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溪門의 『古文眞寶』 前集 讀法 試論

        박한규 영남퇴계학연구원 2008 퇴계학논집 Vol.3 No.-

        『古文眞寶』는 중국 元代에 편찬된 시문선집으로, 수록된 작품들 은 거의 典範性이 강한 시가와 산문이다. 前集과 後集으로 나누어 시가와 산문을 모아 놓은 것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까지 전해져 여러 지식인들의 환영을 받으며 유행하였다. 퇴계는 자신의 문인 들이 『古文眞寶』를 제대로 감상하면서 아울러 시와 문장을 올바르 게 짓게 하기 위하여 그들과 함께 『古文眞寶』에 대한 철저한 해독 작업을 하였다. 필자는 퇴계가 조선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던 『古文 眞寶』를 作詩?作文의 교재로 삼아 자신의 제자들과 함께 해독하 면서 오고갔던 문답 내용을 기록한 문헌을 발견하고 그 특징을 살 펴보았다. 퇴계는 『古文眞寶』를 풀이하면서 기존의 經書해석 방법을 따르 면서 좀 더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 였다. 기본적으로 글자나 詩語에 대한 한문 풀이인 釋義를 시작으 로 詩語또는 詩句에 대해 口訣을 넣어 풀이하였을 뿐만 아니라, 諺文?俗語등 당시 구어 표현도 가리지 않고 사용하여 諺解하였 다. 그러면서 『詳說古文眞寶大全』에 있는 주석을 本注로 삼아 인 용하여 해석의 세밀함을 더하였고 제자들의 질문에 옳고 그름을 판단하면서 풍부한 배경지식을 동원하여 典故도 풀이하였다. 또한 詩法에 적합 여부도 이야기하면서 詩語가 잘 쓰였는지를 거론하는 부분도 있다. 이처럼 퇴계는 여러 각도로 『古文眞寶』에 수록된 작 품을 살펴보면서 해석 작업에 있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제자 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이 講錄을 보면 『古文眞寶』에 대한 퇴계의 애착이 느껴지면서 동시에 제자들과의 문답 속에서부터 그들의 순 수한 문학적 호기심을 엿볼 수 있다. 경서가 아닌 문학 작품에도 이토록 심혈을 기울인 해석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그 들의 학문적 욕구가 상당히 높았던 것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19세기 서원 강학활동 사례 연구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호계강록』을 분석하여 19세기 중반 서원 강학활동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호계강록』은 호계강회의 전체 진행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흔치 않은 자료로서 주목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의 진행은 강회의 개황, 강회의 강학유형 그리고 강회의 강학정신을 살펴보는 순서로 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계강회는 경상감사의 학정쇄신정책과 서원 관계자의 교육진흥 노력이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물이었다. 이 강회는 유치명을 비롯한 34명의 학자가 참여하여 5일 동안 진행되었고,『심경부주』1권을 집중 논의하였다. 둘째 호계강회는 문답형, 발문-대답형, 발제-토론형, 강설형 등 다양한 종류의 담론이 이루어진 세미나식 강학유형에 속한다. 이것은 교육과 평가 중심의 일반적인 강학이나 특강형식의 강학과 구분되는 최고의 교육적 소통활동으로서, 모든 강학활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호계강회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게 한 배경에는 참가자들이 공유한 대산학 계승의 사명의식, 절제와 소통의 토론정신 그리고 치열한 논변의식이 있었다. 이러한 호계강회는 19세기 중반 서원에서 구현한 교육과 문화의 층차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서 조선 후기 서원 강학활동을 재조명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Seminar activity in Joseon private academy in 19<SUP>th</SUP> century. Seminar activity means a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resembles the seminar of the western university in 17-18<SUP>th</SUP> century. The『Record of Ho-Gye Seminar(虎溪講錄)』enables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minar was opened by the policy of the Gyong-Sang province governor and was proceeded by Ho-Gye private academy. Second, the seminar was the apex of all the othe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 the private academy and shows the educational layer in the Korean history of the 19<SUP>th</SUP> century. Third, the seminar was successful by the spirit of the participants. The spirit was the consciousness of this culture of ours(斯文意識). The case of Ho-Gye seminar sheds light on the approach of the educational activity of Joseon private academy.

