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중국의 현대성 의미

        이상옥(李相沃)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현대성”(modernity)의 개념표상을 중심으로 중국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국 발전의 현상과 동력에 대한 총체적 모색과 반성을 분석해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중국의 “현대성” 논의는 중국 整體적인 개혁의 방향과 이념 및 실천과 그에 수반되는 윤리, 도덕의 요소들의 관련 맥락을 서양이론 검토를 통하여 모색하고 있다. 자아 반성 과정의 의미이다. “현대성”의 중국적 의미를 위해 세 가지 측면(aspects), 즉, 전통문화철학, 현대 통치 이데올로기 및 관방 문화건설과 대중문화의 構圖의 입장에서 조명한다. 전통문화철학의 입장은 중국 전통문화철학의 “현대화” 개념에 대한 인식과 개념화의 측면에서 주로 논의된다. 그 특징은 서양 자본주의발전과 현대성의 연계를 통한 “현대화” 정의의 정립, 현대성의 중국적 맥락의 의미파악, 문화적 보수와 중체서용의 절충형 그리고 전반 서양화 등의 “현대화” 인식 등의 이념 상황이다. “현대화”와 “주체성”의 대립과 융화가 중요한 명제가 된다. 그리고 가능한 양자의 일치성 내지는 “일체성”이 “현대성” 실현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현대성” 이론의 논의는 “현대성”의 본질성 특징, 즉, “현대성”의 본체적, 존재적 의미의 모색이다. 현 중국 사회 내재적 구조 관계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의 현대성 규명을 위한 가장 중요한 관건적 요소는 다름 아닌 이데올로기 담론의 중국 문화 친화성 정도이다. 역사 주류의 맥락에서 중국 당대의 이데올로기가 표상하는 “개혁 논리”는 상당 기간 “전통문화”와 일체화를 시도해 왔다. 그러나 주로 이데올로기 자체의 “제한성”과 “경직성”등의 기본 특성으로 말미암아 담론의 허구화와 空洞化를 가속화 시켜 온 위기 현상을 초래해 온 것이 현재 상황이다. 관방의 문화건설과 이에 대응하는 대중문화의 현대화 측면에서 본 중국 “현대화”의 이론적 고민은 “현대성”의 가치의 본질을 규명해 보려는 노력에서 출발한다. 이는 중국 당대의 역사 조건에서 “현대성”이 궁극적으로 어떤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해답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시도와 다름 아니다. 그 결과는 관방 이데올로기와 대중문화의 잠정적인 상호 암묵적 인정으로 인한 각자 독립적 영역의 “무계획적”, 비 통합적 발전이다. 이는 관방 이데올로기의 더 이상의 관방 통제권 지위 유지의 동요와 민중 문화 측의 초보적인 자립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중국의 “현대성” 의미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보아 서양식 현대화 논의를 통한 자아 주체성 모색의 단계를 겪어 온 총체적인 “과정”으로 “현대성”과 “주체성” 두 思考와 生活의 패러다임의 交互작용이다. 둘째, 중국의 “현대성”이 “현대화”와 유사한 혼용 가능한 개념 범주에서 현대 중국의 “현대성”의 과정은 물질적으로는 서양 자본주의의 무조건적 도입을 통한 경제발전과 패권의 추진, 정신적으로는 “중국적인 특색의 이데올로기”의 재정립을 위한 사회 담론의 주도권확보를 위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조작이 국가의 전면적 발전의 불균형에서 유래하는 여러 대중적 피지배층의 도전과 비판적 요소와의 모순과 절충의 패턴으로 표출되고 있다. 셋째, 중국의 향후 “현대성”과 국가 발전 및 이데올로기의 관계 설정에서 지배 및 피지배 계층 모두 인정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 요소는 “전통문화”의 개념에 근접한 문화-이데올로기의 융화 형태가 될 가능성을 보인다. 이 새로운 이념의 세계관이 관방의 이데올로기, 인민문화 및 대중문화를 아우르는 統攝的인 궁극 가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탈현대성 담론의 재해석

