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고찰 : 불교 포교의 관점에서 본 문화인류학

        최윤희(효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불교포교사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을하는 사람들이다. 포교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포교 대상의 문화와 특성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 문화는 사람들이 정신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사상, 물질을 통틀어서 말하는것이다. 포교 연구는 바로 현지조사를 통해 사람들로부터 답을 찾아내는 일이다. 현지조사는 낯선 장소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부터 시작된다. 포교사가 포교를 위해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친근감 즉 라포(rapport)를 조성하는 일이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라포를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현지인들의 언어를 습득하고 그들의 관습과 예절을 우선적으로 익힌다. 그런 후에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과 해석을 한다.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는 추구하는 지향점과 방법론에서 유사한점이 많다. 포교사의 목표는 붓다가 설하신 고(苦)과 고로부터의 해방의 가르침을 널리 홍포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고 이익 되게 하는 것이며, 문화인류학자의 목표는 문화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배우고 익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툼을 줄여 화합하게하는 것이다. 본 소고의 목적은 문화인류학자들이 현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민족지 연구방법들을 포교사가 어떻게 포교에 활용할까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포교일선에서 이러한 방법들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포교와 문화인류학의 개념과 역사를 먼저 짚어보고,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 방법을제시하고 난 후에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지적 연구방법이 포교에 적극 활용되어야 함을 고찰한다. A buddhist missionary is a person who works to conve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o contemporaries. So the missionary should study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the miss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Culture is all about the institutions, ideas, and materials that people have created through mental action. Missionary work resear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from people through field surveys. Field surveys begin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in an unfamiliar place.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for the mis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reate rapport. Cultural anthropologists learn the language of the locals in advance and learn their customs and manners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the rapport. After that, data i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arried out. The missionaries and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pursuits and methodologies. The goal of the missionary is to expose the Buddha's teachings of the suffering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and to make people happy and profitable. The goal of cultural anthropologists is to learn different cultures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erspective and respect other culture, reduce contention and harmoniz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anthropologists use the research methods that are being used locally by the missionary for mission work. The purpose is to study how to approach cultural anthropologically in order to broade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ow to use these methods on the frontline of mission.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history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y first, and after presen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s for missionary wor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ist to examine how anthropological methodology can be used in missionary work.

      • KCI등재

        산사음악회의 포교효과성 연구

        정해성(Jung, Hae-sung)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2 No.-

        사회의 변화에 따라 포교에서도 다양한 문화적 수단을 활용하는 ‘문화포교’가 핵심이 되고 있다. 산사음악회는 음악을 포교의 수단으로 활용한 문화포교로서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지역 축제 등과 연계되어 매우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산사음악회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형편이다. 이에 포교론적 관점에서 산사음악회를 고찰하였다. 우선 산사음악회의 연원, 성격, 실태, 산사음악회 참여자들의 실태 및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둘째, 포교효과 분석을 위해 문화포교와 참여자들을 유형화하였다. 문화포교는 참여자들의 참여수준과 타 프로그램과 연계유무, 참여자들은 종교와 문화적 취향에 따라 각각 네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산사음악회의 포교효과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산사음악회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산사음악회는 기존 불교신자들뿐 아니라 산사음악회에서 제공하는 음악 장르를 선호하는 일반인에게도 높은 포교효과를 얻고 있다. 일반인들은 음악회를 통해 불교문화를 이해하고 불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고 있으며, 기존 신자들은 불자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불교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These days,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in cultural events have grown. For the purpos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more and more temples use cultural measures. A Cultural mission could be defined as missionary works using cultural measures. In cultural measures. In cultural missions, music concerts at temples have played important roles since 1990. But, music concerts at temples have been rarely studied. This study describes concepts and types of cultural missions, the origin of temple concer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s. And then, their attitudes toward the temple concerts are examined. To do this study, cultural missions are categorized by the participation levels of the audiences and whether they are linked to other missionary programs. Also, audiences are classified by their religions and cultural preferences. Through comparisons of this typology, the missionary effect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relating to temple concerts. Temple concerts have positive influences not only for existing Buddhists but also for non-Buddhists, especially those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lassic music. For existing Buddhists, temple concerts provide a strengthened Buddhist identity and religious pride. For non-Buddhists, temple concerts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culture and help the non-Buddhis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Buddhism.

