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白花道場發願文』의 願에 대한 고찰

        전호련(해주),김호성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본고는 의상(625-702)이 지었다고 전하는 白花道場發願文 의 願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백화도량발원문 은 관음대성을 본사로 모시고 본사와 같아지기를 원하며, 관음대성이 계시는 백화도량에 왕생하기를 발원한 것이다. 그런데 이 발원문은 그 전문이 온전하게 전하지는 않는다. 고려의 木庵體元이 1328년에 集解한 백화도량발원문약해 의 主文이 현행본 백화도량발원문 으로서 유일한 것이다. 그 판본은 해인사 사간장경속에 간직되어져 오늘에 이르렀는데 약해 (총 20장)의 제5장과 제7장은 결락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결락된 약해 부분에 해당하는 발원문의 분과와 내용을 추정하여 보완해보고, 발원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원의 내용에 담긴 의미를 조명하며, 그와 아울러 발원자와 귀의 대상인 관세음보살의 제자와 스승의 관계를 함께 종합해서 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그 원의 특징을 ‘觀音菩薩의 華嚴行願’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그간의 연구는 발원문의 특징을 통틀어 ‘관음신앙’이라고 한 것에서 벗어나지 아니하였다. 필자는 이를 수용하면서 발원문의 특징을 ‘信仰’이라기보다 ‘行願’으로 보는 것이 더 적확하다고 판단하여 관음보살의 대비행원으로서의 화엄행원으로 본 것이다. 백화도량에 상주하는 관음진신이 발원제자의 대비행원으로 중생 앞에 나타날 때 낙산의 백화도량이 온 법계로 넓어지고, 제자 의상의 발원이 신라만이 아니라 법계 일체중생의 발원이 되어서, 관음보살의 대자대비한 화엄행원이 끝없이 펼쳐진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vow in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白花道場發願文), written by Uisang (625-702).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is a supplication that pays homage to Avalokitesvara as a Buddha whom we aspire to become, and vows for rebirth in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the dwelling place of Avalokitesvara. However, the original text has not been transmitted intact. The Explanation of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白花道場發願文略解) contained in a compendium compiled in Goryeo in 1328 by Mokam Chewon is the only extant version of the text. This xylographic text is preserved at Haein Temple in the Haeinsa Sutra Collection (寺刊藏經), but pages five and seven the of the twenty-page text are missing. In this study, first the content of the missing pages from the Explanation is inferred so as to complete the parts of the text that comprise the vow and elucidate its meaning. In addition a special feature of the vow,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e (the one making supplication) and the master (Avalokitesvara, the object of reverence) is synthesized, is examined. Next,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this vow is design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s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觀音菩薩의 華嚴行願).’ In total, research to date does not extend beyond characterization of this as ‘faith in Avalokitesvara (觀音信仰).’ While the author accepts this, it is concluded that rather than ‘faith’,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vow in this text is ‘vow to practice’ in which Avalokitesvara’s vow to practice great compassion is seen as the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Through the vow of the supplicant to practice great compassion, when the true body of Avalokitesvara appears before sentient beings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expands to fill the whole dharma realm. The vow of Uisang then becomes not just one of faith, but that of all sentient beings in the dharma realm, such that Avalokitesvara’s greatly loving and compassionate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stretches out endlessly.

      • KCI등재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정병삼(Jung, Byung Sam) 韓國佛敎硏究院 2011 불교연구 Vol.34 No.-

