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기념물 합천 백조도래지의 지정과 해제과정

        심근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2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7 No.1

        Swans are representative migratory birds that spend winter in East Asia, and have long been considered rare birds. In particular, they were regarded as king of Japan. The process of designating a natural monument in Hapcheon Swan Sanctuary is an interesting story. In this study, the designation and release process of Hapcheon Swan Sancturay ((Bakgok-ji, Yongju-myeon 龍州面 朴谷池), (Jeongyang-ji, Daeyang-myeon 大陽面 正陽池), Gaho, Cheongdeok-myeon 淸德面 嘉湖)) Natural Monument, was examined. These places were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on August 27, 193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as lifted on August 14, 1973, after the Cultural Protection Act was enacted after liber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new year in 1929,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decided to capture swans alive to give to the king of Japan. An official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統監) decided to offer swans to the king during his New Year's greeting visit. The department in charge of capturing swans was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Police Department, and the execution was the police station of each county (郡). The reason is believed to be that it is easy to forcibly mobilize, control, or urge people, and the capture activity had to be completed as soon as possible. A total of three swans were captured in Hapcheon-gun from January 12 to 14, 1929. At that time, various newspapers published 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se facts and experiences, it is estimated that the Hapcheon area was selected when designating a natural monument in 1934. Hapcheon Swan Sancturay, Natural Monument lost its function due to excessive human interference of various developments, illegal capture, and use of poison to catch swans. Their number h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t was thus removed from the natural monument in 1973. One of the three swan sanctuaries (Gaho 嘉湖) has been completely reclaimed, one (Bakgok-ji 朴谷池) has almost no migratory birds due to the conversion of wetlands, and one (Jeongyang-ji 正陽池) has swans flying back. In the case of Jeongyangji (正陽池), It is an encouraging sign that many swans fly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growing conditions change. This phenomenon is interpreted to mean that nature and climate are recovering and healing. 백조는 신의 전령사로 여길 만큼 서조이자 귀중한 겨울 철새이다. 백조도래지는 처음 천연기념물로 지정될만큼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합천 백조도래지에 대한 지정과 해제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합천 백조도래지는 지정 이전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이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된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 일본왕에게 새해 인사로 합천군 용주면에서 생포한 백조를 진상하였던 것이 계기가 아니었을까 한다. 이러한 사실은 5여 년 뒤 천연기념물을 지정할 때, 합천 백조도래지 선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합천 백조도래지는 1934년 8월 27일, 처음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그 흔적으로 용주면 해곡마을 입구에는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에서 만든 석표가 유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천연기념물 합천 백조도래지는 1973년 8월 14일 해제되었다. 전쟁과 다양한 개발을 통한 과도한 인간의 간 섭, 불법 포획, 그리고 그들을 잡기 위한 독극물 사용으로 인해 겨울 철새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백조도래지의 기능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지정 당시 합천군 백조도래지는 3개소였다. 청덕면 가호(嘉湖)는 완전히 매립되어 사라져 농지로 전환되었고, 용주면 박곡지(朴谷池)는 상류의 댐 건설로 인해 습지가 사라져 가고 있으며, 대양면 정양지(正陽池)만이 습지가 존속되면서 백조 등 겨울 철새가 날아들고 있어 많은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 KCI등재

