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찰갑(札甲)의 기술계통 연구 - 4세기대 영남지역 찰갑 고찰을 위한 시론 -

        송정식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9

        동북아시아 갑주문화는 기본구조와 연접기법 등 제작기술의 차이에 의해 크게 3가지 기술계통으로 구별된다. 이 중 지판(地板)을 사용하여 판갑(板甲)을 제작하는 지판혁철(地板革綴) 계통을 제외하고, 소찰(小札)을 사용하여 찰갑(札甲)을 제작하는 기술은 소찰혁결(小札革結)과 소찰수결(小札垂結)의 2가지 계통이 있다. 소찰혁결 계통은 방형 계열의 상방하원형 소찰을 사용하고, 혁결법으로 신갑의 상하방향을 연접하는 내중식(內重式)에 우협개폐(右脇開閉)가 특징이다. 지역적으로 중국 중원지역의 한족(漢族)과 관련되며 어린갑(魚鱗甲)으로 대표된다. 소찰수결 계통은 장방형 계열의 소찰을 사용하고, 수결법으로 신갑의 상하방향을 연접하는 외중식(外重式)에 전동개폐(前胴開閉)가 특징이다. 지역적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비한족(非漢族) 유목민족과 관련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지역적인 기술계통의 전통을 강조하는 연구경향으로 인해 기술계통의 상호교류 문제를 등한시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특히 서로 다른 기술계통이 겹치는 지역에서는 기술계통이 혼합된 개체가 다수 확인된다. 즉 전국시대 후기에 연나라(燕國) 변경에서 찰갑의 두 기술계통이 혼합되기 시작하였으며 한대(漢代)에 들어와서 흉노와 선비 등 북방 유목민족과 지속적으로 교류한 결과 중원지역의 소찰혁결 계통에 소찰수결 계통이 혼합된 개체가 내몽고(內蒙古)에서 운남성(雲南省)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제작됨을 알 수 있었다. 영남지역의 4세기대 찰갑도 요찰(一자형)의 유무를 기준으로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술계통과 유입경로를 검토한 결과 요찰을 가지는 유형은 3세기 무렵 중국 동북지역에서 형성된 요찰을 삼연(三燕) 내지 고구려를 통해 수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찰을 가지지 않은 유형은 낙랑을 통해 수용된 중원지역의 소찰혁결 계통에 소찰수결 계통이 혼합된 후 영남지역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The armor culture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three technical types according to manufacturing techniques which concern basic structure and adhesion. Aside from the techniqu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plate armor, which uses plates (which are relatively large and vary in shape), the technique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scale armor include 'leather binding' (in which scales are bound by leather thongs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nd 'suspensory binding' (in which scales are bound vertically by leather thongs and overlap).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method are that 1) square-type scales are used, 2) in the case of trunk armor, scales are connect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3) the armor opens from the right side.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this method has connections with the Han people of Central China, for whom lamella armor (魚鱗甲) is the representative armor type. On the other hand, armor manufactured using the 'suspensory binding' method 1) uses narrow rectangular scales, 2) scales of the trunk armor are vertically connected, and 3) the armor opens from the front. This method is geographically related to non-Han nomadic population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who used scale armor. In the past, armor was categorized based mainly on manufacturing technique,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the mixture of these two methods in areas where both existed. The mixture of these two binding methods began to appear in the peripheries of the kingdom of Yan (燕)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Han(漢) period, there was significant interchange with the nomads of the northern region, including the Huns and Xianbei. This gave rise to the combination of the 'leather binding' method of Central China and the 'suspensory binding' method which was used throughout vast area spanning from Inner Mongolia to Yunnan Province. Scale armor from the Yeongnam region dating to the fourth centur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presence of waist armor (一字形腰札). Examination of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 and origin has revealed that the type with waist armor might have originated from the waist armor us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round the third century which was adopted by Three Yan (三燕) or Goguryeo. With regard to the type without waist armor, it was introduced into the Yeongnam region after the 'leather binding' method of Central China, which was adopted through Lelang, was combined with the 'suspensory binding' vertical method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김해식 찰갑의 구조와 특징

