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어 모음체계의 조음음성학적 검토

        송기중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대략 1930년대부터 우리나라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체계를 다니엘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 모형으로 파악하였고, 개별 모음의 특성을 모음4각도의 분류기준인 혀의 전-후-고-저 위치로 이해하고, 그것을 ‘전설고모음’·‘후설모음’ 등과 같이 모음의 명칭으로 삼아 왔다. 그런데, 국어 모음을 스스로 발성·관찰하여 기존 명칭의 의미에 부합하는 혀의 전-후-고-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발성할 때 혀의 위치를 확인할 경우 대개는 자연스러운 발성이 아니라, 혀의 동작을 용어의 의미에 맞게 의도적으로 과장 조작 하여 합리화한다. 우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인정해 온 모음의 조음적 특징을 실제 발성시에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는 모음4각도의 체계가 국어의 모음체계를 이해하는데 적절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 국어의 모어자들이 용이하고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음적 특징으로 모음 체계를 설명하려고 의도하였다. 2장에서는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와 기존의 설명들을 소개하며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 현대국어 중부지방어(표준어) 모음의 조음작용을 설명하고 그 조음작용을 기준으로 분류한 모음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국어의 모음은 ‘입(열기)’·‘혀’·‘입술’, 3부위(部位)의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섯 가지 단순 조음작용(調音作用)으로 조음된다. (2) 여섯 가지 조음작용은: 광구(廣口 입을 넓게 열기), 협구(狹口 입을 좁게 열기), 설승(舌昇 혀 올리기), 원순(圓盾 입술 동그랗게 만들기), 설퇴(舌退 혀 뒤로 빼기), 설진(舌進 혀 앞으로 내밀기)이다. (3) 모음체계는 기본(단)모음 3종, 단모음 5종, 2중모음 12종으로 구성되었다. 기본모음은 조음작용 의 단순 작용에 의하여 조음되고, 단모음은 ①②작용 기반에 조음작용으로 조음되고, 2중모음은 단모음에 조음작용이 추가되어 조음된다. (4) 모음들은 광구기반 모음과 협구기반 모음으로 분류된다.

      • KCI등재

        모음 [ɨ]에 대하여: 음소인가 변이음인가?

        이성민(Lee, Sung M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음운 ? 음성학적, 그리고 음소학적인 근거로 러시아어 모음 체계에서 /?/는 독립적인 음소라는 주장을 지지한다. 러시아어 모음 체계에서 변이음 관계인, 즉 상보적 분포 관계를 갖고 있는 모음들은 음성적인 면에서 많은 유사성을 나타낸다. 혀의 약간의 상승과 전진이 발생할 뿐, 기타 조음 방법 및 위치는 거의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고위 전설 모음 [i]와 고위 중설 모음 [?]는 음성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혀의 높낮이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현저한 전후 자질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모음 쌍들이 보여주는 대칭 관계에서는 기본 음소가 [+back] 모음인 반면 음소 /i/만을 인정한다면 [i] - [?] 관계에서만 [-back] 모음이 기본 음소가 됨으로써 모음 체계의 더 큰 대칭성이 파괴된다는 사실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의 음소 /i/만을 주장하는 연구들은 자음의 연자음성/경자음성이 기저적으로 결정되어 있고, 자음의 그러한 성질이 모음에 전파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동일 형태소의 자음의 자질이 후행 모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back]이라는 자질이 기저적으로 자음의 자질이 아니라 후행 모음의 자질이 전파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을 입증해 준다. 또한 기저 /?/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모든 선행자음의 [back] 자질을 명시해야 하며, 어떤 파생 단계에서는 기저자음의 [back] 자질이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음소로서의 기저 /?/를 인정함으로써 자음의 [back] 자질은 미명시로 남아있게 되고 음소 /?/를 지지하는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많은 음운 도출이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음과 모음의 연결점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i/ and /?/ must be distinct underlying phonemes within a derivational analysis of modern Russian from the view of the phonological, phonetical and phonemical considerations. In general /i/ occurs after palatalized [-back] consonants and word-initially in Russian and /?/ appears after nonpalatalized [+back] consonants. Superficially, postulating an allophonic alternation in high unrounded vowels seems appropriate. However, careful analysis of details of Russian phonology shows that this is not warranted. Evidence from velar and surface palatalization indicates that both /i/ and /?/ exist underlyingly in modern Russian. And in fact, several phonetical and phonemical paradoxes occur if one attempts to derive all high unrounded vowels form /i/.