        『白花道場發願文略解』는 고려 후기에 體元이 신라 의상이 지은 것으로 전승되던 『白花道場發願文』을 해석한 책이다. 그동안 20장 분량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2장이 결실되어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그 내용이 수록된 판본이 발견되어 全文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 전문과 체원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 전문의 내용을 확인 검토하였다. 全文을 살펴본 『백화도량발원문』 은 일반적인 고난 구제가 아니라 관음을 지성으로 따르며 백화도량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발원문이었다. 체원은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주로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경전은 80화엄을 주 대본으로 하고 논소는 징관의 『華嚴經疏』?를 많이 인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는 白花道場의 어의적 해석을 위해 그 대본을 인용했기 때문이었다. 발원문의 圓通三昧나 大圓鏡智관음의 大慈悲등과 관련하여 『능엄경』을 전거로 해석하였다. 또 관음과 발원제자가 결국 평등한 체성으로 귀착된다는 것은 『일승법계도』 등 신라 화엄 전적을 중점 인용하여 설명하고 전체적으로는 법장의 저술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이러한 체원의 해석 경향은 발원문 구절을 충실히 따르면서 그에 적합한 전거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경전과 논소를 인용한 데 따른 것이었다. 체원이 화엄의 구도적 실천신앙을 표방하면서도 백화도량에 왕생하고자 발원문을 해석하여 널리 알리고자 한 것은 고려 후기에 보편적이던 정토왕생의 희구에 대한 화엄적 대안이었다. 체원은 의상과 의상계 화엄을 계승하여 『백화도량발원문』 의 관음신앙을 해석함으로써 고려 후기 화엄교단의 사상적 전통을 명확히 하고 화엄교단의 관음신앙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is presumed to Euisang, shows that he prayed for Avalokitesvara.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 to rebirth in Potalaka Land, the Pure Land of Avalokitesvara. Baekhwa 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tation of Baekhwa doryangbalwonmun. Chewon interpreted this book with quoting the works of E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He cited 3 versions of Avatamsaka sutra, 80 volumes, 40 volumes and 60 volumes, and quoted Huayanjingshu of Chengguan most frequently. He presented Shoulengyanjing to explain the meaning of wontongsammae, daewongyeongji and the great mercy. All these quotations were based on his effort to try to explain the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other hand he quoted the Silla Hwaeom works like I lseungbeopgyedo to explain Avalokitesvara and prayer concluded equal nature. Like this, Chewon tried to explain the Baekhwadoryangbalwonmunr's phrase accurately through presenting various suitable works. Chewon explained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Baekhwadoryangbalwonmun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Hwaeom school which was continued since Silla. Thus he tried to determine the tradition of thought of Hwaeom school in late Goryeo, and establish the Avalokitesvara belief which leads to Potalaka Land.

      • KCI등재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최은령 ( Eun Ryung Choi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1658년) 및 중수(1693년) 발원문이 출토되어,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조선시대 17세기 후반경의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후기 17세기 불상과 양식적 공통점을 찾기 어렵고 조성당시 조각승의 수장이었던 희장(熙藏)의 다른 작품과도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도상특징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불상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밝히고 발원문에 기재된 조각승의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불상과 발원문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선암사 불상은 고려후기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조선전기 15세기 불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의 발원문은 원문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산 선암사에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하고 중수하면서 작성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아미타불상은 1658년에 가덕진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盧즙) 노즙(盧즙)을 위시하여 총 89명의 시주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조각승으로 활약했던 희장을 중심으로 6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1693년 중수에서는 총25명의 시주와 조각승 2인이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선암사 불상과 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은 동일한 제작시기의 것이 아니며, 발원문은 지금의 불상이 아닌 1658년에 부산 선암사에 봉안되었던 아미타불상의 복장발원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의 연구는 조선시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작품과 복장에서 출토된 17세기의 발원문을 통해서, 조각사·문헌사·인물사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조각승 희장과 관련해서 현존작품 이외에도 1658년에 부산 선암사 아미타여래상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부산지역의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불상의 계보와 선암사에 봉안된 연유에 관해서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A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of Sunamsa temple has been enshrined as a central buddha of the main building at Sunamsa temple and have been discoverd that it was made in 1658 and reconstructed in 1593,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around the late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votive documents(發願文). On this thesis, I want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 upon it relationship with the statue itself and votive documents and need to confirm the date it was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reflected this work was influenced by the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scent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with its expressions, clothes, wrinkles as well as its brush techniques. Furthermore, these two votive documents was concluded that Amitabha Buddha was constructed at Busan Sunamsa temple. In other words, Amitabha Buddha was made in 1658 with the donation of 89 people along with No Jeop(盧즙), Navy General(水軍僉節制使) of Busan Gadeokjin(加德鎭) and the reconstruction in 1693 was with the donation of 25 people including 2 sclptures. In the conclusion, votive documents was not of current Busan Sunamsa temple and it was originally from Amitabha Buddha which had been placed at Sunamsa temple. The research of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Sunamsa temple and votive documents was to introduce the new styles of buddhist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type of votive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sclptures` names which could be the key note for the study on the sculptures and various areas. In particular, although any works have not been found by Hee Jang(熙藏), the main sclpture of Busan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so far, new data has been discovered which is votive documents of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This figure of Sunamsa temple is the oldest wooden buddhist sculp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nshrined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fterwards.

