코플랜드의<피아노 변주곡>은 바흐의 ≪평균율곡집≫제1권의 G장조 푸가(Fuga)에서 첫 4개의 음정을 차용하여 주제를 작곡하였다. 단 4개의 음정으로 20개의 변주와 코다로 구성된 작품으로 완성시킨 것이다. 코플랜드는 일반적인 변주곡의 형식과 다르게, 각 변주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곡을 듣는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했다. 주제는 바로크시대의 산물에서 시작되었지만 스트라빈스키(Stravinsky)의 신고전주의, 쇤베르그(Schoenberg)의 음렬주의, 재즈적 요소까지도 엿볼 수 있는 통합적인 음악이다. 록버그는 보다 더 진취적으로 형식의 틀을 깨고 있다. 파르티타와 변주곡의 형식을 결합한 형태이지만, 그 이상의 결과를 가져왔다. 주제가 처음이 아닌 곡의 중앙에 배치되어있으며 각각의 변주는 하나의 악장으로 표제를 가지고 있다. 악장의 표제들이 제시하는 것처럼 바로크, 고전, 낭만, 인상파의 음악적 스타일을 아우르고 있다. 때로는 12음기법을 유연하게 사용하기도 하고, 쇼팽, 브람스, 드뷔시 등의 음악성향을 차용하는 듯한 과감함과 본인의 다른 작품속 선율을 그대로 직접인용하기도 하면서 융합하는 음악을 들려준다. 점차 융합과 통합이 중요시되고 있는 이 시대에, 이렇게 다양한 음악적 스타일과 양식의 결합은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전통적인 방식과 형식의 틀을 깨고 변화를 시도하며, 대중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익숙한 과거시대의 음악을 재조명하는 것은, 현대음악이 가지는 대중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기에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Johann Sebastian Bach continues to remain as an inspiration to many composers since Felix Mendelssohn had first rediscovered his accomplishment using Bach`s form back in 19thcentury. “Theme and variations,” a form of “music borrowing” technique is one of many representative genre, forms, and melodies of Bach that have been used widely. This paper will discuss about two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merican contemporary composers who had been inspired by Bach: < Piano Variations(1930) > by Aaron Copland and < Partita-Variations(1976) > by George Rochberg. Both masterpieces were inspired by Bach and used the same form of “theme and variations” under the Baroque structure but are composed progressively at the same time. Differences can also be found in the way each work interprets and creates the music. < Piano Variations > by Copland was inspired by Bach`s Fugue in G Major from ≪Well-Tempered Klavier Book 1≫. Copland created a theme from Bach`s first four notes and developed them into twenty different variations. Unlike any other traditional forms of “theme and variations,” which consist of separate variations, Copland linked all the variations into one big continuous piece. While he is using Baroque idiom, this work embraces wide range of other stylistic features such as neo-classicism from Stravinsky, serialism by Schoenberg and Jazz elements. Rochberg is even more progressive about breaking the traditional form. < Partita-Variations > is a combination of only two forms but it contains much wider stylistic range. The theme is located not in the beginning but in the middle of the work. Each variationis constructed as a separate movement with its own titles. Rochberg embraced diverse stylistic features including Baroque, Classical, Romantic, and Impressionistic style. He was influenced by Chopin, Brahms, Debussy and used 12-tone technique with flexibility. He also quoted his own melody from his different work. The diverse styles that are mingled and combined in music are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is generation. Using familiar tunes and developing traditional idiom to a new style may help the audience to become more familiar with contemporary music, which is our responsibility to contribute.