      • KCI등재

        인터넷 포교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10 大覺思想 Vol.13 No.-

        21세기의 급변해가는 시대에 인터넷 포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점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종단 차원에서 인터넷 포교를 지원할 수 있는 물적, 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인터넷 공간에서 종단이 주도적으로 인터넷 포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물적 토대를 마련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서둘러야 한다. 둘째는 불교문화콘텐츠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을 스토리를 발굴하여 야 한다. 인터넷 환경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 인 불교문화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활용도를 높혀갈 스토리텔링 개발이 시급하다. 셋째는 사이버 포교 및 사이버 신행활동을 담당할 사이버 법당의 모델 창출에 신경써야 한다. 현재 다양한 사이버법당의 콘텐츠 가운데 모범적인 사례를 발굴하고, 인터넷 환경은 물론 사이버 공간 상에서 신행활동 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 아울러 사이버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이 함께 연 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온라인, 오프라인 포교를 함께 이루어 가야 한다. 넷째는 시대를 이끌어 나갈 쌍방향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 인터넷 포교의 성공 여부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달려 있다. 사이버 포교는 반드시 인간의 감성적인 영역에서 그 성패가 달려 있으므로 다양한 불교 문화를 담은 콘텐츠를 어떻게 다양한 방법으로 오감을 자극하여 참여를 이끌어 낼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인터넷 환경의 다양한 정보를 정화시킬 모델을 창출해야 한 다. 학계-종단-사용자 등을 총망라하는 인터넷 관련 통합 협력 기구가 필요하다. 통합 협력 기구는 통제보다는 지원을 통해 보다 양질의 콘텐츠 를 생산해내는 모범을 전파하는데 적극적인 지원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향후 사이버 포교 및 불교정보화 사업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며, 인터넷 공간 속의 불교정보를 모니터링해 쓰레기 정보를 걸러내는 것은 물 론, 모니터링을 통한 모범의 전파로 양질의 콘텐츠를 재생산해내는 선순 환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공식적인 인터넷 포교 사이트는 물론 개인 포교사들을 위한 파워블로그의 양성을 통한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는 인터넷 포교를 위한 국제적 협력이 시급하다. 인터넷은 국경을 뛰어 넘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인터넷 공간으로 진입이 가능하며, 이러한 공간의 확장은 국경을 이미 뛰어 넘고 있다. 향후 인터넷은 열려 진 매체의 성격 상 국경을 초월하여 무한히 확장하므로 이러한 환경하에서 국제적인 협력은 당연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Propagation on the Internet cannot be overemphasized in the 21stcentury when the speed of change is staggering. The points of this thesis to spur on it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ly, materi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hould be made for the purpose on the level of religious body. A systemic basis to improve Web-based propagation, led by religious bodies, should be created and related human resources be cradled. Secondly, stories to give a new life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should be found. The basic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at many people can access on the Web should be beefed up and the contents’ utility needs to be raised by means of storytelling. Thirdly, it should be given more attention to create a model of Web-based Buddhist sanctuaries to be in charge of propagation and Buddhist practice on the Web. Exemplary cases of contents should be brought to the fore among those of the existing sanctuaries while encouraging Buddhist practice more on the Internet. At the same time, the ways to link online with offline should be sought after for simultaneous propagation in both settings. Fourthly, urgent is the development of two-way contents ahead of time. Web-based propagation’s success depends on two-way communication. Cyber-propagation must be able to sympathize with people. As such, indispensible is more contemplation on how to use various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stimulate the five senses and induce participation. Fifthly, models to tidy up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must be made along with an organization for cooperation that comprehends academia, religious bodies and contents users. Such integrated organization will have to take the lead in producing quality contents by means of support rather than control. Its functions are also to include supporting cyber-propagation systematically; helping incorporating more IT elements into the world of Buddhism; monitoring relevant information on the Web and screening out those falling short of certain standards; spreading exemplary cases through monitoring to create a virtuous cycle of contents re-creation. It is necessary, by following these steps, to make out a virtuous circle in which official propagation websites and power blogs for individual propagators can help grow each other. Sixthly,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purpose should be boosted. The Internet is characterized by having no boundary and being open to everyone. As it has been so, the extension of the medium will boundless, transcending national borders. Thus, there is no doubt over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purpose.