        조선의 헤테로토피아로서 ‘白潮時代’ 연구 -『白潮』 동인의 회고록과 상징주의시의 공간을 바탕으로-

        김웅기(Kim, Woong-Gi)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1

        본 논문은 동인지로서 『白潮』의 폐쇄성이 ‘조선 낭만주의시대’의 주축을 담당했던 문학사적 위상으로 전유되는 과정을 헤테로토피아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白潮』의 존재의의를 근대문학장(場)에 대한 ‘이의제기’의 공간으로 상정하고 ‘신경향파 문학’의 타자로 표상되었던 『白潮』의 위치를 재점검하였다. 이에 따라 『白潮』의 낭만주의는 ‘실패한 형식’이 아니라 ‘대표의 형식’이 되기 위한 분투였다는 사실을 김기진, 박영희, 박종화, 홍사용의 회고록을 통해 사후적으로 확장된 ‘白潮時代’에 대한 증언으로써 확인하였다. 회고담은 작가 자신과 관련된 문단활동 및 창작과정에 대한 주관적 기억이다. 따라서 ‘白潮時代’라는 명명에 대한 객관화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비판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는 ‘시대’라는 명명이 부여하는 공간성에 주목하여 이를 분석하였으며, 논지의 실증적 보완을 위해 일본의 상징시와 『白潮』의 상징시를 비교분석하였다. 『白潮』의 상징주의시는 그간 주로 프랑스 상징주의의 수용양상으로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를 전후하여 황석우, 주요한, 김억 등에 의해 수입된 ‘상징주의’는 일본의 상징주의였다. 다시 말해 당대 상징주의의 조류는 서구로부터 직수입된 것이 아니라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오게 된 것이었다. 이 같은 전후사정을 고려해볼 때, 『白潮』의 시는 새로운 문예사조의 수용이라는 과제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용함과 동시에 독자적으로 극복함으로써 조선의 문학적 근대성을 어떻게 확보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의 측면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극복의 대상’으로서 일본 상징주의라는 관점을 주지하면서, 『白潮』의 독자적인 시세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미키 로후(三木露風),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郞) 등의 상징시가 보여주는 자연탐미나 전통회귀 등의 성질과는 다른 ‘실존적’ 공간이었다. 백조를 둘러싼 회고담과 작품 내부의 특징을 종합했을 때 『白潮』가 사후적으로 만들어낸 ‘白潮時代’는 미화된 기억이 아니라 인간의 본원적 가치를 회복할 수 있는 조선의 헤테로토피아가 된다. This paper sought to identify the independent market system of Baek-Jo, noting that it is a symbolic poem of Japan as a “subject of overcoming.” It was an “existential” spac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xploration of nature and traditional regression illustrated by symbolic poems such as Miki Rohu and Kitahara Hakushu.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this paper considers the process of the closed attitude of Baek-Jo Dongin, its transfer to literature, and its historical status that was the main pillar of the Romantic Era of Joseon. While Baek-jo was considered the “Other” of proletarian literature, there is evidence of Baek-jo through testimonies on the extended Baek-Jo “ERA” period through memoirs by Kim Ki-jin, Park Young-hee, Park Jong-hwa, and Hong Sa-yong. A memoir is a subjective memory of literary activities and creation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author. Therefore, there might be room for criticism on whether objectification of the name “Baek-Jo ERA” is possible. However, in this paper, we note the space that the name “ERA” provides. Additionally, the Japanese symbolic poe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Baek-Jo. Considering the memoirs surrounding the swan and the characteristics inside the work, the Baek-Jo ERA created afterward by Baek-Jo became a Heterotopia of Joseon that restores original human values and not glorified memories.

      • KCI등재

        연구논문 : 신성한 루터 만들기 16~17세기, 루터 백조 이미지에 대하여

        오종현 ( Jong Hyun Oh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메시지 생산자들이 어떻게 한 목소리를 내는가?``는 종교개혁의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물음이다. 종교개혁 초기에 텍스트 제공자인 메시지 생산자들은 비균질적 목소리를 냈다. 따라서 루터와 그를 따르는 무리 사이에 많은 불협화음이 나타났으며. 심지어는 칼슈타트나 뮌처 같은 극단적인 형태로 표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텍스트 생산자들은 일정한 형태의 균질한 메시지를 산출해냈다. 이러한 균질성의 출현 배경에는 루터의 엄청난 메시지 생산량과 종교개혁 내에서 그가 지닌 특별한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많은 메시지와 시각 이미지들이 루터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시각 이미지가 ``백조``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루터를 상징하는 시각 이미지로 백조가 정의된 것은 후스의 예언에서 기인한다. 예언에 따르면 후스는 자신이 화형을 당하기 직전에 자신은 불에 타서 사라지지만 100년 뒤에 불에 타지 않는 백조가 나타날 것이고, 누구도 그 노래 소리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후스의 죽음 이 후 100여년이 지나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후 루터의 목소리는 후스의 예언처럼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루터를 신성한 존재로 묘사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후스의 예언 또한 시각 이미지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종교개혁 동안 메시지 생산자들은 중세시기에 성인을 신성화한 시각 장치를 루터에게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루터의 이미지 속에서 비둘기와 후광이 등장하였으며, 루터를 적대하는 세력들은 종종 비인간화하였다. 이들은 종종 개·돼지·사자·염소 등의 동물로 비유되었으며, 심지어는 악마 그자체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 가운데 루터는 개혁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대상들을 제압하고, 이들에게서 승리하는 존재이자, 무지한 대중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인도자적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백조 이미지는 루터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중세적 요소가 아닌 창조적 요소로 등장했다. 메시지 생산자들은 루터를 예언된 존재로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종교개혁의 당위성을 부여했다. 루터에게 신성성올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의 출현은 다·수의 메시지 생산자들에게 환영받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다. 종교개혁을 기념하여 발행한 메달과 루터 초상화들, 그리고 많은 서적에 삽입된 이미지 속에서 백조 혹은 거위가 꾸준히 등장하였다. 더불어 루터의 백조 이미지는 등불을 밝히는 모티프와 같은 제3의 모티프들과 백조 이미지가 결합하여 신성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현재에 이르러 루터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백조 상징은 광범위하게 알려진 시각 이미지이다. 백조 이미지는 루터파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언된 존재``라는 신성성 부여의 방식이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용의 이면에는 종교개혁 이후 루터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려는 메시지 생산자의 일련의 노력들이 ``백조``라는 상징물로 집약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How can the message producers make similar sounds in the Reformation age?`` is a very important Question in the Process of Reformation. The message producers in the early Reformation make disharmony. Sometimes, Luther is in discord with his followers. Particularly, Karlstadt and Muntzer are opposed to Luther. But, in the efforts, the message producers produce similar messages and tones for Reformation. The background of homogeneity is an output of Luther`s message and the special position in the Reformation. In this time, many messages and visual images give a special position to Luther. The most popular image is the ``swan``. The well known ``swan`` image originated Hus`s last prophecy. According to prophecy, Hus said, "I was roasted, but in a hundred years a swan would sing to whom they would be forced to listen." After 100 years. Martin Luther posted his 95 theses, and attack on various ecclesiastical abuses, on the door of the Wittenberg church in Germany. And anyone thereafter can`t prohibit his evangelical sound. In the effort, making Luther`s divine image, Hus`s prophecy appears in the visual image. In the age of Reformation, the message producers use ways to express a saint in the Middle age. For example, a dove and halo appear for Luther, and the painter often expressed a person of anti-Luther to animals such as a dog, sow, lion, goat and so on. Even that directly expresses the pope to the devil. In these visual images, Luther forces the person of anti-Luther, wins at the counterforce, and leads an ignorant people in the wrong faith. The image of Luther`s swan appears not in medieval ways but in new ways at giving Luther to divineness. The message defines Luther as the prophesied man and authorized naturalness for the Reformation. Many message producer welcome the appearance of the new image, which can give Luther to divineness, and consistently re-produce a swan image. The image of a an and gus was used as a commemorative medals of Reformation, Luther`s portrait, and illustrations. Sometimes these images combined the other motifs as Luther of brightening a lamp. In addition, the combined image made a different meanings or enforced the divineness. Now, as expressing Luther, the swan symbol is the visual image that is widely known. The swan image is used actively in Lutheran, so the system of giving divineness as ``the prophesied man`` is still applied. At the other side of the system, after the Reformation,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effort that the messages producers give a divineness to Luther as a swan symbol.

