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圭景의 『五洲筆疇』 고찰 - 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김보성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이규경(1788~1856)의 『오주연문장전산고』는 19세기 조선의 백과전서를 대표하는 저술이다. 분량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역대 문헌을 폭넓게 활용하여 저술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오주연문장전산고』만을 대상으로 한 심포지엄이 개최된바, 이 자리에서 이규경의 박학자 면모가 적시되는 동시에 19세기 한국 지식사의 수준이 가늠되었다. 이규경의 『시가점등』은 한국과 중국의 역대 시와 문장을 비평한 책이다. 난삽한 필사본으로 DB화되지 않아 연구자의 활용도가 『오주연문장전산고』만큼 높지는 않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 못지않은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데에 이견이 없다. 『오주연문장전산고』와 『시가점등』은 이규경이 집필했다고 밝혔으나 현재 발견되지 않은 또 다른 그의 저서의 가치도 기대하게 만든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오주필주』에 상세히 보인다[詳見『五洲筆疇』中]”라고 언급하여 분명 이규경의 저서이나 그간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던 『오주필주』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시가점등』 원본과 크기가 비슷한 袖珍本으로 10행 20자에 총 72면이다. 책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내용 파악이 수월한 편이다. 『오주필주』는 전쟁의 핵심인 군사 작전, 방비를 위한 성책, 군영을 살피는 영루, 갑옷과 무기, 물자를 나르는 수레, 기타 무기가 될 만한 것들, 군진 의학, 그리고 행군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적병을 물리치는 점술과 부적에 대해 차례로 기술했다. 제법 규모를 갖춘 ‘兵法書’라고 할 수 있다. 이규경은 두 편의 자찬 서문을 통해 유학자로서 『오주필주』라는 병법서를 따로 저술한 취지가 태평 시대를 이루며 국가에 보답하고 백성에게 은택을 베풀기 위해서임을 강조했다. 이규경이 서문에서 은연중 심혈을 기울였다고 드러낸 성책, 무기, 수레 관련한 부분을 살펴보면 그의 ‘병법’에 관한 높은 관심과 지식수준을 체감하게 된다. 『오주필주』의 내용적 검토를 통해 19세기 조선 병법서의 수준을 정확하게 대변할 수 있다.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gyeong (李圭景, 1788~1856) is an encyclopedia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It is highly evaluated for not only having a lot of content, but also for making good use of previous books. A symposium with the theme of 『Ohjuyeonmunjangjeonsango』 was held, and at this time Lee Kyu-gyeong's erudition was revealed and the level of Korean intellectual history in the 19th century was proved. Lee Kyu-gyeong's 『Shiga-Jumdeung(詩家點燈)』 is a book that criticizes Korean and Chinese poetry and sentences. Researchers do not use it as much as 『Oju-Yeonmunjangjeon-Sango』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characters and it is not databased, but there is no disagreement that it has a lot of content like 『Oju-Yeonmunjangjeon-Sango』. 『Oju-Yeonmunjangjeon-Sango』 and 『Shiga-Jumdeung』 make us look forward to the value of another of Lee Kyu-kyung's books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Oju-Yeonmunjangjeon-Sango』 says “It can be seen in detail in 『Oju- Pilju(五洲筆疇)』”, so 『Oju-Pilju』, which was obviously Lee Kyu-kyung's book but had not been seen before, was newly discovered. It is a hand-held book [袖珍本] similar in size to 『Shiga-Jumdeung』. There are 20 letters in 10 lines and a total of 72 pages. The condition of the book is very good, so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letters. 『Oju-Pilju』 contains military operations, which are the core of war, walls for defense, pavilions to watch military camps, armor and weapons, carts carrying munitions, other things that could be weapons, military medicine, and amulets to defeat the enemy. In other words, it is a ‘book on military strategy(兵法書)’ with quite a bit of content. Through two prefaces written by Lee Kyu-gyeong, he emphasized that as a Confucian scholar, the purpose of separately writing the book on military strategy, 『Oju-Pilju』, was to achieve a peaceful era. Looking at the parts related to the walls, weapons, and carts that Lee Kyu-kyung said he put effort into in the preface, it is clear that he had a high level of knowledge about ‘strategy’. Through the review of 『Oju-Pilju』,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level of Joseon books on military strategy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19세기 詠物詩 비평과 문화콘텐츠적 가치 : 『龜磵詩話』와 『詩家點燈』을 중심으로

