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김병준(Kim Byung-Joon)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본고에서는 최근 중국 호남성에서 발견된 里耶秦簡의 내용을 중심으로, 변군 내의 중심지역이 아닌 邊縣에서는 군현지배가 실현되기 어려웠다는 기존의 이해를 교정해 보고자 했다. 먼저 호구부를 통해 드러난 낙랑군 변현은 중심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교통이 불편할 뿐 아니라 호구수가 매우 적은 곳이었으며, 또 호당 구수의 비율도 내군이나 낙랑군 군치지역에 비해 높다. 이러한 현상은 里耶秦簡에 나타난 秦代 洞庭郡 遷陵縣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이처럼 작은 변현이지만, 천릉현에는 縣廷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정밀한 행정 조직이 잘 갖추어졌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내군의 현과 비슷한 규모의 관리가 배치되어 있었다. 또 隣郡으로부터 初吏를 차출하여 배치하고 있었다. 이는 낙랑군 변현에 설치되었다고 알려진 諸曹, 그리고 遼東郡으로부터 충원된 初吏와 동일한 모습이었다. 이와 같이 낙랑군 변현과 동일한 조건과 규모를 가진 천릉현의 사례를 통해, 변군의 변현이라고 하더라도 縣廷 업무를 위해서 내군 혹은 중심지와 동일한 군현지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존에 변현 특히 영동 7현과 관련해서 군현지배의 후퇴를 강조했던 또 다른 까닭은 한제국이 蠻夷의 침탈에 대응한 형식 및 그 군현지배의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먼저 토착민의 저항이 한사군의 개편을 불러왔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이 지역에 대한 군현지배를 약화한 것이 아니라 大郡과 합병하는 방식으로 변군의 과도한 부세 문제를 조정하려고 했던 것이 이른바 대낙랑군 형성의 중요한 배경이었다. 둘째, 이렇게 대낙랑군이 형성되면서 설치된 부도위는 군사방어의 영역이 넓어져 다시 추가 설치된 군사기관일 뿐이지 治民기관이 아니었다. 동부도위가 이곳의 군사업무와 행정업무를 모두 직접 담당했고 또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만큼 이곳에 대한 군현지배는 약화되었던 것으로 이해했던 것은 잘못된 이해였다. 셋째, 동부도위가 폐지된 이후에는 이곳의 지배가 포기된 것이 아니었다. 동부도위의 폐지는 이곳 토착민의 침탈때문이 아니라 전국적인 정책의 일환이었다. 도위 폐지 이후 王調의 반란 진압과정 중 영동 7현의 渠帥들이 후한에 항복해 왔고 이에 대한 보답으로 이들을 영동 7현에 縣侯로 봉해주었다. 이 縣侯의 侯國은 이민족 거수에게 명목적으로 주었던 爵號가 아니라 열후에게 사여된 식읍으로서 여전히 郡으로부터 파견된 관리들이 행정업무를 담당했던 縣級 지방행정기관이었다. 즉 이들 縣侯는 군현지배에서 벗어난 자들이 아니라 군현지배체제 안의 존재였다. 적어도 고구려가 華麗城을 공격하는 118년까지는 군현제 하의 후국으로서 남아있었던 것이다. In spite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wooden slips excavated in Pyongyang,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still reluctant to accept the universal control of the Han empire over the Nakrang commandery. It may result from the assumption that peripehral prefectures must be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commandery in terms of dominance. Some factors like small numbers of households in peripheral prefectures appeared in the household registration woonden slips might have supported this assumption. However, newly excavated wooden slips of Liye give a new light on this problem, which show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how to control the peripheral prefectures of Tongting commandery during the late Qin period. The conditions of peripheral prefectures between Nakrang and Tongting were very similar. The scale of the households was very little and the ratio of the persons per household was very high. These aspects might come from the fact that these areas were composed of indigenous peoples. Despite of these small and indigenous features, the whole wooden documents of Liye show us that Qin government pushed the well-organized and tightened control over this peripheral area with a great amount of expenses. Therefore the peripheral prefectures of Nakrang commandery would be as same as the Tongting commandery. At least it could be said there were great efforts to carry through the dominance even to the peripheral prefectures. This paper also reviews some misunderstandings over the transmitted written materials. Many previous studies emphasizied the resistance of the native people against the empire too much. However, the way how the empire responed to this resistance should be equally studied. Firstly, Han empire did not withdraw on the ground that there was resistance. They strived to find some ways to continue the dominance over the peripheral areas, one of which in Korean peninsular was to make some commanderies into a big one, so called “Big Nakrang.” Secondly, unlike previous understanding, the “Eastern Section Defender” did not rule the “Seven prefectures” in terms of civil administration, it was installed to make active steps to conrol these areas militarily. Thirdly, the abolition of “Eastern Section Defender” did not mean the abandonment of the “Seven prefectures.” Previous studies misunderstood the Marquis as the independent indigenous power out of Nakrang commanery, but it was bestow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native chiefs after their betrayal to Wang-Jo and surrender to the Later Han. The “Prefecture Marquis” was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under the Nakrang commandery. These marquises remained until the Goguryeo attacked the Hwaryeo Castle, which was one of the “Seven prefectures.”

