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育英公院日錄』연구

        김경용(Kim, Gyung Yong)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조선조 말 1886년에 설립된 육영공원의 學員이었던 朴經遠이 작성한 『育英公院日錄』과 여타 육영공원 관련 사료를 분석하여, 육영공원에 대한 종래의 이해에 미진한 점과 오류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새로운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처음으로 육영공원에 學員을 들일 때 被選과 薦으로 구분하고 있다. 왜 이런 구분을 하고 있는지, 이 구분의 의미가 무엇인지 규명된다면, 육영공원 학원 선발과정과 기준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차 선발 이후에는 신/구 두 개의 분반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좌원(관직자)과 우원(무관직자)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이들에게 별도의 수업이나 月講이 이루어진게 아니라, 좌·우원 구분 없이 新학원/舊학원으로 분반하여 운영되었다. 우원 학원은 課日에 기숙하면서 수학하도록 규정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상당수 인원이 일일왕래와 기숙을 번갈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원 학원이 과거에 급제하면 좌원으로 승급하였으며, 육영공원이 문을 연 후 1년 반 가량 지나자 좌원 학원은 이틀 또는 삼일마다 출석하게 하였다. 이는 좌원 학원이 태만해진 탓이라기보다는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한 것이었다. 『육영공원일록』에는『육영공원등록』 에 나타난 바와는 달리 복잡하고 다양한 인원변동 내역을 전하고 있으며 육영공원 학원의 減下시기와 그 대상자를 알 수 있는데, 감하의 이유와 의미는 밝혀져 있지 않다. 감하가 졸업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성적부진으로 퇴출당한 것인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해명해야 할 의문점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육영공원일록』에 나타난 사실로부터 육영공원에 대한 종래의 평가에 오류가 있다는 점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미국인 교사들의 교수활동이 그다지 성실했다고 보기 어려운 반면에, 이들의 불만 대상이었던 좌원 학원들의 행적에는 그렇게 보일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었으며, 수학 도중이든 이후든 국왕의 施政과 왕세자 교육에 늘 이들이 개입되어 있었다. 육영공원에서 수학한 인물들이(특히 좌원 학원) 수학 도중이나 이후에 어떤 직무에 종사하고 있었는지 그 구체적인 실상을 추적·조사하는 과제를『일록』 은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 『The Daily Records of Royal Academy(育英公院日錄)』written by Park Gyung Won(朴經遠, 1869-?) who had been a student member of ?The Royal Academy(育英公院)?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886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 and some other western science to brilliant young men(registered in the Right Department) and public servants(registered in the Left Department). By this analysis, we made it clear that there was some questionable things and several faults on former understanding about ?The Royal Academy?. Even though some unsoluble questions still exist, we can make clear recognition that the previous negative evaluation on ?The Royal Academy?is not correct. The American teachers of ?The Royal Academy?was not so diligent as description made by themselves. Nevertheless, the members of ?The Royal Academy?, especially of the Left Department were busy public servants and not bad students. During and after the period of learning in ?The Royal Academy?, they always took part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King and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Now it is available that we should persue some energetic project to trace and investigate exhaustively the concrete activity of the members of the Left Department in those days. It must be an earnest message from the past written in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Academy.

      • KCI등재후보

        육영공원(育英公院)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과 입원 동기: 그들은 왜 새로운 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가?

        우현정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2 한국교육논총 Vol.43 No.3

        이 글에서는 육영공원 입원생의 사회적 배경을 통해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새로운 학교에 진학한 인물들을 유형화하여 이들의 입학동기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대체로 문과에 합격하여 육영공원 입원 전후에 전형적인 문관에 해당하는 관직을 수행하는 한편 육영공원 우원생은 문과, 소과, 잡과 등에 합격하였고, 육영공원 입원 이후에 문관 및 신제관료로 진출하는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육영공원 좌원생은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가 전체 인원의 70%로 대체로 동질한 집단이었다. 육영공원 우원생은 비교적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졌으나 문과 출신 문관의 자제와 신제관료의 자제가 각각 전체 인원의 9.4%로 가장 많은 인원이 해당되었다. 세 번째, 육영공원 입원생의 개인정보와 부친정보 등을 고려하여 ‘1유형: 좌원생으로 입원하여 좌원으로 감하한 인물들’, ‘2유형: 우원생으로 입원한 이후 좌원생으로 승원한 인물들’, ‘3유형: 우원생으로 문과에 합격하였으나 좌원생으로 승원하지 않은 인물들’, ‘4유형: 우원생 중 기술관 가계 출신 인물들’ 등 4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1유형부터 3유형까지 해당하는 인물들은 새로운 교육기관을 통해 대체로 고위 관료로의 진출 가능성을 선점하고자 하였고, 4유형의 인물들은 가계의 가업과 재능을 활용하여 기술관 이외에 더 다양한 범주의 진로를 모색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育英公院 교사 헐버트의 독립운동과 ‘學員’의 사회진출