      • KCI등재

        설악불교와 지역포교

        고명석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4 No.-

        본 논문에서는 지역불교 차원에서 설악불교의 역사, 강원도의 인문지리적 특성과 인구분포, 종교인구의 변화와 현황,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역포교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설악불교의 지역포교 사례, 현황과 과제 등을 거론한 다음, 지역포교에 따른 설악불교의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지역성을 가장 강력하게 보여준 곳이 바로 설악산의 명주(溟洲)지역이었으며 초기의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이다. 산악지형인 강원지역은 교통망의 발달과 지역 축제 및 지역 관광자원을 배경으로 2007년부터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강원지역 불교인구 비율은 1985년 19.0%에서 1995년 23.2%, 그리고 2005년 23.0%로 10년 동안 큰 변화가 없다. 천주교는 2000년대 중반에 급성장하다 주춤한 상태다. 지역포교는 사찰과 불교를 지역에 알리고 포교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더 나아가 지역공동체 활동은 지역과 지역민을 위한 생태환경 조성과 공유가치 실현, 지역중심으로 자립적 경제기반 구축, 지속적인 비즈니스 모델 창출 등으로 지역과 사찰 발전에 이바지한다. 설악불교의 지역포교의 대표적 사례는 이렇다. 백담사의 백담마을을 중심으로 한 마을 공동체 포교. 신흥사 직할 포교당 원각사의 어린이 포교를 중심으로 한 지역포교로 토요불교아카데미, 신흥사의 지역민을 위한 체육대회 및 문화활동, 만해마을 조성과 만해 축전, 그리고 강원지역 포교사단의 지역포교다. 사찰의 지도인력이 지역과 소통하고 대화하며 지역 활동에 나서고, 사찰과 지역의 문화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활용하며, 사찰의 자원을 지역과 공유하여 지역 경제 발전을 도울 때, 그리고 사찰의 문턱을 낮추고 사찰내에 마을 도서관, 마을카페 등을 만들어 사찰을 지역민에게 개방할 때, 사찰은 지역과 더불어 발전하고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자리잡아 나가기 마련이다. 앞으로 설악불교가 대한민국에서도 빼어난 산과 바다, 계곡과 강, 해변과 관광자원, 문화자원을 배경으로 백담사나 원각사의 지역포교사례를 모델로 삼아 이를 확산하고, 설악권에서 지역불교 발전에 매진한다면, 강원불교 전반에서 신행혁신이 이루어지고 교구 발전은 물론 지역 또한 살기 좋은 공간으로 변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포교 및 지역공동체 포교 전반을 담지할 수 있는 인력양성과 제도적인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또한 사찰의 지역포교에 대한 신뢰를 관과 지역 자치단체에 지속적으로 심어주어야 한다. 아울러 사찰의 지도자들이나 지역불자 리더들이 지역을 알리고,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며, 지역경제를 살리는 조직과 단체를 지역을 중심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In this paper, I will refer to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region Sorak Buddhist-dimensional, change and population status of Gangwon Province religion. And I will m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local missionary work associated with it. Sorak local missionary practice of Buddhism, who discussed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including the following, we present the way forward Sorak Buddhism according to the local propagation of Buddhism. Gusan-seonmun Korea(九山禪門) claimed a place in the locality of the most powerful station was just Soraksan-Myoungju(溟洲) area, is a typical example of those early Gagisan-seonmun and Sagul san-seonmun. Brother mountainous Gangwon Province is the development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ourist resources of the traffic network in the background Since 2007, the population began to grow group. Gangwon Province Buddhist population ratio is 23.2% in 1995 eseo 19.0% in 1985 year, and for 10 years in 2005, 23.0% is not a big change. Catholicism is booming in the mid-2000s. local missionary work is an important factor to enable the mission of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the region informed. Furthermore,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alize shared values for the area and the local people, self-sustaining economic base to build a regional center, contributing to regional development and temples to create sustainable business models and so on. Sorak local missionary practice of Buddhism is a good example ; A missionary village communities around the town of baekdam in The Baekdam temple, local missionary work focus on children's missionary propaganda of Wongaka temple which Sinheung temple the missionary practice owned by Center, sports competitions and cultural activities for residents of Sinheung temple, Manhae Festival and town planning of Manhae, and the local propagation of Gangwon Province Missionaries. Map attraction of the temple is communicating with the region and dialogue and scrambling to regional activities, and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 based on a culture of temples and regional leverage, when sharing the resources of the temples and the area to help the local economy, and of the inspections when lowering the threshold to create a town library, a café in the village temple to open a temple to locals, the temple is a development with regional and arrange themselves established itself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Forward Sorak Buddhism superb mountains in the Republic of Korea sea, valleys and rivers, beaches and tourism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in Baekdamsa or model local missionary practices wongaksa background and spreading it, if sold in the local Buddhist development in Seolak-area, Gangwon Buddhism faith and innovations made across the parish,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will also turn into a livable space. Missionary and local community build a missionary training and institutional systems that can detect overall, it is important to do this. In addition, it should continue to instill confidence in the local propagation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e tube and the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nspections of leaders and local leaders to inform local Buddhists, help develop the local culture, and forge a collective organization and revive the local economy around the area is also important.