      • KCI등재후보

        白鳥庫吉와‘滿鮮史學’의 성립

        박찬흥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6

        Man-Seon Sahak is one way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Joseon and Manchuria. Shiratori Kurakichi (白鳥庫吉), was the originator of Oriental history, advocated in 1905. It is devis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Manseonsa research was mainly done by politician or diplomats with geographic problems in focus. It was a research to confront China, to rule Manchu and also to correspond with Japan’s intention who was presently ruling (Korea). Shirathori Khurakhichi led the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滿鮮歷史地理調 査室) with Ikheuchi Hiroshi (池內宏), Yanae Wathai (箭內 ), and Inaba Ewakhichi (稻葉岩吉). Man-Seon Sa (the history of Manchu and Joseon) was mentioned first by a Japanese scholar, Shiratori Kurakichi, backing the Japanese Imperialism launching towards Manchuria. His perspective on the Asian history changed, in turns, into Man-Mong Sa (the history of Manchu and Mongol), Dong-A Sa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then Dae Dong-A Sa (the history of the Great Asia). The practice of the history which sees the history of Manchu and Joseon altogether starts off with understanding of the Goguryeo dynasty. This dynasty occupied the vast territory from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o Manchuria. Moreover, what the Japanese Imperialism made a model out of the dynasty was that it had overcome all the harsh wars against the Chinese dynasties, and that it took the victory agains China. The history of Gojoseon included Gija Joseon and Wiman Joseon by historians during the Imperial Japanese rule. The fact that the capital of Gojoseon was in current Pyeongyang made the history of Gojoseon as a part of the history of Joseon, Shiratori asserted it was Chinese Colony. The history of Balhae is placed as the second dynasty of Manchu following Gogyryeo. The Imperial Japan tried to reveal friendly relations between Balhae and andcient Japan so that it was justified for the Japanese government to “civilize”the “barbaric” Manchu. There are the Kitan Liao (契丹遼), the Jurchen Chin (女眞金), the Monggol (蒙古), Manchu Ching (滿洲淸) on the back of Balhae in Man-Chu Sa, Shiratori Kurakichi appreciated that the Jurchen Chin and Manchu Ching was in succession to Goguryeo and Balhae. He comprehended that the States on Man-Chu Sa were effeminated and declined after coming in contact with Chinese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histories of Baekje, Shilla, and Gaya were acknowledged as parts of the history of Joseon. It was generally accepted that Wae controlled Baekje and Shilla through the Imnailbonbu which Wae instituted after the fourth century. Shilla was given a name of a“ unified Shilla”when it took the whole Korean peninsula after Goguryeo and Baekje had collapsed. ‘滿鮮史學’은 만주지역의 역사인 ‘만주사’와 ‘조선반도’의 역사인 ‘조선사’를 합해서 만들어진 개념으로, 만주와 ‘조선반도’의 역사를 하나의 역사단위로 인식하였다. 일본 근대 역사학에서 동양사학을 개척한 白鳥庫吉은 1905년 러일전쟁 직후 '만선사'를 주장하였다. 이것은 일제의 만주진출을 앞두고 창안된 역사인식이었다. 처음에는 白鳥庫吉을 중심으로 滿鮮歷史地理調査室의 池內宏, 箭內亙, 稻葉岩吉 등이 만선사 연구를 주도하였다. 만선사 연구는 지리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정치사나 대외관계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것은 중국과 대립하면서 만주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려 했고 또 통치하고 있었던 일제의 의도에 부합하는 역사연구였다. 1931년 ‘만주사변’과 1932년 만주국 건국 이후 일제가 만주지역을 완전히 장악한 뒤에는 ‘滿蒙史’와 ‘東亞史’로 변화되었고, 다시 남태평양으로 진출하자 ‘大東亞史’로 확대되었다. 일제 때의 고조선은 ‘기자조선’과 위만조선만을 가리킨다. 단군신화는 13세기 일연에 의해 창작되었고 보아 그 실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은 중심지가 평양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조선사’로 보아야 했지만, 白鳥庫吉은 중국의 식민지로 이해하였다. 白鳥는 처음 고구려를 ‘조선사’에 포함시켰지만, 1905년 이후 ‘만주사’ 최초의 국가로 인식하였다. 고구려의 역사는 만주로 진출하려는 일본이 교훈으로 삼아야할 중요한 역사로 인식되었다. 발해는 고구려를 이어 만주민족이 세운 두 번째 국가로 평가되었다. 발해의 문화는 고구려와 당나라의 영향 아래 있었다고 이해되었다. 발해사는 만주국 건국 이후 일본과 만주의 우호적인 교류관계를 입증하고, 문명화된 일본이 미개한 만주를 개화시켜야 할 당위가 있다는 역사적 실체로서 주목되었다. '만주사'에서 발해를 이어 등장한 국가․민족은 거란족의 요나라, 여진족의 금나라, 몽고족, 여진족의 후금․청나라였는데, 白鳥庫吉은 이 가운데 여진족의 금나라와 청나라를 고구려․발해를 잇는 '만주사'의 국가라고 이해하였다. 이들 만주의 국가들은 남쪽에 있는 중국의 문화를 접하면서 점차 文弱해져 쇠망해갔다고 이해하였다. 한편, 백제사, 신라사, 가야사는 반도의 역사 ‘조선사’로 인식되었고, 그 성격은 일본의 직접적․간접적 영향 아래 있었다고 여겨졌다. 타율적인 역사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왜는 삼한 시기였던 3세기부터 한반도 남부에 세력권을 두고 있었고, 백제와 신라가 국가로 출발한 4세기 이후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백제와 신라를 附庸國家로 거느렸다고 보았다. 또, 고구려․백제의 멸망은 신라의 ‘반도 통일’을 가져왔고, 이때의 신라를 ‘통일신라’라고 인식하였다. '통일신라'는 이후 고려, 조선으로 이어졌다고 파악하였다. 일본이 전쟁에서 패함으로써, 白鳥의 ‘만선사학’은 현실과 유리되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白鳥는 1942년 돌아갔다. 그래서 그를 “행복한 시대, 행복한 사람”이라고 평했는지도 모르겠다.