        김재휘(Kim, Jae Hwi)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89

        4세기대 영남지역에서 확인되는 초기찰갑(初期札甲)은 크게 2가지 유형이 있다. 초기찰갑은 철제로 이루어진 Ⅰ식(상반신 찰갑)과 유기질제와 철제가 혼용된 Ⅱ식(유기질제 혼용 찰갑)으로 구분된다. 유기질제 혼용 찰갑들 중에서 공통된 특징을 공유하는 찰갑들이 확인된다. 해당 찰갑은 특유의 투공배치를 가지는 요찰을 사용하며, 요찰들은 모두 좌중첩(左重疊)된다. 해당 찰갑은 김해를 중심으로 확인되며, 최근 부산에서도 관찰된다. 이러한 유기질제 혼용 찰갑을‘김해식 찰갑’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김해식 찰갑은 김해와 부산에서 총 8점이 확인되며, 그 변형으로 추정되는 2점이경주권역에서 확인된다. 이 찰갑은 열 수결기법을 사용하며, 수결공의 위치와 개수에 의해 통식(筒式)으로 수납하여 부장하는 방법이 불가능하고, 펼쳐서 부장하는 평식(平式) 부장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횡결기법으로 횡결 제4기법을사용하는데, 이는 김해식 요찰의 투공배치에 최적화된 연결기법이다. 경주권역에서 확인된 2점의 찰갑은 이러한 김해식 찰갑과 유사한 구조와 특징을 보여준다. 다만, 요찰의 투공배치와 중첩양상이 다르다. 경주권역의 찰갑이 출토된 각유구는 김해·부산과 깊은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볼 때, 경주권역의 찰갑들은 김해식 찰갑의 변형(變形)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김해식 찰갑의 분포범위를 중심으로 볼 때, 4세기 금관가야의 지표적인 갑옷으로 볼 수 있다. There are two main types of Early Lamellar Armor in the Yeongnam area of the 4th century. The initial seal is divided into Style I, which consists of iron, and Style II, which combines organic and iron. Among Style Ⅱ Lamellar Armor that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Use a Waist-side Scale with a unique hole layout, and the Style Ⅱ Lamellar Armor, in which all of Waist-side Scale are left-overlaped, is identified. The Style Ⅱ Lamellar Armors are identified around Gimhae, and are also recently observed in Busan. This Style Ⅱ Lamellar Armor is called Gimhae Style Lamellar . A total of eight pieces of the Gimhae Style Lamellar will be identified in Gimhae and Busan, and two Lamellars will be identified in the Gyeongju area, which is believed to be a variation. This Lamellar uses a Lineconnection technique, and it is not possible to store the Lamellar like a Barrel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Scale holes. Also, the 4th Width-connection technique is used as a transverse technique, which is optimized for the deployment of the Gimhae-Busan Style Waist-side Scales. Two Lamellars are observed in Gyeongju area, similar to the Gimhae style Lamellar, which has thi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lacement of the holes of Scales is slightly different, and the overlap of the Scales are Central-overlaped. Each of the relics excavated from Lamellar appears to be deeply related to Gimhae and Busan, which can be seen as a variant of the Lamellar in the style of Gimhae-style. These Gimhae Style Lamellar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armor of Geumgwan Gaya in the 4th century.