      • KCI등재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

        최은령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A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of Sunamsa temple has been enshrined as a central buddha of the main building at Sunamsa temple and have been discoverd that it was made in 1658 and reconstructed in 1593, assuming that it was created around the late of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votive documents(發願文). On this thesis, I want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 upon it relationship with the statue itself and votive documents and need to confirm the date it was constructed. As a result, it was reflected this work was influenced by the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descented from the late Goryeo Period with its expressions, clothes, wrinkles as well as its brush techniques. Furthermore, these two votive documents was concluded that Amitabha Buddha was constructed at Busan Sunamsa temple. In other words, Amitabha Buddha was made in 1658 with the donation of 89 people along with No Jeop(盧濈), Navy General(水軍僉節制使) of Busan Gadeokjin(加德鎭) and the reconstruction in 1693 was with the donation of 25 people including 2 sclptures. In the conclusion, votive documents was not of current Busan Sunamsa temple and it was originally from Amitabha Buddha which had been placed at Sunamsa temple. The research of wooden figure of seated Amitabha Buddha in Sunamsa temple and votive documents was to introduce the new styles of buddhist art work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type of votive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as well as the sclptures' names which could be the key note for the study on the sculptures and various areas. In particular, although any works have not been found by Hee Jang(熙藏), the main sclpture of Busan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so far, new data has been discovered which is votive documents of Sunamsa temple Amitabha Buddha. This figure of Sunamsa temple is the oldest wooden buddhist sculp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enshrined reasons would be considered afterwards.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불상의 복장에서 조성(1658년) 및 중수(1693년) 발원문이 출토되어,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조선시대 17세기 후반경의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후기 17세기 불상과 양식적 공통점을 찾기 어렵고 조성당시 조각승의 수장이었던 희장(熙藏)의 다른 작품과도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도상특징과 제작기법을 살펴보고 불상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암사 불상의 제작시기를 밝히고 발원문에 기재된 조각승의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불상과 발원문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선암사 불상은 고려후기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조선전기 15세기 불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의 발원문은 원문의 분석을 통해 현재의 부산 선암사에서 아미타불상을 조성하고 중수하면서 작성되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아미타불상은 1658년에 가덕진의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盧濈) 노즙(盧濈)을 위시하여 총 89명의 시주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조각승으로 활약했던 희장을 중심으로 6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1693년 중수에서는 총25명의 시주와 조각승 2인이 참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선암사 불상과 복장에서 출토된 발원문은 동일한 제작시기의 것이 아니며, 발원문은 지금의 불상이 아닌 1658년에 부산 선암사에 봉안되었던 아미타불상의 복장발원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부산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발원문의 연구는 조선시대 15세기에 조성된 불상작품과 복장에서 출토된 17세기의 발원문을 통해서, 조각사·문헌사·인물사적으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조각승 희장과 관련해서 현존작품 이외에도 1658년에 부산 선암사 아미타여래상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현재 부산지역의 조선시대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불상으로, 불상의 계보와 선암사에 봉안된 연유에 관해서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갑사 소조보살입상 腹藏 백지묵서사경 고찰 試論 - 일승법계도와 표훈대덕발원문을 중심으로 -

        문상련(정각)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6 No.-

        필자는 「공주 갑사 소조(塑造) 보살입상 복장(腹藏) 유물」 중 1617년 <복장발원문>과 1388년 필사된 <백지묵서 사경(寫經)>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고찰을 행하였다. <백지묵서 사경>의 경우 『육경합부』 형식의 시원적(始原的)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안에 실린 「표훈대덕(表訓大德)발원문」은 최초 발견된 신라 고승의 저술로 추정되는 것으로 중요 의미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백지묵서 사경>에 담겨진 의상(義湘)의 「일승법계도」 및 표훈(表訓)의 「표훈대덕발원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의상의 「일승법계도」 해석상의 몇몇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한편 「표훈대덕발원문」 분석과 고찰을 통해서는 발원문에 깃든 표훈의 사상적 저변을 추론할 수 있었다. 결과, 표훈의 「표훈대덕발원문」은 형식구조상 ⑴상품상생원(上品蓮華生願)과 ⑵재생보살도원(再生菩薩道願)이라는 두 축이 바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 「표훈대덕발원문」에는 유가대덕(瑜伽大德)으로서 표훈의 유식학적 견해의 수용과, 의상의 10대 제자이자 동료였던 의적(義寂)과의 관련 속에 습득되었을 정토사상의 수용 양상, 의상계 화엄종파의 일원으로서 수용했으리라 여겨지는 『화엄경』 회향의 정신, 그리고 『법화경』의 서원 등이 발원문에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edicatory prayers text written in 1617 and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in 1388 among the “relics inside the Terracotta Bodhisattva Statue of Gapsa Temple” in Gongju.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is the first example of “Yukgyeonghapbu(six sutras)” format, and its dedicatory prayers text by Pyohun Daeduk holds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first discovery of writing by prominent monks during the Silla Dynasty. The investigator examined Uisang’s “Ilseoungbeopgye-do(Beopseonggye)” and Pyohun’s “Pyohun Daeduk’s dedicatory prayers text” in the manuscript sutra written on white paper and pointed out a few problems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and inferring Pyohun’s ideological origin in his dedicatory prayers text from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latter. The findings show that Pyohun’s “Pyohun Daeduk’s dedicatory prayers text” was, in terms of formal structure, based on two axes that included ⑴ prayers, birth on lotus and ⑵ prayers, re-birth and going forward to Bodhisattva Path. In terms of content, the text contained Pyohun’s views and acceptance of Yogācāra ideology as a Yogācāra Ācārya; his acceptance pattern of Pure Land Ideology, which he must have acquired in his relationships with Euijeok, one of Uisang’s ten major pupils and his colleagues; his spirit of merit transference, which he seemed to have accepted as a member of Uisang’s Avatamska sect; and the great wish of “Lotus Sutra.”

