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책, 은폐와 개진의 변증법

        김지녀(Kim Ji-Nyeo)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이 논문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책’에 대한 표현이나 사유 등을 분석하여 그 의식을 밝혀내고 이를 ‘텍스트의 재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수영은 부단한 독서를 통해 자신을 확대하고 시와 시론을 첨예화한 시인이다. 그런 점에서 김수영의 시에 ‘책’과 연관되거나 책을 소재로 하는 시들이 유독 많음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김수영의 초기시에서 책은 소통할 수 없는 대상으로 이해된다. 책은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이거나 열어서는 안 되는 것, 열리지 않는 것이었으며, 활자 역시 기호가 되지 못하고 긴 연쇄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김수영의 이러한 인식은 책과의 거리를 통해 사유된 것이다. 이때의 책은 의미의 그릇이 아니라 그 자체로 있는 닫힌 형식을 의미한다. 4ㆍ19 혁명과 5ㆍ16 쿠테타의 시기에 오면, 김수영의 시에서 책은 끊임없이 현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의미를 세계 내에 개진한다. 4ㆍ19 혁명 직후에 김수영 시의 책은 극복되어야 할 현실을 오히려 공고히 하는 역기제로 비춰지거나, 현실이 지향해야 할 세계를 보여준다. 또한 현실의 문제점을 공격하는 풍자적인 상징이 된다. 5ㆍ16 쿠테타 이후에 김수영 시의 책은 현실 세계에서 무기력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등장한다. 「거대한 뿌리」나 「이 한국문학사」 등의 시에 나타나듯이, 후기에 접어들면서 김수영은 책을 통해 은폐된 과거를 현재에 개진하고, 현재의 일들이 지닌 역사성을 확인한다. 닫힌 과거를 개진하고 열려 있는 현재의 의미를 재확인함으로써 김수영의 시는 자유와 사랑의 세계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 ‘책’이라는 텍스트가 있는 것이다. 텍스트 자체에 대한 사유와, 텍스트의 독서에 대한 사유로부터 유도된 시의 창작이 이제는 텍스트의 창작 속에서 깨닫는 인식들을 다시 텍스트화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book’ in Kim, Soo-Young’s poetry from the viewpoint of ‘reproduction of a text’ by analyzing his expression and thought on the ‘book’. He is a poet who cultivates himself and renders great services to the development of poetry and poetics with reading. Therefore, it is not so difficult to find his poetry that the ‘book’ is the main written subject. In the initial period of his works, he regards the ‘book’ as objects that cannot be understood, since the ‘book’ in the world of his poetry is what cannot be accessible, what cannot be permitted to open and what cannot be opened, and thus, considers the type in the ‘book’ as a long chain of meaningless signs. In those days, the ‘book’ is not an organization of words of meanings but just a kind of closed form to him. At the time of the 4ㆍ19 revolution and the 5ㆍ16 coup, his ‘book’ is connected with the reality constantly and states his views to the real world. Immediately after the 4ㆍ19 revolution, the ‘book’ shows a sight of the ideal that the actual should move toward and becomes a satirical symbol getting down to the earth. Since the 5ㆍ16 coup, the ‘book’ says the helplessness against the real world. As appeared in the poetry of “A Huge Root” 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is ‘book’ sets forth his views of the concealed past to the actual present and shows historicity of the present in the late period of his works. Thereby, his poetry marches into the world of freedom and love finally.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hange of his poetry, there is the ‘book’ as a text. A creation of poetry induced by the thoughts on a text and the reading of the text reproduces a new script which describes recognition on the creation of the poetry as a text.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과 의미 연구