        김보성(Kim, Bo-s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60 No.-

        구체적인 사물을 대상으로 읊은 詠物詩는 대부분의 문인들이 한두 수라도 지은 바 있는 한시 장르이다. 영물시를 짓는 동기는 크게 ‘사적인 사유’와 ‘공적인 사유’로 나뉘는데, 전자는 개인의 감정을 토로하거나 심성을 수양하는 경우이고, 후자는 사회에 경계를 전하거나 정보를 보완하는 경우이다. 그런데 후대로 갈수록 공적인 사유 중에서도 ‘정보 전달’의 가치를 유념하여 지은 영물시가 눈에 띈다. 이 논문은 19세기 조선 문인의 영물시에 관한 담론과 그 비평의 특징을 주목하였다. 19세기 조선 문인의 영물시 담론이 어떠한 흐름 속에서 이루어졌는지 살피기 위해, 먼저 18세기 중후반 동아시아 문화권의 문인들이 개진한 영물시 관련 담론을 개괄하였다. 이 시기 한・중・일 문인들의 詩話나 書簡에는 영물시를 다작하는 태도에 대한 우려와, 영물시 장르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공존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영물시를 여타 사료의 정보를 보충하는 매개로 본 견해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분량과 내용 면에서 여타 19세기 시화를 압도하는 南羲采의 『龜磵詩話』와 李圭景의 『詩家點燈』에는 영물시에 대한 입장이 비교적 또렷이 남아 있다. 남희채는 영물시로 조선 고유의 풍습을 면밀히 검토하고 바로잡았으며, 이규경은 영물시로 역대 사료가 담지 못한 新舊 정보를 수정・보충하였다. 남희채와 이규경의 영물시 비평은, 역사와 만물을 제대로 학습하기 위한 심화 자료로 영물시를 부각하였다는 점에서 19세기 동아시아 문화권 영물시 담론사에서 비중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아울러 『구간시화』와 『시가점등』에서 영물시를 비평한 항목은, ‘흥미’와 ‘교훈’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갖춘 원천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여 문화콘텐츠적 가치가 높다는 사실을 특기할 만하다. Yeongmul-shi(詠物詩), which describes objects in detail, is a genre of general Chinese poetry, and most writers wrote at least one or two Yeongmul-shi(詠物詩). The reasons for writing Yeongmul-shi are largely divided into personal reasons and professional reasons . Personal reasons include expressing one s feelings or cultivating one s mind, while professional reasons include disseminating lessons to society or providing information. However, as time went on, more and more Yeongmul-shi was creat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s and criticisms on Yeongmul-shi by Joseon writers from the 19th century. First, the views expressed by East Asian writers on Yeongmul-shi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are summarized. During this perio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riters were worried about the tendency to use Yeongmul-shi in criticisms and letters too often, or they deeply contemplated the genre of Yeongmul-shi itself. Among them, the view that considers Yeongmul poetry as another source that supplements information from public sources is particularly noteworthy. Gugan-Shihua(龜磵詩話, by Nam Hui-chae(南羲采)) and Shiga-Jumdeung(詩家點燈, by Lee Gyu-Kung(李圭景)) which are the longest and richest Korean criticisms contain relatively detailed views of Yeongmul-shi. Through the Yeongmul-shi, Nam Hui-chae reviewed and corrected the unique customs of Joseon in detail, and Lee Gyu-Kung corrected some old information in the books of many generations and supplemented some new information that was not in the existing books. Nam Hui-chae and Lee Gyu-Kung considered Yeongmul-shi to be an intensive material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history and various objects. Therefore, their Yeongmul-shi criticism should be noted in the 19th century East Asian Yeongmul-shi discourse. In addition, the criticism of Yeongmul-shi in Gugan-Shihua and Shiga-Jumdeung has a high value of cultural content as it provides abundant original contents with two elements: ‘interest’ and ‘learning’.

