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禪)의 철학과 노동의 가치: ‘일상으로서 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박병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Our daily lives are unfolded on the premise of a world of life and death [生滅], but we cannot shake off the world of Jinyeo(眞如) contained in it. This is because the essence of humanity contains a desire to overcome the world of extinction symbolized by appetite and sexual desire. The reality of our lives is that Mahayana Buddhism’s view of the world of Jinyeo(眞如), which is contained by that aspiration, results in a single mind as it forms a relationship between one and two Buddha’s with the world of extinction. The tradition of Seon(禪) has proposed a philosophical and religious orientation of the uninterrupted crossing between survival and existence based on daily life, expressing this reality of life with the proposition of “normal mind is Dao(道).” Although Seon’s aim of non-contradictory has revealed specific aspects by relying on short and implicit languages such as Korean Seon poetry and Japanese haiku, more fundamental questions still show the aesthetics of the three senses left in the world beyond language. As a result, Seon is the exclusive property of prehistoric people, and it tends to be accepted as a mysterious story tha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access or a heavenly report containing a profound truth. In this small discussion, we tried to overcome this view of the Seon(禪) and seek how to summon the spirit and practice of the Seon in the daily lives of Korean citizens in the early 21st century, mainly in connection with Marx’s view of labor. Marx emphasizes that humans are natural beings that can exist through relationships with nature, and at the same time, historical beings that can only live in social networks. The process of humans living by relying on each other as part of nature is embodied in labor, which means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mind, and in that sense, humans are “working beings.” This labor includes the implementation of a large-scale existence that can recognize one’s existential limit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pens up as a possibility of philosophy that can present one’s daily life as an object of observation. Seon(禪) can have meaning as a method or means of observation at this point. The practical wisdom of knowing and seeing the very daily life as it is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one’s daily life forms the basis of the large-scale existen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Seon. This large-scale existence is the basis for realizing the existence of species being that can only be lived by working in groups again, and the awakening of the existence of species being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reality of pain in individuals’ daily live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social solidarity for change 우리 일상은 생멸(生滅)의 세계를 전제로 펼쳐지면서도 그 안에 담긴진여의 세계를 떨쳐내지는 못한다. 인간다움의 본질 속에 식욕과 성욕으로 상징되는 생멸의 세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열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 열망이 담아내고 있는 진여(眞如)의 세계는 생멸의 세계와 하나도아니고 둘도 아닌 불이(不二)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하나의 마음[一心]으로 귀결된다는 것이 대승불교가 바라보는 우리 삶의 실상이다. 선의 전통은 이러한 삶의 실상을 ‘평상심이 곧 도’라는 명제로 표현해내면서 그일상에 토대를 둔 생존과 실존 사이의 걸림없는 넘나듦을 철학적·종교적지향으로 제안해 왔다. 선의 걸림없음[無碍] 지향은 우리 선시나 일본의하이쿠 같은 짧고 함축적인 언어들에 의지하여 구체적인 양상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여전히 더 근원적인 물음은 언어 너머의 세계에 남겨두는삼감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은 논의에서는 어떻게 하면 21세기초반 한국시민들의 일상에서 그 선의 정신과 실천성을 불러낼 수 있을지를 주로 마르크스의 노동관과 연관지어 모색해 보고자 했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서 존재할 수 있는 자연적 존재자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만 살아갈 수 있는 유적 존재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이 서로에게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과정은 곧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뜻하는 노동으로 구체화되고, 그런 점에서 인간은 ‘노동하는 존재자’이다. 이 노동에는 자신의 실존적 한계를 인식할 수 있는 대자적 존재성의 구현이 포함되어 있고, 그 구현은 자신의일상을 관찰의 대상으로 내놓을 수 있는 철학함의 가능성으로 열린다. 선(禪)은 이 지점에서 관찰의 방법 또는 방편(方便)으로서 의미를 지닐수 있다. 자신의 일상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바로 그 일상을 있는 그대로알고 보는[如實知見] 실천적 지혜가 바로 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대자적 존재성의 근간을 이룬다. 이 대자적 존재성은 다시 무리를 지어 노동을 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유적 존재성을 깨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유적 존재성의 깨침은 개인의 일상에 들어와 있는 고통의 실상을 바라볼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줌과 동시에 변화를 위한 사회적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을 마련해줄 수도 있다.