        신미현,문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3

        Children are usually considered as separate from death. Korean society has not adequately educated the question of death to children. However, it is highly probable for children who have not yet formed their self to confront death. Children can also be exposed to the issue of death through picture books which are in close proximity to them. Given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children conceive of death and its image illustrated in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more than 70 children's picture books using the word "death" have been reviewed. Among those, 7 books have been selected to examine how the images of death are depicted. This study further examines how personification of death, description of the separation by death, indirect expression of death are presented in the books and then discusses how death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semiotic and story analysis .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children's books signify the notion of death in various ways from old stories to modern picture books. Through the picture books, children become able to indirectly experience death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s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themselves. Analyzing the picture books, we come to know that there are two--direct and indirect--ways of expressing the concept of death. Both have helped children better understand the notion of death and provided them with fundamental sources to make the concept of death less terrible. To offer children a qualified dea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complex features of modern society and deal diversely with the subject who confronts death. We conclude that the best way of preparing for death is not just to perceive it as a natural reality but also to accept it through the full process of mourning. 일반적으로 아동은 죽음과 동떨어져 있다고 인식되어져 왔다. 하지만 아동은 자아가 성립되지 않은 시기에 죽음과 대면할 가능성이 많은데, 한국 사회는 아동을 위한 죽음 대비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교육의 방법으로서 아동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학문인 그림책을 통해 죽음에 대해 토론하고, 이야기를 하여 죽음을 대비하고 올바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죽음 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되는 바, 그림책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과 의미를 연구함으로 그 가능성을 발견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현재 한국에 출판되어 있는 어린이 도서와 그림책의 타이틀에 '죽음'이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는 책은 70권 이상 존재한다. 그 중 각 수상작, 아동심리학자의 선정과 수상자의 작품들 중 나라별로 한권씩 선정하여 죽음에 관하여 어떻게 표현하고 말하고자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본문에서는 7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하여, 죽음을 의인화한 형태의 그림책, 인물간의 사별을 표현한 형태의 그림책 그리고 간접적인 죽음을 표현한 형태의 그림책에 죽음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으며, 죽음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기호학적 분석과 스토리 분석을 통해 논해 보았다. 그림책에는 옛이야기를 비롯해 현대의 창작 그림책에 이르기까지 죽음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은 그림책을 통해 죽음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죽음을 대비하고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그림책을 분석한 결과 그림책에서는 죽음을 직접적 표현과 간접적 표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표현함을 알 수 있었고 각각의 표현방법들은 아이들에게 죽음을 쉽게 이해시키고 죽음 자체를 순화시켜 가르쳐주는 방식으로 아이들에게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보다나은 죽음대비 교육을 아동에게 주기위해서는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죽음의 대상을 보다 다양하게 다루고 죽음을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단순한 인식보단 현실적인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며 죽음을 수용하는데 있어서도 슬픔과 같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묘사하고 충분한 애도과정을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 특징 연구

        한영강(YongGang Han),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그림책 속 그림 디자인에 기초한 것으로,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은 매우 중요한 객관성을 담고 있다. 그림속의 다양한 텍스트, 그림, 여백 등은 작업자의 다양한 편집기술과 합리적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공간배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여러 그림 사례와 고전적인 그림책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그림책 속 디자인의 공간 표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그림과 텍스트의 융합, 즉 그림과 텍스트 모두 화면의 요소로서 함께 공간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이다. 둘째 그림책 속 공간 디자인의 일관성 특징으로, 책을 열람할 때 이야기와 내용을 부드럽게 연결시켜야 한다. 셋째 공간 표현 시 창작자가 필요에 따라 추상적 공간 표현과 구상적 공간 표현 중에서 서로 장단점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는 그림책 공간 표현의 상징적 특징으로, 기호학 원리에 따라 그림책의 공간 표현에 많은 상징적 표현 수법이 적용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 열람의 인지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다섯째 특징은 우수한 그림책의 공간 표현은 재미있는 요소가 뛰어나며 디자인 수단이 풍부하고 화면 내용과 화면 형식을 독자들에게 재미나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와 아티스트가 이 같은 주어진 공간프레임 안에서 창작을 이끌어 내야 하며 이러한 공간프레임은 그림책창작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독자중심적인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esign of pictures in picture books,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illustrations in the picture books contains the significantly important objective. Various texts, pictures, spaces, etc. in a picture must have the operators various editing skills so that spatial arrangement is made smoothly.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of design in picture books are derived by analyzing several examples of paintings and studies on classic picture books. First, the fusion of picture and text, that is, that both picture and text convey spatial information together as elements of the screen. Second, as a characteristic of the coherence of the space design in picture books, the story and content must be smoothly connected when reading the book. Third, when expressing a space, the creator should utili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other between abstract and conceived spatial expressions as needed. Fourth, as a symbolic feature of picture book spatial expression, it can be seen that many symbolic expression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spatial expression of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semiotic principle, which greatly improves the cognitive efficiency of reading picture books. The fifth characteristic is that the spatial expression of an excellent picture book has excellent interesting element, rich design means, and interestingly conveys screen contents and screen format to readers. In this research, it is thought that designers and artists should guide the creation within a spatial framework as designing picture books, thus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reation process, while also provide a reader-centered visual Interesting experience.