      • KCI등재

        조선 후기 『擇里志』의 읽기 방식 -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중심으로 -

        임영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4

        This thesis collected and considered prologues and relative writings of ≪Taengniji≫ that had studied insufficiently in comparison with main body of ≪Taengniji≫ so as to examine intellectuals' recognition toward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thesis confirmed ≪Taengniji≫ readers understood in various ways by belonging groups through the process. By classifying and suggesting prologues and relative writings into three groups by contents and belonging groups of writers, various aspects of the recognition of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hown. First is prologues of Yi Chung-hwan(李重煥)'s relatives. Their prologues hav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respectively, but guess worries and writing intention of Yi Chung-hwan commonly and empathize directly and indirectly. It should be caused by not only genre characteristics of prologues written to examine writer's subject consciousness but also writers' belonging groups. Yi Chung-hwan's relatives are emotionally more closed to Yi Chung-hwan than other groups as well as have similar political standpoint, so experienced problems of party strife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ey should have more excellent abilities in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Yi Chung-hwan's subject consciusness than other groups. Second is <Hyanggeosoji> and <Maxim for children after reading Taengniji(觀擇里志書示兒輩)> of Hong Chung-in(洪重寅) and Hong Gui-beom(洪龜範). They are Namin people in the period same as Yi Chung-hwan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Yi Chung-hwan. Two texts start from same sense of problem, worries about the damages of party strife, like ≪Taengniji≫. The solution suggested in here is different from that of ≪Taengniji≫. They criticized that living way to move party strife suggested by Yi Chung-hwan in ≪Taengniji≫ into the places without party strife or noblemen is self-contradiction and suggested to live simply and pastorally after avoiding resentment in hometown. Third is writings of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scholar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While entering the full-scale period of Silhak, the understanding of ≪Taengniji≫ showed new aspects. Cheong Yag-Yong(丁若鏞) and Yi gyu-gyoung(李圭景) remained a writing about it and they were indifferent to 'meaning out of the letters' implied by Yi Chung-hwan, subject consciousness about damages of party strife and the worries as noblemen, unlike the pervious period. Instead of it, they concentrated on the information of ≪Taengniji≫ as it was and tried to expand it as their own knowledge briefly. They recognized ≪Taengniji≫ as geographical information or economic practical book. The above consideration had a few specimen, so it's somewhat difficult to show changing process of the awareness about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clearly. But, it shows various aspects of understanding ≪Taengniji≫ of Yi Chung-hwan's several readers from the period to the early 19th century. ≪Taengniji≫'s more relative writings should be discovered so as to draw changing process of the awareness about ≪Taengniji≫ more clearly. 본고에서는 『택리지』의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수합하여 조선 후기 『택리지』 인식의 다양한 양상이 드러날 수 있도록, 저작을 내용과 저자의 소속 집단에 따라 세 부류로 분류해 보았다. ①李重煥 친인척의 서발문은 공통적으로 이중환의 고뇌와 저술 의도에 대해 추측하고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②洪重寅과 洪龜範의 「鄕居小誌」와 「觀擇里志書示我輩」는 당쟁의 폐해에 대한 고민이라는 『택리지』와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글임에도, 이중환이 제시한 삶의 방식을 자가당착이라고 비판하고 고향에서 원한을 피하며 소박하게 살 것을 제안하고 있다. ③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실학자인 丁若鏞과 李圭景은, 이중환이 암시한 당쟁의 폐해와 그에 따른 사대부로서의 고뇌에는 무관심한 모습을 보인다. 대신 『택리지』에 담긴 정보를 정보 그 자체로 주목하고, 간략하게나마 자신의 지식으로 확충하려는 시도도 한다. 『택리지』를 정보서 내지는 실용서로 인식한 것이다.

