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이차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1

        읽기에서 해독 기술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해독은 문자 언어의 체계나 유아 개인의 인지적 능력의 차이에 따라 그 발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별히, 문자 언어의 체계는 해독 과정의 방식에 중요한 변인이다. 한글은 세계의 어떤 글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글의 특성에 맞는 해독 지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본 고의 목적이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먼저 한글의 특성을 고찰했고, 한국 유아의 해독 과정을, 해독의 발달 과정과 사용하는 해독 책략에 대한 개인적 관찰을 통하여, 영어권 아동의 해독 과정과 비교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해독 책략들을 중심으로 해독 지도의 방법들에 대한 제안을 했다. Decoding skills are essential components of reading processes. Children's decoding skills reveal various developmental variants depending upon the structure of the written language and their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as well. The structure of the written language especially influences as an important factor on the ways children processes the language to decode. In teaching the decoding skills to children, the teaching methods should be based, among other things, on the structures of the language children learn. 'Hangul', the Korean written language has, in many respect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ther language in the world. With respect to decoding, this paper intended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ngul and on the basis of them, develop proper methods for teaching.

      • KCI등재

        願往生歌의 해독에 대하여

        황선엽(Hwang Seon-yeop)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사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향가 〈願往生歌〉를 해독하려는 것이다. 20세기 초부터 여러 연구자에 의해 향가의 해독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해독들은 완독을 목표로 하였고 그에 따라 다소 무리한 해독이 행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석독구결 자료 및 15세기 국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을 기반으로 가능한 한 국어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해독을 행하였다. 또한 그 해독이 단순한 추정이나 가정일 경우에는 그것을 명확히 밝히고 현재의 수준에서 아직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未詳으로 처리하였다. 〈願往生歌〉의 내용은 다른 향가에 비해 명확한 편이어서 그 해독에 있어서도 연구자들 사이의 견해차가 크지 않으나 해독의 미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 해독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해독들이 국어사적 지식으로 보아 합당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해독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일일이 지적하고 그 해독 중 가장 옳다고 생각되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 중 처격조사나 연결어미나 선어말어미로 쓰이는 ‘遺’에 대한 논의들은 필자의 이전 논문들에서 다루어진 것인데 종래의 해독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특히 ‘惱叱古音多’에 대해서는 아직 더 논의되어야 할 문제들이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해독을 제시하였다. ‘惱叱-’은 동사어간, ‘-古-’는 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 ‘-音多’는 다른 향가에 나타나는 ‘音叱如, 音如, 音叱多’와 같은 어미구조체로 파악하였다. 이 논문은 필자가 계획하고 있는 향가 전편의 해독을 위한 첫 걸음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발굴되고 고대국어에 대한 연구가 더 심화되어 이 글에서 미상으로 남겨진 문제들에 대한 해답이 찾아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interpret Wonwangsaengga(願往生歌: Song to pray for rebirth in paradise) in Hyangga(鄕歌) on the basis of knowledge in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Hyangga(鄕歌)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they have tried to interpret Hyangga(鄕歌)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ich has caused inaccurate interpretation of some parts in Hyangga(鄕歌).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knowledge that has been gained through research on Seokdok Gugyeol(釋讀口訣) and the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The study also informs us of whether the interpretation is fact or assumption. Some parts that cannot be interpreted accurately at this moment remain a mystery. In terms of meaning of Wonwangsaengga, researchers do not disagree because the meaning was clear compared with other works in Hyangga, Nevertheless, scholars put diverse interpretations on details of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thoroughly examines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scholars and selects interpretation which is thought to be the most desirable. If needed, this study introduces new interpretation: "惱叱古音多.' '惱叱' is a verb stem; '古' is a prefinal ending; and '音多' is a structure of ending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future study in interpretation of Hyangga.