      • KCI등재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김민정 ( Min Jung Kim ),현은자 ( Eun Ja Hyun ),정지영 ( Ji Young 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그림책의 장르적 특성 중 하나는 성인과 아동 둘을 모두 독자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성인과 아동이 동시에 선호하는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징은 그림책의 이러한 장르적 특성을 증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의 그림책 독자의 선호를 탐색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매출액 기준 상위 5개의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유아, 어린이’ 카테고리의 2013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출판된 지 5년이 초과된 총 98종(100권)의 그림책이었으며 출판국가와 출판년도, 작가, 장르, 주제 및 그림의 표현양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테디셀러 그림책 중에서 한국도서와 외국도서의 비율은 비슷했으나 국가별로는 한국 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출판년도는 2000년대에 출판된 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나, 절반에 가까운 그림책들은 2000년 이전에 출판된 그림책들로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43%가 15년 이상 된 책들이었다. 그림책의 작가는 다양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억배 작가의 그림책이 5권으로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영국의 앤서니 브라운 작가의 그림책이 7권으로 가장 많았다. 장르는 픽션이 82.7%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주제는 친구·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림의 표현 양식은 작가적 표현이 41권(41.6%), 만화적 표현이 36권(36.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One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a picture book is its dual audience, that is adults as well as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steady seller picture books to find out picture book preferences of the dual audience. For this study, a hundred picture book titles which have been on the best seller list in the children’s book category for over 5 years on 5 online book store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ion and the year of publication, author, genre, theme, and artistic style.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teady seller titles, Korean ones are slightly less than those of all the other countries combined, whereas, by country, Korea has much more titles than any other single country. The number of the steady seller titles which were published in 2000 is the highest and nearly half of those(43%) were published at least 15 years ago. Based on the steady seller list, the most popular Korean author is Eok Bae Lee while the foreign counterpart is Anthony Brown in the United Kingdom. According to the genre classification, fiction comprised a large proportion(82.7%) among the steady seller list. The theme dealing with friends and play is the most popular among the list. In the respect of artistic style, the personal and cartoons were the most dominant.

      • KCI등재

        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방법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의 관계연구