        최보영(Choi, Bo-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2

        육영공원은 헐버트 등 미국인을 교사로 초빙하여 미국식 교육제도를 도입하고 영어와 신식학문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자 설립되었다. 그 중에서 헐버트는 육영공원 폐원 이후에도 한국에 남아 계몽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했으며 미국으로 돌아간 후에는 한인독립운동가와 연대해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바탕에는 한국에 대한 동정적 인식이 깔려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육영공원에서 학습한 112명의 육영공원 출신 학원들은 많은 이들이 정부의 요직에 진출하였으며 영어교육의 이점을 살려 미국과 유럽지역의 외교공관에서 활약하였다. 아울러 육영공원에서 배운 신학문을 토대로 교육사업에 진출해 후학양성에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중에서 외교계에는 이한응, 교육계에는 심계택 그리고 의병과 만주지역 독립운동가인 이세영과 같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였다는 점은 독립운동에 투신했던 교사 헐버트와 함께 육영공원 출신들이 갖는 특징이라 생각한다. 이처럼 육영공원의 운영기간은 10년으로 교육기관으로서는 무척 짧은 편이었지만 신식학문을 공급하고 또 수용한 주체들을 인재로 양성․배출하는 데 적지않은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Yookyounggongwon was established to train talented students through English and new studies by inviting a few Americans like Homer B. Hulbert as teachers and by introducing American education system. In particular Hulbert was involved in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enlightenment movement in Korea even after Yookyounggonwon was closed. And after he went back to America, he dedica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solidarity with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It is identified that sympathetic recognition is based on this kind of activities. Meanwhile, 112 students who studied in Yookyounggongwon held important posts in the government and were active in diplomatic missions in American and Europe by taking advantage of English education. Also, it is verified that they were committed to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by advancing into education business based on new studies learned in Yookyounggongwon. In particular people from Yookyounggongwon have their own traits along with Teacher Hulbert who were committed to independence movement in that the hakwon nurtured Lee Han-eung in foreign affairs, Sim Gye-taek in education, and Lee Seyoung, unofficial troop and independence activist in Manchuria. Likewise even though Yookyounggonwon was operated in a short term of 10 years as a academic institute, it see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fostering new talented students by accepting new studies.

      • KCI등재

        이광린의 한국근대교육사 연구

        홍영기(Hong Young Gi)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은 李光麟선생의 근대교육사 연구를 검토한 것이다. 선생은 해방직후 한국사회의 암담한 상황과 민족의 장래에 대한 걱정을 계기로 한국의 역사를 공부하였다. 처음에는 조선시대를 연구했으나 1960년의 4월혁명과 그 다음해에 일어난 군사정변을 겪으며 사회변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19세기 중반 내우외환의 거대한 소용돌이 사회를 연구한 것이다. 1886년에 설립한 育英公院에 관한 논문이 선생의 최초의 開化史연구였다. 따라서 선생의 육영공원 연구는 개화사 연구의 시발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에 개화사연구의 한 분야인 근대교육사연구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생의 근대교육사 관련 논문은 약 15편 내외이다. 이를 근대학교와 개화파의 해외유학, 그리고 한국(근대)사 개설서의 근대교육사 서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근대학교에 대한 연구에서는 官立學校인 육영공원과 同文學, 語學校와 鍊武公院등의 설립 배경과 목적을 통해 그 역사적 의미를 추적하였다. 또한 서울의 培材學堂과 평양의 大成學校를 통해 사립학교의 역사적 위상을 짚어보았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최초이거나 대표적인 근대 학교의 특징과 교육구국운동을 밝힌 것이다. 둘째, 개화파의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적 학문과 사상을 적극 수용하여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추구하는 과정을 천착하였다. 일본과 미국 등 해외에 유학한 개화파 인물들의 근대사상의 형성과정과 해외유학의 실태 등을 밝힌 것이다. 셋째, 근대교육사의 서술 체재와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개화운동 및 계몽운동 서술에서 근대교육사를 매우 중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선생의 근대교육사연구는 개화사의 핵심 주제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선생은 閔泳珪와 李仁榮으로부터 학문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 민영규로부터 학문적 격조를, 이인영으로부터 철저한 실증과 학문적 자세를 배운 것이다. 그리하여 선생은 학문적 격조와 실증을 중시하는 역사가로서 근대교육사를 포함한 개화사 연구의 선구적이고 독보적 위치에 올랐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헐버트(H. B. Hulbert)의 활동과 교육사상 고찰