      • KCI등재

        李圭景의 語音과 韻學에 대한 인식의 특징 고찰 –五洲衍文長箋散稿 所載 辨證說을 통하여

        임다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Lee Gyugyeong,the writer of Ojuyeonmunjangjeonsango, is one of the scholar who studied practical matters in the Joseon Dynasty. A number of articles concerned with languages, rhyme books, traditional phonology, philology(etymology) and like in his work show his view of languages and rhyme books. This study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Gyugyeong’s perception of rhyme books and languages by investigating his articles above mentioned. The results are as follow. It is realized that Lee regarded traditional phonology as a field of graphonomy and considered Four Tones as a fundamental distinct feature when compiling a rhyme book. However he was not interested in QingZhuo and ZiMu. This is the This is the most different from the thoughts of the editors of Donggukjeongun. In addition, Lee insist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separate rhyme books for both classical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modern(as distinct from classical) one. This proves that Lee had an extremely advanced perception of rhyme books. 임다영, 2020, 이규경의 어음과 운학에 대한 인식의 특징 고찰, 어문연구, 187 : 87~114 이규경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서 평생 벼슬을 얻지 않고 재야에서 저술 작업에 힘을 쏟았던 인물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 오주연문장전산고는 백과사전식 서적으로 경사․천문․지리에서 의학과 자연과학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다룬 변증설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음운과 문자에 관한 변증설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문자학과 운학 그리고 운서 등을 주제로 한 다수의 변증설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이규경의 운학과 어음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밝히고, 그것이 조선 초기 학자들과의 생각과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 지 규명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이규경은 운학을 문자학의 한 분야로 파악하였으며, 자서와 운서의 관계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소리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고 하여 어음관에 있어서는 조선 초기 학자들과 견해를 같이 하였으나, 운서를 만드는 데 있어 칠음과 청탁 등을 크게 중요시 하지 않았다는 점과 금운과 고운을 위한 운서를 각각 만들어 병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점 등에서 이규경이 동국정운 편찬자들과는 다른 운학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李圭景의 ‘姓氏譜牒辨證說’에 나오는 중국 譜牒의 종류와 성격

        安光鎬(AN, Gwang Ho)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29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xplanation of Chinese genealogies appearing in Yi Gyugyǒng’s literary work A Contra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A Contraversial Story on Surnames and Genealogies is one of the chapters in his literary collection. In this work, he introduced famous genealogies in Chinese history. Yi’s also referenced famous genealogies in Korean history. But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genealogies mentioned by him has many differences from Korean genealogies.

