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齊賢 肖像〉 제작에 관한 새로운 이해

        지민경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2

        Painted by the renowned Chinese portrait painter Chen Jianru (active early 14th century), the portrait of the Korean scholar-official Yi Jehyeon (1288~1367) is a rare example of an original portrait from the Yuan dynasty (1271~1388). Yi Jehyeon, originally a Goryeo court official, was called to the Yuan court by King Chungseon because he appreciated Yi’s scholarly abilities. Yi had served as a retainer to the king at the Yuan court until the king died. Yi’s portrait was painted by order of the king in 1319, during a shared visit to Baotuo-si near Hangzhou, where the king made an incense offering. This portrait has been considered to be evidence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Goryeo and Yuan courts that formed around King Chungseon. However, the king’s motives for ordering this painting of his retainer from Goryeo, as well as the portrait’s itinerary from the Yuan to the Goryeo court, remain unexplained.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the portrait is created and appreciated, this study first demonstrates that contemporaneous court officials and powerful intellectuals, including Zhao Mengfu (1254~1322), utilized paintings and poetry to strengthen their alliances. Then this study examines how King Chungseon tried to connect Goryeo scholars, including Yi Jehyeon, with the Yuan Confucian scholars and literati from whom he also sought support using portraits. Lastly,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choice of the artist, epigrapher, and uncommon pictorial motifs for Yi Jehyeon's portrait served as a means of obtaining recognition in the authentic literary circles that formed around Hangzhou.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문신 李齊賢(1288~1367)의 초상은 중국 항주의 저명한 화가 陳鑑如(14세기 초반 활동)가 그린 것으로, 희소한 원대 초상화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 려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제현이 원나라에서 보필한 고려의 왕이자 원 세조 쿠빌라이 칸 의 외손자인 忠宣王(1275~1325)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려-원 문화교류의 증거로 이해된 다. 그러나 그림의 주문자인 충선왕이 이제현에게 굳이 초상화를 사여하고자 했던 이유와 함께 이 초상화의 소용처로부터 흔치 않은 구도와 모티프의 사용, 원나라에서 고려로 전해 질 때까지의 과정 등이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으며, 이 모든 것들이 의미하는 바에 대 해서도 고찰된 바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제현 초상>을 그림 선물을 넘어서는 충 선왕의 원 황실 내 입지 강화를 위한 시도로 보고 논지를 전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조 맹부를 비롯한 원대 관료와 문인들이 그들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그림 과 시를 활용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문인과 유가들의 지지를 통해 원 황실 내 세력을 형 성하고자 했던 충선왕이 그의 최측근이자 당시 만권당에 소속되어 있던 이제현을 포함한 고려 학자들을 원대 문인계와 연결시키려 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 제현의 초상을 그린 항주 출신 초상화가 진감여의 존재와 함께 역시 항주 출신 유학자인 탕병룡의 제찬, 그림 속 배경 모티프들이 이제현을 항주 서클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통 문 인계 인정을 받도록 하는 수단이었음을 논한다.