      • KCI등재

        조음장애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

        엄선화,신혜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five normal children, five children with mild articulatory disorder, and five children with mild-moderate articulatory disorder.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pontaneous utterances were recorded with the help of parents in the treatment room or from everyday life; then, 50 words were analyzed for syntactic word intelligibilit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according to the tasks by the general group, the mild group, or the mild to moderate group. However, in the group of sentences by each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mild to moderate group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space area in the mild to moderate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in the degree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group of the mild-moderate group according to consonant accuracy. Third, the result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rea of the sustained vowel /a/, /i/, /u/ and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verbal intelligibility of the vowel in the sentence /a/, /i/, /u/,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llect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vowel space to use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general children and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별 문장내 모음에서는 일반집단에 비해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에서 차이가 났으며, 특히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모음공간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모음보다 발화길이가 길어진 문장내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음정확도에 따른 조음장애 중증도별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어절명료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조음장애가 심한 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말명료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연장모음 /아/, /이/, /우/ 모음공간면적, 문장내 모음 /아/, /이/, /우/의 모음공간면적과 어절명료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하며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 뿐 만 아니라 보다 복잡한 평가척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반아동 집단과 중증도별 조음장애아동 집단의 모음공간면적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향후 조음장애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말명료도의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음향학적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를 권고한다.

      • KCI등재

        후기중세국어 원순모음화 현상의 양상과 특징

        오광근 ( Kwang Keun Oh ),김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4

        본 연구에서는 15·6세기 국어 문헌에 나타나는 [원순성] 관련 현상의 예들에 의해 드러나는 후기중세국어 원순모음화 현상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원순모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현상을 비원순모음화 현상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원순모음에 의해 일어나는 원순모음화나 비원순 모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으로서 개재 자음이 필요하다는 제약을 파악하였다. 또한, 후기중세국어의 원순모음에 의한 [원순성] 관련 현상은 ``ㅸ``이 후행하는 모음 ``·``나 ``ㅡ``를 원순모음화시키고 ``ㅸ``은 [h]로 약화된다는 논의를 받아들이면서 ``ㅸ``에 의한 원순모음으로 역행의 원순모음화가 먼저 일어나고 그 다음에 순행의 비원순모음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순성] 관련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으로서 개재 자음이 순자음이 아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순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현상은 근대국어 시기에 널리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으로, 음절 초 순자음에 의해 모음 ``·``나 ``ㅡ``가 원순모음화되는 현상이 후기중세국어 시기에 꾸준히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이 시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논의되어 온 음절 말 순자음에 의한 원순모음화 현상은 위계화된 국어의음절 내부 구조를 바탕으로 할 때 인정할 수 없음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 of "vowel rounding" in Late Middle Korean and its character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examples related to the feature [+rounded] based on written Korean data in the 15~16 century. In Section II, we scrutinized "vowel rounding" and "vowel unrounding" motivated by other round vowels. Then, we figured out a condition determined "vowel rounding" or "vowel unrounding" motivated by other round vowels; The condition is a necessity of "intervening consonant". In addition, as adopting the following proposal such that the consonant ``ㅸ`` makes the following vowels ``·`` or ``ㅡ`` to be rounded (i.e., vowel rounding) and the consonant ``ㅸ`` weakens [h], we explained the phenomenon related to [+rounded] motivated by other vowels as followings: firstly, a regressive ``vowel rounding`` happens as the result of rounding caused by ``ㅸ`` and then, a progressive ``vowel unrounding`` happens. We also confirmed that as the condition related to [+rounded], the intervening consonants should not be labial consonants . In Section 3, we investigated "vowel rounding" motivated by labial consonants. We confirmed that the "vowel rounding" motivated by labial consonants, which has been known when it was spreaded in Modern Korean, is continuously found in Late Middle Korean based on the fact that ``·`` or ``ㅡ`` becomes rounded caused by the labial consonants on the onset. However, we also discussed that "vowel rounding" motivated by the labial consonants on the coda in Late Middle Korean, which has been discussed by some researchers, cannot be accepted if considering the internal hierarchical syllabic structure of Korean.