      • KCI등재

        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 아편전쟁

        임영길 ( Yim¸ Young-gil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아편은 본래 설사와 복통의 치료제로 알려졌으나 그 환각 작용과 중독성으로 인해 기호품으로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조선에서 아편이라는 물질은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병증을 치료하는 약재 정도로 인식되었을 뿐, 상품으로서의 아편은 유통된 적이 없었으며, 그에 대한 지식도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조선의 연행 사절단이 아편으로 인해 내우외환을 겪는 중국의 상황을 접하게 되면서 아편의 유래, 아편 흡연도구와 방식, 아편의 효용과 중독에 따른 폐해, 아편전쟁의 경위와 내막 등에 관한 정보들을 입수하기 시작하였다. 1848년에는 역관 박희영이 아편 흡연 도구를 국내로 들여오다 적발되는가 하면, 이 일을 계기로 조정에서 아편연에 대한 금령을 내렸으나 결국 조선 내부에도 아편이 침투하여 심각한 위해 물질로 자리하게 된다. 아편(연)에 관한 기록은 19세기에 저술된 시화나 필기 등 일부 자료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연행록에서 조선 사절단이 중국 현지에서 직접 견문한 아편 중독의 실태, 당보나 전언 등을 통해 입수한 영국과의 분쟁 상황, 아편 정책을 둘러싼 만주족과 한족 관원의 정치적 대립 등의 실상을 적극적으로 포착하고 있어 주목된다. 李圭景의 鴉片煙辨證說 에는 1820년대부터 연행을 통해 수집된 아편 관련 정보들이 조선 사회에 공유된 정황이 드러나 있다. 또한 尹程의 『西行錄』(1844), 權時亨의 『石湍燕記』(1850)에 수록된 한족 지식인들과의 필담에는 아편의 해독성 및 조선에의 유입을 경계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영국의 강한 군사력, 청 관료 사회의 부패, 은 유출로 인한 재정 고갈, 아편 금지책의 혼선 등의 내밀한 사정까지 생생하게 보고되어 있다. 아편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이 서양 세력의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으로 전환된 배경에 연행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pium was originally known as a remedy for diarrhea and abdominal pain, but its hallucinogenic and addictive properties have spread it around the world as an item of personal preference. Until the 19th century in Joseon, the substance called opium was only recognized as a medicine to treat diseases, and opium as a commodity had never been circulate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did not have any knowledge about it.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the Joseon delegation came into contact with the situation of China that suffers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y opium, then they start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rigin of opium, tools and methods of smoking opium, the effects of opium and the effects of addiction, and the history of the opium war. In 1848, station officer Park Hee-young was caught bringing in opium smoking tools and the court imposed a ban on opium smoking, however, eventually, opium penetrated into Joseon and became a serious hazardous substance. Records about opium are scattered in some materials such as poems and writing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because Yeonhaengnok actively captures the realities of the opium addiction, the conflict with the UK obtained through Tang-Bao(塘報) or messages, and the conflict and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Manchu and Han Chinese officials over opium policy which were experienced in China by Joseon delegation. In ApyeonyeonByeonJeungseol of I Gyu-gyeong, the situation in which opium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1820s was shared in Joseon society is revealed. In addition, the handwritten conversations with Han Chinese intellectuals published in Yun Jeong’s Seohaengnok(1844) and Gwon Si-Hyeong’s Seokdan Yeongi(1850) do not stop at the level of being wary of opium's hazard and influx into Joseon, vividly reports the confident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UK's strong military power, corruption in the Qing bureaucracy, financial exhaustion due to silver leakage, and confusion of opium bans. It can be seen that Yeonhae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ackground in which Joseon intellectuals' curiosity about opium developed into a crisis awareness that they had to prepare for threats from Western powers.