      • KCI등재후보

        매튜 본 <백조의 호수>의 문화코드 연구 :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안나용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서 문화 그 자체가 국가경쟁력을 의미하고 주도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기에 현대 관객의 취향에 맞는 문화상품을 만들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예술가들의 중요한 임무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대와 문화의 관계 속에서 창조된 기존의 문화상품으로부터 당대의 특이한 문화코드를 파악해내는 일이 중요하다. <백조의 호수(Swan Lake)>는 19세기에 초연된 이래로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사랑과 구원'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문화코드를 바탕으로 각 시대의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문화코드를 재탄생시키고 있다. 20세기의 문화를 반영하는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는 19세기의 고전 발레 <백조의 호수>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현대적 문화코드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의 문화코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백조'라는 양성성(androgyny)의 인물유형, 1960년대 영국 대중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문화기호들과 그들의 사회문화적 함의인 신화(myth)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금기시된 사랑의 코드,' '풍자 코드,' '탈 고정관념의 코드,' '사실주의적 코드,' '성(sexuality) 코드,' '현실과 이상에 관한 보편적 코드' 등 여섯 가지의 문화코드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이 여섯 가지의 문화코드는 매튜 본 <백조의 호수>의 심층에서 스토리, 구조, 개별적 기호의 설정 등에 관여하면서 작품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19세기의 <백조의 호수>에서 보여주는 단순한 왕자의 사랑과 구원에 관한 이야기와는 차별화된 문화코드로 볼 수 있으며, 양성적 존재로서 한 인간이 성(性)과 계급, 그리고 종(種)을 초월한 자유로운 사랑의 이상을 추구하고 죽음을 통한 비현실의 세계에서 이상을 실현한다는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코드로서 매튜 본 <백조의 호수>는 20세기의 무용문화에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제공한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문화코드는 현대의 관객이 선호하는 핵심적인 문화코드로서 새로운 무용 문화콘텐츠 개발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무용작품을 분석한 논문으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 무용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and it is the age when the culture itself implies and takes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itiative. It is the important duty for the artists to create the economic value of arts by producing the cultural products that fit to the tastes of modern audience, and for the purpose of creation, it is important for them to seize the unique cultural codes from the contemporary and existing cultural products cre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ulture. The <Swan Lake> has been giving rebirth to the cultural code that reflects the cultural specialty of each age on the basis of universal cultural code of mankind, the so-called "Love and Rescue," for more than a century since the first performance in the 19th centur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exists a modern cultural code in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20th century, which is not seen in the <Swan Lake> that shows the classical cultural code of the 19th century. And so,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study the cultural codes of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 of character containing the androgyny of "Male Swan," the various cultural codes reflecting the popular culture of England in 1960s and the myth that contains their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were figured out, and the six types of cultural codes, such as "Code of prohibited love,” “Code of satire,” “Code to break away from fixed ideas," "Code of realism," "Code of sexuality," and "Universal codes for reality and ideal,"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six types of cultural codes prescribe the identity of the work, engaging in the story, structure and establishment of individual codes at the depth of the Matthew bourn's <Swan Lake>. This shall be identified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code from the simple story of love and rescue of a prince presented in the <Swan Lake> of 19th century, and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may be called the cultural contents that provide the dance culture of 20th century with a new cultural significance, setting up an cultural code in which a human of androgynous existence seeks the ideal love that transcend the sex, class and species and realizes the ideal in the unrealistic world through death. Therefore, the cultural code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the base of the development of new dance culture contents, playing the role of the core cultural code that the modern spectators lik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resentation of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analysis standard and provid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interpretation for the dance works as it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dance works from the view point of cultural semiotics.

      • KCI등재

        신성한 루터 만들기 -16~17세기, 루터 백조 이미지에 대하여-