      • KCI등재

        19세기 대구지역 강회 기록물의 서지적 분석 - 지헌 최효술의 강학활동을 중심으로 -

        최기척 한국서지학회 2024 서지학연구 Vol.0 No.97

        본 연구는 대구 출신의 유학자 최효술(1786-1870)이 남긴 「鄕校講錄」․「東川講錄」․「四院講錄」 3종을 대상으로 서지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그동안 19세기 대구지역의 강회 기록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거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대구지역의 강학활동 사례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최효술의 가계와 생애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최효술이 남긴 강회 기록물을 대상으로 서지적 특징 및 주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대구지역에서 퇴계의 학문을 계승한 사족이 시행한 강학활동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등재 인물의 대다수는 대구지역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이들은 임진왜란 이후 등장하여 19세기까지 지역사회의 향론을 주도하였고 강학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a bibliographic analysis of three types of Hyanggyo-ganglok, Dongcheon-ganglok, and Sawon-ganglok left by Choi Hyo-sul (1786-1870), a Confucian scholar from Daegu. Currently, research on the records of recessions in Daegu in the 19th century is insufficient or has not been conducted. I would like to review the cases of academic activities in Daegu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amine Choi Hyo-sul’s family history and life. then, by analyzing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s of the three records left by Choi Hyo-sul, I would like to clarify the aspects of academic activities conducted by the four tribes that inherited Toegye’s studies in Daegu. Most of the registered people came from influenti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and they appeared after the Imjin War and led the local community’s opinion until the 19th centur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academic activities.

      • KCI등재

        19세기 강학활동 사례연구 -『계재강』의 를 중심으로-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2

        본고는 19세기 중반 안동지역에서 시행된 계재강회의 사례연구이다. 강회는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강학활동의 한 가지 방식으로서, 스승(장석)을 중심으로 선배와 후배 유생들이 문답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가는 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는 강회의 진행과정이 기록된 계재강의 와 장석 이한응의 문집인 .경암집.이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재강회는 1853년 10월의 계축강회를 시작으로 이한응이 대외활동을 줄인 1861년 이전까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계재강의 에는 총 4회의 강회기록만 전해지지만, 그 사이인 1856년 10월경에 또 다른 강회가 있었고, 마지막 기록인 1857년 2월의 정사강회 이후에도 강회가 열렸다고 추론하였다. 둘째, 계재강회는 .대학., .중용., .근사록., .심경부주.로 이어지는 일련의 교육과정 하에 진행되었다. 계재강의 를 통해서는 .중용.과 .근사록.이 연속적으로 다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경암집.에 실린 배문록 의 증언에 의하면 이 외에도 .대학.과 .심경부주.를 학습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셋째, 계재강회는 장석 이한응을 중심으로 30여명의 제자가 참여한 강회였기 때문에,장석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강회가 진행될수록 점차 약화되어 마지막 기록인 정사강회에서는 제자들이 문답과 토론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변화를 보인다. 이렇게 볼 때 계재강회는 일정한 교육과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시행된 학습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시행된 청량강회(1850년)나 호계강회(1856년)가 대규모의 일회성 학술세미나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Ge-Jae-Gang-Hue(溪齋講會). Gang-Hue was a method of Confucian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hich resembled seminar in western education. The record of the Gang-Hue (溪齋講義) helped to carry out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Jae-Gang-Hue began in October 1853 and was opened annually before 1861 when Lee, Han Eung(李漢應) stopped educational activity. Second, the curriculum was consisted of Confucian cannons and other important books. 『Great Learning(大學)』, 』Doctrine of the Mean(中庸)』, 』Thinking about near at hand(近思錄)』 and 』Confucian Cannon of Mind(心經)』 were core texts. Third, the Gang-Hue proceeded through various discourses. Reading,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and lecture were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learning. Lastly, the type of discourse changed gradually. At the first Gang-Hue, the teacher(Lee, Han Eung) led the conversation, but afterwards the confucian student became to engage themselves in the Gang-Hue. In conclusion, Ge-Jae-Gang-Hue was a seminar which opened annually to study confucian core texts in order. This paper is a case study of Ge-Jae-Gang-Hue(溪齋講會). Gang-Hue was a method of Confucian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hich resembled seminar in western education. The record of the Gang-Hue (溪齋講義) helped to carry out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Jae-Gang-Hue began in October 1853 and was opened annually before 1861 when Lee, Han Eung(李漢應) stopped educational activity. Second, the curriculum was consisted of Confucian cannons and other important books. 』Great Learning(大學)』, 』Doctrine of the Mean(中庸)』, 』Thinking about near at hand(近思錄)』 and 』Confucian Cannon of Mind(心經)』 were core texts. Third, the Gang-Hue proceeded through various discourses. Reading, question and answer, discussion and lecture were u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learning. Lastly, the type of discourse changed gradually. At the first Gang-Hue, the teacher(Lee, Han Eung) led the conversation, but afterwards the confucian student became to engage themselves in the Gang-Hue. In conclusion, Ge-Jae-Gang-Hue was a seminar which opened annually to study confucian core texts in order.