      • KCI등재

        개항~일제시기 ‘飛車’ 전승의 형성과 확산

        김기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Based on the folklore where Bigeo (or literally Flying Vehicle) was made and used for evacuation in the Battle of Jinju during the Imjin War, some people believe that it is one of the world’s first aircraft. Two of the representative documents in Joseon period referring Bigeo are Geojechaek (Plans on Devising Craft) by Sin Gyeongjun and Bigeobyeonjeungseol (Demonstration on the Flying Vehicle) by Yi Gyugyeong, but no specific reference was mentioned on who invented it and where. In additio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while information on the challenges to the airspace in the W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ir balloons and aircrafts was introduced and speeches were made for encouraging national participation, no stories on the flying cart of Joseon was mentioned. After falling under colonial rule, the story started to be raised that the aircraft was invented in Joseon in the past based on the references such as Bigeobyeonjeungseol by Yi Gyugyeong. The record of Sin Gyeongjun was introduced as an adapted quotation of Yi’s story. Members of Joseon Gwangmunhoe, who re-discovered the record of Yi Gyugyeong, composed the narrative of Bigeo through the media such as the magazine Cheongchun (the Youth). The place and the person, which were absent in Bigeobyeonjeungseol, were supplemented by the oral folktales on Jeong Pyeonggu collected around Gimje area from the 19th century and the memories of the battles in the Imjin War. Even if the oral folktales on Jeong Pyeonggu had no references on Bigeo, the story included that he disturbed the enemy using eccentric tricks during the war. The narrative of Bigeo was 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ccentric trajectory of Jeong Pyeonggu could be the story of Bigeobyeonjeungseol, and the uncertain stories were magnified. However, Yun Dalgyu, specifically mentioned in Bigeobyeonjeungseol as the person who supposedly learned the techniques of Bigeo, was not spotlighted. The narrative of Bigeo was utilized in the speeches encouraging the enlightenment of the nation as the ground that the colonial Joseon had the capability to develop the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Especially, as the narrative was repeated continuously by the members of Joseon Gwangmunhoe, Jeong Pyeonggu was remembered as the inventor of Bigeo. In summary, the narrative of Bigeo was formed by specifying the unclear stori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discovered documentary records and emerging oral folktales in the 20th century. And as its product was repeated, the composition of the period and place of its emergence, the inventor, and the purpose was solidified. 飛車는 임진왜란 중 진주성 전투에서 鄭平九라는 인물이 만들어 탈출 용도로 썼다는 전승을 토대로 일각에서 세계 최초의 비행기로 여기는 존재이다. 비거에 관한 조선시대 문헌으로 申景濬의 「車制策」과 李圭景의 「飛車辨證設」 등이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그것이 쓰인 장소와 발명한 인물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또한 개항 후 서구에서 기구나 비행기의 개발을 통한 공중 공간으로의 도전에 관한 정보가 유입되고, 동양의 고사를 기반으로 민족적 동참을 독려하는 언설이 나오는 가운데에서도 조선의 비거에 관한 이야기는 언급되지 않았다. 식민지 전락 후 제1차 세계대전의 전운 속에서 과거 조선이 비행기를 발명했다는 이야기가 이규경의 「비거변증설」 등을 토대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때 신경준의 기록은 이규경이 일부 각색하여 인용한 내용으로만 제시되었다. 이규경의 기록을 재발견한 朝鮮光文會의 인사들은 『청춘』 등의 매체를 통해 비거의 서사를 구성했다. 「비거변증설」에 부재한 장소와 인물은 임진왜란의 전황에 대한 기억과 19세기 말부터 김제 일대에서 정리되고 있었던 정평구의 구전을 통해 보완되었다. 정평구의 구전은 비록 비거에 관한 언급이 없더라도 전란 중 기이한 계략으로 적을 교란시켰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비거의 서사는 정평구의 기이한 행적이 「비거변증설」의 이야기에 해당할 것이란 추정 속에서 형성되면서 불명확한 내용이 부각되는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반면에 「비거변증설」에서 비거 기술의 전수자로서 구체적으로 명시된 尹達圭는 주목받지 못했다. 비거의 서사는 식민지 조선도 근대 과학문명을 창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는 근거로 활용되면서 민족의 각성을 독려하는 언설에 자주 활용되었다. 특히 조선광문회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비거의 서사가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되면서 정평구는 비거의 발명자로서 각인되었다. 요컨대 비거의 서사는 20세기에 들어서 재발견된 문헌 기록과 부각되기 시작한 구전의 결합을 통해 불명확한 내용을 구체화하면서 형성되었고, 이 결과물이 반복 재생되면서 등장 시기와 장소, 발명자, 활용 목적 등의 구성 요소가 고착화되었다.