        신종화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현대성 담론에 등장하는 현대성의 반테제로서 탈현대성에 대한 논의에는 몇 가지 이론적 문제점이 노정된다. 첫째, 시대로서의 탈현대와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에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둘째,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의 지성사에 대한 논의에서 현대성 일반에 대한 협소한 이해가 자주 등장한다. 셋째, 현대성 ‘내부’의 자기 비판적인 성찰로서의 탈현대성 논의는 기존의 현대성 담론의 인식론적 한계를 역시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성에 대한 주류적 이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대안적인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는 탈현대성 논의를 동양사상의 유교적 전통과 비교를 함으로써, 탈현대성 담론의 함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비교방법을 통해서 탈현대성과 유교사상의 이론적 자원들과 전개방식에 대해서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Rethinking Postmodernity -Theorizing Modernity for Confucianism in the Postmodern Age- Shin, Jong-Hwa,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Korea University. Three theoretical problems, at least, are uncovered on the way of discussing postmodernity as the antithesis of modernity. First,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and the postmodern as the epoch is rather obscure in the usages. Second, th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modernity is quite often discovered in the discourse o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hird, the ‘postmodernity’ discourse as the role of self-critique of modernity as a whole also shows some epistemic limits which are common in the conventional discourse on modernity. The postmodernity discourse, criticizing the problems of modernity on the way for preparing alternatives, however, unveils its meaningful implications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onfucian tradition in the Eastern Thought. This paper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for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postmodernity and Confucianism with identifying their theoretical resources and the modes of representations.

      • KCI등재

        탈현대성 담론의 재해석 - 탈현대시대의 현대성 발현을 위한 유교적 관심에서

        신종화(Shin Jong-Hwa)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현대성 담론에 등장하는 현대성의 반테제로서 탈현대성에 대한 논의에는 몇가지 이론적 문제점이 노정된다. 첫째, 시대로서의 탈현대와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에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둘째, 시대정신으로서 탈현대성의 지성사에 대한 논의에서 현대성 일반에 대한 협소한 이해가 자주 등장한다. 셋째, 현대성 ‘내부’의 자기 비판적인 성찰로서의 탈현대성 논의는 기존의 현대성 담론의 인식론적 한계를 역시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성에 대한 주류적 이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대안적인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는 탈현대성 논의를 동양사상의 유교적 전통과 비교를 함으로써, 탈현대성 담론의 함의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비교방법을 통해서 탈현대성과 유교사상의 이론적 자원들과 전개 방식에 대해서 심화된 연구를 하고자 한다.   Three theoretical problems, at least, are uncovered on the way of discussing postmodernity as the antithesis of modernity. First,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and the postmodern as the epoch is rather obscure in the usages. Second, th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modernity is quite often discovered in the discourse on postmodernity as the epochal spirit in the intellectual history. Third, the ‘postmodernity’ discourse as the role of self-critique of modernity as a whole also shows some epistemic limits which are common in the conventional discourse on modernity. The postmodernity discourse, criticizing the problems of modernity on the way for preparing alternatives, however, unveils its meaningful implications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onfucian tradition in the Eastern Thought. This paper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for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postmodernity and Confucianism with identifying their theoretical resources and the modes of representations.