      • KCI등재

        日本語の二重母音について- 二重母音に関する音声的な判断基準 -

        孫範基 ( Son¸ Bum-ki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日本硏究 Vol.0 No.86

        본 연구는 현대 일본어에서 최적의 이중모음이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이중모음의 종류와 그 판단기준에 대해서 개관하였다. 그 중에서 Kubozono(2001, 2008, 2015)와 窪薗(2016)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로 단일형태소란 형태론적 판단기준과 공명도 하강과 악센트핵 부여라는 음운록적 판단기준을 제시하였고,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을 통하여 어떤 조합의 모음연쇄가 이중모음으로 합리적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판단기준과 음절핵 가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이에 문제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보다 좋은 음절핵 가설’은 粕谷ほか(1968)에서 제시한 F1을 기준으로 설정된 공명도 계층을 가지고 논의한 것으로 두 모음의 공명도 차이가 클수록 더 좋은 음절핵이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하여 /ai/는 이중모음이지만 /aЩ/는 이중모음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지만, 이 가설에 의하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이중모음으로 인정받은 /oi/와 /Щi/도 이중모음이 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의 대안으로서 분산이론(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박선우 2007, Peterson 2016, 2018)에 기반한 청각적 거리라는 음성적 기준을 이중모음을 규정하는 음성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F1과 F2에 바탕으로 둔 두 모음의 유클리드거리를 산출하여 ‘일반적으로 /oi/, /ai/, /Щi/는 일본어의 이중모음으로 인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ae/도 이중모음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is the optimal diphthongs in modern Japanese. We reviewed the inventories of diphthongs which are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m, Kubozono(2001, 2008, 2015) and Kubozono (2016) are full-scale discussions on diphthongs in Japanese, presenting one morphological and two phonological criteria that are recognized as diphthongs, monomorphemic and falling sonority, accentuation to head mora. And Kubozono (2008, 2015) propose a Better nucleus hypothesis to explain what the optimal diphthongs are. However, We reexamined three criteria and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and found some problems. In particular, the better syllable nucleus hypothesis is based on the sonority scale based from F1 presented by Kasuya et al.(1968), and the larger of the difference in the sonority of two vowels, the better as the syllable nucleus. This hypothesis explains that /ai/ is better diphthong but /aЩ/ is not a diphtho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i/ and /Щi/, which are recognized as a diphthong in many previous studies, are no longer a diphthong based on this hypothesis. As an alternative, we present the auditory distance of the two vowels based on Dispersion Theory(Lindblom 1986, Flemming 2004, Minkova and Stockwell 2003, Park 2007, Peterson 2016, 2018) and calculate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 two vowels and conclude that /oi/, /ai/ and /Щi/ are generally recognized as diphthongs in Japanese, and /ae/ is also accepted as a dipthong in some cases.

      • KCI등재후보

        'ㅓ'[??] 원순모음화 현상 연구 : 경북방언을 대상으로

        신승용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4

        본고는 경북방언에서 나타나는 /?/ 원순모음화 현상의 양상과 특성을 모음체계의 변화라는 사건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경북방언의 모음체계는 /ㅡ/와 /ㅓ/, /ㅔ/와 /ㅐ/의 합류로 /ㅣ, E, ㅡ, ?, ㅗ, ㅜ/의 3단 2계의 6모음 체계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후설에서 /?/가 /ㅜ/와 [round] 자질에 의해 새로운 대립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 원순모음화가 나타날 수 있는 일차적인 조건이 되었다. 하지만 음성적으로는 아직 /ㅏ/가 원래의 [+low] 위치에 머물러 있음으로 인해, 모음체계 내에서 /?/가 온전히 [+high] 위치로 올라가지 못하여 /ㅜ/와 안정적인 대립 관계를 정립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는 부분적으로 /o/와도 대립하는 현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형태소 경계에서 원래 ‘-으X’ 계열이었던 어미에서만 /?/ 원순모음화가 적용되고, 원래 ‘-어X’ 계열이었던 어미에서는 /?/ 원순모음화가 저지된다. 또한 형태소 내부의 /?/ 원순모음화가 어휘에 따라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리고 /?/ 원순모음화는 형태소 경계에서 형태소 내부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형태소 내부에서의 /?/ 원순모음화도 여전히 공시적으로 작동하는 공시적 규칙이다 This thesis aims fo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 labialization in Kyeongbuk dialect. The vowel system of Kyeongbuk dialect is six vowel as /i, E, i, ??, o, u/, because /i/ and /??/ merged with /??/, /e/ and /ε/ merged with /E/. As the result of this change of vowel system, /??/ is opposed to /u/ in [back]. This is caused to appearance of /??/ labialization. But /??/ isn't opposed with /u/ perfectly in viewpointing phonetics, because /a/ is placed in [+low]. As this fact, /??/ is opposed with /o/ partially. As this reason, /??/ labialization is applied with originally '-iX' ending, but isn't applied with originally '-??X' ending in morpheme boundary, and is optionally applied with the inner morpheme in accordance with the lexicon. As considering /??/ labialization is extended from morpheme boundary to the inner morpheme, /??/ labializaion of the inner morpheme as well as morpheme boundary must be a synchronic phenomenon.