        김미선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1

        This study’s aim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ways of reading picture books to their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72 parents with children from 2 to 5 years old who were selected by the students over the age of 20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until M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ath of purchasing picture books according to Enneagram's center of energy, belly centered-types(act-focused), brain-centered types(thought-focused), and heart-centered types(emotion-focused) mostly purchased directly in bookstores. Second, regarding the hours when picture books were read to their infants according to Enneagram's center of energy, heart-centers (emotion-focused) read picture books to their children when they wanted, while belly-centers(act-focused) and brain-centers(thought-focused) mostly read picture books to their children before they went to sleep. Third, for the method of reading aloud to their infants according to Enneagram's center of energy, belly-centers(act-focused) read story books by changing the text into words that would be easily understood by their infants or reducing the length of the text. Brain-centers (thought-focused) read the text to their children as it was, and heart-centers(emotion-focused) read books to them using gestures and interactive touching related to the contents of fairy tal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rents tend to read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ies. I recommend that parents should know their own way to read picture books, and should read books in such a way that promotes behaviors, emotions and thinking as a whole. 본 연구는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방법과 부모의 성격유형과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H 연구소의 교육대상 중 기혼상태일 것으로 추정되는 만 20세 이상 교육생 중 수집된 만2세-만5세 자녀가 있는 부모 272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구입하는 경로, 그림책을 읽어주는 시간대, 그림책을 읽어주는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 힘의 중심에 따른 그림책을 구입하는 경로에서 배형(행동중심), 머리형(사고중심), 가슴형(감정중심)은 모두 서점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에니어그램 힘의 중심에 따른 자녀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시간대에서는 가슴형(감정중심)은 유아가 원할 때 그림책을 읽어주고 배형(행동중심)과 머리형(사고중심)은 대부분 자기 전에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셋째, 에니어그램 힘의 중심에 따른 자녀에게 그림책 읽어주는 방법에서는 배형(행동중심)은 본문을 유아가 알기 쉬운 말로 바꾸거나 길이를 줄여서 읽어주었고, 머리형(사고중심)은 책의 본문을 그대로 읽어주었으며, 가슴형(감정중심)은 동화내용과 관련된 동작과 스킨십을 하며 읽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모는 자신의 성격특성에 따른 방식으로 그림책을 읽어주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기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부모 자신이 그림책 읽어주는 방법을 인식하여 통합적(행동, 감정, 사고) 자극이 가능한 방법으로 책을 읽어주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 내용 분석

        최예린 ( Choi Ye-lin ),한주희 ( Han Ju-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에 관한 내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책에 관한 내용이 담긴 그림책 총 23권을 선정하였고,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으로는 동물 주제의 책, 전문 분야의 책 등 다양한 종류의 책이 있으며, 책은 종이로 만들어졌으며 글과 그림 등이 있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책에서 보여주는 공간은 환상 세계의 공간과 과거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읽기의 의미는 재미있고 행복하기 위해서 그리고 슬픔을 치료하기 위해 책을 읽고, 책을 읽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하게 되고, 풍부한 책읽기 환경으로 변화된다. 장소적 측면에서 도서관과 그 밖의 다양한 장소에서 책을 볼 수 있으며, 책은 혼자 조용히 읽을 수 있고 다른 사람과 함께 읽을 수 있는 매체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그림책에 나타난 책을 읽음으로써 그림책의 가치와 책읽기의 의미를 알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especially the features and meanings, in picture books. This study used 23 picture books, and quantitative design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features of the picture books were as follows: there were a variety of books related to animal themes, the attribute of the books had a material like a paper, and the characters of the picture books moved to an imagination space and past space. Second,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s was as follows: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 for reading was related to fun and emotional support; the ‘result’ of reading was related to increasing knowledge and changing to an environment that has plentiful books; the location of reading was at the library and in a variety places, and the ‘method’ of reading was quiet reading and shared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value of read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reading in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 KCI등재