      • KCI등재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가 조선조에 끼친 영향

        이상하 ( Sang Ha Yi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2 No.-

        우리나라에서 『주자대전』을 처음으로 완독하고 연구한 학자는 퇴계 이황이다. 이황의 편저인 『주자서절요』는 조선에 주자학을 보급 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였고, 이황과 그 門人에 의해 정리된 『주자서절요』 주석은 『주자대전』 연구를 촉발시켜 향후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에 성리설 논쟁을 惹起하는 한편 방대한 『주자대전』 주석을 양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자학 발전을 견인하는데 가장 큰 動因이 되었다. 『주자서절요』에는 주희의 정설이 축약되어 있어 조선의 학자들로 하여금 주자학의 정심한 이론을 쉽게 受用할 수 있게 하였다. 조선에 본격적인 주자학 시대를 여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주자서절요』와 『朱書百選』을 비교해 보면, 두 책의 편자의 견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주자서절요』의 영향을 받아 편찬되었으나 『주서백선』은 『주자서절요』의 내용을 산삭 또는 보완하여 율곡학파 학설의 입론 근거를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주자서절요』는 주희의 辨異端의 논리가 강하게 드러나 있어, 조선 전기까지 남아 있던 불교의 영향력을 일소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불교의 문제점을 쉽게 간파하고 주자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렇지만 학자들로 하여금 보다 더 깊이 불교를 알 수 있는 길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로운 학문 발전을 저해하고 道學 일색의 이념주의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주자서가 많이 읽히면서, 이황으로부터 주희의 만연체 문장이 서서히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황의 문집부터 『주자대전』의 영향을 받아 문집의 권질이 현저히 많아지고 서간문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 문집의 모양이 종전과 달라졌다. 뿐만 아니라 상소문, 서간문 등에 주자서에 나오는 어휘, 고사가 많이 쓰였으며, 碑誌類와 같은 다른 문장에서도 宋代 語錄體글이 많이 등장하여 문체를 바꾸어 놓았다. Yi Hwang (1501-1570), the most prominent Korean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tarted research on the Whole works of Zhu Xi (Jujadaejeon, 朱子大全). He edited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which became popular source of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in Korea. The annotations of of Yi Hwang and his school in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made a starting point of intensive research on the the whole works of Zhu Xi in Korea. Also it became the trip wire of the debates between Yi Hwang School and Yi I school on the orthodox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one of the important motives which eventually mad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Neo-Confucianism.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has brief ex- planation of the doctrines of Zhu Xi`s criticism on Buddhism which swept the academic residue of Buddhism which had significant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ventually this got rid of the chance of further studying on Buddhism.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had been committed to study Neo-Confucianism also this trend made the academic tolerance very narrow. As the works of Zhu Xi became read, the writing style of Yi Hwang who followed the long sentence style of Zhu Xi became popular. By means of the influence of the Whole works of Zhu Xi on the Works of Yi Hwang, the trends of the works of Korean scholars changed to became bigger and to include more letters than before. Moreover, there was lots of writing style changes, for example such as lots of quotation from the works of Zhu Xi, in such writing as the inscriptions which imitated the Sung dynasty dialogue style.