      • 선(禪) 언어에서의 미적 재현성(Representation)에 관한 소고(小考)

        우지선(Ji-Seon W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3 철학과 문화 Vol.49 No.-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선종[禪]에 관하여 논의된 미학에서 선(禪)의 언어가 다루어진 적이 드물다는 것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나온 ‘선종미학’에 관한 연구에서는, 선종과 미학이 주객미분(主客未分)한 상태에서 주객일여(主客一如)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과 일종의 집착 혹은 속박에서 벗어나 정신적 해방을 표현한다는 것에 주목하여 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선종이 일다불이(一多不二)와 유무불이(有無不二)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것에서 깨달음과 해탈을 미학사상과 연관시켜 보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처럼 선종과 미학 사상을 연관시키는 것은 선종의 심오하고도 다소 모호하고 모순되는 개념에 대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접근을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선의 언어는 그것이 담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 표현하고자 하는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여전히 애매성이 존재한다. 이는 물론 선의 언어는 무엇인가가 표상되어 계속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게 어떤 진리를 표상하였다가 결국 타파되어야 하는 특성상 미학적 언어가 담고 있는 중도적 진리와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예술작품으로의 언어, 미학적 언어의 재현성(Representation)에 주목하여 선종에서 나타나는 선문답 혹은 화두참구, 시조에서도 이와 같은 재현성을 찾음으로서 선(禪)적언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하고자 한다. 또한 선적언어에 대한 미학적 재현성(Representation)을 밝힘을 통해 선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어떻게 언어적 재현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해 밝혀본다. It is noted that the language of Zen(禪) has rarely been dealt with in the aesthetics that have been discussed about Zen Buddhism. In the studies on 'Zen aesthetics' that have been conducted aim to become one and the same as the master and guest in a state where the principal[主客未分, 主客一如] and the guest are the mental liberation freed from a kind of obsession or bondage. The study proceeded with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is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 Zen’s focus on relating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with aesthetic thought, The Ze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ving and not being. In this way, the connection between Zen Buddhism and aesthetic though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approach the profound, somewhat ambiguous and contradictory concept of Zen Buddhism in a more logical and understandable way. However, there is still ambiguity about what the meaning of the language of Seon is and what substance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refore,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language as a work of art and aesthetic language, it is to check whether the understanding of Zen language can be increased by finding such representation in Zen dialogue, hwadu exploration, and sijo that appear in Zen Buddhism.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the language of Zen, we will find out how to linguistically represent the 'enlightenment' spoken of in Zen.

      • KCI우수등재

        선 수행에 나타난 분심(憤心)과 자비에 대한 소고

        오용석(Oh Yong Su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선 수행에서 나타난 분심(憤心)의 개념을 타자구제라는 자비행의 측면에서 논의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우선 분노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관점에 주목하고 그러한 특징이 선 수행에서 나타나는 분심의 개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분노와 관련된 연구에서 공분(公憤)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으며 선 수행의 분심에도 이러한 특징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공분이란 공적 정당성을 가지고 중대한 결함을 시정하고 대응하려는 반응으로 분노의 긍정적이며 실천적인 측면이다. 이러한 특징은 선 수행에서 나타난 분심의 개념과 연관된다. 선 수행에서 분심은 생사에 대한 자각과 타자구제에 대한 원력에 의해 추동되는 것으로 공분의 성격을 갖는다. 논자는 선 수행에서 나타나는 분심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선수행자의 분심으로 이러한 분심은 수행자가 수행을 해 나가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이것은 생사에 관한 자각과 타자구제의 원력 속에서 성장하는 발심의 동력이다. 특히 생사의 문제에 대한 자각에서 출발하나 그 자각이 추구되는 보편적인 장면은 삶 속의 관계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한 수행자의 생사 발심은 선의 실천이라는 역사적인 실천과 타자의 역동에 참여하는 타자구제로 확대된다. 둘째는 이미 깨달음을 얻은 선사의 분심이다. 선사의 분심은 타자구제에 대한 자비의 원력과 맞물려 제자의 깨달음을 촉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선사의 분심은 깊은 자비심의 표현으로 일종의 순수한 분노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선사들의 분심이 상호관계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선사의 분심은 현실에 대한 공분을 통하여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공분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때 공분이 가진 정당성의 확보는 선사 자신의 독단적 주장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역사적 요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사회적 실천성을 갖는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meaning of Endeavoring Heart (憤心) through Seon (禪, Zen) practice with the Compassion (慈悲) of Mahayana Buddhism. For these studies, I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anger and come to the result that Justifiable anger (公憤) has a relationship with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Seon (禪) Practice. To prove these, I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about this. First I discussed that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Seon (禪) practice is a sort of justifiable anger (公憤), because it is driven by awareness of birth and death with a wish to awaken to the Bodhi-mind. The practice of Seon (禪) basically contains an implement of the compassion emphasized by Mahayana Buddhism. Next I discussed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master who has become enlightened already. First,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禪) master has a characteristic to help the disciples out of compassion. Second, the Endeavoring Heart (憤心) of a Seon (禪) master tends to be expanded to justifiable anger determined by the historical needs of society at the time. To conclude, I examined the positive aspects of anger in Seon (禪) practice with justifiable anger (公憤), and came to understand compassion (慈悲) of Mahayana Buddhism in Seon (禪) practice.

