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타당화

        강병은,신현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4 No.1

        There is a paucity of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adolescents’ self-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akishima-Lacasa et al.’s Revised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R-SCS-C) in Korean adolescents. First, the R-SCS-C was translated into Korean, pilot items were administered to three 7th graders, and items were modified with the help of three professionals (a school psychologist,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a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 Second, the final form of the R-SCS-C was administered to 1,150 students in Grades 5 to 9 (542 boys, 608 girls).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and analyses of variance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yielded three factors (public self-consciousness, private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which were also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fter one cross-loaded item was removed,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Adolescents was composed of 28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has a resonable fit to the observed data. Also,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ies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were high. Grade-related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overall self-consciousness and the three subscales were all significant. Self-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irls reported higher self-consciousness than did boys. The concurrent evidence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was supported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ts subscale scores and the subscale scores of Fenigstein et al.’s Self-Consciousness Scale. In addition,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evidence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was support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and social anxiety, depression,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uch findings imply that the Self-Consciousnes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and be useful for school psychological practices of understanding and assessing Korean adolescents’ self-consciousness.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의식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최근 미국에서 개발된 Takishima- Lacasa 등(2014)의 아동․청소년 자의식 척도 개정판(Revised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R-SCS-C)을 번안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척도 원저자로부터 아동․청소년 자의식 척도 개정판(R-SCS-C)의 한국어 번안 및 사용에 관한 허락을 받은 다음, 척도를 번안하여 3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예비적으로 실시하고 전문가 3명(학교심리사 1급, 초등학교 교사, 중학교 영어교사)의 감수를 받아 문항을 수정하였다. 둘째, 최종 번안본을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의 1,150명(남학생 542명, 여학생 608명)에게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에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의 3요인(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이 구분되었고, 이러한 요인구분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세 요인에 교차적재된 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총 28개 문항의 청소년 자의식 척도를 구성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3요인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내적일관성지수와 반분검사신뢰도가 양호하였다. 분산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 수준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의식 총점,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 각각에서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상관분석의 결과, 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하위요인 점수들과 청소년 자의식에 관한 국내외 연구에서 사용된 Fenigstein 등(1975)의 척도의 하위요인 점수들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청소년 자의식 척도 하위요인과 자의식 관련변인인 사회불안, 우울, 삶의 만족, 긍정 정서, 부정 정서 간 상관 역시 대체로 유의하였다. 이처럼 신뢰롭고 타당한 청소년 자의식 척도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의식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학교심리 실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여고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신현숙,안의자,강병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3

        The literature has shown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is related to various indicators of maladjustment; however, not all of those who are high in public self-consciousness experience social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ree hundred and eighty high school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S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nomy need satisf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Second, both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and that of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The negative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ocial anxiety was stronger in the low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group and in the low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group than in the high need satisfaction groups. That is, in the low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group and in the low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group, the higher the level of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In contrast, in the high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group and in the high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group, social anxiety did not increase to the extent of the increase in public self-conscious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whereas autonomy need satisfaction serve as a psychological nutriment for reducing social anxiety without interacting with public self-consciousness, competence need satisfaction and 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serve as buffer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social anxiety.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intervening with high school girls suffering from social anxiet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공적 자의식이 여러 부적응 지표들과 유의한 관계를 이룰지라도 공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들 모두가 사회불안을 겪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적 자의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할 목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여고생 380명에게 공적 자의식, 사회불안, 기본심리욕구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율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유능성 욕구 충족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공적 자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 수준이 더욱 높았다. 셋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관계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관계성 욕구 충족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공적 자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 수준이 더욱 높았다. 유능성 욕구나 관계성 욕구 충족이 높은 집단에서는 공적 자의식 수준이 높을지라도 사회불안 수준이 크게 오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성 욕구 충족은 공적 자의식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사회불안의 수준을 낮추는 심리적 자원으로 작용하는 반면, 유능성 욕구 충족과 관계성 욕구 충족은 공적 자의식과 상호작용하면서 사회불안에 대한 공적 자의식의 부정적 영향을 낮추는 완충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사회불안의 예방과 감소를 위한 학교심리개입에 주는 실제적 시사점과 이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하위집단에 따른 분리-개별화의 차이