        오종현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5 No.-

        ‘메시지 생산자들이 어떻게 한 목소리를 내는가?’는 종교개혁의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물음이다. 종교개혁 초기에 텍스트 제공자인 메시지 생산자들은비균질적 목소리를 냈다. 따라서 루터와 그를 따르는 무리 사이에 많은 불협화음이 나타났으며, 심지어는 칼슈타트나 뮌처 같은 극단적인 형태로 표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텍스트 생산자들은 일정한 형태의 균질한 메시지를 산출해냈다. 이러한 균질성의 출현 배경에는 루터의 엄청난 메시지 생산량과 종교개혁 내에서 그가 지닌 특별한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많은 메시지와 시각 이미지들이 루터에게 특별함을 부여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시각 이미지가 ‘백조’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루터를 상징하는 시각 이미지로 백조가 정의된 것은후스의 예언에서 기인한다. 예언에 따르면 후스는 자신이 화형을 당하기 직전에 자신은 불에 타서 사라지지만 100년 뒤에 불에 타지 않는 백조가 나타날것이고, 누구도 그 노래 소리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후스의 죽음 이 후 100여년이 지나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하였다. 그리고 이후루터의 목소리는 후스의 예언처럼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루터를 신성한 존재로 묘사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후스의 예언또한 시각 이미지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종교개혁 동안 메시지 생산자들은 중세시기에 성인을 신성화한 시각 장치를 루터에게 적용하였다. 예를 들어 루터의 이미지 속에서 비둘기와 후광이 등장하였으며, 루터를 적대하는 세력들은종종 비인간화하였다. 이들은 종종 개・돼지・사자・염소 등의 동물로 비유되었으며, 심지어는 악마 그자체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이 가운데 루터는 개혁을방해하는 부정적인 대상들을 제압하고, 이들에게서 승리하는 존재이자, 무지한 대중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인도자적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백조 이미지는 루터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중세적 요소가 아닌262 역사학연구 제45집창조적 요소로 등장했다. 메시지 생산자들은 루터를 예언된 존재로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종교개혁의 당위성을 부여했다. 루터에게 신성성을 부여할 수있는 새로운 이미지의 출현은 다수의 메시지 생산자들에게 환영받았고, 이후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다. 종교개혁을 기념하여 발행한 메달과 루터 초상화들, 그리고 많은 서적에 삽입된 이미지 속에서 백조 혹은 거위가 꾸준히 등장하였다. 더불어 루터의 백조 이미지는 등불을 밝히는 모티프와 같은 제3의 모티프들과 백조 이미지가 결합하여 신성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현재에 이르러 루터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백조 상징은 광범위하게 알려진시각 이미지이다. 백조 이미지는 루터파 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이를 통해 ‘예언된 존재’라는 신성성 부여의 방식이 고스란히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용의 이면에는 종교개혁 이후 루터에게 신성성을 부여하려는 메시지생산자의 일련의 노력들이 ‘백조’라는 상징물로 집약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없을 것이다. ‘How can the message producers make similar sounds in the Reformation age?’ is a very important question in the Process of Reformation. The message producers in the early Reformation make disharmony. Sometimes, Luther is in discord with his followers. Particularly, Karlstadt and Müntzer are opposed to Luther. But, in the efforts, the message producers produce similar messages and tones for Reformation. The background of homogeneity is an output of Luther’s message and the special position in the Reformation. In this time, many messages and visual images give a special position to Luther. The most popular image is the ‘swan’. The well known ‘swan’ image originated Hus’s last prophecy. According to prophecy, Hus said, “I was roasted, but in a hundred years a swan would sing to whom they would be forced to listen.” After 100 years,Martin Luther posted his 95 theses, and attack on various ecclesiastical abuses, on the door of the Wittenberg church in Germany. And anyone thereafter can’t prohibit his evangelical sound. In the effort, making Luther’s divine image, Hus’s prophecy appears in the visual image. In the age of Reformation, the message producers use ways to express a saint in the Middle age. For example, a dove and halo appear for Luther, and the painter often expressed a person of anti-Luther to animals such as a dog, sow, lion, goat and so on. Even that directly expresses the pope to the devil. In these visual images,Luther forces the person of anti-Luther, wins at the counterforce, and leads an ignorant people in the wrong faith. 264 역사학연구 제45집The image of Luther’s swan appears not in medieval ways but in new ways at giving Luther to divineness. The message defines Luther as the prophesied man and authorized naturalness for the Reformation. Many message producer welcome the appearance of the new image, which can give Luther to divineness, and consistently re-produce a swan image. The image of a an and gus was used as a commemorative medals of Reformation, Luther’s portrait, and illustrations. Sometimes these images combined the other motifs as Luther of brightening a lamp. In addition,the combined image made a different meanings or enforced the divineness. Now, as expressing Luther, the swan symbol is the visual image that is widely known. The swan image is used actively in Lutheran, so the system of giving divineness as ‘the prophesied man’ is still applied. At the other side of the system, after the Reformation,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effort that the messages producers give a divineness to Luther as a swan symbol.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기반 발레작품 공연의 디지털 시각화 방법: <백조의 호수>공연 중 백조와 흑조를 대상으로