      • KCI등재

        `찬기파랑가` 해독의 검토

        서정목(SUH, Chung-m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이 글은 ‘찬기파랑가’에 대한 여러 해독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독안을 제시한 것이다. 1920년대(小倉進平(1929)), 1930-40년대(양주동(1942/1965/1981)), 1970-80년대(김완진(1980, 1986/2000)), 1990-2000년대(성호경(2004/2008))의 해독 하나씩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검토 기준은 어휘 형태소[실사]는 한자의 훈을 이용하여 적고 문법 형태소[허사]는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적는다는 향찰 표기의 원리이었다. 둘째 검토 기준은 중세 한국어의 문법 질서이었다. 중세 한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에 비추어 가능한 어형과 가능하지 않은 어형을 가려내어 적절한 해독안을 찾으려 하였다. 그 결과 도달한 이 노래에 대한 필자의 해독안과 현대 한국어로의 이해는 다음과 같다. 이 해독에는 서정목(2014c)에서 논의한 제4행과 제5행이 순서가 바뀌었다는 가설을 반영하였다. 거기에 따라 의미 단락을 4행-4행-2행으로 나누어 전형적인 10구체 향가의 모습을 보이게 적었다. <다음> 중세 한국어 현대어 역 늣기며 바라매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발긴 다라리 이슬 밝힌 달이 힌 구룸 조초 뜨간 언저레 흰 구름 좇아 떠간 언저리에 耆郞이 즈시옳 시 수피여(원 제5행) 노화랑의 모습일 시 숲이여 몰개(랄) 가란 믈기슭어해(원 제4행) 모래(를) 가른 물 기슭에 일오나릿 재벽아해? 일오내 자갈밭에 郎이여 디니더샨 郎이여 지니시던 마사뫠 가살 좇나오라 마음의 가를 좇노라 아아, 자싯 가지 노포 아아, 잣가지 높아 누니 모달 지줋 곳갈이여 눈이 몯 짓누를 곳갈이여 필자의 해독안은 김완진(1980, 1986/2000)의 해독과 거의 같다. 필자가 달리 해독한 것을 굳이 적는다면 다음과 같다:‘咽嗚爾’를 ‘늣기며’로 해독하고 ‘露曉邪隱’을 ‘이슬 발긴’으로 해독하였다. ‘浮去隱’을 "뜨간’이라는 비통사적 합성어로 보았다. ‘藪邪’를 ‘수피여’로 보았다. ‘沙是’를 대격형인 ‘몰개(?)’로 보고 ‘汀理也中’을 ‘믈기슭어해’로 해독하였다. ‘?惡希’를 ‘재벽아해"로 보았다. ‘持以?如賜烏隱’을 ‘디니더샨’으로 보고, ‘逐內良齊’를 ‘좇나오라’를 적은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 make a scrutiny into various decipherments of ‘Chan-Kiparang-ka’. The objects of examination are four decipherm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eras of 1920s(Ogura(1929)), 1930s-40s(Yang(1942/1965/1981)), 1970s-80s(Kim(1980, 1986/2000)), and 1990s-2000s(Sung(2004/2008)). The first criterion is the principle of the Hyangchal writing that the lex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grammat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cond criterion is the grammar of Middle Korean. I pursued the ideal decipher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that picked out the possible word forms, on the ba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Middle Korean. As a result, I reached the following decipherment. In this decipherment, I changed the order of the fourth line and the fifth line as discussed in Suh(2014c), and divided the poem into 4-line, 4-line and 2-line stanzas like the typical 10-line-form Hyangka. <In Middle Korean> Neuski-myeo Bara-mai Iseul Bal-gi-n Daral-i Huin Gureum Chocho Pteu-ga-n Eonjeori-e Kirang-eui Cheus-i-o-l-s-i Sup-iyeo Molgae Karu-n Mul Kisurg-eohuy Ilo Narit Chaevyeok-ahuy Nang-iyeo Tini-deo-sya-n Mazam-uy Kaz-ul Cho-na-o-ra Ah ah Chasi-s-kaji Noph-o Nun-i Modal Chich-u-l Kotkal-iyeo My decipherment is nearly the same as Kim(1980, 1986/2000)’s decipherment. Some different ideas are as follows:‘咽嗚爾’ was read as ‘neuski-myeo’, ‘露曉邪隱’ as ‘iseul balg-i-n’, ‘浮去隱’ as ‘pteu-ga-n’, ‘沙是’ as the accusative form ‘molgae-(reul)’, ‘汀理也中’ as ‘mul-kiseul-eohuy’, ‘藪邪’ as ‘suph-iyeo’, ‘?惡希’ as ‘chayvyeok-aheuy’, ‘持以?如賜烏隱’ as ‘tini-teo-sya-n’, and ‘逐內良齊’ as ‘chos-na-o-ra’.