      • KCI등재

        연등축제의 포교효과성 모델 연구

        정해성(Jung, Hae-sung)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4 No.-

        연등축제는 일반시민들의 참여가 활발한 대표적인 불교문화축제이다. 불교계에서는 연등축제를 포교의 수단으로 활용하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다양한 문화적 수단을 활용하는 포교 행위를 ‘문화포교’로 정의한다면 음악, 춤, 공예(등만들기)와 같은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개최되는 연등축제는 대표적인 문화포교라 할 수 있다. 연등을 활용한 행사는 신라시대부터 시작되었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연등회란 명칭으로 부처님오신날을 기념하여 국가와 민간에서 활발하게 개최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 의해 금지되기도 하였고 일제 식민지 시기에는 일제의 간섭에 의해 변화를 겪기도 하였지만 그 명맥이 유지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등축제의 포교효과에 세대경험, 신행생활, 참가정도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세 요인의 일부 변수들이 포교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어T다. 세대경험은 신행생활에는 영향을 주고 있지만 참가정도에는 영양을 미치지 않았다. 신행생활은 참가정도와 포교효과 모두에 양(+)적 영향을 주고 있지만 참가정도에 주는 영향만이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등축제의 포교효과는 문화적 효과가 가장 크며, 종교적 효과가 가정 적었다. Yeondeung festival(the Day of Buddha's coming) is a typical Buddhist cultural festival. The festival has grown into one of the biggest Buddhist events is Korea. The festival consists of various cultural events such as music, dance, handicrafts and so on, and many people join the festival. Yeondeung festival is considered as a kind of cultural mission, which means missionary works using cultural measures. But, the Yeondeung festival has remained rarely studi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issionary effects of Yeondeung festival by the types of participation. Missionary effects are categorized into religious effect, emotional effect, and culture effect.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missionary effects by the types of participation, generational experience, and religious activity.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ypes of particip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in terms of missionary effects. Seco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Those include the level of missionary effects and the behavior of festival participation by religious activity. Third, the degree of the cultural effect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types of missionary effects.

