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멕시코시티와 보고타 스페인어에 나타나는 비강세 모음의 무성음화 현상 비교 분석
김경래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5 스페인어문학 Vol.- No.114
모음의 무성음화는 한국어, 일본어, 그리스어 등 일부 언어에서 나타나는 모음 변이 현상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안정된 모음 체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스페인어에서도 발견된다. 모음이 성대의 진동 없이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현상을 모음의 무성음화라고 한다. 본고에서는 무성 모음을 하나의 변이음으로 파악하고 멕시코시티와 보고타 스페인어에 나타나는 이 모음의 변이를 연구한다. 멕시코시티 PRESEEA 코퍼스 18개와 보고타 PRESEEA 코퍼스 18개에서 각각 7200개, 총 14400개의 비강세 모음을 분석한 결과 멕시코시티에서는 5%, 보고타에서는 2.7%의 무성 모음이 발견되었다. 두 지역 자료의 분석 결과는 선행 연구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비강세 모음의 선행 환경에서는 무성 자음들의 역할이 크고 휴지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는 반면, 후행 환경에서는 휴지의 역할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무성 마찰음이 그다음으로 역할이 크다. 두 지역에서 모음의 무성음화는 무성 자음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동시에 휴지 앞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Vowel devoicing is a type of vowel variation phenomenon observed in certain languages such as Korean, Japanese, Greek, etc. This phenomenon is also found in Spanish, despite the fact that this language is known for having a stable vowel system. Vowel devoicing occurs when a vowel is pronounced without the vibration of the vocal cords. This study considers devoiced vowels as a linguistic variant and analyzes this phenomenon in the Spanish spoken in Mexico City and Bogotá. An analysis of 14,400 unstressed vowels—7,200 from 18 oral samples of the PRESEEA corpus from Mexico City and 7,200 from 18 oral samples of the PRESEEA corpus from Bogotá—revealed that 5% of unstressed vowels in Mexico City and 2.7% in Bogotá were realized as voiceless vowels. The analysis results from both regions largely aligned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preceding phonetic environment of unstressed vowels, voiceless consonants play a significant role, while pauses have little effect. In contrast, in the following phonetic environment, pause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voiceless vowels, followed by voiceless fricatives. In both regions, vowel devoicing appears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voiceless consonants and frequently occurs before a pause.
한국어 후설원순모음의 음성 특징과 음성 인식 오류에 관한 연구
김아름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5
후설원순모음은 세대와 성별에 따른 조음 위치 차이가 큰 모음으로, 이들의 이러한 조음 특성으로 인해 음성 인식 상황에서 다수의 후설원순모음 간 오류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약 106시간의 음성 인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각 후설원순모음들이 정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과 오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을 측정하여, 후설원순모음 간의 음성 인식 오류를 유발하는 음성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성 인식 모델, 성별, 후설원순모음 종류에 따라 음성 인식 상황에서 주요 인식 단서로 활용되는 음성 특징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ㅜ’의 인식 오류는 남녀 모두 F1에 의해 발생한다. 이때 F2는 ‘ㅗ’와 ‘ㅜ’의 판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 ‘ㅗ’와 ‘ㅜ’가 전후대립을 보이는 세대의 음성 인식에서는 다수의 인식 오류를 야기한다. ‘ㅗ’는 음성 인식 모델에 따라 주요 인식 단서가 차이가 있으며, 남녀 모두 F2가 인식 오류에 영향을 미친다.
엄선화,신혜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언어치료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five normal children, five children with mild articulatory disorder, and five children with mild-moderate articulatory disorder.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pontaneous utterances were recorded with the help of parents in the treatment room or from everyday life; then, 50 words were analyzed for syntactic word intelligibilit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according to the tasks by the general group, the mild group, or the mild to moderate group. However, in the group of sentences by each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mild to moderate group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space area in the mild to moderate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in the degree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group of the mild-moderate group according to consonant accuracy. Third, the result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rea of the sustained vowel /a/, /i/, /u/ and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verbal intelligibility of the vowel in the sentence /a/, /i/, /u/,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llect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vowel space to use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general children and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별 문장내 모음에서는 일반집단에 비해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에서 차이가 났으며, 특히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모음공간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모음보다 발화길이가 길어진 문장내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음정확도에 따른 조음장애 중증도별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어절명료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조음장애가 심한 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말명료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연장모음 /아/, /이/, /우/ 모음공간면적, 문장내 모음 /아/, /이/, /우/의 모음공간면적과 어절명료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하며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 뿐 만 아니라 보다 복잡한 평가척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반아동 집단과 중증도별 조음장애아동 집단의 모음공간면적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향후 조음장애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말명료도의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음향학적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를 권고한다.