        이시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 수준에 따라 어떠한 하위집단이 형성되는지를 탐색하고, 각 군집별로 분리-개별화(공생관계, 의존부정, 자기도취, 친구결속, 분리불안, 함입불안, 거부기대, 건강한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3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Feningstein, Scheier, 그리고 Buss(1975)가 개발하고 김현진(2002)이 재번안한 자의식 척도(Self-Consciousness Scale: SCS)와 Levine, Green, 그리고 Millon(1986)이 개발하고 장근영과 윤진(1992)이 번안한 분리-개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분리-개별화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낮은 사적자의식/낮은 공적자의식 집단, 낮은 사적자의식/높은 공적자의식 집단, 높은 사적자의식/높은 공적자의식 집단, 높은 사적자의식/낮은 공적자의식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공생관계, 자기도취, 분리불안, 함입불안에서 각 군집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건강한 분리-개별화와 관련된 자의식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atural groupings of 33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terms of their level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cores on separation- individuation. The instruments included: (a) Self-Consciousness Scales (Feningstein, Scheier & Buss, 1975), (b) Separation-Individuation test for Adolescence (Levine, Green & Millon, 198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paration- individuation. Secon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Low Private self-consciousness/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Low Private self-consciousness/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High Private self-consciousness/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High Private self-consciousness/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turance symbiosis, self-centeredness, separation anxiety, as well as engulfment anxiety within each cluster.

      • KCI등재

        대학생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채플의 역할과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사회적 불안을 경험하면서 사회적 상황에 위축되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로 인하여 미래가 암울함과 심리적인 고통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등 대학생을 둘러싼 여러 불안한 상황에서, 대학채플이 가지고 있는 역할이 바로 대학생들에게 올바른 자의식을 갖게 함으로 미래를 잘 준비할 수 있게 하고자는 데에 있다. 따라서 대학채플은 대학생들에게 건실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복음을 제시하여, 믿음 안에서 올바른 자의식을 갖도록 하는 사명이 있다. 따라서 대학채플은 하나님을 만나며 신앙성장을 하게하여 미래를 신앙으로 준비를 할 수 있는 소망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 소망은 자신을 이해하기 이전에 먼저 존재론적 측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해야 한다. 즉, 내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묻기 전에 내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 가를 먼저 물어야 한다. 내가 누구인지를 발견하고 나의 참된 정체성은 우리가 간절히 원하고 그 분 안에서 정체성을 찾기 위해 애쓰지 않는 한 발견될 수 없다. 즉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만 내가 누구인지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서 먼저 자의식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에 대학 채플이 가지고 있는 역할을 목적으로서의 채플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채플 그리고 예배로서의 채플을 논하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 올바른 자의식을 통한 미래준비를 위한 전략으로 채플은 영적성장을 위한 신앙교육을 하여야하며, 성경 속에 자의식을 발견하고, 발견된 자의식을 통한 올바른 기독교적 가치관을 갖게 한다는 고찰을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학채플이 대학생들의 미래를 준비하고 미래를 삶아가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기독교적 정체성 확립을 통한 자의식을 확립 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elings of insecurity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experience due to shrinking opportunities that they are faced with in today’s society. Due to many unstable situations surrounding the students such as stress due to a seemingly gloomy future and psychological suffering, the role of the university chapel is to assist students in developing an appropriate self-consciousness so that they may prepare properly for the future. Thus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chapel is to assist students to grow into healthy contributors to the community as it presents the gospel and to help them develop a proper faith-based self-identity. Thus university chapel should give hope to students by allowing them to meet God and to grow in faith as they prepare for the future which is faith-based. The hope is, before understanding one’s self, one need to first understand one’s identity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before asking what one must do, one must first ask what kind of person one should be. Without searching for one’s identity in God, one cannot discover one’s true self and what we truly want in life. In other terms, one can only discover one’s true self within one’s relationship with God. For the goal of this study, an examination of self-consciousness will first be perused. A discussion then follows on the role of university chapel, its purpose and curriculum, and its function as worship. As a role of the university chapel is to assist students to grow in faith while leading them to discover a healthy self-identity so as to be able to prepare for the future, this study will look into self-identity through the Scriptures and how Christian values can be obtained. This study will assist in their discovery of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university chapel as they search for planning a meaningful future with Christian identity.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자의식, 불안과 방어기제간의 관계