      • KCI등재

        일제의 기독교 통제정책과 〈포교규칙〉

        안유림(安裕林)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본 논문은 일제하 조선에서 행해진 기독교 정책을 〈포교규칙〉(조선총독부령 제83호)이라는 통제법령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915년 8월 공포된 〈포교규칙〉은 1945년 해방까지 존속된 기독교 통제의 기본법으로 기독교 단체의 조직과 운영 등 전반적인 활동을 규제했던 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법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포교규칙〉의 제정과 관련된 모법문제와 조문의 분석, 법규의 의미, 개정과 그 성격 그리고 실질적인 집행의 문제와 함께 기독교계의 인식과 영향을 다루었다. 〈포교규칙〉은 그 제정에 있어 1899년 일본의 內務省令 제41호 “神佛道以外의 宗敎宣布 및 殿堂會堂 등에 관한 규정”을 모델로 한 것이다. 외국 선교사를 의식한 제정배경과 법의 구조와 내용, 총독부가 밝힌 법의 연원 등이 이를 입증한다. 내용상 〈포교규칙〉은 포교자 자격, 종교용 장소 관련 조항에서 內務省令에 비해 한층 강화된 통제적인 요건을 담고 있다. 또한 포교관리자 규정이나 벌칙 같은 〈포교규칙〉에만 고유한 법 규정들에서 총독에게 임의적인 재량권을 부여하는 등으로 이 통제성은 더욱 드러난다. 일제하에서 〈포교규칙〉은 1920년 4월과 1933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통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된다. 특히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기에 행해진 첫 번째의 개정은 큰 폭으로 행해진 것으로 제12조 종교용도 장소의 사용정지ㆍ금지, 제14조 포교관리자 등의 총독에 대한 보고의무 규정에서 조선총독에게 자의적, 임의적 판단과 권한이 부여된 것이 주요한 내용이었다. 이 개정을 당시 일제당국은 〈포교규칙〉의 완화라고 주장했는데 기만적인 선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포교규칙〉은 집행과정을 통해 그 통제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 〈포교규칙〉공포 이후 각종의 통첩들이 발령되어 그 신고의 형식적인 절차를 세세히 규정하고 강화했기 때문에 각 교단들은 이에 대응한 일처리에 곤란을 겪었다. 또한 집행과정에서 총독부 경무국을 필두로 개입된 경찰력은 포교자의 선출로부터 이 법령 시행의 제반사항에 간섭하였다. 결국 〈포교규칙〉의 시행 이후 포교소 설치허가제에 의한 시설 증대의 어려움, 자격을 갖춘 포교자 숫자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신도수의 증가율도 둔화되는 침체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포교규칙〉이 일제가 기획한 대로 어느 정도 기독교 통제효과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포교규칙〉은 그야말로 기독교 통제의 기본이고 그 외의 법령들 - 사립학교관련 법들, 치안유지법, 보안법 등의 수많은 기독교 통제와 관련된 법령들의 구조와 집행양상이 앞으로 밝혀져야 보다 구체적인 일제 기독교 탄압정책의 전모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획 논문 :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발 방안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포교는 불교교단 존립의 근간이다 그런데 불교 포교의 기초 단위는 개별사찰과 신도 개개인이다 그리고 사찰과 그 구성원인 신도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지역사회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포교를 할 수 없다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은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초점을 두었다 사찰은 불교의 한반도 전래 이후 지속적으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또한 불교는 한국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 보존 계승하여 왔기 때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발표한 2006년과 2010년의 사회복지시설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불교계는 2006년 536개에서 2010년 958개로 422개가 증가하였다 반면 가톨릭은 동년 대비 1,127개 에서 개로 증가하여 137개의 증가에 그쳤다 2006년 가톨릭이 불교에 비하여 사회복지시설이 두 배 이상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괄목할 만하다. 문화행사 분야를 살펴보면 2010년 문화관광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문화축제는 813건이었다 그런데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 문화부에서 불교계 신문에 보도된 불교계 주관 문화축제는 426건이었다 물론 이 수치가 전국 문화축제 813건 중 불교 문화축제가 426건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사찰이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동참하기 위한 노력을 반증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대한 분석결과들을 볼 때 불교계가 사회복지와 문 , 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들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효율적 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첫째, 수도권과 영남권 이외 지역에서도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을 증설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사찰에서는 여성복지와 부랑인 숙자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를 위한 간병과 가사 지원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을 포용하고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문화행사 분야에서는 첫째, 산사음악회의 사찰별 특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적극 동참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사찰공간을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t order, And the basic unit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each temple and an individual believ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uddhist order can`t do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a temple and a believer are based on a local community. The present writer is focusing o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Buddhist culture as the plan for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ecause Buddhist order has continued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Korean Buddhism have formed, preserved, and succeed Korean culture. Between 2006 year and 2010 year, Korean Buddhism puts up a good show in social welfare and local culture festival. The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 958 from 536, and in the year 2009 the local culture festivals that the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held are 426 cases, This numerical value proves that Buddhist order participates local communities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re are the reform measures that temples participate efficiently in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irstly the temples must increase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s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Youngnam(嶺) area. Secondly the temples must take interest in the woman welfare and 南 the homeless welfare. Thirdly the temples must come into operation in nursing and housework support for old man. Fourthly the temples must promote an social atmosphere to appreciate disabled person. In the field of local culture festivals, firstly each of temples must have contents in temple concert. Secondly the temples must participate i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develop the programs in which the contents for Buddhist culture are involved. Lastly the space of temple must is offered as the space of local culture.