      • SCOPUS

        읽기장애 아동의 한글 단어 해독 특성 : 읽기중재와 읽기관련 언어수준변수의 함의

        이은주(Eun 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이번 연구는 읽기장애 아동의 한글 단어 해독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글 단어 해독수준변수와 언어수준변수 요인간의 관계와 해독 예측 요인을 읽기중재 전/후에서 분석하였다. 방법: 한글과 읽기장애와의 관련성, 한글 읽기장애의 예측 변수, 그리고 단어 해독에 영향을 미치는 한글 단어의 의미성(단어/비단어)과 철자규칙성(규칙/불규칙) 변수의 중재 전/후 영향 등을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 반복측정,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1) 한글 읽기장애 아동들은 읽기중재 후 한글 단어요인 해독점수와 듣기이해, 음운인식, 단어쓰기 점수는 향상되었다. 2) 읽기중재 전/후에 단어 해독과 관련된 언어수준변수는 수용어휘, 음운인식, 단어쓰기,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었다. 3) 단어 해독을 예측하는 언어수준변수는 ‘단어쓰기, 듣기이해, 수용어휘, 빠른 이름대기’였으며, 비단어 해독을 예측하는 변수는 ‘단어쓰기’였다. 그리고 해독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음운인식은 단어 해독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수로서 작용하지는 않았다. 4) 한글 단어 해독에 있어 읽기중재와 해독수준변수(단어의 의미성, 철자규칙성) 모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읽기중재 이후에 규칙 비단어에 대한 해독능력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논의 및 결론: 한글 읽기장애는 철자쓰기가 단어 해독을 예측하는 표의 문자체계의 성격과, 비단어에 대한 빠른 음운경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낮은 심도의 표음 문자체계 특성, 그리고 단어 정자법 및 형태지식 특성을 갖는 한글 고유의 철자 체계 특성 모두가 작용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Hangul word decoding propertie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by considering reading intervention and reading related language factors. Methods: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ment were examined for the relevance of Hangul and reading difficulties, predictors of Hangul reading difficulties, and the effects of Korean word meaningfulness (word/non-word) and spelling regularity (regular/irregular) variables. Results: 1) After reading inter-ventio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mproved in their Hangul decoding, listening comprehens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writing scores. 2) Before and after read-ing interventions, variables related to decoding were receptiv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word writing, and rapid naming. 3) The variables of children’s ability that pre-dicted decoding were word writing, listening comprehension, receptive vocabulary, and rapid naming; and the variable that predicted non-word decoding was word writing. Pho-nological awareness, whic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coding scores, did not act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coding scores. 4) Reading interventions and decoding-level variables (word meaning and spelling regularity) both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decoding of Korean Hangul, especially after reading interventions. Conclusion: The reading disability of Hangul is acting on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ogram and pho-nogram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s unique spelling system.