      • 한-일 간 3선(先) 논쟁에 관한 소고

        이종원(Lee, Jong-Won) 대한검도학회 2018 대한검도학회지 Vol.29 No.1

        우리나라에서 검도본을 수련할 때 ‘선선의 선’이라는 생소하고도 어려운 개념에 봉착하게 된다. 일본에서는 “검도본 1, 2, 3, 5본은 후도가 ‘선선의 선’으로 선도를 이긴다”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본은 ‘후의 선’이라고 하는 명확한 규정은 없지만 대부분의 검도 인들이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 이 두 경우는 외형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이론상으로는 분명히 다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일 간 검도본의 ‘선’에 관한 인식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제기된 네 가지의 대표적인 주장(즉, 미야모토 무사시, 이종림, 타카노 사사부로, 전일본검도연맹)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앞 두 주장은 현상 또는 동작 기준으로 제기된 것이고, 뒤 두 주장은 동작과 정신을 한 이중기준으로 하고 있다. 스포츠적 측면에서 보면 동작중심의 앞 두 주장이 타당하며, ‘선선의 선’ 개념이 없는 이 둘은 사실상 같은 것이다. 이 두 주장이 스포츠과학적으로 옳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선선의 선’ 개념을 내포한 일본검도형을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검도형과 스포츠검도가 공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선선의 선’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각 유파의 전통을 계승한 검도본 즉 일본검도형의 정신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필자는 향후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세계검도인이 객관적으로 또한 과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합리적인 연구를 기대하면서 과도기적인 기간에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선선의 선’을 보다 광의의 개념인 한국의 ‘선의 선’ 개념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1, 2, 3, 4, 5본은 후의 선으로 종전과 같이 두더라도 후도의 기세에 눌려(또는 압박을 받아) 선도가 할 수 없이 치고 들어오는 6, 7본은 후도가 ‘선선의 선(또는 선의 선)’으로 승리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에 대한 논의 또한 제안한다. When practicing Kendo Kata in Korea, we are confronted with the strangely difficult concept of "sensen no sen". In Japan, "Kendo Kata 1, 2, 3, and 5 say that the shidachi wins uchidachi (the person who initiates the move in order to teach the principles of the techniques) by "sensen-no-sen". In Korea, however, the most Kendoists recognize that all Kendo Kata are ‘go-nosen’ even though there are no clear regulations. These two cases do not seem to be largely different in appearances, but they are clearly different in theory.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clar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Kendo Kata’s sen"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purpose, four main arguments are advocated in Korea and Japan (i.e., Miyamoto Musashi, Rhee Jong-rim, Takano Saaburo, and All Japan Kendo Federation) we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former two arguments are based on the criteria of appearance and/or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wo arguments are based on the two criteria, the movement and the spirit. In terms of sports perspectives, the two arguments, which are focused on the motion, are valid, and the two without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are virtually the same. Even if these two arguments are right in sports science, the problem is that we can not explain Nippon Kendo Kata that contains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Therefore, the only way for Nippon Kendo Kata and sports Kendo to coexist is to admit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In Korea,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ept the spirit of Nippon Kendo Kata, which succeeded the traditions of each Kendo style in Japan. Therefore, the author expects that the world"s Kendo people will be able to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accept the rational research tha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empirical researches in the future. However,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 author proposes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sensen no sen’ in Japan into the concept of ‘sen no sen’ in Korea which is a broader concept. Furthermore the author argues that Kendo Kata 1, 2, 3, 4, 5 would be classified into the concept of ‘go no sen’, but the shidachi (the person in the position of learning the techniques) of Kendo Kata 6, 7 might win by ‘sensen no sen’ because the uchidachi is compelled to attack under the pressure of the shidachi. The author also suggests a discussion on this.