한수정(Han Su jung)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 논문의 목적은 현대국어의 일부 지역 방언에서 나타나는 ‘ㄴ’이 탈락하고, 모음이 비음(nasal vowel)으로 실현되는 현상을 자립분절음운론(Autosegmental Phonology)의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분절음(segment) ‘ㄴ’이 탈락하고, 탈락한 ‘ㄴ’의 앞뒤 모음에 비음성[nasal]이 남아 모음이 비음으로 실현되는 현상은 생성음운론(Generative Phonology)으로는 설명이 어렵다. 하지만 자질의 계층적 구조를 상정한 비단선 음운론(Non-linear Phonology)으로는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ㄴ’이탈락하고, 그주변모음이비음으로실현되는현상은‘ㄴ’ 뒤에구개모음(palatal vowel) ‘i’이나 반모음(glide) ‘j’가 올 때 나타난다. 이러한 환경에서 ‘ㄴ’은 구개음화되어 [ɲ]으로 실현된다. 이로 인해 [coronal] 자질이 연속되어 ‘ㄴ[ɲ]’이 탈락된다. 이 탈락은 필수굴곡원리(Obligatory Contour Principle)로 설명이 가능하다. 분절음이 탈락하지만, [nasal] 자질은 남아서 주변 모음으로 확산(spread)되어 모음이 비음화되는 것이다. 국어에서의 모음의 비음화는 음성적인 비모음화(phonetic vowel nasalized)와 음운론적인 비모음화(phonological vowel nasalized) 두 가지가 존재한다. 하나는 국어의 비자음(nasal consonant) ‘ㅁ[m], ㄴ[n], ㅇ[ŋ]’의 전후 모음에서 나타나는 비모음화이다. 이는 비자음이 개재하는 모든 모음에서 나타나는 음성적인 동화 현상(phonetic assimilation)이다. 다른하나는이논의의주제인‘ㄴ’ 탈락으로인한모음의비음화이다. 이비음화는‘ㄴ[n]’과 ‘이[i](j)’가 연속될 때만 나타나는 융합 현상(fusion)이다. 음운론적 비모음화는 지역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는 점과 현재 비음화된 모음의 실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시적인 현상(synchronic phenomenon)이 아니라 통시적인 현상(diachronic phenomenon)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henomenon where the deletion of the ‘n’ sound results in the vowel becoming a nasal (vowel) in contemporary Korean using Geometry Theory. In Korean, there are two forms of vowel nasalization; phonetic and phonological. Phonetic vowel nasalization is the nasalization before or after the nasal consonants ‘m, n, ŋ’ in Korean, and phonological nasalization is the vowel nasalization from the deletion of the ’n’ segment,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lso, the former is phonetic assimilation that occurs in every intervocalic nasal consonant and the latter is the fusion which only appears when ’n’ and ‘i(j)’ appear consecutively. As phonological vowel nasalization only appears in certain regions and nasalized vowels continue to disappear, it is not a synchronic phenomenon but a diachronic phenomenon. The phenomenon where ’n’ is deleted and it’s surrounding vowels are nasalized occurs when the palatal vowel ‘i’ or glide ‘j’ follows after ’n’. In this case, ’n’ becomes [ɲ] by palatalization. Because of this, the [coronal] feature occurs in succession, and ’n[ɲ]’ is deleted. This deletion could be explained by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The segment is deleted, but the remaining nasal feature spreads to make the surrounding vowels being nasalized. With Generative Phonology, it is difficult to describe how the deletion of the intervocalic n results in the nasalization of the vowels located before and after n . However, Non-Linear Phonology could describe this quite simply as the theory assum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features.