      • KCI등재

        이라크의 자살폭탄테러-이슬람적 본질의 오염과 그 복원

        정성원 동양사회사상학회 2005 사회사상과 문화 Vol.11 No.-

        이 논문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종교가 현대성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이론적으로 접근한 것이 종교적 근본주의 논의이다. 이에 이 논문은 이라크의 자살폭탄테러를 하나의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슬람이 현대성에 어떻게 반응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이러한 목적 아래 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연구주제에 주목한다. 첫째, 이슬람교도에 있어 현대성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서는 대다수 이슬람교도가 현대성이 자신들과 자신들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인 이슬람적 본질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하여, 테러를 통해 이에 반발하는 것임을 설명한다. 둘째, 테러는 왜 자살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이 논문을 통해 지하드로 명명된 이러한 자살은 결국 현대성으로 오염된 이슬람적 본질의 복원을 위해 행해졌음을 설명한다. 셋째, 테러는 왜 악순환되는가? 이 논문은 현대성과 개인행위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에 기대어 이를 설명한다. 현대성이 이슬람교도의 생각과 행위를 강제․구속지우는 차원과, 현대성에 대응하려는 이슬람교도의 행위라는 차원에서 테러의 이러한 악순환을 설명한다. 요컨대 이라크의 자살폭탄테러는, 현대성이 이슬람적 본질을 오염시켰다는 차원에서 그것을 조장 촉진시키는 개인이나 집단을 그 주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그 본질의 복원을 위한 차원에서 스스로 목숨을 던지는 행위, 곧 자살폭탄테러를 감행한 것으로 이해한다.

      • KCI등재

        수팅 舒婷 시가의 이성부족 비판에 대한 견해

        정중석(Jung, Joongsec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69

        이 글은 수팅 시가가 감성과 서정에 치우치고 이성적인 면이 부족하다는 중국 논자들의 비판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중국문학이 현대성으로 가는 길에서 수팅의 시가가 규범적인 길을 벗어나거나, 곧장 앞으로 가지 않아서 생기는 비판이라고 파악했고, 그렇다면 수팅의 시는 어떻게 현대성을 체현했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현대성 이론으로는 천샤오밍의 단열과 비판성 이론을 적용했 다. 이를 위해, 1 문제제기, 2 몽롱시에서 이성이 중시된 배경 및 원인(2.1 민족 형식논쟁과 문화대혁명, 2.2 몽롱시: 지식인 담론의 재건), 3 현대성 체현과 관련 된 수팅 시가의 특징(3.1 이성과 지식 재건에 대한 비판, 3.2 사회주의시기 여성 주의와 단열된 여성주의, 3.3 중·후기 시가의 현실 비판), 4 결론으로 목차를 구성하였다. 사실, 몽롱시는 그 자체가 중국문학 현대성의 체현이었는데, 몽롱시인으로서 수 팅은 몽롱시의 현대성 체현규범에서 약간 어긋난 창작을 하였기에, 중국 논자들이 그런 비판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즉, 수팅의 시는 몽롱시 범주에서 이성이 부족했고 비판성도 약했다. 이에 필자는 현대성 추구에서 이성과 지식의 재건이 반드시 필요한 요건이 아니라는 것을, 오히려 현대성 추구의 역행이 될 수 있음을, 류사오보와 레이초우의 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수팅의 시가 자체적으로 현대성을 추구한 특징으로, 사회주의 시기와 단열된 여성주의를 작품에서 주장한 것, 중·후기 시가에서 현실 비판적 요소가 풍부해지는 면을 들었다. This paper owes its origins to some doubts about Chinese critics’ view that the poetry of Shu Ting lacks rationality, and isinclined to emotion and lyricism. These criticisms arose because Shu Ting’s poetry supposedly strays from the correct path of modernity in Chinese literature. How then can Shu Ting’s poetry realize modernity in Chinese literature? Actually, Meng Long poetry is itself a realization of modernity. However Shu Ting’s poetry not only lacks rationality but also had a weak criticism of Cultural Revolution in the category of Meng Long poetry. On this subject, this writer insist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reason and knowledge was not positively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modernity but rather contains the possibility of retrogression in modernity, making use of Liu Xiaobo’s and Rey Chow’s theory. Shu Ting’s poetry expressed a feminism which was severed from that of socialism. Besides, her criticism of reality became abundant in the middle and late poems. This was the point of realization of modernity in Shu-Ting’s poetry.