      • KCI등재

        관음에 대한 체원(體元)의 이해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중심으로-

        김현정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2

        Chewon was a Buddhist priest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Avatamska order during the second half of Goryeo. His Baekhwadoryangbalwonmun Yakhae made Baekhwadoryangbalwonmun by Uisang of Silla known to the world. Meaning a brief interpretation, Yakhae is an annotation book for Baekhwadoryangbalwonmun and offers a chance to examine Uisang's Avalokitesvara belief through Chewon's commentaries. The book also helps readers approach Chewon's understanding of Baekhwadoryangbalwonmun by examining how he understood and unraveled it. His Yakhae consists of a total of 20 chapters and can be mostly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and main body. In the introduction, Chewon introduced Uisang's biography by quoting Choi Chiwon's Uisangbonjeon. In the main body, he offered his commentaries about the title and body of Baekhwadoryangbalwonmun. This study examines the front part of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corresponds to the devotion in the title and body. As the title indicates, Baekhwadoryangbalwonmun presents "Baekhwadoryang," the main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the object that the prayer is devoted to. By first looking into Avalokitesvara's Daewongyeongji and his pupil's Seongjeongbongak, Uisang states that even though a saint and an ordinary person share no same Uibo and Jeongbo, they remain within the single Daewongyeong. His viewpoint represents the wisdom of the subject who looks into them. The wisdom includes the practice of "Ji" at the stage of discarding delusions and obsessions, being clear like the air, and having no obstacles. When one looks in this true outlook, Avalokitesvara's Daewongyeongji and his pupil's Seongjeongbongak understand each other since they are both Seonggibeopseong. As a consequence, the master (Avalokitesvara) and his pupil (Uisang) achieve Yungseop and become one without even leaving their respective places, which eliminates any distin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of devotion. In conclusion, the examination of Avalokitesvara by Chewon was not to save people but to perform the path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by staying at Baekhwadoryang and explaining Buddhist writings. His pupil, who is an ordinary person to do Balwon, is no different from Avalokitesvara. 체원은 고려 후기 화엄교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승려로 신라 의상(義相)의 「백화도량발원문」이 그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간략한 해석이라는 뜻의 『약해(略解)』는 「백화도량발원문」의 주석서로 체원의 해설을 통해 의상의 관음신앙을 살펴볼 수 있으며, 체원이 어떻게 이해하고 풀어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발원문에 대한 체원의 이해에도 접근할 수 있다. 『약해』는 총 2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서론과 본론으로 나눌 수 있다. 체원은 서론에서는 최치원의 「의상본전(義相本傳)」을 인용하여 의상의 전기(傳記)를 소개하였고, 본론에서는 「백화도량발원문」이라는 제목과 본문을 해설하였다. 이 글에서는 제목과 본문에서 귀의에 해당하는 발원문의 앞부분을 살펴볼 것이다. 발원문에서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세음보살의 주처(住處)인 ‘백화도량’을 발원자가 귀의하는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의상(義相)은 관음(觀音)의 대원경지와(大圓鏡智)와 제자의 성정본각(性靜本覺)을 먼저 관(觀)함으로써 성인과 범부가 비록 의보(依報)와 정보(正報)는 같지 않지만 하나의 대원경(大圓鏡)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때의 관(觀)은 관하는 주체의 지혜로서 망상과 집착을 여의고 허공과 같이 청정하여 걸림이 없는 경지로 ‘지(止)’의 실천을 포함한 지혜이다. 이러한 진관(眞觀)으로 관(觀)하면 관음의 대원경지와 제자의 성정본각은 성기법성(性起法性)이어서 서로 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승[관음]과 제자[의상]는 각자의 자리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융섭하여 하나가 되므로 귀의의 대상과 귀의의 주체라고 할 것도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체원이 바라본 관음은 백화도량에서 머물며 대비행 법문을 설해 중생을 구제하고 보살도를 행하는 분이 아니다. 발원을 하는 범부인 제자 또한 관음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 KCI등재