      • KCI우수등재

        4~6세기 찰갑을 통해 본 한일 교류

        김혁중(Kim, Hyukjoong)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8

        그간 고대 한일 간 교섭과 교류를 주제로 한 연구 성과는 적지 않다. 특히 금속 제품은 한일 기술 교류의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는 자료이다. 본고가 검토 대상으로 한 갑주와 같은 무구에 관해서도 고대 한일 관계를 살펴보는 기초적 자료 검토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고대 갑주 연구는 4∼5세기대에 출토된 판갑으로 주제가 한정되어 당시 사회문화상을살펴보기 어렵다. 이에 필자는 또 다른 주요 갑옷인 찰갑을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 기술 교류의 기초적 검토를 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삼국시대 찰갑 자료가 많이 축적된 영남지방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찰갑의변천과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일본지역 출토 자료와 비교하였다. 고대의 찰갑은 여러 형태의 소찰을 엮어 만든 것으로 부위별로 다양한 특징이 있다. 그중에서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요찰은 단면 형태 변화에 큰 특징이 있다.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그간 고대 일본 고유의찰갑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도 적지 않은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검토해 본 결과, 요찰 단면이 ‘Ω’자형인 찰갑은 한반도의 제작 시기가 다소 빨라서 일본열도 내 이 유형의 찰갑은 금공(金工)갑주를 포함한 다른 갑주들처럼 제작 과정에 한반도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출토된 찰갑 중왜와 관련이 있거나 왜계 찰갑으로 보는 자료에 대해서는 향후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투구와 부속갑은 그간 한일 관계 연구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여 복발이나 장식을 덧댄 돌기부주나 금동장차양주, 부속갑 붕 경갑(頸甲)과 비갑(臂甲) 등 한반도에서 일본열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큰 자료들이 확인된다. 본고는 한일 고분 출토 자료의 비교 분석에만 주력하였으나 향후 각국의 갑옷을 수용한 목적과 배경, 양국에 미친 영향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There have been quite a few studies conducted in both Korea and Japan on exchange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ncient period. Among many academic disciplines, archaeology has been productive in the study of, among others, the exchange of techniqu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thanks to tangible artifacts. These artifacts make up for the lack of textual sources, and they can present new subjects for study. Among the numerous types of archaeological findings, metal artifacts are deemed particularly productive as materials for the study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re have not been enough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weaponry – particularly armor, such as the examples dealt with in this study – but there has certainly been some accumulation of basic information which can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Studies on ancient Korean and Japanese armor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plate armor dating back to the 4th and 5th centurie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ultural environment of the two areas in the early phase of history.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focuses on scale armor as they contain important clues for increasing basic knowledge on the exchange of technologies between ancient Korea and Japan. The sources used for the discussion are the artifacts unearthed in the Yeongnam area, which is known to have more scale armor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Scale armor discovered in this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made by fastening small metallic scales of various shapes to each other. Among them, the scales used for the armor’s waist underwent dramatic changes in their shape. These scales include those with Ω-shaped cross-sections; these were originally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Quite a lot of armor of this type have been excavated in Korea, providing important sources for the study of ancient scale armor in Korea and Japan. Research on armor made of Ω-shaped scales for the waist –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this study – revealed that those examples discovered in Korea were produced earlier than armor of the same type found in Japan, implying that the Japanese examples had been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Korea armor. This discovery also suggests that the ancient Korean armor with Ω-shaped waist scales did not necessarily originate from – or have a direct connection to – the Japanese examples of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these artifacts to be reviewed more closely.