      • KCI등재

        경렴정(景濂亭) 탁광무(卓光茂)의 삶과 시적 구현(具顯)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본 논고는 탁광무의 삶과 그의 시문 26제(題) 28수(首)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시적 구현 양상은 어떠했는가? 등을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시적 구현 양상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유학(儒學)의 습득과 이해요, 둘째는 시국(時局) 인식과 절의(節義)의 강조, 셋째는 탈속적(脫俗的)인 삶과 염락풍(濂洛風)의 시 등이 그것이다. 첫째의 내용에서는 주로 탁광무가 유학을 습득하는 과정과 어느 정도의 이해를 하고 있었는가 등을 다루었다. 탁광무는 유학이 어떻게 알려지고 있는가 등에 대한 내용을 시문에 담았는데, 유학과 관련된 작품에서 아직은 깊이 있는 사상을 드러내지 못한 것을 한계점으로 지적하였다. 둘째 내용에서는 탁광무의 시국 인식 정도와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 절의를 강조하는 모습을 주로 언급하였다. 탁광무와 교유했던 주요 인사들은 대부분이 고려의 신하로서 조선의 건국에 별로 동조하지 않았다. 때문에 심한 고초를 겪어야만 했는데, 그러면서도 절의만은 꺾지를 않았다. 탁광무는 이점을 높이 샀던 것이다. 셋째 내용에서는 탁광무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탈속적인 삶을 살아갔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아울러 그러는 가운데 창작된 염락풍의 시문에 주목하였다. 염락풍은 속된 기운이 없음을 말하는 것으로 마치 주돈이(周敦이)의 인품과 비견된다고도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ak Gwang Mu`` life and how his life was realized through poetry, targeting his twenty-eight poems on twenty-six topics. The aspects of poetic realization were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first,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second, awarenes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emphasis on integrity; third, unworldly life and poetry of Yeomlak style.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through which Mr. Tak learned Confucianism and how much he understood it. He wrote how Confucianism was known in his poetry and pointed out that the poetry related to Confucianism did not deal with its deep ideas. This study mentioned how much Tak recognized current situation and emphasized fidelity under troubled times. Most of the persons who made friendships with Mr. Tak were public servants of Goryeo and did not recogniz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ey insisted fidelity to their country though they had severe suffering. Mr. Tak valued it. Fin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he lived worldly life after he resigned from a government post, and his poetry of Yeomlak style. As the poetry of Yeomlak style means that there is no worldly spirit, it is comparable to personality of Joo, Don Eee.

      • KCI등재

        The Image-Making of Confucian Scholars: The Impact of Zhu Xi Portrait on Korean and Japanese Art

        선승혜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3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9

        The portrait of Zhu Xi (朱熹, Chinese: 1130~1200) is one of the most predominant kinds of respected Confucian scholar images in East Asia. An explored aspect of Zhu Xi portraits is almost exclusively assigned to the realm of Neo-Confucian paintings. In almost all major portraits of the Korean Chosŏn period from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Confucian scholars portrayed themselves within the image of Zhu Xi. This phenomenon is examined here by taking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image of Zhu Xi, focusing on the dress codes and postures. The portrait of Zhu Xi functioned as “the symbol of Neo-Confucian scholar” both for self-cultivation (修己) and Confucian rituals. For self-cultivation, Zhu Xi transcribed on his own portrait as self-warning (自警). After Zhu Xi passed away, his portrait was copied for Confucian rituals in China, Korea, and Japan for centuries. During the Chosŏn period, private academies, sŏnwŏn (書院), worshiped the portrait of Zhu Xi together with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Japan, the portrait of Zhu Xi was displayed together with other Song Confucian scholars at the ceremony, especially in ‘Worship of Confucius’ (釋奠) at a Confucian temple called Yushima Seido (湯島聖堂), in the Genroku era of the Edo period. The portrait of Zhu Xi at Yushima Seido proves that cultural exchanges had been held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rofessional Japanese painter Kanō Sansetsu (狩野山雪,Japanese: 1589~1651) painted one of the Confucian scholars portraits (歷聖大儒像), and Korean Confucian Kim Seryŏm (金世濂, Korean: 1593~1646)transcribed Wu Cheng (吳澄, Chinese: 1249~1333)’s poetry in 1636. The image-making of a Confucian scholar was based on two dress codes:“deep robe” (深衣) and “scarf-hat” (幅巾) from the text of Zhu Xi. With “deep robe” and “scarf-hat,” two postures of Zhu Xi portrait, showing a bust and a full-body standing, functioned as the standard portraits for Korean and Japanese Neo-Confucian scholars who learned and aspired the philosophy of Zhu Xi.