      • KCI등재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

        윤효진(Hyo Jin Yoon),김미배(Mibae Kim),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읽기집단, 학년집단,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일치 여부,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에 따른 해독력과 음운규칙 오류율을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중인 89명의 읽기부진아동과 학년을 일치시킨 89명의 일반아동 총 178명이 참여하였고, 2음절 낱말 68개의 해독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읽기부진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모든 해독과제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과 초등고학년 사이에 낱말해독력의 증진을 보이는 반면, 일반아동은 초등저학년에서 초등중학년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해독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읽기집단 모두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보다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과 자소-음소 불일치형의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부진아동은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 여부에 더 영향을 받으며, 무의미낱말과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규칙별로 살펴보았을 때 두 읽기집단 모두 비슷한 발달패턴을 보였다. 된소리와 비음화 음운규칙에서 낮은 오류율을 보이며 일찍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개음화와 설측음화 음운규칙은 고학년에서도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은 초등중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반면,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까지 어려움을 보이다가 초등고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해독기술이 완성되는 시기가 다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읽기부진아동은 무의미낱말,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 해독과제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으며, 이는 읽기부진아동이 자소와 음소의 대응 규칙을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읽기부진아동은 음운규칙을 적절하게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음운규칙의 발달시기도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달양상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Objec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coding skills of school-aged poor readers. The study examined whether decoding skills differ between children who were poor rea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ross grades in: (a) word and non-word reading (b)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c)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d)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and (e) words that adhere to six phonological ru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9 poor readers and 89 aged-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grades 1 to 6.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1) poor readers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all decoding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2) the decoding skills of the poor readers did differ between grades 3 to 4 and grades 5 to 6, while decoding skills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ffered between grades 1 to 2 and grades 3 to 4, (3) both reading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word than non-word decoding tasks,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asks,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4) the children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on the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demonstrating that both groups acquired the rules of tensification and nasalization early in development, while they had not fully acquired palatalization or lateralization rules and illustrated high rates of errors. Discussion & Conclusion: Poor readers tend to acquire automaticity of word decoding during grades 5 to 6,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quire accurate and fluent word reading skills during grades 3 to 4. Poor readers experience difficulty with decoding of nonsense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Even though poor readers acquired phonological rules s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ading groups did not differ qualitatively in terms of developmental patterns of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 KCI등재

        ≪유가사지론≫ 계통 점토석독구결의 수직쌍점 해독에 대한 시론(試論)

        이강혁 ( Lee Kang-hyuk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본고의 목적은 ≪유가사지론≫ 계통 점토석독구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수직쌍점 용례에 대하여 잠정적인 해독을 시도하는 것이다. 2장에서는 해독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형태 정보와 관련된 사안을 살펴봤으며 수직쌍점 해독 관련 선행 연구를 섭렵함과 동시에 연구 대상을 한정하는 논의도 함께 다루었다. 3장에서는 다양한 위치의 수직쌍점에 대하여 해독 과정에서 특정 혹은 관련지을 수 있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절을 달리하여 해독을 시도하였다. 3.1과 3.2에서는 각각 23(:)와 24(:)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해독을 시도하였다. 3.3에서는 문증되는 자료 특성에 따라 분류한 32(:), 34(:), 52(:)에 대하여 개별적인 해독을 시도하였다. 3.4에서는 특정 구문에서 함께 출현하는 33(:)과 53(:)에 대하여 함께 해독을 시도하였다. 3.5에서는 ①기준사각형과의 원근에 따른 45(:)와 +45(:)의 계열관계 ②인과구문에서의 43(:)과 +45(:)의 활용을 통한 계열관계 ③41~42(:)와 44~45(:)의 대칭성 등에 주목하여 4행에 위치한 수직쌍점에 대한 해독을 시도하였다. 3.6에서는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의 포함 여부와 51위치와 55위치 사이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5행에 위치한 수직쌍점에 대한 새로운 판독 가능성을 제시하며 해독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본고에서 시도한 잠정 해독안을 참고하여 최종적으로 ≪유가사지론≫ 계통의 수직쌍점 점도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to temporarily decrypt all vertical double points usage cases that can be found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Chapter 2 examines issues related to location information and form information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decrypting process. In addition, discussions on limi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also dealt with while conducting prior research on decryption of vertical double dot. In Chapter 3, decryptions was attempted by classifying vertical double dot at various locations, focusing on factors that can be specified or related in the decrypting process. In 3.1 and 3.2, decryption was attempted individually for 23(:) and 24(:), respectively. In 3.3, individual decryption was attempted for 32(:), 34(:), and 52(:)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ed data. In 3.4, decryption was attempted together for 33(:) and 53(:) that appear together in a specific phrase. In 3.5, we attempted to decrypt vertical double points located in row 4 by paying attention to ①The paradigm relationship of 45(:) and +45(:) according to the standard square, ②The paradigm relationship through the use of 43(:) and +45(:) in causal syntax and ③The symmetry between 41~42(:) and 44~45(:). In 3.6, decrypting of the vertical double points located in row 5 was attempt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si[□]-’ were included and the symmetry between 51 and 55. Finally, Chapter 4 presents the map of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vertical double points by referring to the tentative decryption attempted in this paper.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적발달 초등학생을 위한 그림상징 사용 낱말 해독 중재 사례연구