        한암(閑庵) 보환(普幻)의 행적과 서산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최연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4 동국사학 Vol.80 No.-

        이 글에서는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에서 수습된 문자자료와 보환이 편찬한 『수능엄경환해산보기』 서문ㆍ발문ㆍ지문의 내용을 토대로 고려후기 『능엄경』의 대표적 학승이었던 한암 보환의 행적과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 수보에서그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환은 13세기초에 출생한 것으로 보이며 젊어서 『능엄경』을 공부하였고, 이후 여러 생에 걸쳐 『능엄경』을 연구할 것을 서원하는 <홍전수능엄경발원문>(1257 년)과 여러 사람들에게 함께 불법을 공부하고 수행하여 깨우침을 얻은 후 이를 세상에 가르침을 펴자고 권유하는 <구결도우문>(1264년)을 지었다. 그리고 1265년에 노산현의 귀로암에서 『능엄경』을 강의하고, 그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주석서들의 오류를 바로잡은 『산보기』를 편찬하였다. 이와 함께 『능엄경』의 과문을 새롭게 정리한 『(능엄경)신과』도 편찬하였다. 그후 1276년 합천 몽계사에서 열린 능업법회의 주맹을 맡은 다음 호주(=서산) 개심사로 옮겨 지냈는데, 이 시기에 석가여래와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및 관음ㆍ대세지 두 보살을 염불하여 깨달음을 추구할 것을 촉구하는 <권념삼불이보살발원문>을 작성하였다. 1278년에는 충렬왕의 초청으로 왕궁에서 설법하였고 그 직후에는 원나라 수도에 가는 국왕의 안녕을 빌기 위해 개최된 능업법회의 주맹을 맡게 되었다. 충렬왕은 1279년 원에서 무사히 돌아온 후 보환의 『산보기』를 경상수보도감에서 간행하게 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1280년 보환이 머물고 있던 개심사의 아미타좌상이 승재색의 주관으로 수보되었다. 아미타여래좌상에 들어 있는 보환이 작성한 두 통의 발원문에는 경상수보도감 과 승재색의 관원들을 비롯한 수백 명의 동참자들이 서명하고 있는데, 승려와 재가자, 남성과 여성, 관료와 일반인들의 이름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 발원문들은 13세기 후반 고려 불교계의 신앙 모습을 보여주는 1차 자료라서, 14세기의 불상 복장에서 수습된 발원문들의 선구적 모습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Hanam Bohwan and his influence on the repair of the Amitabha statue in Gaesim-sa through the records found in the statue and the preface and postscripts in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 When young, Bohwan studied the Surangama-sutra and could not be content with the explanations in the commentaries on the sutra. So he decided to devote the rest of his life as well as next lives until he could had perfect understanding on the deep meaning of it and compose a correct commentary. He wrote his decision in two prayers, the Wish for the wide spread of the Surangama-sutra in 1257 and the Call for the practicing colleagues in 1264. In 1265 he had the chance to give a lecture on the sutra at the Gwiro-am in Ok-gwa prefect, when he made correction notes on the most influential commentary at the time, the Jie-Huan’s Commentary written in China in the 12th century. And after the lecture he wrote his own commentary based on the notes, the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and the New Text Analysis of the Surangama-sutra. In 1276 Bohwan presided over the Surangama-sutra lectures held at the Mongye-sa in Hapcheon prefect, where he met the prince monk Gyeongji who was moved by his lecture and helped the publication of his New Text Analysis of the Surangama-sutra. After then Bohwan moved to the Gaesim-sa in Seosan prefect, where he wrote the Prayer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Invocation to Three Buddhas and Two Bodhisatvas which recommended the prayer to the Shakamuni, Amitabha and Bhaisajyaguru buddhas as well as Avaokitesvara and Mahasthama- prapta boddhisatvas to get the enlightenment. In 1278 he was invited to the royal palace to give a sermon to King Chung-ryeol, and appointed to the presider for the Surangama-sutra lectures held in the Capital for the safety of King’s trip to the palace of Yuan. Bohwan might have been introduced to the King by KIng’s favorite monk Jo-yeong, who had lived near Ok-gwa prefect and had acquainted with Bohwan. Jo-yeong also asked the preface of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to a famous scholar in 1275 when Bohwan prepared the publication. After his safe return to Korea, King Chung-ryeol ordered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to publish Bohwan’s Adding and Elimination of the Jie-Huan’s Commentary in 1279. In 1280 the Seungjaesaek (Office for Monks’ Meals), the successor or a sub-organization of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repaired the Amitabha statue in the Gaesim-sa, where Bohwan resided. In Bohwan’s prayers found in the Amitabha statue hundreds of co-prayers including the officials of the Sutra and Statue Repair Office and the Seungjaesaek, signed their names. We can find monks and commoners, male and female in the names. As the earlier models for the 14th century prayers found in the Buddha statues, these prayers are the first hand materials on the 13th century Buddhist beliefs in Korea.