      • KCI등재

        神과 韓國文化

        김종의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7 No.-

        이 글은 선과 한국문화의 연관성을 밝혀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선에 관한 문제는 한국의 불교사가 입증하고 있듯이 우리 정신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나 선을 무엇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가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궁극적으로 말하자면 선은 중국의 것이 아니다. 인도의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삶 속에 녹아있는 자연법칙에 동화되는 심성의 표현이라 해야 마땅할 것이다. 인간이 아무리 만물의 영장이라 하더라도 결국은 우주 속의 한 존재일 뿐,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간다. 선은 그러한 인간 본성의 감추어진 회귀욕구일 뿐이다. 그래서 그러한 심성을 무어라 부르자니 선이란 말이 합당하다 할 것이다. 그러한 심성들이 한국인의 미의식 속에, 생활 속에 녹아 있음을 제시하였다. 나아가서는 선의 문화, 그리고 그것이 제시한 삶의 태도는 지나간 날의 모습이 아니고, 우리 속에 살아있는 인간본성의 영원한 희망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영원히 살아 있어야 할 당위 같은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is attempted that clear up connection between Zen and Korean culture. According to the Korean's Buddhist history, the matters of the Zen, which is not to say, is to a part of mental history. However, it is differ from the viewpoint what's about the Zen? Eventually to say, it is neither Chinese's nor India's. It is absolutely that has in the human living and expresses the mind to adapt to the law of nature. Though is the lord of creation, finally man is a substance of universe. Human is return from nature to nature. The Zen is revolution to hide human's true character, so that this mind is to say ‘Zen’. It is suggested that these minds be retained in Korean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life. The culture of the Zen, and it is suggested to the air of life, therefore, is not image to the past. But it is endless hope to live human's true character in us. It should live for us forever.

      • KCI등재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익과 손실 지각 연구: 선포인트 구매 시점과 소비 지점 간의 시간적 거리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유은아,최지은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5

        Front-loaded points programs that provide an immediate discount for a purchase have been introduced in order to both increase the loyalty of existing consumers and attract new customers. The immediate discounts provided in front-loaded points programs have induced many consumers to join. However, front-loaded points programs are quite different from rear-loaded points programs, in that the points that were used for an immediate discount should be paid back in the future by buying products or services from the company providing the points programs. That is, the points that provide animmediate discount are a debt consumers should pay back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front-loaded points programs. Based on construal-level theory, we suggested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time of using the points and the time of consuming the product purchased as an antecedent.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an online research company was contracted to perform an online experiment, in which 204 consumers participated. Through our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sumer responses to front-loaded points programs c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emporal distance. Specifically, when temporal distance was close, the perceived loss of the front-loaded points programs was low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emporal distance was distant. In addition, the loss perception was moderated by gender. That is, women were sensitive to temporal distance compared to men.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using front-loaded points programs, and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consumer loyalty programs. 선포인트 프로그램은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기존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입된 고객 프로그램으로 기존 포인트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되게 구매 시점에 즉각적인 할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격 할인 혜택 때문에 다수의 기업에서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선포인트 프로그램은 구매 즉시 할인이라는 이익적인 측면 이외에, 지급된 선포인트를 적립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현금으로 상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빚과 같은 손실의 측면이 상존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이익과 손실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들이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매하는 시점과 실제 소비 시점 간의 시간적 거리감이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익 및 손실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제안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전문 조사 업체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실험 참가자는 204명이었다. 연구 결과,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구매 시점과 소비 시점 간에 발생되는 시간적 거리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매한 시점과 실제 소비 시점 간의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소비자들은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이익 대비 손실을 적게 인식하는 반면,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매 시점과 실 소비 시점 간의 시간적 거리감이 멀수록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더 큰 손실로 지각하였다. 또한 이러한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시간적 거리감에 따른 효과는 남녀 성별 차이가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실제 마케팅 현장에서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광범위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선포인트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로서 이론적 의의를 지니며, 실무적으로 선포인트 프로그램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예술 창작과 선(禪)