      • KCI등재

        14세기 전반기 麗元 관계와 益齋 李齊賢의 入元 과정

        배규범,최영근 동양한문학회 2024 동양한문학연구 Vol.68 No.-

        본고는 14세기 전반기 익재 이제현의 중국 체험, 즉 入元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시기는 원 제국으로의 진출이 비교적 자유로워지면서 고려 문사들에게는 또 다른 기회를 가져다주기도 했다. 이제현은 총 7차에 걸쳐 入元하면서 총 9년 3개월 동안 중국 전역을 누비고 다녔다. 본고는 그런 이제현의 入元을 차수별로 나눠 그 목적과 양상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이 개인과 고려 문화계에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이를 통해 7차 입원 중 본인의 결정으로 단행된 것이 3차례나 되었지만, 당시 고려 관료계가 私益을 위한 개인적 일탈로 보지 않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원 후의 활동은 1~3차까지는 학술 문화적 활동이, 나머지는 정치적 활동이 중심이었다. 강남행과 아미산행과 도스마행에서 겪은 이국의 풍물과 역사 인문 지리적 요소들은 이제현을 당대 최고 수준의 학자이자 정치가이자 문장가로 만들어 주었다. 또한 거기서 만난 원 문사들과의 인적 네트워크는 그의 중국 체험이 남긴 최고의 자산이었으며, 한중 문인 교류사에서 중요한 기점이 될 수 있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Lee Jae-Hyun's experiences in China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entering the Yuan Empire was relatively free, which brought another opportunity for Goryeo literati. The Lee Jae-Hyun entered the Yuan Dynasty 7 times and traveled throughout China for a total of 9 years and 3 months. This article categorizes such a Lee Jae-Hyun's experience in China by frequency, summarizes its purpose and aspect in detail, and reflects on its significance for individuals and the Goryeo cultural community. What can be seen from this is that three of the seven times that entered the Yuan Dynasty were carried out by their own decisions, but the Goryeo bureaucratic circle at the time did not consider it as personal deviations for private interests. In addition, after entering the Yuan Dynasty, 1-3 activities were mainly academic and cultural, while the rest were mainly political activities. The exotic scenery and historical, cultural, and geographical factors experienced during his travels in Jiang-nan(江南), Mount Emei(峨眉山), and Duosma(朶思麻) have made Lee Jae-Hyun the highest level scholars, politicians, and writers of contemporary times. Moreover, his personal network with writers he met there was the best asset left behind by his experience in China, and it could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literary exchanges.