      • KCI등재

        현대성의 발현으로서의 유럽통합: 사회이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신종화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2 No.-

        ‘European integration’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social theory as well as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does research the integration process of political institutions. Especially, in the theories of modernity, which is classical and one of the key themes in the social sciences, European integration can be suggested as a crucial topic for the critique of the conventional discourses of modernity. For instance, modernity as the political project leading the change of polity is able to be reinterpreted with the help of investigating the nation-state in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its institutional embodiments, on the one hand, and its transformative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olitical community, on the othe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Europe as regional community is a major modern political proje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s much as the nation-building project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Europe. Thus, modernity can be theoretically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ons of historical projects which are reconstructed by specific epochal problematique rather than political institutions and actors' mode of practices which are pre-fixed as ‘stereo-type’ in the modern age. 유럽통합은 정치제도의 통합과정을 연구하는 국제정치학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이론분야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특히 사회과학의 고전적이며, 핵심적 주제인 ‘현대성’ 이론에서, 유럽통합은 기존의 현대성 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이른바 현대성의 정치적 특징들 중의 하나로 파악되는 민족국가(국민국가)의 형성과 제도적 구체화를, 지역공동체의 발전 속에서의 민족국가의 전형(轉形) 및 변화(transformation)를 통해서, 현대성의 역사적인 발현으로 이해함으로써 정체(polity)의 변화과정을 유도하는 정치적 프로젝트로서의 현대성에 대한 재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지역공동체로서의 유럽의 제도적 통합은 민족국가의 건설을 목적으로 했던 19세기의 정치적 현대성의 발현만큼이나 21세기의 현대적 정치 프로젝트이다.”이것은 곧, 현대성은 어떤 고정화된 정치제도와 주체들의 운영방식이 아니라, 당면한 시대적 과제들에 의해서 재구성될 수 있는 역사적인 발현물과 그 성격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현대성의 발현으로서의 유럽통합

        신종화(Jong Hwa Shin) 한국유럽학회 2005 유럽연구 Vol.22 No.-

        유럽통합은 정치제도의 통합과정을 연구하는 국제정치학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이론분야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특히 사회과학의 고전적이며, 핵심적 주제인 `현대성` 이론에서, 유럽통합은 기존의 현대성 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이른바 현대성의 정치적 특징들 중의 하나로 파악되는 민족국가(국민국가)의 형성과 제도적 구체화를, 지역공동체의 발전 속에서의 민족국가의 전형(轉形) 및 변화(transformation)를 통해서, 현대성의 역사적인 발현으로 이해함으로써 정체(polity)의 변화과정을 유도하는 정치적 프로젝트로서의 현대성에 대한 재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지역공동체로서의 유럽의 제도적 통합은 민족국가의 건설을 목적으로 했던 19세기의 정치적 현대성의 발현만큼이나 21세기의 현대적 정치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곧 현대성은 어떤 고정화된 정치제도와 주체들의 운영방식이 아니라, 당면한 시대적 과제들에 의해서 재구성될 수 있는 역사적인 발현물과 그 성격임을 의미한다. `European integration`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social theory as well as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does research the integration process of political institutions. Especially, in the theories of modernity, which is classical and one of the key themes in the social sciences, European integration can be suggested as a crucial topic for the critique of the conventional discourses of modernity. For instance, modernity as the political project leading the change of polity is able to be reinterpreted with the help of investigating the nation-state in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its institutional embodiments, on the one hand, and its transformative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political community, on the other.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Europe as regional community is a major modern political proje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s much as the nation-building project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Europe. Thus, modernity can be theoretically understood as the representations of historical projects which are reconstructed by specific epochal problematique rather than political institutions and actors` mode of practices which are pre-fixed as `stereo-type` in the modern age.