        김현숙 ( Hyeon Suk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1

        우리는 선(禪)이란 단어를 흔히 사용하고 그 개념을 어렴풋이 느낌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한마디로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선에 관해 공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선 사상의 역사와 정신에 대한 질문에 대답은 할 수 있지만, 선을 한마디 말로 정의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선은 스스로의 체험에 의한 깨우침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불교에서는 ``문자를 앞세우지 않는다`` 라는 뜻의 불입문자(不立文字)를 논하고 있으며, 선이 ``말로 표현이 될 때,그것은 이미 선이 아니다`` 라고 한다. 우리가 명상을 통해 알수 있는 선(禪)은 무엇이며, 명상이란 무엇인가? 명상이란 생각이 멈추거나, 생각하지 않고 있을 때시작된다고 하는데, 언제나 끊임없이 모든 것에 생각을 하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생각을 멈추라는 말에 의문을 갖게 된다. 서양에서는 선(禪)의 뜻을 명상(meditation)으로 번역하고, 일본식 발음을 따라 젠(zen)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선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철학적인 의미로 해석되며, 프랑스의 일상 생활 속에서, ``soyez zen(쑤와이에 젠)``은 ``침착해라``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철학적인 의미에서, 명상과 선이 예술 작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의 의미와 그 선의 근원인 디아나(dhyana)를 구성하고 있는 삼매, 사마타(samatha)와 비파샤나(vipasyana)의 의미를 살펴본다. 우리를 편안하고 고요하게 해주며, 생각을 잠시 멈추게도 해주는 제임스 튀렐(James Turrell)의 작품, <몰입(Mol-Ip)>과 김현숙의 작품, <고요(Calm)>에서 우리는 사마타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행하는 사람들이나 내면의 세계를 연상시키는 Giusseppe Penone의 작품, <베르사이유의 삼나무(Versailles di Cedre)>에서 비파샤나의 의미를 해석해 본다. 또한 명상하는 사람들을 연상케하는 필립 라메트(Philippe Ramette)의 작품, <비이성적인 관조(Comtemplation irrationnelle)>에서는 선(禪)과 예술 작품, 그리고 명상과 예술 행위와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 선(禪) 사상처럼 말로 표현되지 않는 여러 쟝르의 예술 작품들은 우리에게 다양한 의미를 전한다. 때로는 작품의 의미들은 선 사상이 전수되었던 방식처럼 마음과 마음을 통해 (이심전심 以心傳心) 그 의미가 전달 되기도 하고, 이해할 수 없는 선사들의 선문답이나, 혹은 달을 가리키는 부처님의 검지를 바라보는 것 처럼,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앞서 가는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알아채지 못할 때도 있다. 선은 명상을 통한 스스로에 대한 공부이며, 매 순간마다 새로움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예술가들이 개인적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들의 작품이 현실 자체,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바라 볼 줄 아는 현명함을 담고 있다면, 그 예술 작품들은 선 사상과 비교될 수 있다. 더욱이 디아나(dhyana)의 의미처럼, 묵상과 몰입 속에서 이뤄지는 작품 제작과 순간적인 직감에 의한 예술창작 행위는 어딘가 선 사상과 닮아있다. We usually use the word Zen (禪) and we know vaguely about the sens,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describe in short words to express the sense of Zen. Even we study of the Zen, be able to answerthe history and spirit of Zen, but it will not be easy to define the thought of Zen in simple words. Because the Zen is enlighten by our own experience. Moreover Buddhist saying 불입문자 burip munja (不 立文字) which means ``the word can``t precede the Zen`` and also they say ``when Zen represents by words, it``s not already Zen``. What is Zen through we know by meditation, and what is meditation? Thismeditation is thinking stops, starts when you are stops or not thinking. We will have a question about stops thinking, because we live in a constant thinking status about all of the things. In the West, the meaning of Zen is translated meditation, and used as Zen accor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Also Zen interprets a philosophical sense rather than a religious significance. In daily life in French, ``soyez Zen (be Zen)`` is used to mean ``calm down``. In a philosophical sense, to learn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with a work of art and Zen, meditation, we search the meaning of Zen and the origin (source) of Dhyana, and we are explored a signification of configure the Dhyana that Samatha and Vipasyana. We look at the meaning of the Samatha in the works, Calm of Hyeon-Suk Kim and Light leading of James Turrell that makes us comfortable, quiet and also stopping to think. And we interpret the meaning of Vipasyana in the works Versailles di Cedre of Giusseppe Penone that evoke inner word, and Also we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en and artworks, the meditation practices and the acts of the artists, in the works Comtemplation irrationnelle of Philippe Ramette that reminds those who meditate and perform. Like Zen, diverse genres of artworks which does not express in words, propose a variety of signification to us. Sometimes, the meaning of artworks allows to deliver us the way of transmission of Zen, through 이심전심 isim junsim (以心傳心heart to heart, mind and mind). And sometimes, such as the baffling dialogue of Zen Master, or such as looking at the index finger of Buddha pointing to the moon, we are also unable to perceive the intentions of the artists, because their thoughts go too far ahead than our thought. The Zen is studied for themselves through meditation, to recognize the now, at the moment and newness of each moment. So even if artists were not affected personally by the Buddhism, if their works contains a wise mind that know to look at the reality and reality as they are, artworks can be compared to Zen. Moreover, as significance of Dhyana, artistic creations that are produced through contemplation, and concentration, and, act of creation artistic by momentary intuition are similar somewhere to a Zen.