      • KCI등재

        조선의 畫像과 贊에 관한 窺見

        심경호 국문학회 2015 국문학연구 Vol.0 No.31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s, it was Yi Che-hyŏn(李齊賢, 1287-1367) who first introduced a portrait(畫像) into Koryŏ(高麗) that had been painted in Yuan(元). It is presumed that painting portraits became a custom among scholars in Korea, since then. We can also assume that writing a panegyric on a painting also became a custom at the end of the K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 with the fact that Yi Che-hyŏn let someone write a panegyric on his portrait, and King Taejo of Chosŏn ordered a painter to draw a portrait of Cho Chun(趙浚) and Chŏng Tojŏn(1342-98) to compose a panegyric for it. Yet, it would be not true to say that all portraits were drawn during models’ lifetime, and all panegyrics were composed by others which means not by models themselves, as there were not a few portraits painted after model’s death and panegyrics written by themselves. In case of panegyrics written by others, some were composed by a contemporary of the model and others by posterity. It was common to make a character sketch of the model and to explain the reason of drawing the portrait in panegyrics. This article examines several portraits and panegyrics in Chosŏn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beginning of making portraits with panegyrics and its development, the exercise of government power on making portrai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spection of scholars and their composing panegyric, the meaning of making Tongkyŏng-sochinchŏp(同庚小眞帖) and their longing for everlasting friendship. This research also confirmed that the panegyric on the portrait of Song Si-yŏl(宋時烈) was not composed by king Chŏngjo as it was widely known but by king Sukjong, and moreover it was not composed for Song Si-yŏl but for Chŏng Mongju(鄭夢周).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서 개인의 畫像을 제작하는 일은 고려말 李齊賢이 원나라에서 자신의 초상을 제작하여 고려에 반입한 이래 사대부들 사이에서 풍습으로 굳어지기 시작한 듯하다. 또한 李齊賢이 자신의 화상에 중국인의 贊을 쓰게 하고, 조선 태조가 趙浚의 화상을 그리게 하고 鄭道傳에게 贊을 짓게 한 것을 보면, 초상에 찬을 붙이는 일도 고려말 조선초에 하나의 관습으로 굳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화상은 像主(즉 그림속 주인공)가 생존해 있을 때 제작하는 것만은 아니다. 또한 화상의 찬이나 서문에는 자찬도 있고 타찬도 있다. 타찬의 경우, 동시대 인물이 써 넣은 예도 있고, 후대 인물이 써 넣은 예도 있다. 찬과 서문의 제작은 像主에 대한 評價와 화상 제작의 의의를 밝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고는 조선시대의 화상과 화상찬의 몇 가지 예를 통하여, 화상 제작과 화상찬 부기 관습의 형성, 화상 제작에 나타난 국가권력(왕권)의 간섭, 지식인의 自反(자기성찰) 방식과 自寫眞贊, 同庚小眞帖(같은 과거에 합격한 사람들의 작은 화상들을 모은 첩) 제작과 결속의 希願 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국보로 지정된 송시열 畫像에 전사된 御製는 정조의 어제가 아니라 숙종의 어제이며, 그것도 송시열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몽주를 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徐正和(Suh, Jung-hwa)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李齊賢의 산문은 여유롭고 명쾌하면서도 작품의 주제를 선명하게 전달하므로 그를 뛰어난 고문가로 평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간 이제 현을 ‘고문의 창도자’로 규정한 것에 대해 필자는 견해를 달리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문화교류는 신속하게 진행되어 늦어도 100, 150년 정도 내에서 수용되고 變奏되었다. 그러나 이제현을 한국의 고문창도자로 규정할 경우, 중국의 고문창도자라고 할 수 있는 한유와의 거리가 500여년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한중 문화교류의 일반사와 크게 괴리된다. 둘째, 고문운동은 문학운동이자 사상운동이지만, 이러한 잣대를 적용하여 이제현에게 고문창도의 공을 물려줄 필요는 없다. 고려 문단에서 고문운동이 반드시 일어날 필요도 없거니와 이 두 가지 중에서 어떤 하나가 먼저 발생할 수도 있다. 중국의 잣대를 고려 문단에 적용시켰기 때문에 고려전・중기는 적막한 시대가 되었고, 이 당시의 산문은 그 의미가 평가절하 되었다. 셋째, 고려문단에서는 12세기 무렵부터 당송고문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이제현에 비해 사상운동의 측면은 미약하였으나, 문학운동의 측면은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金黃元이 변려문에 반발하여 고문을 창작한 것, 林椿이 형식에 치우친 場屋文學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 李奎報가 새로운 문학론을 제출한 것이 그 예이다. 넷째, 고려 중기에 假傳이 창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송고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贈序類와 論說類 산문들이 창작 현장에서 이미 실현되고 있었다. 또한 당송고문의 字句만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를 개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등 자유자재로 당송고문을 변주하였다. 고려시대 산문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그간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라고 설정한 좌표는 수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고려시대 산문사를 바라보는 온당한 시각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Lee Je-hyun demonstrated his writing talents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emporary critics evaluate him as a great writer. However, I would like to offer an alternative view of estimating him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 suggested several reasons in this paper like below. Firs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lways had been progressed within 150 years top. In this case, we can't define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cical style prose in Korea. Because he was born over 500 years later than Han Yu, who w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during the Tang dynasty in China. Second, the movement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was about literature and also about ideas. But we can't apply this concept to Lee Je-hyun as it is. That is because the condition of Koryo was totally different from China's. Writing prose had not that big meanings during the Koryo dynasty. Third, the literary world of Koryo certainly recogniz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There were several writers who presented their own theory about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Kim Hwang-won(金黃元),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were typical writers during that period. Fourth, a number of writers already created variety form of prose skillfully before Lee Je-hyun. They were not limited just following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Considering above reasons, I think we should revise erstwhile evaluation of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we should reestablish a proper view of the literary history of Koryo dynasty