      • KCI등재

        19세기 한ㆍ중(韓中) 시화(詩話) 속 고사(故事)의 양상 - 『시가점등(詩家點燈)』과 『사응루시화(射鷹樓詩話)』를 중심으로

        김보성 이화어문학회 2016 이화어문논집 Vol.39 No.-

        ‘시와 직접적으로 닿아있는 비평’과 ‘시와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이야기’ 로 구성되는 장르를 ‘시화(詩話)’라 한다. 예부터 한국과 중국 문인들은 자 신의 문학관을 집약시킨 시화를 면면히 편찬해왔다. 19세기에 이르면서 한ㆍ중 시화는 역대 시화를 계승하면서도 형식상ㆍ내용상 좀 더 심화된 양상을 보인다. 이 시기의 시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 기에 있다. 19세기 무렵 한국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개별시화(個別詩話)가 편찬되고, 중국에서는 거질(巨帙)의 시화가 한 문인의 손에서 여러 차례 편찬되는 등 역대 시화를 대대적으로 검토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 다. 대체로 한국 시화에는 ‘시와 관련된 고사(故事)’가 많은 반면, 중국 시화 에는 ‘시론(詩論)과 비평’에 관한 항목이 대다수다. 이러한 특징을 근거로 한국 시화보다 중국 시화가 ‘전문적’이라는 평가가 이루어지곤 한다. 고사가 많은 시화일수록 필기(筆記)나 야담(野談)과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장르의 변별성’을 기준으로 시화의 전문성을 판단할 수 있을까? 일제강점기의 한학자 정인보는 본래 시화 속 고사의 범주가 광범 위함을 천명했고, 만청(晩淸) 시기 주요 관직을 역임한 심보정(沈葆楨)은 당대 일화를 상세히 기록한 시화의 가치를 재조명했다. 19세기 한ㆍ중 시화 가운데 이규경(李圭景)의 『시가점등(詩家點燈)』과 임창이(林昌彝)의 『사응루시화(射鷹樓詩話)』는 고사 및 일화 관련 항목이 적지 않은 대표적 작품이다. 이규경은 고사를 ‘시재(詩材)’로 간주했고, 임 창이는 일화를 ‘시무(時務)’로 간주했다. 두 문인의 행보는 시화의 시문비 평서(詩文批評書) 면모를 염두에 두면서도 그 주변 이야기 역시 소홀히 하 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19세기 한ㆍ중 시화 편찬자들은 역대 시화의 시문 이론뿐만 아니라 고 사(일화)에 관한 항목도 비중 있게 망라하고 보충했다. 일본의 시화까지 아울러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주목한다면, 19세기 동아시아 시화의 자료적 가치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Shihua(詩話) consists of criticism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poem and stories which are indirectly related to poem. From ancient times,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men had continuously written Shihua that intensively revealed their literary view. From the 19th century, Han Zhong(韓中) Shihua was significantly more advanced in that it was richer in terms of its structure and cont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examine Han Zhong(韓中) Shihua during this period. Around the 19th century, a few individual Shihua(個別詩話) with massive volume was created in Korea. In China, several Individual Shihua(個別詩話) with massive volume was created by one writer. This Korean and Chinese Shihua tended to broadly examine previous dynasties’ Shihua. Korean Shihua contains a lot of ‘poem related Idiom Stories(故事)’, whereas Chinese Shihua mostly contains ‘a theory on poetry(詩論)’ and ‘criticsim(批評)’. That is why Chinese Shihua is considered to have deeper expertise. If Shihua contains too many Idiom Stories, it can be criticized as being too similar with Pil-gi(筆記) or Ya-dam(野談). However, it is arguable whether Shihua’s expertise should be judged based on its ‘distinctiveness’ from other genres. Jung In-Bo(鄭寅普) who was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漢學者)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rgued that Shihua originally contained a lot of Idiom Stories and various topics. Shen Bao-Zhen (沈葆楨) who was a high-ranking official during the Late Qing(晩淸) argued Shihua containing a lot of detailed side stories was important. Among the 19th century Han Zhong(韓中) Shihua, Shiga-Jumdeung(詩家點燈) by Lee Gyu-Kung(李圭景) and Sheyinglou Shihua(射鷹樓詩話) by Lin Chang-Yi(林昌彝) are unique in terms that they convey a lot of Idiom Stories and Side Stories. Lee Gyu-Kung considered Idiom Stories to be ‘Topics for poems(詩材)’, while Lin Chang-Yi thought Side Stories were ‘Urgent Issues(時務)’. Their position about Shihua(詩話) shared some similarities in that they considered Shihua(詩話) was a collection of criticism about poems and statements(詩文批評書)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treated Idiom Stories and Side Stories as important. Han Zhong(韓中) Shihua editors during the 19th century considered both ‘theories of poems and statements(詩文理論)’ and ‘Idiom Stories(or Side Stories)’ in successive generations’ Shihua. If we can also examine Japanese Shihua’s ‘Stories’, we can perfectly understand the value of the data of the 19th century East Asia Shihua(詩話).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후기 동물에 대한 지식과 기록