        Hans Jonas의 책임 원칙과 생명공학의 발전

        조홍석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4

        "Das Prinzip Verantwortung" regards the proposition "human being should survive to the last" as Sollen. The conception of nature in "Das Prinzip Verantwortung" is the nature which depends human being in the interrelation of human and nature, not endless universe. "Das Prinzip Verantwortung" holds that humans exist in nature, mortal and nature is non-infinitive. "Das Prinzip Verantwortung" asks humans to establish normative criteria which relates nature with them not to diverge from the laws of nature and life order which follows the law of nature. Jonas-like ecological ethics emphasies that humans have responsibility of preserving the nature for dasein itself to survive. "Das Prinzip Verantwortung" insist that the demand of the present generation should be satisfied in the tolerance limit of natural environment and in the sphere for the future generation to survive. "Das Prinzip Verantwortung" are searching for the core of nature, still in the human being, although it belongs to nature in its entirety as a tiny piece. "Das Prinzip Verantwortung" emphasizes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as a whole. Human being as a single is not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perspective of Hans Jonas. Dasein and survival as a whole have meaning in his principle. "Das Prinzip Verantwortung" include only animated nature at the object of concern, but excludes inanimated nature, even though the former has full meaning in contrast with the latter. "Das Prinzip Verantwortung" tries to make humans aware of responsibility for the desegregation of human dasein itself as s species and destruction of nature. 책임의 원칙은 ‘인간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인류는 존재해야만 한다”는 명제를 당위로 본다. 책임의 원칙에서 말하는 자연은 인간과 상호의존관계에 있는 자연을 말함이고 결코 무한한 우주가 아니다. 책임의 원칙은 인간을 자연 속에서 실존하고 있는 유한한 존재, 동시에 자연도 유한한 존재로 인식한다. 책임의 원칙은 인간이 자연에의 한계를 일탈하지 않도록 규범적 척도를 설정하고, 그 척도는 자연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 책임의 원칙은 존재가 무보다, 삶이 죽음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고, 존재로부터 당위를 도출한다. 요나스적 생태윤리학은 인간만이 ‘존재 그 자체’가 영속될 수 있도록 자연을 보호할 책임을 진다고 한다. 책임의 원칙은 자연환경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다음 세대가 존속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현재 세대의 수요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책임의 원칙은 공포의 발견술이란 개념을 통하여 생명기술의 발전이 환경, 안전 등에 심각한 위험을 야기한다면 사전예방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책임의 원칙은 ‘자연의 인내의 한계’를 직시할 때 인간이 자기통제의 메카니즘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긴급히 요청된다고 한다. 책임의 원칙은 자연을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그 자체 목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여전히 자연의 중심을 인간에서 찾고 있다. 책임의 원칙은 ‘인간 전체의 생존’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개별적 인간의 존재 그 자체는 중요하지 않다. 오직 전체로서의 존재와 생존만이 의미를 가질 뿐이라고 한다. 책임의 원칙은 무생명적 자연을 가치의 대상에서 배제한다. 무생명적 자연이 배제된다면 생명적 자연도 그 의미를 상실할 수 있음에도 그러하다. 책임의 원칙은 생명공학의 발전이 ‘종으로서의 인간 존재 자체’를 파괴하는 것과 자연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책임의식을 환기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 성폭력

        박현경 ( Hyun Kyung Park ),봉진영 ( Jin Young B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그림책에 아동 성폭력 관련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알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 출간된 아동 성폭력을 주제로 한 16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범주는 아동 성폭력을 주제로 한 그림책의 출판현황 및 성폭력 지식 전달을 위한 추가 정보, 구성 요소, 내 몸을 보여줘야 할 상황 구별, 좋은 느낌과 나쁜 느낌 구별, 부적절한 성적행동, 성태도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성폭력 관련 그림책들은 직접적인 지식정보책의 비중이 높았으며, 국외 그림책의 빈도가 높았다.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 성폭력 피해자의 연령 및 성별, 가해자 성별, 성폭력이 일어난 장소 등은 실제 성폭력 실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분석된 그림책 중 부적절한 성적행동에 대해 나타난 책은 총 15권이었으나 그 외에 다른 성폭력의 요소를 다양하게 포괄하거나 해당 내용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 책은 많지 않았다. 성폭력 발생 시 구체적 문제해결이나 타인의 몸을 소중히 생각하고 보호하는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내용을 함께 다루는 책들이 향후 계속 출간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그림책이 성폭력 예방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매체가 될 수 있으며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할 때 다루어야 할 교육 요소 및 그림책 선정을 위한 평가준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at kinds of patterns of juvenile sexual abuse appear in picture books. For this, sixteen picture books are sampled and analyzed among those published domestically. The contents researched are classified as follows: 1. The publishing status of picture books of juvenile sexual abuse 2.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3. The discretion on whether or not to show one`s body, and good or bad feelings 4. Improper sexual behavior 5. The respect to the other party and sexual attitudes The study indicates a large portion of the picture books are likely to transmit knowledge directly only and most of these are from abroad. Further, it reflects juvenile sexual abuse crime practically in terms of age and gender of the victims and offenders, as well as where it happens. Fifteen of the books discuss improper sexual behavior. A few, however, are likely to contain the comprehensive and profound factors of sexual abuse.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discuss procedures on how to deal with sexual abuse and protecting the innocent. This study is meant to prove that picture books can be an educational channel for a campaign to prevent sexual abuse as well as the criteria to be used to select books.