      • KCI우수등재

        고려후기 이제현의 정치사상 연구

        김민우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4

        Yi Je-hyeon designed the orthodoxy to promote the dynasty’s legitimacy and prevent the usurpations. This orthodoxy sets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public mind as the standard, and prohibited usurpations. It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ruling classes since its early period, while accepting the view of Yuan scholars. And he regarded ancient China monarchs as ideal and emphasized their virtues. However, it did not fully accept the opinions of Yuan scholars or neo-Confucianism. Also he presented virtues of the king which inherited the perception of the Confucian since the early Goryeo. Meanwhile he insisted on the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of the king, but still presented traditional method. Next he insisted that the bureaucrat should serve their king with loyalty. Also he argued that a premier should support politics, but it did not mean that premier should lead the whole politics. He’s fundamental idea of king and bureaucrat relationship is that of early Goryeo. He also affirmed scholar who had classical learning and maintained moral conduct as bureaucrats’ virtue. However without that virtue, they could be highly evaluated if they were perform their bureaucracy faithfully according to their own talents. His political thought was based on the conventional thought in Goryeo, and accepted neo-Confucian ideologies, selectively. 본고는 이제현의 정치사상에 내재된 성리학적 요소를 강조하여 평가해온 종래의 연구를 보완하고, 그의 정치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제현은 왕조의 정통성을 고취하고 찬탈을 방지하고자 정통론을 고안하였다. 그의 정통론은 천명과 인심을 기준으로 하고 찬탈을 금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고려지배층의 전통적인 관념을 바탕으로 원 성리학자의 견해를 충돌 없이 수용한 것이었다. 또한 이제현은 이제삼왕을 통해 성리학이 긍정하는 군주의 덕목을 표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이 원 성리학자의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하거나 철저하게 성리학에 입각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그가 제시한 국왕의 덕목은 고려전기 유학자들의 인식을 계승한 것이었다. 나아가 성리학적 군주수신론을 제기하는 동시에 고려전기적 군주수신론도 여전히 존중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는 신료는 충성으로 군주를 보좌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군주가 어린 나이로 즉위하면 재상이 보좌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다만 이것이 재상이 정치를 주도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에게는 군주와 신료가 함께 통치해야 한다는 고려전기의 군신관념이 본질적인 것이었다. 나아가 그는 경명행수지사를 긍정하였지만, 그 외에도 각자의 재능에 따라 직분에 충실하면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이제현의 정치사상은 원 간섭기의 현실 속에서 왕조의 존속과 정상적인 정사 시행을 바랐던 그의 고민이 담긴 것이었고, 고려전기 이래의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성리학의 요소를 선택적으로 수용한 것이었다.

      • KCI등재

        <巫山一段雲>與韓國詞創作

        박영순,요대용 중국어문연구회 2011 中國語文論叢 Vol.0 No.48

        일부 중국의 문학작품은 본토에서는 그다지 눈길을 끌지 못하다가 외부로 흘러들어가면서 도리어 영향을 준 경우가 왕왕 있다. 바로 <巫山一段雲>이 그러하다. 특히 중국 송대에 유행했던 사는 고려·조선으로 들어와 고려·조선사라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 <巫山一段雲> 사패 중국본은 중국 사인들에게 그다지 환영을 받지 못했으며 가작도 비교적 적다. 그러나 고려 詞壇의 명인 李齊賢이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 비로소 광범위하게 流轉, 사용되면서 깊은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역대 문사들은 <巫山一段雲>의 詞형식으로 산수풍경을 묘사하고 일상풍물을 읊조리면서 자신의 흉금을 토로하였다. 이는 수백 년 동안 이어져 왔으며, 이로 인해 한국사학사상 ``<巫山一段雲> 현상``이 생겨났다. 본고는 역대 한국의 <巫山一段雲> 詞의 대표적인 특징인 제재의 풍부함, 풍격의 다양함, 세속화되어 가는 경향 등을 통해 한국의 詞작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고려후기 銘詩·挽詩의 특성과 장르적 상관성