      • KCI등재

        선은 행하고 악은 피하라 (Bonum est faciendum malum vitandum)

        박찬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5

        In einer Gesellschaft, in welcher der Maßstab der guten oder schlechten Handlung darin liegt, ob die betreffende Handlung wirtschaftliche und soziale Nutzen bringt oder nicht, hat Moral als Prinzip der menschlichen Handlung keinen Platz. Denn in dieser Gesellschaft werden die vorsittlichen und sittlichen Werte miteinander vermischt, und sogar werden wertneutrale Mittel wie Geld, Macht usw. dem moralisch Guten vorgezogen, sodass der Sinn der Moral selbst den Boden verliert. Heute lebt man in einer solchen Gesellschaft. Im Mittelpunkt dieses heutigen Wertchaos steht der Begriff des“Guten”. Obwohl das in einem instrumentalen Sinn gebrauchte Adjektiv“gut” - z. B. gutes Auto, guter Stuhl - keinen moralischen Wert in sich hat, wird es oft mit dem moralich Guten verwechselt. Dabei spielt das wirtschaftliche Interesse keine geringe Rolle. Man verwechselt aber auch das moralische Subjekt und das moralische Objekt, was dazu führt, die absolute Würde des Menschen in Frage zu stellen. Was ist dann die Aufgabe der Moraltheologie angesichts dieser Chaossituation? Sie liegt darin, den Sinn der Moral klar zu stellen, damit der Mensch versteht, was wirklich ein gutes Leben ist. Nicht richtiges Leben, sondern ein gutes Leben! Daher ist es wichtig, sich mit dem Begriff des moralisch Guten auseinanderzusetzen und damit den Sinn des ethisch guten Lebens herauszustellen. So kann das heutige Wertchaos eine Chance für die Moraltheologie sein. 인간의 행동이 바람직한지 그렇지 않은지의 기준이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가져오는지 여부에 있는 현 사회에서 행동의 원리로서의 윤리는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러한 사회에서는 윤리이전의 가치들과 윤리적 가치들이 구별되지 않고 혼용되며, 심지어 돈이나 권력 등과 같은 윤리이전의 가치들이 도덕적인 선보다 우선시되어, 그 사회의 도덕성 자체가 흔들리기도 한다. 이러한 혼란의 중심에는 “선, 좋음”의 개념이 서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윤리와는 전혀 관계없는 도구적인 의미에서의 “좋음”이 경제논리와 결합되어 사람들의 입에 자주 회자되면서, 무의식중에 도덕적인 선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윤리적 주체인 인간과 윤리적 객체의 구분 또한 모호해짐으로 인해 사실상 현대 사회는 가치 혼돈의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윤리신학은 상대적이고 도구적인 선과 본래적인 선을 명확히 구분하고, 선 자체를 파악하고 실행할 수 있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인간의 지위를 강조함으로써 창조질서에 맞갖는 윤리적 가치 체계의 확립에 힘써야 한다. 이것이 바로 가치의 혼돈과 그로 인한 비인간화에 염증을 느껴 다시금 정의, 인권 등과 같은 윤리적 가치들에 주목하기 시작하는 현대인들에게 윤리신학이 제시해 주어야 하는 이정표와도 같은 것이다. 현대의 가치 혼돈은 윤리신학에는 분명히 큰 도전이지만, 동시에 사람들로 하여금 도덕성과 사람다움에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윤리 공동체의 건설을 이룰 호기이기도 한 것이다.