        조한익,손선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sciousness. anxiety, and defense mechanisms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how anxie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649 high school students at an academic and a technical institute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self-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s by sex, school. Second, self-consciousness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defense mechanisms. Also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anxiety effects on each defense mechanism. Bravado is under the influenc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Identification, humor, and control are under the influence of anxiety,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Projection is under the influence of anxiety, public self-consciousness. Suppression, distortion, and somatization are under the influence of anxiety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voidance is under the influence of anxiety. And,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s. That is, anxiet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identification, projection, and somatization. Also, anxiety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avoidance.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의식, 불안과 방어기제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의식이 방어기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인문고와 실업고 재학생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 학교별에 따라 자의식, 불안, 방어기제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의식, 불안, 방어기제 간 상관이 유의미했다. 그리고 불안, 사적ㆍ공적 자의식이 각각의 방어기제에 영향을 미쳤다. 허세에는 공적자의식만, 동일시, 통제, 유머에는 불안, 사적ㆍ공적 자의식, 투사에는 불안, 공적자의식, 억제, 왜곡, 신체화에는 불안과 사적자의식, 회피는 불안만이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자의식이 방어기제에 미치는 영향이 불안에 의해 매개되었다. 사적ㆍ공적 자의식이 동일시, 투사,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은 부분매개를 나타냈고, 회피에서는 완전매개를 나타냈다. 연구의 의의는 상담이나 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고등학생의 심리를 이해하고 적응적이고 건강한 정신건강유지를 돕는 데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외향성과 자의식이 향유신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검증

        윤진아,송원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4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rrelation of extroversion with: a part of personality feature, self-consciousness, and define mediated effect on each process related. This study used SBI (Savoring Belief Inventory), only the extroversion questions from NEO-PI-R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Self-consciousness questions, ICQ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s had been sent to college students staying in Seoul, Gyeonggi-do, Daejeon, Chungcheongnam-do, Busan and were returned. Of the returned number, 326 were effective for this research.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ays that higher savoring beliefs are related to higher extroversion and, private/public self-consciousness, and lower social anxiety.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savoring beliefs depends on the level of extroversion or self-conscious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ed the path that personal tendency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influences savoring beliefs, and suggested that personal tendency could be a condition for a precautionary approach as wel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향유하기(savoring)는 긍정적인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음미하면서 즐거움이 지속되도록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적 특징인 외향성과 자신에 대한 의식의 정도를 의미하는 자의식이 향유신념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각 경로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유신념 척도(Savoring Belief Inventory: SBI),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중에서 외향성 문항, 자의식척도, 대인 유능성 질문지(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사용하여 서울․경기, 대전․충남, 부산 지역의 대학생들에게 배포 및 회수한 설문 중 유효한 32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의식은 하위변인인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의 개념이 상이하여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향성,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그리고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일수록 대인관계 유능성 및 향유신념이 높았다.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사적자의식과 향유신념, 사회불안과 향유신념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공적자의식과 향유신념, 외향성과 향유신념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 유능성이 외향성, 자의식과 향유신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발달수준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채연,최외선,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herapist factors required to prepare for qualifications as an art therapist from examining the effects of art therapist's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s influencing self-efficacy.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0 therapists who have more than three-year career and have been performing more than 10 cases of art therapy in the art therapy field and as for the measuring scale, the self-consciousness questionnaire, consultant development level questionnaire, and consultant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used.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sciousness,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Second, the self-consciousness and development level and self-efficacy of art therapist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influenced the development leve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had influences on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and development level of self-consciousness direct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had indirect influences on self-efficacy through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factors required to be prepared for professional and capable art therapists and provided information on what efforts should be made and what poin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rapy performanc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술치료사로서의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력과 10사례이상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 210명이며, 측정도구는 자의식 질문지, 치료사 발달수준 질문지, 치료사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 치료사 발달수준, 치료사 자기효능감 수준은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치료사 발달수준 및 치료사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자의식 중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공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의식의 공적 자의식, 사회적 불안, 치료사 발달수준은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적 자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치료사 발달수준을 통해 치료사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이고 유능한 미술치료사로서 자격을 갖추는데 필요한 치료사 요인을 밝혀, 치료성과를 위해 치료사 스스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어떤 부분을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소론계 홍만종과 임상덕의 자의식