      • KCI등재후보

        百濟甲胄의 形成과 그 背景

        이현주 육군군사연구소 2011 군사연구 Vol.- No.131

        In the ancient times, war may bring a very positive result 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each nation but, may remove a country into history. During the era of three states, Ko Ku Ryu, Baek Jae, Shin Ra, and Kaya had a complex dynamics of which fierce battle with other stat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ith China, Wae(Japan), and Malgal. Among the three states, not much militaristic relics have been discovered in Baek Jae. There are abundant military relics from Shin Ra and Kaya due to their recognition of plentiful weapons as a sign of ruller. Compared to Shin Ra and Kaya, the weight of military research in Baek Jae archeology is relatively low. The reason is shortage of data. Relics of Baek Jae are found in fragments at discovery sites and it is impossible to confirm a complete form of relics. However, it cannot be presumed that only Baek Jae did not have armors at the time of confrontation of three states. Therefore, the search for Baek Jae's armor began concerning the logical connection of discovery. The armor of Baek Jae is scale armor. As for headgear, the whole Korean peninsula shared the same traditional technology. It was the early 4th century when Baek Jae succeeded switching its organic scale armor to iron scale armor during the expulsion of Ko Ku Ryu and the great army of Nak Rang. The standardized new armor appeared in late 4th century. Baek Jae's style of scale armor is similar to that of the Sunbi tribe of the northern regions and seems to be the prevailing armor style in the whole eastern Asia from 4th to early 5th century. The fact that Baek Jae's armor style is the same with other three nations means that the three states had similar combat capacity, combat equipment,and strategy. Also, to maintain this balance of power, mass production of armor began along with standardization. During the standardization, in order to standardize, skillfully connect and to give agility to the scales many technologies must have been devised but, eventually the three states came up with similar designs. On the other hand, as the Han-sung Baek Jae collapsed in 475, small militaristic leaders who were growing near Young-san river gained power seeking various political groups and solidarities. These powers based on the region accommodated memorial traditions and culture of Wae and Baek Jae and grew as considerable local powers. During this process the prestigious armor for the ruling class was imported from Wae. In the 6th century Baek Jae's scale armor accommodated donghwan and waejung style armor along with the Chinese Yang Dang Gae technology.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of cultural aspect of Sabi era. 고대에 있어서 전쟁은 각국의 국가형성과 발전과정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도가져오기도 하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지기도 한다. 삼국시대 고구려․백제․신라․가야는 약 400년간 치열하게 각축전을 벌이고 그 와중에 중국과 왜, 그리고 주변 말갈과의 국제관계까지 얽혀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그 가운데 고고학적 성과로서의 백제는 군사관련 유적․유물이 많다고 할 수 없다. 신라․가야에서는 무기를 대량부장하는 것이 지배자의 상징이 관념체계 덕분에 가시적이고풍부한 군사 유물을 자랑한다. 이에 비한다면 백제고고학에서의 군사연구 비중은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현실이다. 이유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주로 주거지나 관방유적에서 1점씩 조각으로 발견되어지기 때문에 완전한형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삼국이 정립하고 있는 시기 백제만 방어장구가미비되었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출토맥락을 면밀하게 따져 백제갑주의 정체성을 찾아보았다. 백제갑주의 형태는 찰갑이다. 투구는 한반도 전역이 동일하게 종장판주제작전통을 가진다. 백제가 이전의 유기질제 찰갑에서 철제화를 실현화시킨 시기는 4세기 초에 고구려와 낙랑대방군을 축출하는 과정에서이며, 실물은 4세기 후반에 나타난다. 이찰갑은 북방 선비족의 찰갑과 유사하며, 4세기~5세기 초 동아시아 전역에 유행하게 되는 찰갑으로 보았다. 5세기의 백제찰갑은 동환식․외중식으로 나머지 삼국과 동일하다는 의미는 삼국이 전투능력, 전투장비, 전술을 유지하고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갑주는 대량생산되기 시작하여, 갑주의정형화가 이루어지는데, 소찰의 규격화, 정량화, 숙련된 연결기법, 활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들이 자체적으로 모색되었겠지만 결국 삼국이 유사한찰갑제작 설계원리로 나아간다. 한편 475년 한성백제가 멸망하면서 영산강유역 주변을 기반으로 성장하던 군소수장들이 백제․가야․왜 등 다양한 정치체와 연대를 모색하면서 세력화하였다. 이들은 재지 기반을 바탕으로 백제와 왜의 묘제와 문물을 받아들이고 교섭함으로써 이 지역의 유력집단으로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왜에서 반입되는 위신재의 하나가 왜계갑주인 것이다. 6세기대에 백제 찰갑은 이전과 동일한 동환식․외중식 찰갑과 함께 중국식 양당개의 기술전통이 유입되며, 이는 사비시기 문화양상과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 KCI등재