권경근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4 No.-
언어보편적으로 무표적인 음절구조는 CV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음절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모음충돌이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말에서도 모음충돌은 일반적으로 회피되며, 모음충돌이 회피되는 양 상은 이중모음화, 융합, 모음탈락, 자음삽입 등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 다. 이전의 연구는 부분적인 설명에 그치고 있어 모음충돌과 관련된 요인 들을 전반적으로 연관 짓고 있지는 못하다. 모음충돌의 결과는 음운론적 요인, 형태론적 요인, 어휘적인 요인 등에 따라 다르게 실현될 뿐만 아니 라 심지어 모음충돌이 그대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국어의 모음 충돌에서 작용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는 측 면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표적인 음절구조를 해 소하기 위해 모음충돌은 회피되는데,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일지라도 형태 론적 조건에 따라 모음충돌 회피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음운론 적, 형태론적 조건이 같다 할지라도 어휘부류에 따라 모음충돌 회피 양상은 차이가 난다. 고유어와 한자어 및 서양외래어와의 차이도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어 내에서도 모음충돌이 회피되는 부류, 허용되는 부류, 모음 충돌이 회피되는 형태와 허용되는 형태를 모두 취하는 부류로 구분된다. 즉, 국어의 모음충돌은 음운론적 세기, 형태론적 세기, 형태소 보존, 어휘 부류와 화자의 인식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함께 작용하는 인접현상 (interface)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정인호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All of the Korean dialects had ‘ɔi’ as the common preform of ‘외’ and this /ɔi/, generally, was monophthongized into [œ] by way of its phonetical 'Stufenwechsel'. And also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dialects was constituted through several divergences. Firstly, Jeolla dialect where /ɔi/ in 'ɔia' is monoththongized into /œ/ as well, is different from the others. Secondly, Pyeongan and Hamgyeong dialects where /œ/ was never rephonolo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Thirdly, Hwanghae and Hamnam dialects where /œ(∼ö)/, after bilabial consonants, was never nonrounded-vowel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Besides, in the latter case, Peongbuk, Hambuk, and Jeonnam dialects where the [roundness] pair of the /œ/ was /ɛ/,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Lastly, Pyeongbuk, Gyeongsang, and Jeju dialects where /œ(∼ö)/ was rising-diphthongized,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국어 제방언의 ‘외’는 ‘ɔi’를 공통선대형으로 가지며 몇몇 음성적 단계변이를 거쳐 단모음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몇 가지 분화 과정을 거쳐 지금의 방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외아’의 ‘외’까지도 단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둘째, 단모음 ‘외’는 음성적으로 모음상승이 일어나고 나아가 [원순성] 대립쌍이 ‘애’에서 ‘에’로 바뀌는 재음운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 여부에 따라 평안⋅함경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셋째, 양순음 아래의 단모음 ‘외’가 비원순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황해⋅함남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아울러 비원순모음화가 일어난 방언은 ‘외’의 [원순성] 대립쌍이 무엇이냐에 따라 평북⋅함북⋅전남방언과 나머지 방언으로 분화된다. 넷째, 단모음 ‘외’가 상승이중모음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평북⋅경상⋅제주방언과 기타 방언으로 분화된다.
李京哲,佐藤亜里紗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3 No.-
본고에서는 영어단모음([i][ɪ][e][æ][ʊ][u][ɔ][ʌ][ə][ɑ])가 어떻게 일본어로 표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영어모음이 일본어에 대응하는 경향과 앞으로 각각 모음을 어떻게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것이 적당하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중에서도 일본어모음에 존재하지 않는 모음의 결과를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이하와 같다. 영어모음 [ɪ]는 영어모음 [i]와 같이 일본어모음 i와 일본어모음 e로 반영되어있지만, 대부분이 일본어모음 i로 반영되어 있다는 것과 일본어모음 e로 반영되어 있는 예가 모두 원어표기 e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일본어모음 i와도 조음위치가 가깝다는 점에서 영어모음 [ɪ]는 일본어모음 i로 표기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영어모음 [æ]에 관해서는 대부분이 일본어모음 a로 반영되어 있지만, /k/, /g/가 앞에 위치할 경우에는 일본어반모음 ja로 반영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어모음 [æ]는 일본어모음 a로 표기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되지만, 영어모음 [æ]앞에 /k/, /g/가 올 경우에 관해서는 일본어반모음 ja로 반영하는 것도 시야에 넣을 필요가 있다. 영어모음 [ʌ]는 대부분이 일본어모음 a로 반영되어 있으며, 다른 일본어모음으로 반영되는 예는 모두 원어 스펠링의 영향을 받고 있다. 영어모음 [ʌ]를 포함하는 단어는 [グローブ][グラブ]나 [カンパニー][コンパニー] 등 일본어에서 표기가 공존하고 있는 단어들이기 때문에 일본어모음 a로 표기를 통일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olves an analysis of the English vowels([i][ɪ][e][æ][ʊ][u][ɔ][ʌ][ə][ɑ]) in Japanese Kana-notation. The resul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tendency of these vowels in Japanese Kana-notation. Some examples of English vowels that do not exist as vowels in Japanese were considered. I suggest that the Japanese vowel [i] is reflected as the English vowels [ɪ]. The English vowel [ɪ] is reflected as the Japanese vowel [i] in many cases and is also reflected as the Japanese vowel [e] in a few cases, in which the Japanese vowel [e] is spelled as ‘e’ in the original language. I further suggest that the Japanese vowel [a] is reflected in the English vowels [ʌ], which is reflected as the Japanese vowel [a] in many cases. However, it is also reflected in the Japanese vowel [o] and [u] in a few cases and in this case, the Japanese vowels [o] and [u] are spelled as ‘o’ and ‘u’ respectively in the original language.