        김보경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1 No.-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yeongsi (銘詩) and mansi (挽詩), two poetry styl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ourning poetry and examines the issue of their genre correlation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number of myeongsi of epitaphs were written and mansi writing was also on the rise. The two styles had commonalities, such as being written after death events and having condolences as a basic property. However, they have different layers of condolences and are in contras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perception and image of death. Myeongsi deal with and mainly admires the dead in the public realm, while mansi tell of the dead in a range covering the public realm and personal relationships and focus on the grief of the living. The time of myeongsi is permanent and future-oriented, and its vocabulary and tone are confident and dignified, showing the spirit of ascent. On the other hand, the time of mansi stays and hesitates in the present and its vocabulary and tone tend to be gloomy and descending. The two styles are in contrast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perception and image of death, as well. Graves and the afterlife are often mentioned in myeongsi, while words related to funeral rituals or funerals frequently appear in mansi. Myeongsi’s view of the world is characterized by accepting but trying to overcome death with efforts that can be made in the realm of humans, such as reputation, feat, descendants and the rules and principles of the sincerity (誠). Mansi are characterized by the expression of futility and despair as to the separation between life and death and a finite life in the face of death and hold a relatively free view of afterlife, such as Taoism. The two styles we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y playing their respective roles as mourning poems. But the boundary between their respective roles became less cle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is could be the results of such factors as the establishment of funeral rites, the decline of the epitaph culture, and changes in mansi itself, including change into a three-poem series (三首連章体), and the growth of authors’ consciousness. These factors are assumed to have gradually elevated mansi to the mainstream position of mourning poetry. 본고는 애도시의 관점에서 고려후기 銘詩·挽詩 두 양식의 양상과 특성을 밝히고 그 장르적 상관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고려후기에는 묘지명의 명시가 활발히 지어지는 가운데 만시 창작도 증가했다. 두 양식은 죽음이란 사건에서 비롯되고 애도를 기본 속성으로 한다는 점에선 공통되나 애도의 층위와 표현, 죽음 인식과 이미지에서는 대조를 이룬다. 명시는 망자를 공적 영역에서 다루고 칭양을 위주로 하는 데 대해 만시는 공적 영역과 개인적 관계에 걸쳐서 망자를 이야기하고 생자의 비탄을 위주로 한다. 명시의 시간은 영속적이고 미래를 향하며 그 어휘와 어조는 확신에 차고 당당하고 상승의 기세를 드러낸다. 반면 만시의 시간은 현재에 머물고 머뭇거리며 어휘와 어조는 침울하고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다. 죽음 인식과 이미지에서도 대조적인 면이 드러난다. 명시에는 무덤이나 저승에 대한 언급이 자주 보이고 만시에는 장례 의식이나 장례와 관련된 용어가 빈번히 등장한다. 명시는 죽음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이름이나 업적, 자손, 또 誠의 理法과 같은 인간의 영역에서 할 수 있는 노력으로 초극하려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만시는 죽음이라는 불가항력적 사태에 직면해 사/생의 격리, 인생의 유한함에 대한 허무와 절망감을 토로하고 신선사상이나 비교적 자유로운 내세관을 드러낸다. 두 양식은 애도시로서 역할 분담을 하면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루었다. 그런데 고려후기에는 이런 분담의 경계가 흐려지는 양상도 나타난다. 이것은 상장례의 정착, 묘지명 문화의 쇠퇴, 그리고 三首連章體와 같은 만시 자체의 변화, 여기에 작자의식의 성장이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런 요인이 만시를 서서히 애도시의 주류의 위치로 밀어올린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