        이정일(Lee, Jeong-il)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09

        본 연구는 조선후기 소론계 홍만종과 임상덕이 유교, 보편문명, 역학관계를 어떻게 자신들이 처한 현실에서 해석하고 표상화하고자 했는가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들의 자의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들의 자의식에서 나타나는 이원적 구조, 西人-少論의리와 사회책임/사회참여 담론으로 구성되는 자의식의 내면과 한족계 왕조와 북방계 왕조에 대해 독자적 유교문명국론을 견지했던 자의식의 외연에 주목했다. 전자의 경우 소론계 지식인이라는 정체성을 근간으로 정치 중심부에서의 적대적 타자와 사회공공영역에서의 비적대적 타자라는 이중의 타자가 존재했다. 이러한 중층성은 당시 조선 사회에 내재한 정치사회적 역학관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독자적 유교문명국론을 근간으로 하여 한족계 세력으로 대표되는 비적대적 타자와 북방계 세력의 적대적 타자라는 이중의 타자가 존재했다. 이러한 중층성은 明淸교체 이후 동아시아 세계질서에서 전개되는 朝ㆍ淸간 역학관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홍만종과 임상덕의 자의식에 보이는 내면적 자의식과 외면적 자의식의 병존을 조명하는 작업은 이 시기 소론계 지식인들의 역사인식과 서술에서 보이는 유교사관과 자국중심주의의 결합에 대한 當代的 문맥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部面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in which Hong Manjong and Im Sangd?k from the Young Disciples (少論) betwee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interpreted Confucianism, universal civilization and power relations, and sheds light on the degree to which the intellectual activities as above made impact on the shape of their own identity. In particular, what is remarkable here is the double structure where the interior of their identity was built in conjunction with the political stance of the Westerner-Young Disciples while the exterior of their identity was formed in line with the discourse on a self-reliant Confucian state vis-a-vis Han Chinese dynasty and Northern polities. In the former case, there were an antagonistic Other, emerging from the political center, and a nonantagonistic Other regarded as the object of their social engagement in the public sector of the society.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Others reflects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power relations embedded within Chos?n. The latter case also included both an antagonistic Other of Northern nomadic forces and a nonantagonistic Other of Han Chinese dynasty. That duality displayed the geopolitical reality based on the power relations between Qing and Chos?n. Studying the combin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ides in the identity of Hong and Im will enable us to comprehend the historical awareness and historiography of the Young Disciples more clearly in the context of East Asia, including Chos?n, during the period.

      • KCI등재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이강아,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plays a mediated role in relation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us this study selected 40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ale: 197, female: 205), and examined into fears on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used SPSS 18.0 and AMOS program, and conducted technical and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to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anxiety.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fears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anxiety. Second,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n social anxiety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Finally,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model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in relation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totally mediat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hich has an effect on social anxie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as strong factor for Fear of Positive Evaluation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origin study of this subje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와 인천지역의 대학생 402명(남: 197명, 여: 205명)을 대상으로 공적 자의식, 사회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적 자의식, 사회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상관분석 결과, 공적 자의식은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공적 자의식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선주연,신희천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pecific mechanism by which self-consciousness influences cognitive components of social anxie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articipants were 341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Self-Consciousness Scal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and Brief vers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The bootstrap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lf-compassion mediates self-consciousness relating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 between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ere fu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서 사회불안의 인지적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대학생 및 대학원생 341명(남자 150명, 여자 191명)을 대상으로 자의식 척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붓스트랩 방법과 다집단 분석이 사용되었다. 매개과정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자기-자비는 공적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완전매개 하였고, 사적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부분매개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공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기-자비의 수준이 낮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난 반면, 사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기-자비의 수준이 높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의 내현적 증상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공적 자의식 뿐 아니라 사적 자의식 역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들에게 자기-자비를 높일 수 있는 상담적 개입방법을 활용함으로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