      • KCI등재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2) -四郡總考・樂浪考-

        박대재(Park, Dae-Jae),박찬우(Park, Chan-U)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정약용은 『아방강역고』 四郡總考에서 위만조선 멸망 이후 설치된 漢四郡의 지역범위에 관해 江界外徼에 있던 진번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압록강 동쪽 지역에 해당한다고 본 뒤 4군이 2府로 전환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樂浪考에서는 前漢, 後漢, 晉 시기 낙랑군의 연혁을 살펴보고 주요 속현의 위치를 비정하였다. 하지만 2府를 설정하는 문제나 낙랑군 東部都尉 및 南部都尉의 관할 지역에 관한 이해, 遂成縣의 위치 비정 등은 조선 후기 다른 역사지리서나 현재의 통설과 크게 차이가 나는 부분이라 지적할 수 있다. In “Sagunch"onggo(四郡總考 The General Review of the Four Commanderies)” of Abang Kangyŏkko(我邦疆域考), Chŏng Yagyong (丁若鏞) studied the process of the four commanderies’ administrative transformation into two prefectures(府),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mmanderies were located in the eastern region of Amnok River except Zhenfan Commandery. Meanwhile, he demonstrated the history of Lelang Commandery and estimated the location of its counties during the periods of Former Han, Later Han and Jin Dynasty. Yet, it is noteworthy that his arguments about the two prefectures, the Lelang commandery’s Eastern and Southern Part Districts, the location of Suichen County(遂成縣), and other argu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opinions held by scholars after the later period of Chosŏn dynasty.

      • KCI등재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2) -四郡總考・樂浪考-

        박찬우,박대재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9

        정약용은 『아방강역고』 四郡總考에서 위만조선 멸망 이후 설치된 漢四郡의 지역범위에 관해 江界外徼에 있던 진번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압록강 동쪽 지역에 해당한다고 본 뒤 4군이 2府로 전환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樂浪考에서는 前漢, 後漢, 晉 시기 낙랑군의 연혁을 살펴보고 주요 속현의 위치를 비정하였다. 하지만 2府를 설정하는 문제나 낙랑군 東部都尉 및 南部都尉의 관할 지역에 관한 이해, 遂成縣의 위치비정 등은 조선 후기 다른 역사지리서나 현재의 통설과 크게 차이가 나는 부분이라 지적할 수 있다. In “Sagunch'onggo(四郡總考 The General Review of the Four Commanderies)” of Abang Kangyŏkko(我邦疆域考), Chŏng Yagyong (丁若鏞) studied the process of the four commanderies’ administrative transformation into two prefectures(府),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mmanderies were located in the eastern region of Amnok River except Zhenfan Commandery. Meanwhile, he demonstrated the history of Lelang Commandery and estimated the location of its counties during the periods of Former Han, Later Han and Jin Dynasty. Yet, it is noteworthy that his arguments about the two prefectures, the Lelang commandery’s Eastern and Southern Part Districts, the location of Suichen County(遂成縣), and other argu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opinions held by scholars after the later period of Chosŏn dynasty.