        울산 중산리 출토 철제찰갑의 과학적 보존처리

        박영환,김미현,윤혜성,이재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2 No.-

        울산 중산리 출토 철제 찰갑은 1990년대 발굴되어 보존처리가 이뤄지지 않은 상 태였지만 발굴 당시 유적의 흙과 함께 수습되어 출토 상황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 다. 발굴 현장에서의 유물 수습은 찰갑의 형태적 특징을 고려한 최선의 보존 방법이 다. 하지만 철기라는 재질적 특성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추가 발생 한 균열과 팽창은 찰갑편들을 흙과 분리시키고 있었다. 보존처리에 앞서 현미경 조 사, X선 투과조사,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과학적 정보를 기록하고, 보존처리에 필요한 일부 과정은 사전 실험을 통해 적합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정하였다. 찰갑에 부착 된 흙은 무게로 인해 전시 활용을 어렵게 하고, 보존처리 이후 균열을 발생시키는 위 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최소화시키는 보존처리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찰갑에서 분리시킨 흙은 복원 부위의 표면 처리에 사용하여 출토현장과 유사한 분위기를 연 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찰갑과 지지대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전용 보관틀을 제작하 여 유물의 안전한 보관 및 이동, 다양한 전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소장처의 고고학 연구팀과 협업하여 마감 전 상태의 하부 바닥면을 정밀 하게 실측하는 등 고고학적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였다. The iron armor excavated from Joongsan-ri in the 1990s has not been conserved but the condition at that time of excavation has been well preserved due to soil on the site was excavated and carried with it. The way of collecting the armor in situ at the excavation site was the optimum conserv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ts form to maintain the shape. However, corrosion has been caused by the material properties of iron, which led to additional cracks and swellings separating its pieces from soil. Each of the pieces had archaeological information which would be useful for restoration. To obtain scientific information, the microscopy, X-ray test and component analysis were conducted before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to choose suitable methodologies for some parts of the conservation process,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heavy weight of soil attached to the armor made it difficult to display and also it would cause cracks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therefore it needed to minimize its risk. For other parts except the armor, the surface of them was treated with soil separated from the armor to give the on-the-spot atmosphere of the excavation site. Lastly, a special storage frame which is possible to put in the armor and support respectively was made for safe storage, transfer and various exhibitions.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it is significant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rmor was precisely measured in cooper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research team which allowed us to secure archaeological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고성송학동(固城松鶴洞) 고분군(古墳群) 출토(出土) 갑주(甲胄) 소고(小考) -1A-1호 단벽출토 갑주 및 부속갑 편을 중심으로-

        장경숙 ( Kyoung Sook Ja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5 石堂論叢 Vol.35 No.-