        기우열(Ki Wooyeul),연석정(Yeon Seokjeong),강민경(Kang Mi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경도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적발달 초등학생에게 그림상징을 사용한 낱말 해독 중재를 실시하여 본 중재가 낱말 해독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낱말 해독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도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적발달 초등학생 3명으로 하였다. 낱말 해독 중재는 목표 1음절 낱말을 초성과 모음 일치 낱말, 종성 일치 낱말, 음소 구조가 불일치된 완전 변형 낱말, 총 3개의 예와 함께 그림상징으로 제시하여 중재하였고, 사전-사후 낱말 해독 평가를 통해 낱말 해독 능력의 향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결과 1음절 낱말 해독 점수가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음절 낱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2음절 낱말 해독 점수도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도 지적장애와 경계선 지적발달 초등학생에게 1음절 낱말을 그림상징과 함께 명시적으로 지도했을 때, 학습한 1음절 낱말의 해독 능력 뿐만 아니라 1음절 낱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2음절 낱말 해독 능력까지 향상되어 전이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word decoding intervention using graphic symbols on the improvement of word decoding ability in school-age mild and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ading.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and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ing difficulty in decoding word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presenting a total of three examples of a one-syllable word, a word with a consonant and vowel concordance, a word consonant with a final consonant, and a word with a discordant phonemes with graphic symbols. The improvement of word decoding ability was investigated through pre-post test.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one-syllable word decoding score was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e two-syllable word decoding score consisting of one-syllable words was also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Conclusions When one-syllable words were explicitly taught to students with mild and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showed that it could be transferred to the skills of decoding two-syllable meaningful words consisting of the learned one-syllable words.