      • KCI등재

        일제의 기독교 통제정책과〈포교규칙〉

        안유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9 No.-

        본 논문은 일제하 조선에서 행해진 기독교 정책을〈포교규칙〉(조선총독부령 제83호)이라는 통제법령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1915년 8월 공포된〈포교규칙〉은 1945년 해방까지 존속된 기독교 통제의 기본법으로 기독교 단체의 조직과 운영 등 전반적인 활동을 규제했던 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법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포교규칙〉의 제정과 관련된 모법문제와 조문의 분석, 법규의 의미, 개정과 그 성격 그리고 실질적인 집행의 문제와 함께 기독교계의 인식과 영향을 다루었다. 〈포교규칙〉은 그 제정에 있어 1899년 일본의 內務省令 제41호 “神佛道以外의 宗敎宣布 및 殿堂會堂 등에 관한 규정”을 모델로 한 것이다. 외국 선교사를 의식한 제정배경과 법의 구조와 내용, 총독부가 밝힌 법의 연원 등이 이를 입증한다. 내용상〈포교규칙〉은 포교자 자격, 종교용 장소 관련 조항에서 內務省令에 비해 한층 강화된 통제적인 요건을 담고 있다. 또한 포교관리자 규정이나 벌칙 같은 〈포교규칙〉에만 고유한 법 규정들에서 총독에게 임의적인 재량권을 부여하는 등으로 이 통제성은 더욱 드러난다. 일제하에서〈포교규칙〉은 1920년 4월과 1933년 12월 두 차례에 걸쳐 통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된다. 특히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기에 행해진 첫 번째의 개정은 큰 폭으로 행해진 것으로 제12조 종교용도 장소의 사용정지ㆍ금지, 제14조 포교관리자 등의 총독에 대한 보고의무 규정에서 조선총독에게 자의적, 임의적 판단과 권한이 부여된 것이 주요한 내용이었다. 이 개정을 당시 일제당국은 〈포교규칙〉의 완화라고 주장했는데 기만적인 선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포교규칙〉은 집행과정을 통해 그 통제적인 성격이 더욱 강화되었다.〈포교규칙〉공포 이후 각종의 통첩들이 발령되어 그 신고의 형식적인 절차를 세세히 규정하고 강화했기 때문에 각 교단들은 이에 대응한 일처리에 곤란을 겪었다. 또한 집행과정에서 총독부 경무국을 필두로 개입된 경찰력은 포교자의 선출로부터 이 법령 시행의 제반사항에 간섭하였다. 결국〈포교규칙〉의 시행 이후 포교소 설치허가제에 의한 시설 증대의 어려움, 자격을 갖춘 포교자 숫자의 급격한 감소 등으로 신도수의 증가율도 둔화되는 침체양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포교규칙〉이 일제가 기획한 대로 어느 정도 기독교 통제효과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포교규칙〉은 그야말로 기독교 통제의 기본이고 그 외의 법령들 - 사립학교관련 법들, 치안유지법, 보안법 등의 수많은 기독교 통제와 관련된 법령들의 구조와 집행양상이 앞으로 밝혀져야 보다 구체적인 일제 기독교 탄압정책의 전모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발 방안