        육지민 국제문화&예술학회 2024 국제문화예술 Vol.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존 전통 발레인 <백조의 호수> 중 백조와 흑조의 솔로 작품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기반미디어 콘텐츠인 디지털로 시각화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과 공연 프로그램, 전문서적등을 통한 질적 연구로 이론적 바탕을 구성한 뒤, 2022년 국립발레단 제191회 정기공연인 <백조의 호수> 공연비디오를 통해 백조와 흑조의 움직임을 분석해 본다. 그 후 백조와 흑조의 솔로 장면을 인공지능 스타일전이(A.I. Style Transfer)로 가상환경을 구축한 뒤 디지털 시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국립발레단의 <백조의 호수>는 2막4장의 작품구조로 이 작품에서는 주역 발레리나가 오데트와 오딜역을 동시에 맡는 1인2역의 역할을 한다. 둘째, 오데트와 오딜은 선과 악의 구조로 이분법적 대립의 캐릭터를 가진다. 순백의 아름다움을 극대화 한 캐릭터인 오데트는 이 작품에서 비련의 주인공이지만 진정한 사랑의 힘으로 마법을 풀고 사랑을 찾는숭고한 이미지를 지닌 캐릭터이다. 반면 악마 같은 어두운 이면을 지닌 오딜은 악의 상징으로 강렬하고 화려한이미지를 지닌 캐릭터이다. 셋째, 두 무용수의 춤의 특질은 오데트가 발끝으로 서서 빠르게 움직이며 우아하고유연한 두 팔의 사용으로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동작의 전환을 이룬다면 오딜은 오데트와 유사한 팔동작을 하지만고난이도 발레 테크닉을 사용하고 있다. 넷째, 인공지능 스타일전이를 활용하여 배경막을 새롭게 창작해 본 결과는 본문의 <그림 5>와 <그림 6>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 스타일전이를 활용한 배경막은 기존의 배경막과는다른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작하고 싶은 배경막의 배경 영상을 촬영하고그 영상에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입힘으로써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결과 영상을 도출해 낼 수 있고, 또 이러한 방법은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결과 영상이 나올 때 까지 실시간으로 반복 학습이 무한으로 가능하다. 그리고디지털 데이터로 보관하기 때문에 이동이 쉽고 간편할 뿐 아니라 제작 기간이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lo performance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from the traditional ballet Swan Lake and to digitally visualize them as AI-based media content. Method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literature, performance programs, and professional boo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Subsequently, it analyzes the movement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through the video of the 191st regular performance of Swan Lake by the Korean National Ballet in 2022. Afterward, the study presents methods to digitally visualize the solo scene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by constructing a virtual environment using AI Style Transfer. Result: First, the Korean National Ballet’s Swan Lake is structured in four acts and two scenes, with the lead ballerina performing a dual role as Odette and Odile. Second, Odette and Odile ar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Odette, a character that maximizes pure beauty, is the tragic heroine who, through the power of true love, breaks the spell and finds love, embodying a sublime image. In contrast, Odile, with her dark, devil-like nature, symbolizes evil with a strong and glamorous image. Third, the danc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ancers are distinct: Odette moves quickly on pointe with elegant and flexible arm movements, achieving smooth transitions, while Odile, although having similar arm movements to Odette, employs more advanced ballet techniques. Fourth, the results of creating new backdrops using AI Style Transfer are shown in Figures 5 and 6 of the main text. Conclusion: The backdrop created using AI Style Transf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different from traditional backdrops, allowing for unique and creative expression. By filming the desired background video and overlaying it with the desired style image, one can produce the intended visual results. Additionally, this method allows for unlimited real-time iterative learning until the desired result is achieved. Moreover, since it is stored as digital data,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transport, and it can reduce both production time and costs.