      • KCI등재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문자 해독 능력, 읽기 유창성 및 흥미도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보리,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초등영어에서의 문자 해독 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더불어 영어 흥미도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영어 흥미도가 문자 해독능력 및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밝히고자 A 사립초등학교 6학년 아동 총 95명을 대상으로 문자 해독 능력, 읽기유창성, 독해력 및 영어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 측정을 위해 Good과 Kaminski(2011)에 의해 고안된 읽기 능력 측정 도구인 DIBELS(Dynamic Indicator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Next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독해력 측정을 위해서는 한국형 렉사일 검사인 E-LQ 온라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어에 대한 흥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영어 학습 및 영어책에 대한흥미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표준다중 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 회귀분석 기법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문자 해독 능력과 읽기 유창성은 독해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문자 해독 능력의 하위 요소인 문자 인식, 음소 인식, 단어 인식과 독해력과의 관계에서는 문자 인식을 제외한 두 요인이 독해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세 요인 모두 독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 흥미도는 독해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기 읽기 단계에서 습득되는 문자인식, 음운인식, 단어 인식 같은 문자 해독 능력은 독해력에 큰영향을 미치므로 훗날 능숙한 읽기 능력을 위해 습득 되어야할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interest in Englis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interest in English was examined. The reading measures were administered individually to 95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Korea to assess and analyse the students' decoding skills (Letter Naming Fluency, Phonemic Awareness, and Word Fluency), reading fluency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E-LQ online tes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are highly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mong the subordinates of decoding skills Word Fluency showed the highes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Secondly, simple regression showed that student interest in English does effec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rdly, the mediating role of an interest in English between the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respectively with reading comprehen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terest in English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This can be explained by assuming that the correlation with decoding skill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so strong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English did not show statistically. There are limitations, therefore, in generalizing the effects as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only 95 sixth grade students in one private elementary school; therefore, pedag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ord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배소영(So yeong Pae),신가영(Ga young Shin),설아영(Ah young Seol)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의 발달성 난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단어해독력과 읽기유창성이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으로 가면서 일반아동과 비교해 어떤 발달 특성을 보이는 지 살펴본다. 방법: 초등 저학년 20명, 중학년 18명, 고학년 20명의 발달성 난독 아동과 학년, 지능, 듣기이해력이 일치되는 일반학생이 참여하였다. 단어해독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도를 고려한 KOLRA 해독 검사 및 문단글읽기 하위 과제를 개별적으로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발달성 난독 아동은 단어해독의 경우, 초등 저학년에서 격차가 가장 컸고, 초등 고학년으로 가면서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큰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유창성의 경우 10초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는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계속 유지되었으나, 오류 음절율로 보았을 때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경향도 관찰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 발달성 난독 아동들도 음운 해독에서 약점을 보였고 저학년의 경우 무의미낱말해독에서 약점이 나타나 언어보편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읽는 속도에서의 차이도 한국의 발달성 난독 아동들에게 약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므로 단어나 덩이글 읽기 속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음운성 및 표면성 난독증과 PA, RAN, 자소지식, 형태소인식력이 한국 발달성 난독아동의 해독력 및 읽기유창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word decoding ability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Dyslexic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s among three grad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ifty-eight DD (20 early, 18 middle, and 20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ers) as well as 58 TD matched by grade, nonverbal intelligenc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read an 80-part list, composed of 40 words and 40 nonwords, along with one grade-level text. Words and nonwords included 20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words as well as 20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PGNC) words. Results: Both DD and TD had higher performance on words and PGC words than nonwords and PGNC words. DD revealed a large gap in both word and text reading when compared with TD, although the gap between the two reading group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However, DD showed a bigger gap in reading non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As for text reading fluency, DD took a longer time and read less accurately compared to TD, although the gap between DD and TD in error rate of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 the text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Conclusion: It seems evident that Korean DD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phonological decoding of new and novel words and in reading text fluently despite the relative consistency of Korean Hangeu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possible subtypes of dyslexia in relation to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orthographic knowledge, and morphological awareness.

      • KCI등재후보

        포토저널리즘 사진과 캡션의 의미작용에 대한 연구

        정홍기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호의 의미작용과 해독의 의미작용을 분리시켜, 기호와 해독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다의성을 띤 사진이미지에 캡션이 첨가됨으로 수용자의 해독에 변화가 있었다. 두번째, 해독에 있어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번수로 작용했다. 세번째, 포토저널리즘 영역에서 사진만으로는 사실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용자의 문화적 코드를 바탕으로 한글이 들어감으로써, 포토저널리스트와 수용자간의 보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표토저널리스트가 재현한 현실과 그것을 해독하는 수용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고, 이것이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전제에 대한 고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udiences in decoding the pictures. Picture images without any title and caption shown to audiences bring quite different decodings from those of picture images titled and captioned. This led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picture image added by caption transforms the way the audience decode. Seco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an audience works as a major variable, which means how the audience decode the picture image depends on what sort of cultural background the audience has. Third, it is also learned that picture image not captioned would not be able to represent the reality faithfully.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trial in this thesi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s successfully in a reality that photojournalists tried to represent and the way the audience decode it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hoto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