      • KCI등재

        이황의 『가례』 연구와 전승

        이봉규 ( Lee Bong-kyoo ) 퇴계학연구원 2020 退溪學報 Vol.147 No.-

        선초 왕실에서 『가례』를 이용하여 국가 의례를 보완하였던 것과 『가례』와 『소학』에 대한 학습을 소과복시의 자격요건으로 규정한 것은 16세기 이르러 『가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심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황은 『주자서절요』(1561/1567)를 편찬할 때, 예설에 대한 주희의 정론을 채록해놓고, 『가례』의 규정들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논거로, 그리고 『가례』와 『국조오례의』, 시제와 속제 사이의 차이를 조정하는 논거로 활용하였다. 그런 점에서 『주자서절요』는 주자학으로 이끄는 공부의 지침으로서뿐 아니라 가례에 대한 주자와 퇴계의 정론으로서도 그 의미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황의 『가례』 연구는 ①이황이 가례와 관련하여 문답한 내용을 집록하는 방식(『퇴계선생상제례답문』), ②이황이 만년에 『가례』를 강의한 내용을 기록한 방식(『가례강록』, 『가례주해』), ③이황이 손수 『가례』에 두주의 형태로 적어두었던 내용을 집록한 방식(『가례석의』) 등으로 전승되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이황 당시 16세기에 조선에서 『가례』를 연구할 때, 『성리대전』 본 이후 『가례』에 관한 최신의 주석들 이를테면, 구준의 『가례의절』, 馮善의 『家禮集說』 등과 더불어 필자가 알려지지 않은 『性理群書輯覽補註』 등을 참고하였다. 전승된 기록들 사이에는 서로 보완적인 것과 동시에 차이가 나는 것도 함께 있어, 이황의 예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승된 기록들을 통합하여 비교해서 재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From the early period Joseon government used Jia Li (家禮) as a basis for royal rites, and made various efforts to spread Jia Li among people such as assigning it as a an examination subject for Sheng Yuan (生員) and Jin Shi (進士). In his study of Jia Li Lee Hwang (李滉) succeeded to the discussions of government. It is also confirmed that he exchanged discussions with Lee Hyun-bo (李賢輔) on family and local community rituals such as th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the manual of banquet ceremonies. However, most of all, Lee Hwang’s study of Jia Li was further intensified b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hu Xi (朱熹)’s final opinion on family rituals through detailed reading of his works. In particular, he discovered in Zhu Xi’s letters the reason for revising or supplementing the rules of Jia Li, and compiled the part he considered to be Zhu Xi’s final opinions into Zhu Zi Shu Jie Yao (朱子書節要). In the discussion with friends and students, he presented his position on the rite in accordance with Zhu Xi’s these final opinions. Thus, we know Yi Hwang fou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 of differences in rules between the national code, customary practices, ancient three books of the rite and Jia Li, not only through exploring the ancient regulations, but also by reading the writtings of Zhu Xi in detail. In this regard, Zhu Zi Shu Jie Yao is a guide, not only to Zhu Xi’s studies, but also to Zhu Xi’s final opinions on the rite that supplement the regulations of Jia Li. Since the 17th century in Joseon, the regulations of Jia Li was supplemented in succession by the study of the ancient books of the rite and also by investigation of the Zhu Xi’s ideas in detail, that is, by using the method of Lee Hwa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Lee Hwang’s reading of writings of Zhu Xi in detail was also meaningful in the way of study of the rite in late Joseon. Although Lee Hwang did not leave a separate book on the rite, he left a wealth of related talks through dialogues and lectures. Yi Hwang’s talks on the rite were handed down in two directions in later generations: one is by compiling and re-examining the related explanations scattered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such as Tui Xi Xian Sheng Sang Ji Li Da Wen (退溪先生喪祭禮答問), the other is by collecting explanatory notes on Jia Li. In the former case, there are also talks of Lee Hwang, which are not confirmed at the current collection of his works, which makes it necessary to recollect these data in the future. In the latter case, in addition to Jia Li Jiang Lu (家禮講錄) and Jia Li Zhu Jie (家禮註解) compiled by the students in his later days, there is Jia Li Shi Yi (家禮釋義) in which Son Yeo-je (孫汝齊) reunited the comments that Lee Hwang wrote down in his Jia Li in the 18th century. Comparing the data, Jia Li Shi Yi is the most abunda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expression between the duplicate contents,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ata of these three books together in order to clarify Lee Hwang’s explanation. The original form of Lee Hwang’s annotations, which were reintroduced in various books since the 17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se three books. Also, there are Lee Hwang’s explanatory notes which were cited in the books of the rite, such as Jia Li Ji Lan (家禮輯覽), but not in these three books, so we need to consider them as well when collecting Lee Hwang’s explanatory notes of Jia Li in the future. In his study of Jia Li, Lee Hwang used not only Zhu Xi’s writings, but also the ancient books of the rite, Chinese and Joseon codes, and the commentaries of the day. Jia Li in Xing Li Qun Shu Ji Lan (性理群書集覽) which Lee Hwang used in the emendation and annotation of Jia Li in Xing Li Da Quan (性理大全) is an edition different from Jia Li in Xing Li Qun Shu Ji Lan included in Si Ku Quan Shu Cun Mu (四庫全書存目). This Jia Li edition contains supplemental notes that are not known to the author, and some of the comments require a separate study because the errors are corrected as compared to the Song dynasty version.