      • KCI등재

        모음조화(母音調和)의 붕괴와 모음체계(母音體系) 재정립(再定立)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硏究)

        한영균 ( Han Young-g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3

        이 글의 목적은 母音調和의 붕괴 과정을 音韻史的으로 해석함과 동시에, 母音體系의 재정립 과정의 動因을 밝히는 데에 있다. 모음조화의 붕괴 과정에 대한 기존의 通說과 文獻에 반영된 모음조화 붕괴의 실상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특히 모음조화의 붕괴는 ①制約의 擴大, ②規則의 隨意化, ③異形態의 單一化라는 誘因이 작용하여 本格化되는데, 格助詞 및 語尾의 내부 음절 구조, 母音 사이의 대립관계가 모음조화 붕괴의 擴散에 영향을 미친다. 單母音體系의 재정립은 이른바 中性 母音 /i/ 및 半母音 /j/의 조음상의 견인력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단순히 ‘、’의 非音韻化에 이어 일어난 前舌母音系列의 성립이라는 목록의 변화를 통해서 설명되기보다는 斜線的 대립체계에서 垂直的 대립체계로의 변화라는 對立軸의 변화로 설명되어야 한다. 이는 모음조화의 붕괴와 모음체계 재정립을 가져온 音韻史的 誘因이 동일한 것임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edness between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in Korean. The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seems to have three reasons, at least ; ① Expansion of contraints on the environments of rule application ②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the rule, which means that the vowel harmonic rule was an obligaroy one originally but becomes an optional one ③ Morphological levelling, which means that the allomorphs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hich showes alterna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vowel harmonic rule tends not to show altern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especially the phonemization of the front vowels such as /ㅐ/ /ㅔ/ /ㅚ/ should be interpreted as results of backward assimilation of front high vowel /i/ and jod. If we accept this observations,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structuring of vowel system and declination of vowel harmony rules have the same phon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하강이중모음 ‘외’의 變化와 方言 分化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All of the Korean dialects had ‘ɔi’ as the common preform of ‘외’ and this /ɔi/, generally, was monophthongized into [œ] by way of its phonetical 'Stufenwechsel'. And also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dialects was constituted through several divergences. Firstly, Jeolla dialect where /ɔi/ in 'ɔia' is monoththongized into /œ/ as well,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Secondly, Pyeongan and Hamgyeong dialects where /œ/ was never rephonolo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Thirdly, Hwanghae and Hamnam dialects where /œ(∼ö)/, after bilabial consonants, was never nonrounded-vowel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Besides, in the latter case, Peongbuk, Hambuk, and Jeonnam dialects where the [roundness] pair of the /œ/ was /ɛ/,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Lastly, Pyeongbuk, Gyeongsang, and Jeju dialects where /œ(∼ö)/ was rising-diphthon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국어 제방언의 ‘외’는 ‘ɔi’를 공통선대형으로 가지며 몇몇 음성적 단계변이를 거쳐 단모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몇 가지 분화 과정을 거쳐 지금의 방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외아’의 ‘외’까지도 단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둘째, 단모음 ‘외’는 음성적으로 모음상승이 일어나고 나아가 [원순성] 대립쌍이 ‘애’에서 ‘에’로 바뀌는 재음운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 여부에 따라 평안⋅함경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셋째, 양순음 아래의 단모음 ‘외’가 비원순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황해⋅함남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아울러 비원순모음화가 일어난 방언은 ‘외’의 [원순성] 대립쌍이 무엇이냐에 따라 평북⋅함북⋅전남방언과 나머지 방언으로 분화된다. 넷째, 단모음 ‘외’가 상승이중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평북⋅경상⋅제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 KCI등재