        전민호 안암교육학회 2010 한국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개화기 헐버트의 교육․언론․정치활동과 교육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헐버트는 개화기에 육영공원, 배재학당, 한성사범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재직하였으며, 사민필지 를 비롯하여 여러 교과서를 저술하였고, 교사 연수를 담당하는 등 근대교육 형성에 많은 기여 를 하였다. 언론 분야에서는 코리안 래포지터리 와 코리아 리뷰 를 통해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했으며,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조선에 대한 국권침탈 의도가 드러나자 1906년 말부터 저술과 강연을 통해 그들의 침략성을 알리는 언론 활동을 하였다. 정치 분야에서는 나라의 주권이 일본으로 넘어가려는 위급한 시기인 1905년 11월에 고종의 특사로서 공조를 구하기 위해 루스벨트 정부를 방문하였고, 1907년 7월에는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서 강압적으로 체결된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알리는 활동을 3인의 특사와 함께 하였다. 그는 조선의 자존을 위해 교육이 중요함을 일관되게 강조하였으며, 조선의 언어․역사․문화의 보 존을 위해 한글 교과서의 사용을 역설하였다. 또한 교육에서 심육․지육․체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헐버트는 개화기에 조선의 교육과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었다.

      • KCI등재

        개화기 飜譯官(번역관) 양성을 위한 외국어 교육과 그 문제점

        백옥경 ( Ok Kyoung Baek ) 이화사학연구소 2015 梨花史學硏究 Vol.0 No.50

        Before opening the port, Joseon Dynasty had been engaged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Ye(禮) of Sadaegyorin(事大交隣) in the top-down hierarchical structure. At this tim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were approached at the level of the Ye and under the direction of the Ministry of Rites(禮曹), and the foreign business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assistances from the Seungmunwon(承文院) which was in charge of the diplomatic documentation and the Sayeogwon(司譯院) which was responsible for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works. Official interpreters of Chinese language(漢語), Japanese langugage(日語), Jurchen language and Mongolian language belong to the Sayeogwon and it was solely responsible for the language communication and exchange. But after the port opening, the foreign affair system of Joseon experienced a big change. Western powers forced Joseon to adopt their international law and diplomacy order by their superior strength and this meant that it should be converted into a modern diplomacy order which is based on the international law(萬國公法). Joseon was trying to respond to this by accepting the western diplomacy system and being equipped with a professional bureaucracy dedicated to diplomacy affairs. Therefore, while taking the diplomacy affair as an independent area by separating from the Ministry of Rites, they established the diplomatic department and expanded its diplomacy target including western countries. In this sprocess, Tongrigimuamun(統理機務衙門) had been established as a diplomacy department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treaties and the trade business with foreign countries and it had been changed to Tongrigyoseoptongsangsamuamun(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Oimuamun(外務衙門) after the Gabo reform period, Oibu (外部), etc. Meanwhile, the need for professional business organization which should serve on the modern diplomacy system had led to the birth of official interpreters. They appeared on record since 1885. While being responsible for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belonging to the diplomacy department, they mainly majored in western languages such as English, Russian and etc. While they were mainly placed in maritime customs (海關) and missions abroad(公館), since the Gabo reform,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diplomacy business work belonging to the central depart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a modern diplomacy system, Joseon tried to establish the new training and selection process for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official interpreter, the government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carried out. The foreign language which was initially limited to English expanded to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s French, German and Russian. Along with these institutional changes, the knowledge, which the interpreter had to equip with, such as history, geography, law, economics, science, gymnastics, etc. started to be trained. In that selection as well, graduates from good foreign language schools were primarily to be appointed. The effort of Joseon trying to establish the modern diplomacy system as such was carried out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However, the foreign intervention trying to plant their influence through the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education and selection of the official interpreter also can not be overlooked. Western countries were aggressive in their language education for their own positioning and interest in Joseon. Therefore,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language school after Dongmunhak(同文學) or Yukyounggongwon(育英公院), there were always aggressive proposals by Western countries for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se led to proposals on teacher recommendations and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even the education philosophy of the country was injected in each language school. And also, each foreign legations(公使館) influenced even in the selection of the interpreter. While Joseon government demanded interpreters to work strictly for the national interest, these factors shown in the education and employment of interpreters also had the side effects such as sometimes causing the confusion in the identity of interpreters.