      • 『대지도론』의 선 바라밀

        김홍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3 불교학 리뷰 Vol.14 No.-

        대지도론에 기술된 선바라밀은 대승적 관점에서 재구성된 것이다. 우선 선의 의미는 일체를 포함하는 공덕이라는 뜻과 집중된 상태와 지혜가 고르게 유지되는 선바라밀로 전환되고, 그것을 수습하는 보살은 부모처럼 가까운 설 법자로 나타나거나 전륜성왕과 같은 지도자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물론 그 재 구성의 당위성은 ‘머물지 않는 방식으로 머무는 반야바라밀에서 산란하지 않 음과 미착하지 않음을 의지하여 선바라밀을 원만하게 해야 한다’는 PvsP의 구절을 해석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에서 선바라밀의 내용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그 예비단계이고, 둘째는 기존의 4선과 4무색정 등을 대승적 으로 재구성하는 부분이고, 세 번째는 구체적 실천 지침으로서 선바라밀에 나타난 20가지 특징이다. 이 가운데 본 논문에서 분석한 부분은 둘째와 셋째 이다. 모든 단계에서 항상 집중된 상태와 지혜가 고르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측면 에서 4선은 내용 수정 없이 각 단계의 특징적 요소에 대한 자구 해석에 치중하 고 있는 반면 집중된 상태가 강력하고 지혜가 미약한 4무색정은 각 단계마다 반야에 의한 통찰로서 명시된 정형적 사유나 관찰 내용을 첨가하고 있다. 선바라밀을 수습하는 동안 독거처에 머물면서 금욕을 실천해야 한다는 기 본 전제에서, 선바라밀이라고 할 만한 근거로 제시된 20가지 특징은 편의상 대비심과의 관련성, 외도선이나 이승선과의 차별성, 반야바라밀의 방식이 적 용된 구체적 용례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 가운데 대비심은 선바라밀 수습의 동기, 그 수습의 결과를 중생들과 공유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전개될 뿐만 아니라 실제 선정 속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선바라밀과 외도선과의 차이는 선 정 속에서 그 마음의 안온과 선미에 대한 집착여부에 따른 것이고, 이승선과 는 자비심의 유무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외도선은 맛, 사견, 교만이라는 병 이 있고, 이승선은 자비가 얕다. 그러나 보살선은 항상 자비심과 결합되어 있 다. 또한 공덕의 차이로 인해 보살선은 욕계심으로도 차제대로 모든 선정에 들어갈 수 있지만 다른 선들은 그럴 수 없으며, 별상분별로 이욕할 수 있는 보 살선과 달리 성문선은 총상지혜로 이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반야바라밀의 방 식이 적용된 용례로서 선바라밀은 머물지 않는 방식으로 머무는 선정에서 나 타난 부사의함, 자유자재함, 무량함으로 특징지어진다. 그 부사의함은 견문각 지라는 현상에 대해 부동하기 때문에 선정에 든 보살의 마음, 소의, 소연 등을 다른 사람들은 인식하기 어렵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자유자재함와 무량함은 반야바라밀에서 단계와 영역을 자유자재로 넘어서는 초월삼매, 산 란한 현상이든 집중된 현상이든 그 특징을 붙잡지 않고 동일한 특징으로 인식 하는 것, 각과 관을 일으키지 않고도 무량한 음성으로 설법하는 것, 다른 5바라밀과 화합하여 조성하는 것 등으로 다양하게 기술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텍스트에서 재해석된 선바라밀은 무상정등정각을 구하는 보살에게 머물지 않 는 방식으로 머무는 반야바라밀의 최고 방편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ses the perfection of absorption(dhyānapāramitā) from the mahāyāna-inclusivism in the description of the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Chinese: Ta-chin-tu-lun; T 1509). To begin with, meaning of dhyānas, which switches from one-pointedness of mind (cittaikāgratā) to all sorts of others such marvelous absorptions possessed of meritorious qualities and to well-balanced of wisdom and meditative absorption. the Bodhisattva of practice of dhyānapāramitā describes as father, brother, son etc. and he guides living beings employing all sorts of teachings and expedients at everywhere around us or a cakravartin had the portals of merit. Absolutely, its inevitability of reconstitution begins with the reinterpretation of a passage of PvsP. Here we can see what PvsP called “the Bodhisattva, who abides in the perfection of wisdom through the method of non-abiding, must accomplish the dhyānapāramitā by relying on the non-existence of distraction and delectation”. The contents of practice of dhyānapāramitā may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this text: The first is the preliminary for the perfection of absorption; The second is part of mahāyāna-reconstitution about the four dhyānas and the four samāpattis; The third is 20 commendable characters in the dhyānapāramitā as concrete guidelines. In this paper I focus on analysis of the second and third. I find that from well-balanced of wisdom and meditative absorption point of view, the four dhyānas can be reinterpreted by interpretation of words and phrases, namely characterful elements in the four stages without further amendment about the stereotype description, but in the formless realm, absorption is greater whereas wisdom is lesser, to compensate for imbalance the samāpattis included description of discriminating insight at every stage. Expediently, I classified 20 characters of the dhyānapāramitā as related statement of mahākaruṇācitta, the difference between the bodhisattvas and the heretics or śrāvakas and examples by method of the prajñāpāramitā. Notably, the third is represented in immeasurable, inscrutable, and liberal for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hyānapāramitā is an effective means of the prajñāpāramitā.