      • KCI등재

        현대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책임 : 책임의 이념을 중심으로

        우재명 서강대학교 비교사상연구원 2008 신학과 철학 Vol.- No.12

        인간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존재이다. 인간의 창의력은 과학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왔고 또 앞으로도 발전시킬 것이다. 하지만 모든 과학발전이 반드시 인류복지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산촌에서 석탄채굴을 돕기 위해 개발한 다이너마이트가 살상무기로 변신하여 인명을 살상하는가 하면, 원자력발전을 위해 개발한 핵연료가 가공한 핵무기로 변신하기도 하였다. 과학발전은 인류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과학발전이 효용성의 경제논리에 의해 추구될 때 자칫 인간존엄과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 과학자의 책임의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책임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책임연구의 이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인간이 타자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E. 레비나스(Levinas)는 나에게 도움을 청하는 타자의 얼굴에 대하여 ‘응답하는 자’로서의 절대타율의 책임을 주장한다. 여기서 타자에 대한 책임은 나의 자유에 선행하는 것으로서 타자의 요청뿐 아니라 타자의 책임까지도 떠맡아야 하는 절대타율의 책임이다. 반면, P. 리쾨르(Ricoeur)는 자기 자신, 얼굴을 아는 타자 그리고 제도 속에서 만나는 얼굴을 모르는 타자 사이에서의 균형적 책임을 시도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은 자기에 대한 관심(자기존중), 타자에 대한 관심(배려) 그리고 제도를 통한 관심(정의)을 상호보완적으로 실현함으로써 실현가능하다고 본다. 책임을 기존의 책임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단순히 인간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명령으로만 보는 경우 책임이 의무로만 인식되면서 자칫 행위자의 선한의지가 퇴색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인간의 내적동기에 근거한 자기증여(self-giving)로서의 책임을 주장한다. 자기증여로서의 사랑의 원형은 삼위일체 하느님에 근거한다. 하느님은 본질적으로 사랑이시기에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는 존재가 곧 사랑의 관계이다. 하느님의 모상을 선물로 받고 있는 인간 안에도 이러한 자기증여의 사랑이 존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의 타자에 대한 책임은 사랑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한 자기증여의 내적 요구에 근거한다. 생명과학이 인류에 도움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타자에 대한 책임의식이다. 그리스도인의 책임은 단순히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타율적인 윤리적 명령이라기보다는 타자와의 관계 안에서 자기증여의 내적요구를 책임으로 받아들이는 능동적인 책임이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그리스도인의 책임은 리쾨르가 말하는 자기존중, 배려, 정의 간에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는 상호성의 책임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생명과학의 발전이 타자에 대한 책임의 차원에서 인간의 생명가치와 존엄을 보호하며, 그것이 미래세대에 미칠수 있는 영향력까지 충분히 고려할 때 인류에 도움이 되는 과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person possesses limitless potentiality. Due to persons' creativeness science has much developed until today, and it will continue to advance in the future. However, throughout history scientific advances have not always made only a positive contribution to mankind. Dynamite, for instance, which was developed for use in mining, became a weapon to kill human persons in the same way that in our day nuclear fuel has also become a nuclear weapon. I say, therefore, that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research must be helpful for mankind. If researchers solely persue economic profits, or if biotechnology is developed merely on the basis of its economic utility to society, it could even harm the value and dignity of human persons. For this reason, what is needed is researchers' proceeding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ow they affect socie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researchers' responsibility in contemporary biotechnology. First I will examine the nature of responsibility. Then I will apply the results of my study to help articulate a principle of responsibility in research. On what basis is a person responsible for the other? E. Levinas argues for an absolut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responding person, one has an absolute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face-to-face other asking him or her to help. According to Levinas, one's responsibility toward the other is prior to one's own freedom, and so it demands not only a response to the other's request, but also that one should even assume the other's responsibility. That is why it is an absolute sense of responsibility. P. Ricoeur, on the other hand, argues for seeking a responsibility that is a balanc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either directly known or known indirectly as part of a system or institution. He is concerned with what Aristotle says about the "good life". A good life, according to P. Ricoeur, can be achieved by making a mutual complementarity among caring for oneself, caring for the other and concern for the other as known through a system or institution. That is to say that a good life can be accomplished by making a balance of self-respect, concern for the other and justice. When, as most responsibility theories assert, responsibility is merely regarded as a moral order we are urged to fulfill, it is falsely interpreted as an mere obligation. In this case the good will of the person who acts can be disvalued. For this reason, I define responsibility as a voluntary act of self-giving derived from an inner motivation. Ultimately responsibility as self-giving finds its original form in the nature of the trinitarian God. Since God is agape (1 John 4,8), God is pure self-gift. For this reason, God must eternally be giver and receiver and gift. In the trinitarian God being is being-related. To be is to love in relationship. A human person, as the image of God, also possesses this self-giving love. As an image of God, a human person is to become a self-gift for the other. For this reason a Christian'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not based on external obligation; it is a voluntary act of self-giving derived from inner request or demand coming from love. The dynamics of free self-giving and self-receiving are the driving force in this loving responsibility. What is needed for biotechnology to perform its task to make a more wellbeing society is researchers' consciousness of responsibility. Particularly speaking, Christian responsibility is not based on a passive moral order intervening from outside. It is based rather on an active moral order motivated voluntarily by an inner request that spring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 For this reason, Christian responsibility is similar to Ricoeur's assertion of a mutual responsibility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known personally and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known as part of a system or institution.