      • KCI등재

        唐代 접경공간의 內外구분과 법률상의 제도화 -邊州를 중심으로

        이춘복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1

        본고는 학술적 가치에 비해 기존에 연구가 미흡했던 당대 접경공간의 특성, 구조 및 법률상의 제도화 문제를 짚어보았다. 특히, 당대의 호구와 관병및 변주의 제도적 장치와 법제화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관련 사서를 추적하여, 변주와 내지정주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변주와 이민족 국가(혹은 기미주)의 차이점을 추적하였다. 또한, 당대 법률에서는 이 특정 변주지역을 어떻게 규정화・ 명문화 하였는지를 규명하여, 당 현종시기변주공간의 대략적인 윤곽을 제시하고자 했다. 당대는 중국 역대 어느 왕조보다도 주변국가와의 인적교류가 활발했던개방적인 시기로 평가되지만, 당제국과 주변 국가를 구분 짓는 접경공간이없었던 것은 아니다. 당대 접경공간에 설치된 수많은 邊州가 이를 증명한다. 변주는 당 전기 이민족을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羈縻州의 성격과 다르고, 내지 正州와도 구분된다. 이 접경공간은 長城(隋 장성)・關塞・軍・守捉・ 鎭・空閑地・烽燧・木柵 등 군사기지와 군사시설물이 집중 배치된 군사적공간이 동시에 일반 백성들의 일상사가 펼쳐지는 생활공간이기도 했다. 특히, 당제국은 중국에 이주한 이민족을 주로 변주지역에 안치시켜 唐人과의잡거를 허용하였고, 그들의 정체성(古俗)을 허용해 주었다. 이에 따라 이들접경지역에는 唐人의 농경과 비한족의 오아시스농업・유목・임업 등이 결합된 다양한 문화와 생활양식이 혼재했다. 『당률소의』 의 편찬 이전의 경우 당의 접경공간은 강제성이 없는, 문화적경계지역으로 임시방편적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당률소의』 발간 이후에는 접경부근에 설치된 關塞와 봉화대 등 군사시설, 그리고 이를 지키는 병사와 감시체제 및 방어체제, 공식적 사신왕래 이외의 국경출입 금지 및 무기반출 금지 등 국경관련 규정이 명문화 된다. 한편, 변주지역에서는 일반백성 출입금지, 교역금지 및 거래물품 제한 등 법률상 규제나 단속성 규범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당 조정은 돌궐・고구려・백제・토욕혼・강족・당황족・소그드・거란・실위 등 이민족 항호(諸化外人)들이 별도의 군장을 세우고, 각각의 풍속에 따라 제도와 법을 존속할 수 있는 회유정책을 실행했다. 이로인해 변주지역은 여러 국가출신 종족들이 잡거하는 집합소가 되었고, 여러나라 출신의 종족 내부 혹은 종족 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출신국의 독자적인 법규 혹은 당의 표준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민족과 당인 사이의 혼인을 허가하는 개방적인 규정이 제시되기도 했다. In this paper, we pointed out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legal institutionalization of contact zones in the Tang Dynasty whose existing research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research. In particular, it tracked related historica lmaterials, which allowed them to look into household registered population and military personnel, institutional devices and legalization of frontier prefectures, and further to track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ontier prefectures and the Different countries (or the loose-rein prefectures (羈縻州, jimizhou). In addition, the laws of Tang Dynasty clarifying how this particular frontier prefectures was defined and stipulated, and intended to provide a rough outline of the frontier prefectures space during the Emperor Xuanzong’s reign. The Tang Dynasty is considered to have had the most active interaction with its neighboring countries compared to any other dynasties in China. However, having had this openness does not mean that there were no contact zones separating it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The frontier prefectures, which served as the Tang Dynasty’s contact zones, differed from the jimi prefectures, which were indirectly involved with the local ethnic peoples in the early Tang Dynasty, and they also differed from the regular prefectures (正州, zhengzhou). These contact zones were a space where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such as the Great Wall (長城, Changcheng), border forts and frontier junctures (關塞, guansai), garrison towns (軍, jun), defense detachments (守捉, shouzhuo), garrison stations (鎭, zhen), vacant lands (空閑地, kongxiandi), beacon towers (烽燧, fengsui), and wooden palisades (木柵, muzha) intertwined like cobwebs. At the same time, these contact zones served a space where ordinary people’s daily lives unfolded. In particular, the Tang Empire placed the ethnic peoples who migrated to China in such frontier prefectures and allowed them to live with the Han people. Because the Tang Empire tolerated their identities (古俗, gusu), various ethnicities resided together in these contact zones, mixing cultures and lifestyles and combining the agrarianism of the Han people with the pastoralism and forestry of the non-Han people.