      • KCI등재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 선(禪)의 위상

        박인석(Park, Inn-Su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이 논문은 중국 법안종(法眼宗)의 선사 영명 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사상 가운데서 화엄(華嚴)과 선(禪)의 위상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단서는 연수가 『종경록(宗鏡錄)』 「자서(自序)」에서 제시한 “일심을 종지로 삼아 만법을 거울처럼 비춘다.[擧一心爲宗, 照萬法如鏡]”는 문구에 포괄적으로 드러나 있다. 연수의 불교사상의 핵심 종지는 바로 ‘일심(一心)’에 있는데, 이 일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주는 것이 바로 화엄이다. 또한 만법을 거울처럼 비추는 것은 바로 선종의 관심(觀心) 사상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연수의 불교사상에 있어 화엄은 내용적인 기반을 이루고, 선은 방법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화엄(華嚴)에 있어서도 연수는 법장(法藏), 징관(澄觀), 종밀(宗密) 등이 공통으로 제시한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여래장 사상의 특징은 진여(眞如)가 불변(不變)과 수연(隨緣)의 두 측면을 모두 갖춘다고 주장하는 데 있다. 한편 연수는 당(唐)의 화엄학자들이 유식학을 여래장의 이론으로 회통시키고자 하는 시도의 연장선에 서 있다. 그는 여래장 사상의 선구로 알려진 마명(馬鳴)과 유식 사상을 대표하는 호법(護法)을 등장시켜 ‘진여 훈습(眞如熏習)’의 문제를 토론하게 함으로써, 두 학파 간의 철학적 쟁점을 보다 분명히 보여주었다. 선(禪)의 관심(觀心) 사상은 만법(萬法)의 근원인 일심을 근거로 삼아 불교 전체를 회통시키려는 것이다. 선종사(禪宗史)에서 관심 사상의 중요성은 줄곧 강조되었지만, 연수는 그 사상의 기원에 있어서는 선종보다는 천태종(天台宗)의 창시자인 천태 지의(天台智顗)의 『관심론(觀心論)』을 더욱 중시하였다. 다만 천태의 학설은 성구설(性具說)에 기반하는 반면, 연수는 화엄의 여래장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결론적으로 보면, 연수의 사상 체계에 있어서는 화엄을 비롯한 제반 교학이 그의 관심의 방법 속에서 통합되어 기능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Chan (禪) and Huayan (華嚴) based on the thoughts of Chan master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 904-975) of the Chinese Fayan school (法眼宗). From a phrase mentioned in the preface of Zongjinglu (宗鏡錄), it is clear that “Based on Ilsim (One mind), we should illuminate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擧一心爲宗, 照萬法如鏡).” The essence of Yanshous Buddhist thought is “One mind (一心).” Huayan explains this thought in detail. He also explains that “illuminates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refers to the notion of the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of the Dhan school. From this viewpoint, it is possible to see that Yanshous Buddhist thought was based on Huayan, and that Chan supplied the methodological base. However, Yanshou based his Tathāgata-garbha thought on Huayan (華嚴) like Fazang (法藏), Chengguan (澄觀), and Zongmi (宗密). The characteristic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如來藏), are that it includes all aspects of changelessness (不變) and participation in change (隨緣). Meanwhile, Yanshou tried to merge the theories of the Yogacara school with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like the Huayan scholars of Tang (唐) dynasty. He introduced Asvaghosa (馬鳴) - a pioneer of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 and Dharmapala (護法) - a representative of Yogacara thought. They discussed about the subject of ‘Tathatāgatas succession (眞如熏習)’ and brought forth the philosophical issues between the two schools. Chan (禪)s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was based on Ilsim (One mind) - the origin of all the dharmas - and tried to harmonize all the Buddhist schools. In the history of the Chan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s been continued, but Yanshou focused on the Contemplating mind theory (觀心論) of Tiantai Zhiyi (天台智顗) - the founder of Tiantai school (天台宗) - more than on that of the Chan school.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Tiantai based his thought on the theory of the true nature endowed with everything (性具說), such as the single-minded focus of the ardent mind with three thousand categories of existence (一念三千說), but Yanshou based his thought on Huayans Tathāgata-garbha thought. Yanshous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rmonizes all the dharmas into the mind and it is the principle based on which the 100 volumes of Zongjinglu were compil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