      • KCI등재

        高句麗의 東沃沮 정벌과 樂浪郡

        이종록(Lee Jong Rok)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9 No.-

        『三國志』 등의 사료에 따르면 高句麗가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땅에 위치하여 늘 식량공급 등의 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고구려는 정복전쟁을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고, 1세기경의 동옥저 정벌은 그 전쟁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동옥저 정벌에 있어서 고구려에게 최대의 장애물은 이미 이 지역에 지배권을 확보하고 있었던 樂浪郡 세력이었다. 따라서 大武神王代 고구려는 정복전쟁은 그 목표가 바로 이들 낙랑군 세력이었을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파악하였다. 고구려는 呑列縣을 비롯한 낙랑군의 縣을 공략하여 동옥저지역의 교통로를 확보하였으며, 그 여파는 낙랑군이 하여금 영동 7현을 방기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동옥저에서 군현세력이사라지고 토착 小國들이 서로 相爭하는 기회를 틈타, 고구려는본격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정벌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동옥저에서는 여전히 親漢勢力이자 군의 지배질서를 수용하던 집단이 잔존하고 있었다. 이들은 영동 7현의 방기 이후에도 여전히 樂浪郡의 소속으로써 그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던 집단이던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는 이들 친한 세력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동옥저 정벌을 수행하였으며, 이것이 사료상에서 樂浪國 이라는 나라와의 전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이들은 낙랑군을 대신하여 토착세력들(渠帥)에게 지배자의 입장에서 조세의 貢納을 받으며 경제적 욕구를 충족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Sanguozhi(三國志;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Koguryǒ(高句麗) had constantly suffered economic problems because of its inadequate earth for agriculture. Thus, Koguryǒ used militaristic methods as a solution to their scarcity of provisions, and the invasion into East Okchŏ(東沃沮; Dongokchŏ) was an exemplary case for this mechanism in the first century. The biggest obstacle to Koguryǒ s conquest of East Okchŏ was Chinese Lelang(樂浪) Commandery, which had already secured control over the region using local pro-Chinese groups in East Okchŏ. Consequently, the consistent purpose of King Taemusin(大武神王) s campaigns was to defeat these groups. Koguryǒ attacked Lelang s counties such as Tunlie(呑列縣) to acquire a route to East Okchŏ, and the invasion s aftereffect severed the commandery s direct reign over the region. After Chinese commanderies recession from East Okchŏ, small countries(小國) started quarrels with each other, a situation which allowed Koguryǒ to easily infiltrate into this region. Arguably, the leaders of small countries were the local pro-Chinese groups who kept their identity as a part of Chinese commandery even after the commandery s recession. It was natural that Koguryǒ s aggression targeted at these groups remained in East Okchŏ, since they were potential threats to Koguryǒ s rule over the region. This invasion was described as a war with a kingdom named Lelang(樂浪國; Nangnangguk), supposedly one of the local countries under a pro-Chinese leader. After successfu occupation of East Okchŏ, Koguryǒ adopted a similar method of Chinese commanderies control over the region, as it was the most effect way to satisfy their economic needs.

      • KCI등재

        A New Approach to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樂浪) Commandery

        박대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2 No.2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first revealed in North Korea in 2006 is comprised of wooden tablets that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ouseholds of 25 counties in Lelang Commandery. By exploring the nature of kiho (其戶), an item found at the end of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this study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re were regional distinctions between the 18 counties of the central region and the seven counties of Yŏngdong. Kiho refers to the households in eighteen counties, of the total households in Lelang Commandery, excluding the seven counties of Yŏngdo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18 counties in the central region had been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governor of Lelang, while the seven Yŏngong counties wer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an office that was established separately to govern the seven counties.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lso notes that the number of households in all 25 counties of Lelang Commandery was recorded together on the document, as this meant that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f the governor of Lelang included all 25 counties, including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Since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were a military office under the command of the governor of Lelang Commandery,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were also under the governor’s administrative control. Therefore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can be understood as a region governed indirectly by the governor of Lelang and directly by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 KCI등재