      • KCI등재

        김춘수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 : <타령조> 연작시를 중심으로

        오형엽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이 글은 시적 리듬의 원리로서 '반복'과 '변주'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연작시를 '반복'과 '변주'의 리듬 구조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의미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김춘수 '무의미시'의 두 방향 중 '주술적 리듬을 통한 무의미시'의 구조화 원리를 규명하고자 했다. 김춘수 시에서 '반복'과 '변주'의 기법은 주로 '회기'와 '대구'를 중심으로 형상화된다. 이때 '변주'의 방식은 '병렬', '연쇄', '점층', '점강', '대칭', '순환', '전환', '확장', '왕복', '귀결'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김춘수의연작시에 나타나는 '반복'과 '변주'의 리듬 구조는 크게 '대칭과 순환/전환', '점층과 왕복/확장', '병렬과 귀결/순환' 등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의미 구조는 '사랑의 문답', '사랑의 인과', '사랑의 경로'라는 변별적 자질로 해석될 수 있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대칭'과 '순환'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음절·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병렬적·연쇄적·점층적 '대구' 등을 '대칭 구조'와 '순환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사랑을 추구하며 방황하고 갈등하는 시적 자아의 내면 무의식을 표현하는 동시에, 그 추구가 실패하고 좌절되는 과정의 허무를 회의적으로 질문하면서, 이 과정이 순환적으로 연속되리라는 예감까지도 표현한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대칭'과 '전환'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점층적 대구'의 기법을 '대칭 구조'와 '전환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사랑을 추구하며 방황하고 갈등하는 시적 자아의 욕망을 심리적 차원·신화적 차원·역사적 차원으로 분석하면서, 그 공허와 허무, 치욕과 모멸의 의미뿐만 아니라 자기희생이 낳는 새로운 가능성의 의미까지도 표현한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점층'과 '왕복'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대구'의 기법을 '점층 구조'와 '왕복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사랑의 고통을 낳은 원인 및 그 결과인 공허와 허무, 능멸과 수치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자학과 자기모멸을 통해서만 고통을 견딜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면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왕복하면서 시간적 역행 및 순행을 교차시킨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점층'과 '확장'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음절·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대구'의 기법을 '점층 구조'와 '확장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애비의 쓸개 빠진 사랑과 애비의 불알을 먹는 새끼들의 상호 행위적 원인 및 그 결과인 고통과 불행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회한과 허무로 귀결되는 양상을 제시한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병렬'과 '귀결'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대구'의 기법을 '병렬 구조'와 '귀결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소소하고 집요하게 진행되다가 느닷없이 끝나버린 사랑의 경로를 여름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시작되는 계절 감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그 사건의 지속성·전후 맥락·귀결 등을 통해 화자의 희망과 상반되는 결과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한다. 반복과 변주의 기법이 '병렬'과 '순환'의 구조를 형성하는 작품은이다. 이 시는 음절·단어·어절·문장 등의 '회기'와 '대구'의 기법을 '병렬 구조'와 '순환 구조' 속에 삽입시킴으로써, 사랑의 경로가 고통과 방황과 허무로 순환되는 과정을 장소로부터 연상이나 유추가 발생하는 '병렬'적 대구 및 의식의 흐름이 지속되는 '순환'적 리듬 구조를 통해 형상화한다. This writing wished to observes theoretical basis of 'repetition' and 'variation' as poetic rhythm, and wished to examine closely structural principle of 'nonsense poetry through incantation rhythm' among two direction of Kim Chun-soo's 'nonsense poetry' investigat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eries poetry "Tone of Tune" laying stress on rhythm of 'repetition' and 'variation'.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is formed laying stress on 'recurrence' and 'antithesis' mainly in Kim Chun-soo's poetry. Method of 'variation' can be expose by various type of 'parallel', 'chain', 'gradation', 'symmetry', 'circulation', 'conversion', 'extension', 'round trip', 'conclusion' etc. The rhythm structur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of Kim Chun-soo's series poetry "Tone of Tune" can be classified into 'symmetry and circulation/conversion', 'gradation and round trip/extension', 'parallel and conclusion/circulation' etc. And each meaning structure is interpreted as 'question and answer of love', 'cause and effect of love', 'process of love'.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symmetry' and 'circulation' is "Tone of Tune 1". This poem beginning A and tip A achieve whole particulars pair in the biggest structure, and the whole poem forms symmetry by central axis of middle A´.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symmetry' and 'conversion' is "Tone of Tune 2". This poem achieve foundation by B and B´ that forming recurrence accompany word order change in the biggest structure.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gradation' and 'round trip' is "Tone of Tune 3". This poem is played that beginning A-B make a recurrence by intermedia A-B, and make a variation by tip A´ in the biggest structure.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gradation' and 'extension' is "Tone of Tune 5". This poem is played that beginning A make a recurrence by intermedia A, and make a variation by tip A´ in the biggest structure.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parallel' and 'conclusion' is "Tone of Tune 6". This poem achieves whole particulars pair as beginning A make a recurrence by tip A´ in the biggest structure. A work that technique of repetition and variation forms structure of 'parallel' and 'circulation' is "Tone of Tune 11". This poem achieves whole particulars pair as beginning A make a recurrence by tip A´ in the biggest structure.