        영어모음의 길이와 질에 관한 분석 - Jones와 Kenyon의 견해를 중심으로

        배재덕(Bae Jae-D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1

          영어모음의 길이(length)과 질(quality) 요소에 있어서 시차성 여부를 두고 영국학계를 대변하는 Jones는 길이(장단)에 시차성을 두어서 장모음표기 [:]를 하고 미국학계를 대변하는 Kenyon은 모음의 질을 시차성으로 인정하여 미국에서 발간되는 사전이나 학습서에는 장모음표기를 하지 않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전개했다.<BR>  또한 영어사적으로 이들 장모음들을 조사한 바로는 Jones가 시차적 요소라고 주장하는 모음의 장단요소는 영어사적인 발달과정과 일치하고 있고, 모음의 질을 시차적 요소로 생각하는 Kenyon은 이들 장모음을 단모음으로 취급하고 있는 데, 이것은 영어사적인 조사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BR>  전통적으로 한국의 사전이나 영어 학습서에서는 Jones의 표기법대로 장모음 기호 [:]를 사용해 오고 있기 때문에 한국 영어학습자들이 장모음 표기를 하지 않고 있는 Kenyon의 표기법은 거의 이해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국식 표기법으로 된 사전이나 학습서를 대할 때에는 양 학파간의 표기상 차이점을 잘 파악하여 학습할 것을 제안한다.   Different views have arisen among scholars on distinctive elements of vowels in English. This paper analyses and defines whether or not which of many elements such as the length, quality, tenseness, semi-vowels and glides of the long vowels [i:], [u:], [?:], [?:], [?:] and diphthongs [ei], [ou], so called, in English is distinctive focusing on Jones" view and Kenyon"s. And also we ver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distinctive elements of English vowels in comparison with the two scholars"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As a distinctive element Jones thinks the difference of length to be more significant, while Kenyon, opposing Jones" view, stresses only the vowel quality. Some scholars like Thomas and Bronstein consider tenseness of vowels more significant, and structuralists in America consider semi-vowels or glides more important. We find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regarding the length element of English vowels as distinctive.<BR>  In terms of vowel phonetic transcription Jones admits that the length element of vowels in English is phonemic and gives a length mark like [i:] or [ei], while Kenyon thinks that the quality element of vowels is distinctive and gives a short vowel symbol like【i】or 【e】without a length mark . Traditionally our English learners are accustomed to Jones" phonetic symbols. In this case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wo different English vowel phonetic notations.: one with length marks and another without any additional marks.

      • KCI등재

        hVda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중국인 여성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손상미(Shon Sa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한국어 단모음의 동적 변화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할 때 일으키는 오류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어 발음을 지도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방법 이를 위해서 서울 소재 대학 언어 교육원에서 한국어 2급을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여성 학습자 5명과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출생⋅성장한 여성 한국인 모어 화자 5명이 hVda 환경에서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을 구하여 비교⋅대조하였다. 먼저 hVda로 구성된 실험 자료를 녹음하여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선후행하는 자음을 제거하고 단모음만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단모음을 스크립트를 사용해 균등하게 분할하여 6개 지점의 1과 F2 값을 구하고 이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였다. 결과 그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설 모음은 두 집단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설 모음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이 상대적으로 더 동적이었다. 후설 모음 중에서 /오/와 /어/는 중반부 이후에 상승하는데 그 상승 정도가 한국인 모어 화자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보아 /오/와 /어/를 발음할 때 중반부를 지나면서부터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구강 내에서 혀를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한 상태로 조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음을 발음할 때는 전설 모음에서는 포먼트 궤적의 형태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중설과 후설 모음을 발음할 때는 한국인이 조음한 모음의 포먼트 궤적과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모음 /어/를 /이/와 /오/, /오/를 /우/로 혼동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후설 조음을 조음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더 많이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change of Korean single vowels uttered by Chinese learner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cause when pronouncing Korean single vowels and to teach Korean pronunci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formant trajectories of single vowels uttered in the hVda environment were obtained and compared and contrasted by 5 Chinese female learners studying Korean level 2 at a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5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born and raised in Seoul and Gyeonggi. First, by recording the experimental data composed of hVda, leading and trailing consonants were removed in Praat, a voice analysis program, and only single vowels were extracted. The single vowels thus extracted were equally divided using a script to obtain the 1 and F2 values of 6 points and connected with a single line. Results As a result, overall, the chang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n particul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ront vowel, but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relatively more dynamic in the back vowel than the native Korean speakers. Among the back vowels, /o/wa /uh/ rises after the middle part, and the degree of rise is larg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t can be seen that articulation is performed with the tongue position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oral cavity. Conclusion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Korean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front vowel, but when pronouncing the middle and back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is different from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Korean articulated vowels. can It can be seen that Chinese learners confuse the vowels /uh/ with /i/ and /o/, and /o/ with /u/.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articulate the back vowel, they move their mouth shape and tongue position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