        옥저의 기원과 대외관계의 변화

        문안식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Okjeo attempted to develop independently out of the power of Imdun(臨屯) when Changhae Commandery(蒼海郡) was established in B.C. 128. Emperor Wu(武帝) of Han Dynasty established Imdun Commandery and Hyeondo Commandery(玄兎郡) at East Coast after it defeated Gochosun(古朝鮮) and placed its government of Hyundo Commandery at Okjeo fortress same as that of Changhae Commandery. South okjeo(南沃沮) was governed by East dowi(東部都尉), Nangnang Commandery(樂浪郡) as Hyundo Commandery was expelled in B.C. 75. The Dongbudowi gave up direct dominance over South okjeo which was located at north of Hamheung(咸興) and east of Machonryung(磨天嶺) except Bujo(夫租) and only exerted its influence on it. North okjeo planned independent development as powers of Hyundo Commandery or Nangnang Commandery did not reach to it. South Okjeo prepared an opportunity for independent growth as Nakrang Commandery got weaker. When aboriginal society became independent, Bujo under East dowi in Hamheung was abolished and a nation named Okjeo appeared. Self-government of Okjeo collapsed right after and Goguryeo(高句麗) exerted its influence over. The aboriginal order of North okjeo collapsed and its foundation became weaker when it was governed by Goguryeo, but South okjeo maintained its aboriginal foundation while it was being governed by Goguryeo and its head exerted it influences over. In the process, Okjeo was settled as South okjeo and it usually indicated South okjeo(or East okjeo). The supremacy of Goguryeo over South okjeo was maintained though it had a number of ordeals when it was attacked by Wei(魏) in the middle of 3rd century. However, the supremacy of Goguryeo over North okjeo changed a lot when a great number of people including royal families moved to Duman River basin as it was attacked by Moyongssi(慕容氏) in late 3rd century. 옥저는 문헌으로 볼 때 늦어도 B.C. 3세기 이전에 출현하였는데, 고고 편년으로는 團結文化 또는 끄로우노프까문화 Ⅱ기에 해당된다. 옥저의 역역은 老爺嶺 동쪽·興凱湖 남쪽에 해당되는 중국 동북지역과 두만강 이남의 동북한 지역 및 연해주 남부지역의 내륙에 위치한 강가가 중심을 이루었다. 옥저인들은 B.C. 2~1세기에 이르러 환동해지역의 해안가와 강원도 영서지역까지 진출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함흥 일대를 중심으로 남옥저(혹은 동옥저)가 일어나게 되었다. 함흥 일대는 원래 옥저의 세력권이 아니라 임둔이라 불리는 동해안지역 濊族의 활동 무대였다. 임둔의 세력권에 속했던 함흥 일대를 중심으로 남옥저가 터전을 마련한 배경은 옥저인들의 남하 외에 B.C. 2세기 초반 이후 위만 조선의 지배를 받으면서 동해안지역과 서북한 및 동북한을 연결하는 대외교섭의 거점으로 성장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남옥저가 임둔의 세력권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발전을 도모한 것은 B.C. 128년에 창해군의 설치를 전후한 시기였다. 그 후 漢의 武帝는 고조선을 멸한 후 동해안지역에 임둔군과 현도군을 설치하였는데, 현도군은 창해군과 마찬가지로 그 治所를 함흥의 옥저성에 두었다. 남옥저는 B.C. 75년에 이르러 현도군이 축출되면서 樂浪 東部都尉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동부도위는 남옥저의 중심지역에 설치한 부조현은 직접지배 하였으나 함흥 이북에서 마천령 이남에 위치한 곳은 직접지배를 포기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그쳤다. 북옥저는 현도군이나 낙랑군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한 상태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꾀하였다. 남옥저는 前漢의 쇠퇴에 따라 낙랑군이 약화되면서 성장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동부도위 관할 하에 있던 부조현이 A.D. 32년에 폐지되고 함흥을 무대로 하여 沃沮라는 정식 國名을 가진 국가가 출현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마천령 이남은 남옥저, 그 이북은 북옥저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옥저의 자치는 얼마 못가서 무너지고 고구려가 대무신왕과 태조왕 때를 전후하여 지배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북옥저는 고구려의 지배를 받으면서 단결문화 또는 끄로우노프까문화로 명명된 토착전통이 사라지고 재지질서의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연해주 남부지역은 挹婁가 남하하여 점거하면서 고구려 지배 하의 북옥저 세력권은 연변 등의 중국 동북지역과 두만강 이남의 동북한 지역으로 축소되었다. 북옥저는 고구려의 지방관이 파견되는 지역으로 변모되었으나 토착전통과 재지질서가 완전히 붕괴된 것은 아니었다. 그 반면에 남옥저는 고구려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후대까지 토착기반이 유지되고 재지 수장층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옥저의 상징성은 남옥저로 남게 되었고, 옥저는 일반적으로 남옥저(혹은 동옥저)를 지칭하게 되었다.後漢書東夷列傳에 북옥저전이 별도로 입전되지 않고 東沃沮傳의 말미에 부속된 것은 이를 반증한다. 고구려의 남옥저에 대한 지배권은 3세기 중엽에 魏軍의 침입을 받는 등 많은 시련에도 불구하고 유지하였다. 그 반면에 고구려의 북옥저 통치는 3세기 후반 慕容氏의 침입을 받아 부여의 왕족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두만강유역으로 피란 오면서 변화가 일어났다.