      • KCI등재

        韓國近代의 西洋語 通譯史1885년 까지

        박성래(Park,S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2 역사문화연구 Vol.16 No.-

        Koreans in the traditional period did not have any opportunity to learn the Western languages until the 19th century. Direct and indirect contacts with the Westerners were occurring from the early 17th century, but they were not enough to agitate the Koreans to learn any of the Western languages. Similarly the occasional contacts kept the Westerners also un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e result was that there were no single soul on earth who could speak Korean and a Western language until 1883, when Yun Chiho(尹致昊 1865-1945) became the first speaker of English and Korean. Before 1883, however, the translations and interpretations between Korean and a Western language had been processed occasionally, al though they were done through double routes like Korean = Chinese= English or Korean=Japanese=English. A typical example for this case can be found in the first Korean embassy to America in the fall of 1883 . The embassy had employed one Japanese and one Chinese as interpreters for the embassy. Though they were ignorant of Korean. the embassy had members who had some command of Chinese and Japanese among them. It was the same year of 1883 that English was for the first time began to be formally educated among the Koreans in the first foreign language school in Korea --Tongmunhak(同文學)' Also known as the School of Interpretation(通弁學敎). the institution had recruited 40 students in the early period for English teaching. The school had been replaced three years later in 1886 by Royal English SchooI(育英公院). So English became slowly spreading among the Koreans. Then it was followed after with the emergences of various foreign language schools. including French. Russian. German in that order in the mid 1890s.