      • 인공지능 기반 발레작품 공연의 디지털 시각화 방법: <백조의 호수>공연 중 백조와 흑조를 대상으로

        육지민 ( Yuk Je-min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4 국제문화예술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존 전통 발레인 <백조의 호수> 중 백조와 흑조의 솔로 작품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콘텐츠인 디지털로 시각화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과 공연 프로그램, 전문서적 등을 통한 질적 연구로 이론적 바탕을 구성한 뒤, 2022년 국립발레단 제191회 정기공연인 <백조의 호수> 공연 비디오를 통해 백조와 흑조의 움직임을 분석해 본다. 그 후 백조와 흑조의 솔로 장면을 인공지능 스타일전이(A.I. Style Transfer)로 가상환경을 구축한 뒤 디지털 시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첫째, 국립발레단의 <백조의 호수>는 2막4장의 작품구조로 이 작품에서는 주역 발레리나가 오데트와 오딜역을 동시에 맡는 1인 2역의 역할을 한다. 둘째, 오데트와 오딜은 선과 악의 구조로 이분법적 대립의 캐릭터를 가진다. 순백의 아름다움을 극대화 한 캐릭터인 오데트는 이 작품에서 비련의 주인공이지만 진정한 사랑의 힘으로 마법을 풀고 사랑을 찾는 숭고한 이미지를 지닌 캐릭터이다. 반면 악마 같은 어두운 이면을 지닌 오딜은 악의 상징으로 강렬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지닌 캐릭터이다. 셋째, 두 무용수의 춤의 특질은 오데트가 발끝으로 서서 빠르게 움직이며 우아하고 유연한 두 팔의 사용으로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동작의 전환을 이룬다면 오딜은 오데트와 유사한 팔동작을 하지만 고난이도 발레 테크닉을 사용하고 있다. 넷째, 인공지능 스타일전이를 활용하여 배경막을 새롭게 창작해 본 결과는 본문의 <그림 5>와 <그림 6>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 스타일전이를 활용한 배경막은 기존의 배경막과는 다른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작하고 싶은 배경막의 배경 영상을 촬영하고 그 영상에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입힘으로써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결과 영상을 도출해 낼 수 있고, 또 이러한 방법은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결과 영상이 나올 때 까지 실시간으로 반복 학습이 무한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로 보관하기 때문에 이동이 쉽고 간편할 뿐 아니라 제작 기간이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lo performance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from the traditional ballet Swan Lake and to digitally visualize them as AI-based media content. Method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literature, performance programs, and professional book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Subsequently, it analyzes the movement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through the video of the 191st regular performance of Swan Lake by the Korean National Ballet in 2022. Afterward, the study presents methods to digitally visualize the solo scenes of the White Swan and the Black Swan by constructing a virtual environment using AI Style Transfer. Result: First, the Korean National Ballet’s Swan Lake is structured in four acts and two scenes, with the lead ballerina performing a dual role as Odette and Odile. Second, Odette and Odile ar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Odette, a character that maximizes pure beauty, is the tragic heroine who, through the power of true love, breaks the spell and finds love, embodying a sublime image. In contrast, Odile, with her dark, devil-like nature, symbolizes evil with a strong and glamorous image. Third, the danc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ancers are distinct: Odette moves quickly on pointe with elegant and flexible arm movements, achieving smooth transitions, while Odile, although having similar arm movements to Odette, employs more advanced ballet techniques. Fourth, the results of creating new backdrops using AI Style Transfer are shown in Figures 5 and 6 of the main text. Conclusion: The backdrop created using AI Style Transf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different from traditional backdrops, allowing for unique and creative expression. By filming the desired background video and overlaying it with the desired style image, one can produce the intended visual results. Additionally, this method allows for unlimited real-time iterative learning until the desired result is achieved. Moreover, since it is stored as digital data,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transport, and it can reduce both production time and costs.