      • KCI등재

        A New Approach to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樂浪) Commandery

        Dae-Jae Park(박대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2 No.2

        2006년 북한에서 처음 공개된 樂浪郡 戶口簿는 기원전 45년 낙랑군 소속 25개 縣의 현별 호구수를 상세히 기록한 集計 木簡이다. 이 글에서는 낙랑군 호구부 말미에 기록된 ‘其戶’의 성격에 새롭게 접근함으로써, 낙랑군 25개현 내에 本郡 18현과 嶺東 7현 사이의 지역구분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보았다. ‘其戶’는 낙랑군 전체 호구수(凡戶) 가운데 영동 7현을 제외한 本郡 18현의 호구수만 따로 집계한 것이다. 이것은 본군 18현 지역이 太守가 직접 관할한 지역이며, 나머지 영동 7현은 별도로 설치된 東部都尉의 관할 아래에 있었던 지역이라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그러면서도 호구부에는 영동 7현을 포함해 낙랑군 소속 25개현의 호구수를 일괄 기록되어 있다는 점도 아울러 주목해 보았다. 이것은 樂浪太守의 행정 관할 범위가 영동 7현 지역까지 모두 포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동부도위 역시 郡太守의 통솔 하에 있던 郡官이라는 점에서, 영동 7현도 태수의 행정적 관할 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결국 영동 7현은 樂浪太守의 간접지배와 東部都尉의 직접지배가 중층적으로 시행되었던 지역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first revealed in North Korea in 2006 is comprised of wooden tablets that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ouseholds of 25 counties in Lelang Commandery. By exploring the nature of kiho (其戶), an item found at the end of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this study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re were regional distinctions between the 18 counties of the central region and the seven counties of Yŏngdong. Kiho refers to the households in eighteen counties, of the total households in Lelang Commandery, excluding the seven counties of Yŏngdong. This demonstrates that the 18 counties in the central region had been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governor of Lelang, while the seven Yŏngong counties wer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an office that was established separately to govern the seven counties.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lso notes that the number of households in all 25 counties of Lelang Commandery was recorded together on the document, as this meant that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f the governor of Lelang included all 25 counties, including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Since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were a military office under the command of the governor of Lelang Commandery,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were also under the governor’s administrative control. Therefore the seven Yŏngdong counties can be understood as a region governed indirectly by the governor of Lelang and directly by the commandant headquarters of the Eastern Section.