      • KCI등재후보

        권두논문 : “감성적 근대” 모색을 위한 초탐- 왕휘의 중국 현대성 담론 소개

        김창규 ( Changgyu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감성연구 Vol.0 No.11

        본고는 중국의 현대성 논쟁 및 아시아 상상을 살펴, ‘감성적 근대’ 모색에 이해를 제공하려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그 시론적 접근으로 본고는 중국 신좌파 왕휘의 ‘반현대성적 현대성’ 이론과 ‘조공시스템’에 기반을 둔 아시아 구상, 그리고 이에 대한 비판을 소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쟁의 쟁점은 대체로 ‘지금-여기’ 중국이 자본주의인가의 여부, 부패 원인에 대한 진단, 모택동 시대에 대한 평가, 서구적 가치에 대한평가, 전지구화에 대한 시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서구를 중국발전의 직접적인 모델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과, 서구의 지식을 본토의 지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를 이룬 듯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시각과 좌파적 시각의 차이가 뚜렷해짐으로써, 현재 중국사회 분석과 미래에 대한 공통의 인식틀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신좌파 왕휘는 ‘현대성에 반하는 현대성’ 이론을 통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이중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그는 중국사회의 공적 영역의 축소, 불평등에 대한 비판, 사회주의 및 그 문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중국문제를 새롭게 사고하게 해주었다. 동시에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야로 중국의 문제를 새롭게 사고할 수 있도록 담론의 지평을 확장시켰다. 그리고 현대와 전통,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과 국가라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데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이와 동시에 그의 이론은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어 지적되거나 비판되었다. 문혁과 모택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대중민주 주장 등은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그리고 시민보다는 국가의 권위를 인정하는 그의 입장은 일당전제의 합리성과 우월성에 대한 동의로 비춰진다. 따라서 그가 현대성의 핵심으로 강조하는 비판성은 문제적일 수밖에 없다. 비판은 기성의 권위나 관력과의 상대적 독립성에 의해 확보되고, 그 관건은 국가와의 거리두기에 달려있다. 특히 왕휘의 아시아 구상은 매우 위험스러운 생각이라 할 수 있다.물론 그것이 오리엔탈리즘에 입각한 중국에 대한 외부의 편견을 벗겨 내고, 아울러 전지구적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아시아’를 재구축해야할 필요성에서 제기된 것으로 이해는 된다. 그러나 문제는 그의 시도가 과거 제국체제에서 행해졌던 조공체제의 현재적 재해석을 통한 중국문명 재구축 의도로 읽힌다는 점이다. 따라서 아시아 구상은 중심- 주변의 관계로 전개된 조공체제에 대한 역사적 성찰을 전제로 해야할 것이며, 나아가 중심보다는 주변의 시각에서 아시아를 구상해야 할것이다. 그래야만 신중화주의적 질서의 재구축이라는 혐의에서 벗어날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give some understanding of ‘modernity of emotion’ by reviewing arguments on Chinese modernity and new Asian imagination. As an introductory approach, the study focuses on the New Left, Wang Hui’s conception of Asia based on Antimodern modernity’ theory and ‘Tributary system’, and introduction of criticism for that. The major issue of the arguments can be summarized as now-here’ China is capitalistic?, the evaluation of the cause of corruption, the Mao Zedong era and Western values, and a view of globalization. There seems to have been an agreement that the West should not be a direct model for Chinese development, and Western knowledge should be converted into Mainland one. Bu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specific points between the Liberal and Left view, which means that a common cognition of the analysis on current Chinese society and its future has gone. Wang Hui tried dual introspection on capitalism and socialismthrough his ‘antimodern modernity’ theory. He showed a way of new thinking of the Chinese problem through reducing the public area in China, criticism for inequality, and socialism and introspection on the culture. And he also let the discourse widened enough to see the Chinese problem newly from a view of global capitalism. He made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deconstruction of dichotomous ideology like modern vs tradition, socialism vs capitalism, and market vs state. But his theory revealed quite a few problems, getting pointed out and criticized. His positive evalu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Mao Zedong, and argument of public democracy met criticism which they neglected a question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His attitude which put the authority of the State before that of the public was regarded as his consent to the rationality and superiority of the One Party Rule. Thus, the criticism he emphasized as the core of modernity is quite problematic. It is because criticism can be secured by relative independence from existing power or authority, and depends on keeping a distance from the State. Especially, Wang Hui’s conception of Asia may be quite dangerous. Of course,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was presented to remove the prejudice of China from the outside based on orientalism and to reconstruct “Asia” under the global capitalistic system. But what matters is that his attempt is read as theintension to reconstruct Chinese civilization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tributary system performed in old emperor systems. Thus, it is required for the conception of Asia to make historical introspection of the tributary system developed under center-periphery relationships, further Asia from a view of the periphery rather than cent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get out of the suspicion of reconstruction of Sino-centric world order.