      • KCI등재

        백조목 변형: 유발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한 종설

        Cheungsoo Ha,Chae Kwang Lim,이준구,Soo-Hong Han,박종웅 대한수부외과학회 202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8 No.1

        백조목 변형은 근위 지관절의 과신전 및 원위 지관절의 신전 제한으로 백조의 목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데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은 외상에 의한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만성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한 이차적인 변형이 흔하다. 백조목 변형은 수부외과 의사가 경험할 수 있는 증례가 제한적이고 현재까지도 치료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 치료하는 의사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본 종설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조목 변형의 원인들과 그 치료법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백조목 변형의 치료를 결정할 때는 변형의 원인, 변형까지의 경과 시간 및 단계, 인접한 관절들 간의 생역학적인 관련성, 환자의 기능적 제한점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비수술적 혹은 수술적 치료 중 적절한 술기를 선택해야 하며, 환자에게 항상 최선의 결과가 보장되는 것이 아님을 치료 전에 충분히 설명하여야 하고,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충분한 이해와 협조가 동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백조가극단의 가극 연구 - <항구의 일야(一夜)>, <눈 나리는 밤>을 중심으로

        정명문 한국극예술학회 2012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7

        A music drama(Ak-gŭk) had been played with various types from 1920’s to mid 1950’s and it was a genre which had highly been enjoyed by the audie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itial works on the stage of “Swan Opera Company(Baek-jo gageuk-dan)” including <One Night at the Harbor> and <Snowy Nights>. These two works were created several times in the order of phonographic record, a Music drama(Ak-gŭk) and movies for 20 years from 1930’s to the end of 1950’s. The repertories of “Swan Opera company(Baek-jo gageuk-dan)” started from gramophone dramatization, which shows one flow of Music drama(Ak-gŭk) based on popular songs. <One Night at the Harbor> showed one type of music drama(Ak-gŭk) which promotes popular songs. <Snowy Nights> was made based on <Punished Mother> which dramatized Yamamoto Yuzo's <Infanticide> and this could be told to be a type that used a family tragedy as a material of a Music drama(Ak-gŭk). “Swan Opera Company” was mostly played with the names of a compassion tragedy and a tragic opera. <One Night at the Harbor> described a wife’s sacrifice for her husband and <Snowy Nights> described a mother’s agony, and these works emotionally described women’s agonies during the period of men’s absence and accordingly gained much popularity. Theme songs of two music dramas(Ak-gŭk) last about one minute and function as telling about the start and the end of the opera. Theme songs have the lyrics which summarized the entire opera and reflected the musical scales of popular songs as much as possible. In the operas of “Swan Opera Company(Baek-jo gageuk-dan)”, actors didn’t sing a song. Songs created the atmospheres and there were special individual singers. This shows some implications in that several popular songs are inserted during the intermission. <One Night at the Harbor> and <Snowy Nights>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Swan Opera company”, and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the application of songs and the subjects, it shows one type of operetta which uses popular songs. 악극은 1920년대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다양한 형태로 공연되었으며, 관객 선호가 높았던 장르였다. 본고는 백조가극단의 초창기 작품 <항구의 일야>, <눈 나리는 밤>을 분석하였다. 이 두 작품은 1930년대부터 1950년대 말까지 20여 년 간 유성기음반, 악극, 영화의 순서로 여러 번 재생산 되었다. 백조가극단의 레파토리는 유성기 극반 각색물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가요를 토대로 한 악극의 한 흐름을 보여준다. <항구의 일야>는 대중 가요를 홍보하는 악극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눈 나리는 밤>은 야마모토 유조의 <영아살해>를 각색한 <벌 밧는 어머니>를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가정 비극이 악극의 소재로 활용된 형태라 하겠다. 백조가극단은 대부분 인정(人情)비극, 비가극이란 명칭을 붙이고 공연하였다. <항구의 일야>는 남편을 위한 여자의 희생을, <눈 나리는 밤>은 어머니의 고통을 그렸는데, 이는 남성부재의 시기동안 여성들의 고통을 감상적으로 그려내어 관객들의 인기를 끌었다. 두 악극에서 나오는 주제곡은 1분 내외의 길이로, 극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주제곡은 극 전체를 요약한 가사였으며, 유행가의 음계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백조가극단의 작품에서 노래는 연기 하는 배우가 부르지 않았다. 노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으며, 가수가 따로 있었다. 이는 주제곡 외에 대중가요가 막간에서 여러 곡 활용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 <항구의 일야>와 <눈 나리는 밤>은 백조가극단의 대표적인 작품이었고, 그 형성과정, 노래 활용, 주제 등을 보았을 때, 유행가요를 활용한 악극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