      • KCI등재

        ‘낙랑군 호구부’연구의 동향

        윤용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2 No.-

        The household register of Lolang-gun was excavated from the tomb of Cheongbek-dong, Pyongyang in July 1990. It was created at 45 B.C. This is the first document to show the social structure of Lolang-gun. The number of family registers in 25 prefectures in Lolang-gun is described here.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previous fiscal year and the number of such increases or decreases are described. The 25 prefecture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There are traces of the transition of the real domain, Chinban and Limdun-gun County, which is adjacent to Lolang-gun. As you can see, the document is used to compare the ancient political bodies of Korea, including the middle-of-the-middle-class society of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study of door lists is not very active. Above all, there is no official report on the grave and the remains of the excavated area. In particular, they are awaiting the release of official documents produced at the same time when they were found together with a public documents. The household register of Lolang-gun is the most complete and detailed entry book ever confirmed in the Han Dynasty. Als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its an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units used is the only numerical value. In particular, the foundation has been built to reconstruct the changes in Han County, including Lolang-gun. This could reconstruct the Northern Territories such as Goguryeo and the ancient Korean political system, including the three Koreas. Future research is likely to attract attention. 기원전 45년 생산된 ‘낙랑군 호구부’는 1990년 7월 평양 정백동 364호 나무곽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낙랑군의 군현지배와 사회구조의 실상을 보여주는 문서의 출현은 처음이었다. 여기에는 낙랑군 25개현 각 현의 호구수와 전년도와의 증감 여부 및 그 수치를 기재하였다. 더구나 25개현의 기재 순서는 4개 구역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낙랑군과 인접한 진번ㆍ임둔군의 폐합에 따른 역사적 연원을 지닌 공동체의 흔적이다. 이처럼 ‘낙랑군 호구부’는 기원전 1세기 중엽 낙랑군의 사회구조는 물론이고 위만조선 말기 지배구조를 추정해 볼 뿐 아니라 한국고대 여러 초기 정치체와의 비교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호구부가 공개된 2009년 이후 연구 성과는 답보 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발굴된 유구와 출토유물의 전모에 대한 북한학계의 정식 발굴보고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호구부와 공반 출토된 것으로 알려진 같은 시기의 공문서 공개를 기다리는 측면도 있다. ‘낙랑군 호구부’는 현재 확인된 진한대 호구부 가운데 작성 시기가 밝혀져 있고, 기재내용에서 가장 완전한 형태이다. 또한 호구수와 증감 여부 및 그 수치를 기재한 것도 유일하다. 특히 낙랑군을 비롯한 한사군의 변화상을 재구성 할 토대가 만들어 졌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여ㆍ고구려 등의 북방 지역과 삼한에 이르는 한국고대 정치체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살펴 볼 가능성도 제시되어 있다. 중국에서 늘어나는 비교자료와 함께 앞으로의 연구가 주목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박대재(Park, Dae-Jae)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위만조선이 한에 의해 멸망한 후 설치된 낙랑·진번·임둔·현토 4군은 기원전 107년부터 82년까지 25년간 병립하였고 그 후에는 폐합과 이치를 반복하며 큰 변화를 겪었다. 기존까지는 위만조선과 한군현을 분리해 연구하는 경향이 강하였지만, 최근 알려진 낙랑군 호구부를 통해 위만조선과 낙랑군을 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군현 설치 초기에 위만조선이 가지고 있던 중층적 영역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한의 내지와 같은 중앙집권적인 군현체제를 일률적으로 적용한 결과 진번·임둔 2군의 폐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원전 75년 이후 임둔군의 고지에 東部都尉를 설치하고 진번군의 고지에 南部都尉를 설치하면서 위만조선 시기와 비슷한 중층적 지배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른바 ‘大樂浪郡’ 체제가 성립할 수 있었다. The four commanderies of Lelang, Zhenfan, Lintun, and Xuantu, established by the Han Dynasty after conquering Wiman Chosŏn, coexisted for 25 years from 107 to 82 BC. Afterwards, these commanderie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of being repetitively abolished, amalgamated and transferred. Previously, there had been a strong tendency in studies about Wiman Chosŏn and the Han Commanderies analyzing separately. Yet, through the recently known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it became possible to understand Wiman Chosŏn and Lelang Commandery as a causal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the centralized system for the commanderies in the interior region of the dynasty was uniformly applied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multilayered territorial structure of Wiman Chosŏn. As a result, Zhenfan and Lintun Commanderies were abolished, and some of their prefectures were incorporated to Lelang. To compensate for the instable governance, the commandery established the Eastern Section Commandant in the previous territory of Lintun(Yŏngdong Region) and Southern Section Commandant in Zhenfan(Daifang Region), a structure which was similar to the Wiman Chosŏn multi-layered rul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