      • KCI등재

        月川學團의 동향 일고찰 - 趙穆의 합천지역 교유인물과 陶山書院 從享을 중심으로 -

        박동일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mainly focus on Jo Mok(趙穆)'s Association of Hapcheon region and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陶山書院) Ancestral Rite(從享) movement for illuminate tendency of Wolcheon School Ties(月川學團). During the Hapcheon governor, Jo Mok keeps company with Jeong In-hong(鄭仁弘)'s disciples and instruct Taegye(退溪)'s scholarship through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close affinity between Jo Mok and Jeong In-hong's disciples were indirectly verified by through comparison of 『Wolcheonjip(月川集)』's different versions. In the manuscript of the 『Wolcheonjip』 included Hapcheon region's personal details, but these were deleted in the process of publish. Furthermore, negative opinion on Jeong In-hong were added to the published 『Wolcheonjip』. This means that Jo Mok's disciples had a receptive stance of Jeong In-hong's disciples at first. This affinity was evident in the Ancestral Rite movement by Jo Mok's disciples. Ancestral Rite took some time untill it becomes public opinion because local community consent were delayed. But Kim Jun-gchung(金中淸) quickly pushed forward the Ancestral Rite since enter government service, we can guess that there is an affinity between the Jo Mok's disciples and the Pwuk-In(北人) regime because there was no Pwuk-In(北人) regime's political obstruction. In summary, The reason why Kim Jun-gchung was able to push forward the Ancestral Rite in the Pwuk-In regime is because of the close affinity formed between the Jo Mok and the Jeong In-hong's disciples. 이 글은 月川學團의 초기 성격을 살피기 위해 조목의 합천지역 교유인물과 조목에 대한 도산서원 종향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조목은 1598년 1월부터 2년 5개월 동안 합천 군수로 재임하면서 지역 학자들과 교유하였는데, 합천이 來庵 鄭仁弘의 지역적 기반이었던 만큼 정인홍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교유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조목이 尤谷齋에서 『心經講錄』을 강학하면서 이 지역에 퇴계의 학문이 전수되기도 하였다. ‘조목과 정인홍 문인들의 친연성을 월천학단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였는가’하는 문제는 『월천집』 판본 비교를 통해 그 대략을 확인할 수 있다. 초고에 해당하는 필사본과 1666년 간행본의 내용을 비교‧검토해 보았을 때 필사본에 수록된 합천과 관련된 기록들이 간행본에는 모두 산삭되어 있었다. 더구나 간행본에는 남명을 추모하는 내용의 「聞曺南冥訃」가 산삭되고 정인홍을 강도 높게 비판한 「偶見仁弘南冥集跋語」가 수록되었다는 점에 주목하면, 간행본의 정리 과정이 정인홍과 그 문인들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초기의 필사본은 수용의 입장에서 정리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조목 사후에 그를 도산서원에 종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啓請과 종향·배향에 대해 향촌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종향이 지연되다가 金中淸이 조정에 나아가 직접 啓請을 준비하면서 빠르게 추진되었다. 때문에 종향을 비판하는 일부 인사들은 대북파의 지원이 있었다고 의심했지만, 또한 그것을 확신하지는 못했다. 이 글에서는 대북파와 대립 없이 종향이 공론화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정인홍의 문인들과 친연성을 보이는 조목의 교유활동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보았다. 정리하면, 조목 사후 초기에 조목의 문집을 정리했던 문인들은 조목과 정인홍 문인들과의 친연성을 수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종향을 추진하여 대북정권 내에서 무리 없이 공론화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 제천의병과 향음례 문화

        이창식 ( Lee Chang-sik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3 지역문화연구 Vol.2 No.-

        Several divine will disease enforced Hyangeumrye in Jecheon Jangdam village on May 15, 1895 with Jecheon one great scholars as the central figure. At that time, was begun at to discuss countermove about crisis of the country and pick up volunteer army to live intention to save the country. Hyangeumrye tradition is necessarily necessary to understand Jecheon volunteer army. Hyangeumrye's restoration is not historic reappearance simply. Truth that Hyangeumrye's spiritual consensus had been inherited modernly continuance of volunteer army mind and connected. Should be embossed to educational value rescuing this important classicalness. Synthetic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Hyangeumrye should be gone. Need to investigate Hyangeumrye aspect within literature and systematize. Urge connection investigators' interest. Volunteer Army several connection Hyangeumrye reappearance should be readied together with systematic Hyangeumrye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