        조기룡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t order. And the basic unit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each temple and an individual believ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uddhist order can't do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a temple and a believer are based on a local community. The present writer is focusing o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Buddhist culture as the plan for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ecause Buddhist order has continued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Korean Buddhism have formed, preserved, and succeed Korean culture. Between 2006 year and 2010 year, Korean Buddhism puts up a good show in social welfare and local culture festival. The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 958 from 536, and in the year 2009 the local culture festivals that the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held are 426 cases. This numerical value proves that Buddhist order participates local communities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re are the reform measures that temples participate efficiently in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irstly the temples must increase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s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Youngnam(嶺南) area. Secondly the temples must take interest in the woman welfare and the homeless welfare. Thirdly the temples must come into operation in nursing and housework support for old man. Fourthly the temples must promote an social atmosphere to appreciate disabled person. In the field of local culture festivals, firstly each of temples must have contents in temple concert. Secondly the temples must participate i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develop the programs in which the contents for Buddhist culture are involved. Lastly the space of temple must is offered as the space of local culture. 포교는 불교교단 존립의 근간이다. 그런데 불교 포교의 기초 단위는 개별사찰과 신도 개개인이다. 그리고 사찰과 그 구성원인 신도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지역사회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포교를 할 수 없다.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은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초점을 두었다. 사찰은 불교의 한반도 전래 이후 지속적으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또한 불교는 한국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 ‧ 보존 ‧ 계승하여 왔기 때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발표한 2006년과 2010년의 사회복지시설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불교계는 2006년 536개에서 2010년 958개로 422개가 증가하였다. 반면 가톨릭은 동년 대비 1,127개에서 1,264개로 증가하여 137개의 증가에 그쳤다. 2006년 가톨릭이 불교에 하여 사회복지시설이 두 배 이상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괄목할 만하다. 문화행사 분야를 살펴보면, 2010년 문화관광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문화축제는 813건이었다. 그런데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 화부에서 불교계 신문에 보도된 불교계 주관 문화축제는 426건이었다. 물론 이 수치가 전국 문화축제 813건 중 불교 문화축제가 426건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사찰이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동참하기 위한 력을 반증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대한 분석결과들을 볼 때, 불교계가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다. 하지만 사찰들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첫째, 수도권과 영남권 이외 지역에서도 불교계 사회복지 시설을 증설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사찰에서는 여성복지와 부랑인 ‧ 노숙자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를 위한 간병과 가사 지원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을 포용하고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문화행사 분야에서는 첫째, 산사음악회의 사찰별 특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적극 동참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사찰공간을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사찰의 문화포교에 대한 제언과 모색

        염중섭(Jung Seop You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9

        사찰은 불교라는 특정한 종교시설인 동시에, 연간 수천만의 내·외국인이 찾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공공재이다. 그러므로 문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불교포교는, 불교의 강점을 살린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포교방법이라고 하겠다. 본고는 전통사찰을 활용한 문화포교의 효율적인 방법론에 관해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Ⅱ장의 ‘동선활용(動線活用)과 스토리텔링’에서는 전통사찰의 동선문제를 지적하고 효율적인 동선 확보와 이를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내방객은 사찰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이는 당연히 소비를 촉발하고 친밀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다음으로 제Ⅲ장의 ‘사회적인 열린 접근’에서는, 각 사찰의 특징에 따른 다양성의 확보와 사찰일과(寺刹日課) 시간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고 이의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특히 현재와 같은 사찰일과인 오전 3시에 기상에서 밤 9시에 취침하는 문화는, 현대의 도시인들과의 관계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부분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문화는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쉽고 친근하면서도 가장 넓은 외연을 확보하는 최상의 기재이다. 이런 점에서 문화포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불교적인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고 역점이 되어야할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노력은, 현대사회 속의 불교좌표 및 포교라는 관점에서 충분한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한다. The temple is not only a specific religious facility for Buddhism but also a public asset representing the Korean culture to domestic and overseas tourists. Therefore, the Buddhist propagation in respect of cultural viewpoint can be said to be the most reasonable and efficient propagation way that uses the strong points of Buddh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icient methodology of cultural propagation by using the traditional temples. For this, Chapter II ‘Use of Flow Line and Story Telling’ deals with the flow lines of traditional temples, suggesting the way to secure the more efficient flow lines and to connect them with the story telling. Through this, the visitors can stay longer in the temple, which naturally promotes their consumption in the temple and their intimacy with the temple. Next, Chapter III ‘Social Open Approach’ tells about the way to secure the divers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temple and the problem in temple schedule along with its solution. Presently, the temple schedule starts with getting up at 3 AM and ends with sleeping at 9 PM. This life pattern is a stumbling block for modern civil people. Therefore, it should be improved as soon as possible. Culture is the best device to approach human beings very easily and intimately, securing the widest outskirts. In this respect, the cultural propagation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and emphatic point in the view point of Buddhism that represent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kind of study can be said to have sufficient academic validity in respect of Buddhist propagation and orientation in the moder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