송기중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대략 1930년대부터 우리나라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체계를 다니엘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 모형으로 파악하였고, 개별 모음의 특성을 모음4각도의 분류기준인 혀의 전-후-고-저 위치로 이해하고, 그것을 ‘전설고모음’·‘후설모음’ 등과 같이 모음의 명칭으로 삼아 왔다. 그런데, 국어 모음을 스스로 발성·관찰하여 기존 명칭의 의미에 부합하는 혀의 전-후-고-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발성할 때 혀의 위치를 확인할 경우 대개는 자연스러운 발성이 아니라, 혀의 동작을 용어의 의미에 맞게 의도적으로 과장 조작 하여 합리화한다. 우리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인정해 온 모음의 조음적 특징을 실제 발성시에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는 모음4각도의 체계가 국어의 모음체계를 이해하는데 적절하지 않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 국어의 모어자들이 용이하고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조음적 특징으로 모음 체계를 설명하려고 의도하였다. 2장에서는 존스의 기준모음4각도와 기존의 설명들을 소개하며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 현대국어 중부지방어(표준어) 모음의 조음작용을 설명하고 그 조음작용을 기준으로 분류한 모음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국어의 모음은 ‘입(열기)’·‘혀’·‘입술’, 3부위(部位)의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여섯 가지 단순 조음작용(調音作用)으로 조음된다. (2) 여섯 가지 조음작용은: 광구(廣口 입을 넓게 열기), 협구(狹口 입을 좁게 열기), 설승(舌昇 혀 올리기), 원순(圓盾 입술 동그랗게 만들기), 설퇴(舌退 혀 뒤로 빼기), 설진(舌進 혀 앞으로 내밀기)이다. (3) 모음체계는 기본(단)모음 3종, 단모음 5종, 2중모음 12종으로 구성되었다. 기본모음은 조음작용 의 단순 작용에 의하여 조음되고, 단모음은 ①②작용 기반에 조음작용으로 조음되고, 2중모음은 단모음에 조음작용이 추가되어 조음된다. (4) 모음들은 광구기반 모음과 협구기반 모음으로 분류된다.
김현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VGV sequences [aja] and [oja] changed into [ɛ:] and [wɛ:] respectively in central dialect but in Chungnam and Jeonbuk dialects they occasionally changed into [ja:] and [ɥa:]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hat after the monophthongization of [aj] and [oj] to [ɛ] and [ö], resulting VV sequences [ɛa] and [öa] underwent glide formation of non-high vowels: [ɛ]>[j], [ö]>[ɥ]. There always exists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wo vowels constituting VV sequence and this transition can be recognized as a phonemic glide when the preceding one of vowel sequence is extremely weakened or deleted.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more the preceding vowel is shortened the more test subjects recognize VV sequence as GV sequence. This glide formation as phonological phenomenon can be defined phonetically as vowel weakening or deletion. 하향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되기 이전의 ‘아야[aja]’, ‘오야[oja]’는 현재 중앙어에서는 대체로 ‘애:’와 ‘왜:’로 반영되어 있지만, 충남과 전북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야:[ja:]’와 ‘요ㅑ[ɥa:]’로 반영되어 있다. 이는 ‘애아’, ‘외아’의 비고모음 ‘애’, ‘외’가 각각 [j], [ɥ]로 활음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모음의 연쇄에는 앞의 모음에서 다음 모음으로 전이되는 구간이 있기 마련인데, 앞의 모음이 극단적으로 약화되어 전이 구간과 후행 모음만이 두드러짐으로써 활음과 모음의 연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개아’와 ‘괴아’의 모음 길이를 조작하여 전체 연쇄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실험한 결과, ‘애’와 ‘외’가 짧으면 짧을수록 모음 연쇄보다는 활음과 모음의 연쇄라고 판단하는 일이 잦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