      • KCI등재

        도봉산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 연구

        최선일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90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 도봉산 천축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의 양식적 특징과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추정해 보았다. 이 목조삼존불좌상은 2013년에 서울특별시 문화재 지정조사를 계기로 내부 복장물을 확인하게 되었다.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은 두 종류로, 목조삼존불좌상을 개금한 발원문과 다른 석가삼존불을 조성한 발원문이다. 목조삼존불좌상은 중형 불상으로 머리를 앞으로 약간 내밀어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오른손은 바닥을 향해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고, 따로 제작된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둥글게 맞대고 있다.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완만하게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하반신에 펼쳐져 있다. 왼쪽 어깨에 대의자락이 한 가닥 수직으로 흘러내려 끝단이 둥글게 마무리되었다. 하반신에 걸친 대의자락은 복부에서 오른쪽으로 몇 가닥이 완만하게 펼쳐지고, 가장 안쪽 옷주름은 두툼하게 접혀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僧脚崎는 상단이 수평으로 마무리되고, 대각선으로 접혀 있다.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 두 장은 1713년에 북한산 노적사에서 불상을 개금한 내용과 1735년에 북한산 서봉사에서 불상을 조성한 기록으로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의 정확한 조성 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1713년 개금발원문에 “萬曆造成三尊”이라는 언급이 있어 1573년부터 1619년 사이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불상이 주로 제작되는 상황을 근거로 17세기 초반에 활동한 조각승의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1610년대에 각민이나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하였다는 결론을 유추하였다. 사적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각승 覺敏은 1605년에 전주 위봉사 북암 목조보살입상 4구를 만들 때 上金 施主로 참여한 후, 1605년에 수화승 원오를 따라 완주지역 불상을 제작하고, 1606년에 수화승으로 공주 동학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조성한 후, 1614년에 수화승으로 전남 순천 송광사 대웅전 삼존불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임진왜란 기간에 소실된 순천 송광사 중창에 참여한 것으로 보아 부휴선수 계보에 속한 스님이다.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불상은 1610년 김제 문수사 목조여래좌상과 제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군산 상주사 목조삼세불좌상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임진왜란 이후에 서울 근방에서 만들어진 불상으로 가장 오래된 작품이고, 18세기 초반에 북한산 서봉사에 봉안되었다가 서울 흥천사를 거쳐 현재 천축사로 옮겨 모셔졌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crutinize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t Mt.Dobong based on votive inscriptions, which was found in these Buddha Triad. Through the inspection for listing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eoul Metropolitan City, two different kinds of votive inscriptions were foun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for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nd the second one is not related to Cheonchuksa Buddha Triad. Wood seated triad are mid-size sculptures. The heads of Buddha Triad are slightly bent forward. Its right hand points downward over the right leg and its left hand thumb touches own the middle finger. One side of the outer robe covers its right shoulder and right elbow and extend form its abdomen to left shoulder. Another side of the robe overlays its left shoulder and wraps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e inner robe covers the statue's chest. The two votive inscriptions, unveiled from inside of Buddha Triad, do not give a specific information of production date about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record of Nojeoksa at Mt. Bukhan in 1713. The second one is for rendering Buddha images of Seobongsa at Mt. Bukhan in 1735. However, one phrase "these Buddha Triad were rendered between 1573 and 1619" in 1713 votive inscription provides a clue to estimate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production date. Based on formal analysis of Cheonchuksa Buddha traid, the monk sculptor, who created this Buddha images, can be Gakmin or one of members of Gakmin school. The Gakmin's activities are recorded in various temples history. He was a gold patron for rendering Wibongsa four standing bodhisattva at Jeonju in 1605. He created Wood seated Buddhas of Three Ages Donghaksa at Gongju in 1606 and Buddha Triad Songgwangsa at Suncheon in 1614. Based on Gakmin's Buddha images' formal analysis, Munsusa wood seated Buddha at Gimgea and Sangjusa wood seated Buddha Triad share remarkable similarities to Cheonchuksa Buddha Triad.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Cheonchuksa Buddha Triad can be the oldest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a image after Japanese Invation(1592-1598)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these Buddha triad was originally enshrined in Seobongsa at Mt.Bukhan. However, Buddha triad moved to Heungcheonsa, Seoul and then finally has stayed in present temple, Chenchuksa.