      • KCI등재

        개항기 번역관의 신설과 운영

        백옥경 서울역사편찬원 2014 서울과 역사 Vol.- No.88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an official translator system in the period of Port Opening and how to run that system. Since the period of Port Opening, I tried to study the situation to meet the need of times which the system of translator had to be set up and the effort of how much they tried to train competent people in the Western oriented international changing order. In the Eastern Asian order focused on Ming and Qing, Chosun which developed the diplomatic relation got busy to contact with Western countries and had a growing interest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Thus the government of Dynasty made a try to establish the education institute like Dongmoonhak(a government school for training official English interpretator) or Yookyoungongwon(the Royal English School) to teach a foreign language and they tried to raise up talented people. Moreover, talent who were trained at this institute were recruited as translator, had a plan to use negotiating the foreign policy. Chosun’s translators appeared around times of turning out Dongmoonhak’s graduates from 1885(the 22th year of Gojong who was Chosun’s King). They were deployed for Western officers, Maritime Customs and diplomatic officers to be appointed in Chosun newly. They spoke English, Russian, Japanese, made a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translators. Also, because they belonged to Tongrikoysubtongsangsamuamun (that was the foreign office), but the previous translators belonged to Sayeokwon, they had a difference to play their roles. They translated papers and interpreted basically, and also did a foreign policy. But, Translators were not served as a higher position in the system. They were appointed as from 9th to 5th Pooms which was a lower position, routinized to work for a long-term, even if they had 30 month-term. It could be known that Chosun’s awareness about translating was still lower than now, considering the point that they also was not excepted even if their major were a western language. There were three types of translator to be appointed as an official. The first type was those who graduated from Dongmoonhak or Yookyoungongwon. They studied English and were majorities of translators. The 2nd type was Japanese translators, and was able to do activities of translating with the base of prominen tability of Japanese language. The 3rd type was people who came from the area near to foreign country, those who studied oversea, or those who learned a foreign language to contact with foreigners. By the way, most of translators had experienced the Western culture directly or indirectly. They also had aimed at the Westernization better than their tradition. It was encouraging cases with the point of that time that somebody among Yangban class had entered into the translating job, free from their traditional value. Translators had got to learn a foreign language when they took charge of a foreign policy, or got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ir knowledge through oversea service. Therefore, they had been growing a professional bureaucracy taking charge of diplomacy and modern technology. Besides, some of them introduced scientific technology which was necessary for accepting Western knowledge to Chosun through their translating, sought to Chosun’s civilization, enlightenment, and national prosperity wi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Dokribheophoi(Independent Association), contributed to change the traditional order and the system. 본 연구에서는 개항기 번역관의 제도적 설치 배경과 그 운영을 살펴보는데 주목적이 있다. 개항 이래 서양 중심의 국제질서로의 변화 속에서 번역관이 설치되어야 하였던 시대적 요구와 그에 부응하기 위한 통번역 인재 양성 노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명, 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속에서 외교 관계를 전개해 나갔던 조선은 개항 전후 서양과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서양 언어의 통역 및 번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동문학이나 육영공원과 같은 외국어 교육기관을 설치하여 외국어에 능통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곳에서 양성된 인재들을 번역관으로 충원하여 대외 교섭에 활용하려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의 번역관은 동문학 졸업생이 배출되는 시기를 전후한 1885년(고종 22)부터 나타난다. 이들은 주로 해관, 해외 주재 공관, 조선에 부임해 온 서양인 고용인들을 위해 배치되었다. 이들은 전공 언어 면에서 영어, 러시아어, 일어를 구사하여, 기존의 역관들과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역관들이 사역원 소속이었던 데 비해, 근대적 외교기관이었던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 속하여 있었으므로 기대되는 역할에도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문서 번역과 통역을 기본 업무로 하면서, 대외 교섭상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하지만 번역관들은 제도적으로는 그리 높은 대우를 받는 편은 아니었다. 대체로 9~5품의 중하위 관직에 임용되었으며, 30개월의 임기에도 불구하고 장기 근무가 상례화되어 있었다. 이는 서양어 전공이라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에서, 여전히 통역이라는 업무에 대한 조선사회의 인식이 매우 낮았음을 보여준다. 번역관에 임용되는 인물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뉘는데, 그중 하나는 동문학이나 육영공원 등의 외국어 교육기관 출신들이었다. 이들은 영어 전공자로서, 번역관 중에 다수를 차지한다. 두 번째는 역관 출신이었다. 이들은 대개 일본어 전공자로, 특출한 일본어 실력을 바탕으로 번역관 활동이 가능하였다. 세 번째는 외국과의 교류 지역 출신, 해외 유학이나 외국인과의 개별 접촉을 통해 외국어를 습득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번역관들은 대부분 직간접적으로 서양을 체험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이들은 전통보다는 서구화를 지향하는 인물들이었다. 특히 양반들 중에서도 전통적 가치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번역관에 진출한 사례가 다수 나타나는 것은, 당시 시대상에 비추어볼 때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었다. 번역관들은 대외 실무를 담당하는 과정에서 서양 외국어를 익히거나 해외 근무를 통해 자신들의 견문을 더욱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따라서 번역관들은 개항기 이후 서구화 과정 속에서 외교 및 근대적 기술 분야를 담당하는 전문 관료로 성장해 나갔다. 뿐만 아니라 그들 중 일부는 서구 지식의 수용에 필수적인 번역을 통하여 과학 기술을 조선에 소개하거나, 독립협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을 추구하며, 전통질서나 체계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해 나갔다.

      • KCI등재

        『사민필지』의 간행·漢譯과 근대 지식의 변용

        최보영(Choi, Bo-Young)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가 1890년 간행한 『사민필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한 교과서였던 것이지 한국의 지배계급에게 필요한 권력화된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가 아니었다. 하지만 학부의 보수적 지배자들은 『사민필지』를 통해 언어·지식 권력을 공고히 하는 한역본 『士民必知』를 간행하였다. 한역본이 국가에 의한 교육기관에 본격적으로 유통·활용되면서 근대 지식은 변용·정착되기 시작했으며 이에 영향을 받은 개정본 및 3판본 『사민필지』 역시 개념을 수정하고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양상을 띠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근대 교과서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사민필지』는 단순한 서구의 모방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을 근대적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변용하는 과정에서 탄생되었던 것이다. 특히 근대적 지식의 창출과 변용 그리고 사회화 과정이 『사민필지』 초판본과 한역본 그리고 개정본 및 3판본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Saminpilji』 published by Homer B. Hulbert in 1890 was not a tool for providing the empowered knowledge necessary to the ruling class of Korea, but a textbook that pursued the universal value of mankind. However, the conservative rulers of college published a Chinese Character version 『Saminpilji』 that could solidify the language/knowledge power. As the Chinese Character version was fully distributed and utilized in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modern knowledge started getting transformed/settled, and the revised-version and third edition 『Saminpilji』 influenced by it also modified the concept and showed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condition of the time. Eventually, 『Saminpilji』 that could be the beginning of modern textbooks, was not a simple imitation of the West, but bor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and transforming our tradition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reality. Especially, this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transformation and socialization is fully shown in the continuity of the first edition, Chinese Character version, and revised-version & third edition of 『Saminpil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