      • 신좌파의 ‘현대성’에 대한 인식

        박영미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10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21

        1990년대 중국의 지식인들은 세계화된 자본주의 체제에 편입되고 자본의 지배가 심화되는 중국 사회의 변화에 직면했고 이를 설명해야 했다. 신좌파는 중국에서 자본주의적 발전이 가속화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했고, 신자유주의와의 논쟁은 1990년대 사상계의 큰 쟁점이 되었다. 이들은 ‘개혁’은 자유방임적이며 부가 집중되는 자본주의가 아닌 정치와 경제의 민주의 확대를 통해 사회분배의 공정성을 보장하여 빈부의 격차가 확대되는 것을 피해야하는 것이며, ‘개방’은 자본의 논리를 무조건 받아들여 세계화된 자본주의 체계로 편입되는것이 아닌 차이와 다원성의 문제를 고민해야 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서구 중심의 ‘계몽’과 ‘현대성’을 재검토하고, 모택동 사회주의를 재평가하며, 이를 기반으로 개혁개방이후의 사회주의를 비판한다. 신좌파는 특히 계몽과 현대성이 어떻게 이해되었고,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논의한다. 지금까지 중국에서의 계몽이 서구화와 동일하게 생각되었음을 반성하고, 현대성에 내재한 모순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중국의 역사 속에 존재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서양과 중국, 전통과 현대의 낡은 이분법을 넘어서 새로운 전망과 대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민족성과 현대성 개념을 적용한 음악 텍스트 분석 연구: 중국 작곡가 탄둔의 작품 <지도(地圖)>를 중심으로

        정야오,김인설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국 현대 작곡가 중 가장 논쟁적이고 대표적인 인물인 탄둔의 작품 중 ‘동서양의 융합적 접근’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해지는 <지도>를 중심으로 민족성과 현대성 개념을 통한 음악 텍스트 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음악의 창작실천에 있어 민족성과 현대성의 논쟁적 관계를 탐구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탄둔의 <지도>에 드러난 민족성과 현대성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음악 텍스트 분석법 중 주로 악보 텍스트 분석을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민족성의 요소로는 전통 음악, 전통 악기, 민족 풍습의 요소를, 현대성의 요소로 새로운 음색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 멀티미디어 활용, 콜라주와 복합 스타일 등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음악의 민족성과 현대성은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닌 상호 촉진하는 관계이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 둘은 다양한 함의를 내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동아시아 현대 음악 창작에서 민족성과 현대성에 대한 혼란과 논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더 나아가 탈식민지적 정신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Purpose This study conducts a musical text analysis by adopting the concepts of ethnicity and modernity, focusing on <The Map>, known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a Chinese composer, Tan Dun. Known as the ‘Eastern and Western fusion approach,’ Tan Dun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and representative figures among Chinese contemporary compo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ity and modernity related to the controversy in the creative practice of modern music and to derive its social implications. Method In this study, music score text analysis was mainly selected among the music text analyses as a method for confirming and analyzing ethnicity and modernity revealed in Tan Dun's work, <The Map>. As elements of ethnicity, we analyzed how traditional music, traditional instruments, and elements of national customs were used. For the elements of modernity, we analyzed how experiments, multimedia, collage and complex styles were used to develop new tonalities and musical structure as a tool to reflect modern music.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ethnicity and modernity of music are not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but rather a relationship that promotes each other, and that these two have various implications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Conclusion This study serves as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confusion and controversy over ethnicity and modernity in East Asian contemporary composers, and further contributes to revitalizing discussions on the postcolonia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