      • KCI등재

        17세기 부여 무량사 명부전 불상과 발원문 분석

        정은우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7

        충청남도 부여에 위치한 무량사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삼존상을 비롯한 시왕상과 권속 등 23구의 존상이 봉안되어 있다. 최근 이 존상 가운데 지장상과 제1시왕상에서 발원문을 비롯 한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현재 밀폐된 채로 남아 있는 복장공이 있어 앞으로의 조사를 통해 완전한 복장물이 나올 가능성도 높다. 원문에는 상을 만든 조각승은 물론 자세한 시주목록과 본사소임질과 연화질 등이 자세하게 쓰여져 있다. 화원질에 쓰여진 조각승은 모두 11~12명으로 수화원은 儀嚴比丘, 보조화원은 雲惠比丘가 잘 알려진 조각승들다. 의엄은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조각승인 수연 의 제자로서 무량사 명부전 불상은 현재까지는 그가 수화승으로 만든 유일한 작품이 된다. 실제 허리가 긴 길쭉한 신체 비례라든가 길고 뾰족한 얼굴 모습 등에서 수연이 만든 불상과 의 양식적 유사성도 확인된다. 상을 만든 조각승과 대좌에 쓰여진 일부 명문을 토대로 제작시 기는 1640년경으로 추정된다. 현재 발견된 원문은 제작연대와 사찰명이 없어 원문과 시주질을 따로 만들었을 수도 있는 데 이에 따르면 공개된 내용은 시주질에 해당된다. 즉 시주목록은 다른 발원문과 달리 매우 구체적인데 나무에서부터 금, 칠과 같은 불상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 그리고 복장물과 관련 된 목록과 인등, 등촉과 같은 의식에 들어가는 용구 등이 매우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발원문 에는 본사의 스님들과 소임을 맡은 승려들이 적혀 있는 점도 특징이다. 여기에는 전라도나 경상도에서 활동한 승려들에 관한 지역이 표기된 점과 본사승려들이 관이나 외부에서 활동했 던 내력 그리고 불상을 만들면서 음식, 불, 나무 등 소소한 일상을 맡은 승려들이 자세하게 적혀 있어 당시 승려들에게 분담된 활동 영역과 역할 및 사회적 연구에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Myeongbujeon Hall at Muryangsa Temple in Buyeo chungnam province contains twenty- three statues including those of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en Kings and their attendants. Recently, among statues, sacred object including votive inscription were uncovered inside of statues of Ksitigarbha and first Ten Kings. As a hole in sacred object was kept untouched, complete sacred object could be possibly uncovered by further survey. The votive inscription reads sculptor monks, detailed donation list, workers list belonging to the temple and donator list attached to the temple. All members of sculptor monks are eleven or twelve including monk Uieom as main sculptor and monk Unhye as assistant. The Buddha statue at Myeongbujeon hall of Muryangsa Temple is the unique statue manufactured by monk Uieom as a head sculptor who was a disciple of Monk Suyeon, a representative sculptor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statue’s long slender body and long sharp face show similarities with the style of works made by Monk Suyeon. It is presumed that the statue was made around 1640 based on the sculptor and the inscription on the pedestal. As the votive inscription did not state the manufacturing period and the name of the temple, the inscription and donation list were possibly written separately, and opned inscription content implies donator list. Compared to other votive inscription, list of donation article was described in detail such as the Buddha statue manufacturing material of wood, gold, and lacquer, sacred obeject related list, and ritual service goods of lanterns and candles. It is noteworthy that the votive inscription stated names of monks belonging to the temple along with their duties. It also described in detail about specific regional area where local monks in Jeolla and Gyeogsang provinces worked, monks’ activities at government offices or outsite temple who were belonging to main temple, and ordinary monks in charge of food, fire and wood. The votive inscription is important to study monks’ activities, roles and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高陽 祥雲寺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과 彫刻僧 進悅