        노상호(Ro, Sang-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0 No.-

        조선 후기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명물고증학(名物考證學)의 발전과 함께 이익(李瀷), 이규경(李圭景), 서유구(徐有榘), 유희(柳僖) 등은 각자 자연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필자는 한반도의 육식동물, 식육목(食肉目)에 대한 조선 후기의 지식과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자연관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승냥이(豺), 호랑이(虎), 개(狗)와 고양이(猫)는 인간에게 두려움과 경외감을 주는 존재인 동시에 오랫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온 동물들이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와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등은 조선 후기 화약과 총기(銃器)의 보급, 상업과 교역의 발달과 함께 동물에 대한 인간의 우위가 점점 강화되고 있는 상황을 기록하였다. 인간이 동 물보다 지적으로 우월하다는 인식은 인간이 주체적으로 동물을 분류하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지적 욕구와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규경 등이 제시한 조선 후기 동물분류법은 승냥이(豺)와 이리(狼)를 명확히 구분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묘(虎貓)’의 의미를 규명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오히려 근대의 생물학자들은 승냥이(豺)를 늑대(狼)로 오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랑이 등 한반도 맹수들의 멸종을 수수방관하는 등 오히려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이 점을 보면 근세 자연학의 성과는 근대생물학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심각하게 단절되고 망각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식육목(食肉目)의 사례를 통해서 18, 19세기 지식인들이 보여주는 전환기적 성격을 규명하고 그 시대만의 지적 성취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as in transition. The development of Myŏngmul-kojŭng-hak (the study of verifying names and evidential studies) enabled scholars such as Yi Ik, Yi Kyu-kyŏng, Sŏ Yu-ku, and Yu Hŭi to observe Mother Nature and to record i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was transformed by the new sense of intellectual and materialistic superiority of human beings. A case of Carnivora shows us that Koreans built a new bod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nature: what used to be deemed sacred and fearful. As examples, tiger (虎), Asian wild dog (豺), dog (狗), and cat (猫) were well-known to Koreans for many centuries, but it was not until the late Chosŏn period that humans recognized their own supremacy vis-a-vis these animals and that they tri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wild life. In Yi Kyu-kyŏng’s Ojuyŏnmunjangjŏnsan’go and Yi Ik’s Sŏngho sasŏl, it is possible to find that Yi Kyu-kyŏng (1768-1856) and Yi Ik (1681-1763) not only built a rationale of studying the wild life, but also sensed the increasing human dominance over the animals. The two mentioned of new attitudes such as raising a dog and a cat as a pet and hunting tiger in the Chosŏn society, and tried to make their own system of classification. Unlike modern naturalist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did not make a conclusion that the wild life must be eliminated for the safety of human beings. They knew the difference between wolf (狼, Yiri) and Asian wild dog (豺, Sŭngnyang’i), and still comprehended the nature through a lens of classical learning. Based on classics, they tried to re-conceptualize the nature in the growing sense of human dominance. Therefore,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studies on Mother Nature in the late Chosŏn period prove the remarkable transition in human-and-nature relations and the intellectual accomplishment of Chosŏn scholars in their own te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