      • KCI등재

        자진아라리 계열 통속민요의 변주와 확산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In this paper, the diffusion process of Jajinarari is summarized by categorizing the variation method in Jajinarari Variations. Jajinara-ri’s variation metho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changing lyrics while maintaining the mode and rhythmic structure, changing only one mode or rhythmic structure, and changing both the mode and rhythmic structure. The change in the mode was often changed from the mi-mode to the sol mode,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major was found. As for the change in beat, the change from 10/8 beats to 3/4 and 4/4 beats was found the most. The change in the lyrics of the song led to a change in the title of the song. In many cases, key words in the lyrics were made into titles or place names related to singers were used as title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epresentative Arirang song was an arrangement of Jajinarari. 이 논문에서는 자진아라리 계열로 볼 수 있는 통속민요 아리랑류 악곡에서의 변주 양상을 유형화하여 자진아라리의 확산 과정을 추적해 정리하였다. 자진아라리류 악곡의 변주 방식은 토리와 장단을 유지한 채 가사의 변화, 시김새의 추가 등으로 통속민요화한 경우, 토리나 장단 한 가지를 바꾼 경우, 토리와 장단을 모두 바꾼 경우의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토리는 메나리토리에서 솔선법, 미선법, 육자배기토리 등으로 변화하였으며, 장단은 엇모리에서 세마치(3/4박자 포함)와 굿거리, 4/4박자 등으로 변화하였다. 1차 변주는 향토민요를 통속민요화하는 과정이며 시김새가 늘어나고 박자가 안정화되는 정도의 변화가 나타난다. 경상도아리랑과 대구아리랑, 청주아리랑, 구미아리랑, 그리고 통속민요 강원도아리랑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가사가 바뀌었지만 기존 악곡을 거의 그대로 노래하는 제주도 아리랑도 1차에 포함할 수 있다. 2차 변주는 토리와 장단을 변주한 사례이며, 여기에 가사의 변화가 악곡 정체성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후렴 가사를 바꾸고 솔선법을 사용한 영천아리랑, 독립군아리랑, 쪽박아리랑, 차병걸의 강원도아리랑, 그리고 가사를 바꾸고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한 초동아리랑이 여기에 속한다. 3차 변주는 1차나 2차 변주곡을 재변주한 사례가 많은데 엇모리 영천아리랑을 변주한 세마치 영천아리랑과 랭산모판아리랑, 그리고 강원도아리랑을 3/4나 4/4박자로 변주한 강원도아리랑, 굿거리로 바꾼 경상도아리랑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 함경도아리랑은 솔선법에 3/4박자로 되어 있어 영화주제곡인 본조아리랑과 깊은 친연성이 확인되었고, 직접적인 파생의 증거는 아니지만 본조아리랑이 자진아라리의 직접적인 편곡이었을 음악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Robert Schumann(1810~1856)’s Piano Variations

        이주연 ( Juh-Yon Lee ) 한국피아노학회 2017 피아노음악연구 Vol.11 No.-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은 18세기 고전주의의 전통적인 양식을 인식하는 동시에 낭만주의의 새로운 음악적 아이디어를 추구하였다. 그의 피아노 작품의 많은 부분은 낭만주의 양식인 성격소품 모음곡이지만, 동시에 그는 고전주의 전통양식을 새롭게 창조하였다. 슈만은 소나타 또는 변주곡의 기본적 틀을 유지하면서 시적인 영감과 자신의 개인적 경험 및 독특한 감정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그는 음악을 문학과 관련 짓고, 이야기와 성격을 드러내기 원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슈만이 피아노 변주곡이라는 전통양식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먼저 본문의 첫 장에서는 피아노 변주곡 장르의 역사적인 개관을 설명하여 그 안에 자리잡고 있는 슈만의 변주곡의 위치 및 의미를 찾아 보았다. 본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그의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변주곡 작품: < 아베그 변주곡 op. 1 >(Abegg Variations, 1830-1831), < 즉흥곡 op. 5 >(Impromptus, 1833), < 교향적 연습곡 op. 13 >(Symphonic Etudes, 1834-37)을 분석함으로써, 슈만이 피아노 변주곡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낭만적 이상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가 주장하였던 이상적인 변주곡의 모습, 즉 각 변주 간의 내밀한 연관성(inner connection)과 악곡 전체의 예술적 총체(artistic whole)를 이루어가고 있는 다양한 방식 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슈만의 피아노 변주곡의 이해뿐만 아니라 그의 대표적 피아노 장르인 성격소품 모음곡(character piece suites)의 구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지을 수 있으며, 슈만의 전체 피아노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explores Robert Schumann(1811-1856)’s unique approach to the classical genre of variations sets for piano and his treatment of new Romantic musical ideas in an older Classical form. The study is premised on Schumann’s own writings in which he discusses his “new form of variations” and lays out his aesthetic and intellectual goals for that form. First, the Chapters II reviews the history, development, and theories of variation form. In Chapter III, three piano variations ― < Abegg Variations, op. 1 >; < Symphonic Etudes, op. 13 >; < Impromptus, op. 5 > are closely analyzed for their presentation of three essential qualities: (1) unity as a whole; (2)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movements or pieces; and (3) poetic and literary inspirations. Finally, the study delineates Schumann's approach to developing the genre: close preservation of the Classical formal structures with incorporation of Romantic ideals of emotional narrative to achieve inner connections and unity within the vari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