      • KCI등재

        김수영의 시와 근대 극복의 한 방식 : '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여태천(Yeo Tae-chon)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5

        김수영 시에는 책을 직·간접적인 소재로 활용하는 시들이 있다. 김수영의 시에서 책이라는 텍스트는 흔히 세계의 유비로 사용되거나, 책에 대한 메타적 성격을 띠거나, 제목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책이 하나의 표상으로 제시되는 경우, 세계를 이해하는 김수영의 시적 태도가 매우 명확하게 드러난다. 이 논문은 김수영의 책에 대한 인식의 변모과정과 그 양상에 주목하며, 그가 자기의식을 책이라는 대상을 통해 어떻게 시적으로 형상화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책에 대한 김수영의 이와 같은 태도의 변화는 서구적 근대를 극복해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또한 그것은 서구적 근대에서 벗어나 한국적 근대를 발견하고자 했던 김수영 태도와 매우 유사하다. 화려하게 빛나는 서구문물[책]과 거리를 두면서 새로운 시의 세계를 개시하고자 했던 김수영의 태도는 결국 서구적 근대와 낙후된 현실을 극복하는 한 방식이었다. Many of Kim Soo-Young's poems deal with book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Commonly a text of book in Kim Soo-Young's poetry compare to world or are metamorphosis of book or are used as title. In the initial period of his works, Kim Soo-Young regards the book as objects that cannot be understood, since the book in the world of his poetry is what cannot be accessible, what cannot be permitted to open. But the book presented as a symbol of world, it precisely showed Kim Soo-Young's views to the real world.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process of Kim Soo-Young's recognition on book. And how to figurate self-consciousness in poetically. Kim Soo-Young's change of attitude on book is not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overcoming Western modernity. Also it bears a striking likeness to his attitude of finding Korean modernity[Korean Literature]. Kim Soo-Young created the new poetic world kept him a distance from the products of Western civilization[book] which was splendidly shining. In fact, a creation of poetry induced by Kim Soo-Young's thoughts on book is a way of overcoming Western modernity and backward of Korean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