        최선일(Choi Sun-il)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4

        본 논문은 경기도 고양시 祥雲寺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한 進悅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불상은 1999년에 대한불교조계종 조사단에 의하여 발원문이 처음으로 조사되어 조선후기 불상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1713년에 노적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천기대사가 증명을 맡고, 지섬이 化主가 되어 진열, 영희, 태원 등이 제작하였다. 證明을 맡은 천기대사는 17세기에 전라도에서 활동한 碧嚴 覺性(1575-1660)의 제자로, 色難이 1684년에 전라남도 강진 정수사나한전에 제작한 불상의 발원문을 쓴 승려이다. 그러고 조각승 진열은 1695년에 전라북도 전주 서고사 〈목조나한상〉(부안 백련사 조성) 조성에 참여하고, 1706년에 전라남도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 보살좌상〉(곡성 관음사 대은암 조성)과 1713년에 경기도 고양 상운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노적사 조성) 조성에 首畵僧으로 등장하였으며, 1719년에 전라남도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상〉을 개금한 후, 1722년에 부산 범어사 비로전 〈비로자나불〉 개금과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 하였다. 이러한 작업현황은 진열을 비롯한 조각승들이 18세기 전반 여러 지역의 사찰에 불상을 조성하거나 17세기에 제작된 불상의 중수ㆍ개금을 주로 하였음을 알려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과 사적기를 중심으로 진열은 1670년을 전후한 시기에 태어나 1690년을 전후하여 佛像製作의 수련기를 보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00年代에는 전라남도 곡성과 경기도 고양, 전라남도 목포, 경상도 부산 등의 寺刹에서 활동하였는데, 진열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은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불상에 비하여 어깨가 좁아져 얼굴이 강조되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이 가슴까지 긴 물방울처럼 U자형으로 늘어져 있으며, 하반신을 덮은 대의의 안쪽 자락이 S자로 펼쳐져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불상은 경기도 고양시 흥국사, 강원도 태백 장명사, 부안 내소사 지장암 등에 봉안되어 있어 진열을 위주로 한 彫刻僧들이 18세기 전반에 全羅道 地域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의 弟子인 太元이 1726년에 강원도 춘천 청평사 불상조성에 首畵僧으로 언급된 것을 보면, 진열로부터 독립했거나 진열이 이미 사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그가 속한 조각승 계보는 性沈→進悅(1695-1722 활동)→太元(1706-1748 활동)→尙淨(1748-1771 활동)→戒初(1748-1790 활동)로 이어진다. 또한 진열이 제작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이 상정과 계초가 제작한 불상에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18세기 후반 진열의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 경기도 남양주 흥국사, 서울 봉은사 등에 남아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진열과 그 계보의 조각승들이 18세기 불교조각사에서 가장 중요한 하나의 계보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a seated wooden triad of Amitabha in Sangunsa. Goyang, Gyeonggi province. The triad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iece in the study of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for a dedicative inscription placed inside the image, which was discovered in 1999. The inscription tells that the creation of the triad was supervised by the master Cheongi and conducted by such monks as Jinyeol Yeonghui and Taewon and that it was installed in Nojeoksa in 1713. The master Cheongi is a disciple of Gakseong (1575-1660),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Jeolla province during the 17th century. He also wrote a dedicative inscription for a Buddhist statue made by a famous monk-sculptor Saengnan in 1684 for an arhat hall in Jeongsusa, Gangjin. Jinyeol made a number of Buddhist images: images of K??yapa, ?nanda and sixteen arhats in Seogosa, Jeonju (1695) : a seated wooden Avalokite?vara in Seosansa. Gokseong (1706) : a seated wooden Amitabha triad in Sangunsa (1713) : a seated wooden Avalokite?vara in Beomeosa, Busan (1722). He also engaged in the regilding of a wooden K?itigarbha in Dalseongsa, Mok-po in 1719 and a Vairocana in Beomeosa in 1722. A group of monk-scupltors headed by Jinyeol actively conducted the creation or repair of Buddhist images in diverse regions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Dedicative inscriptions and other records suggest that Jinyeol was born around 1670 and went through apprenticeship around 1690. Buddhist images created by him exhibi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narrow shoulders. whim give emphasis to a face: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draped around the right shoulder hanging down about the chest forming a U-shaped pattern: its inner part covering the lower half of the body falling in an S-shaped pattern. Judging from the fact that his disciple Taewon was referred to as the head craftsman in a dedicative inscription for a Buddhist statue installed in Cheongpyeongsa. Chuncheon in 1726. it can be presumed that by this time Taewon worked independently or Jinyeol was already dead. The lineage of monk. - sculptors initiated by Jinyeol' s teacher. Seongsim. seems to have continued from Jinyeol (actively engaged in 1695-1722) to Taewon (in 1706-1748), then to Sangjeong (in 1748-1771) and Gyecho (in 1748-1790). Statues attributable to Jinyeol's successors are found in Heungguksa in Namyangju and Bongeunsa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