        고성 송학동 1A-1호 유구의 단벽부에서 출토된 철제와 金銅으로 장식된 소찰과 철편을 대상으로 소찰의 분류와 제작에 사용된 기법을 검토하였다. 소찰과 철편은 각각 凸자형 철편을 포함하여 上圓下方形소찰, 方形소찰, 圭形長札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소찰주와 찰갑 그리고 부속갑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찰주는 상연을 둥글게 마무리한 방형소찰로 주체부를 구성하고 상단에 凸자형 철기가 부착되는 형식으로 합천지역에서 출토된 소찰주와 유사하다. 찰갑을 구성하는 소찰은 모두 7종류로 분류되었고, 이 중 Ω형 곡률을 가진 2유형의 소찰은 腰札과 草摺据札로 확인되었다. 이외 소찰 및 철편에 대한 분류를 통해 방형 또는 장방형 소찰로 제작된 頸甲편과 규형 장찰로 제작된 비갑과 경갑 편이 확인되었다. 소찰의 연결은 주로 가죽 소재(혁뉴, 혁포)를 사용하였으며, 소찰의 종횡 연결과 마무리에 사용된 기법들은 수착된 혁뉴의 흔적을 통해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고성송학동의 갑주는 상단부와 볼가리개를 금동으로 장식한 소찰주와 Ω자형 요찰을 중심으로 상하가 일렬로 연결되는 胴丸形의 찰갑 그리고 부속갑을 完備한 札甲 一式이다. 또한 Ω자형 요찰과 동일 형태의 상갑최하단찰의 조합과 `山`자형 비갑 편 그리고 금동장 소찰주 등 현재까지 출토된 동일 유형의 찰갑 중 가장 발전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Sochal ornamented with iron and gilt bronze and the iron pieces from the wall of the tomb of Gosesong Songhak-dong 1A-1, Sochal were class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The Sochal and iron pieces include 凸 type parts and they are classified as `upper round and square bottom` type Sochal, square type Sochal and Gyhyung Jangchal(圭形長札). It was confirmed that they would make Sochal-ju, Chalgap and attached the armor. The Sochal-ju is a square and the Sochal has a round Sangyeon and makes a war helmet and the 凸 type iron piece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It is similar to the Sochal-ju from Hapcheon. 7 types of Sochal, which consist of a suit of armor were excavated and type 2 scales which is Ω type is known to have been a part of the waist guard and the scales ornamenting the bottom of the upper armor.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Sochal and iron pieces, we could identified the arm guard made of Gyhyung Jangchal and the neck guard made of square or rectangular scales. The scales were connected using leather and the techniques used for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of the scales and the finishing of the armor can be identified from the trace of Hyuknyu which is rusted and compressed. The armor and helmet of the Songhak-dong of Goseong is a full set of armor and helmet which has Sochal-ju with ornamented upper part and a guilt bronzed check guard, Donghwanhyung Chalgap(胴丸式札甲) whose upper part and lower part is connected linearly placing Ω type waist guard in the middle. Additionally, it has the most developed elements among the same type armors that have been excavated up to now with Ω type waist guard, the combination of the same type upper armor and the bottom scales, `山` type arm guard and guilt bronzed Sochal-ju.

      • KCI등재

        복제 기법을 이용한 찰갑의 보존처리 - 김해 진영 2지구 출토품의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김동민,박중혁,조현경,조남철,Kim, Dong Min,Park, Jung Hyeok,Cho, Hyun Kyung,Cho, Nam Chul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1

        찰갑은 매납 이후 부식으로 약화되고 토압에 의해 각 소찰들이 흐트러진 상태로 출토된다. 따라서 출토 즉시 현장 보존처리를 통해 출토 당시의 모습 그대로 실내로 옮겨져야 하며, 실내 보존처리에서는 단단한 지지층으로 보강하여 바닥에 놓여 진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보존처리 후 실견이 불가능한 바닥면에 대해서는 실측과 사진촬영 등을 통해 자료를 남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자료만으로 유물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김해 진영 2지구' 출토 찰갑의 보존처리에서는 바닥면에 대한 자료화 방법으로 실측, 사진촬영 이외에 복제를 통해 실견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갑은 토압에 의해 좌우로 찌그러져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였는데, 개별 지판을 복제한 후 하나로 합쳐 매장 당시의 원형대로 복원하여 실물자료를 확보하였다. 찰갑의 보존처리에서 새로이 복제 기법을 적용하여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웠던 바닥면과 경갑에 대한 실물자료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유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갑옷의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A scale Armor is usually excavated in a scattered form weakened by corrosion after its burial. Therefore, they should be brought into the indoor in a safe environment for the on-site conservation treatment as it was excavated. They should be placed on a stable support with a reinforced base in the indoor treatment. In this process, the bottom surface which can not be observed after the conservation treatment is placed for a record by actual survey and photography. But this method had a limit on figuring out the whole aspects of the artifact. For compensating the defect, duplication of the artifact wa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previous two methods in the case of conservation of the scale Armor from Jinyoung 2-Area, Gimhae. Neck guard was excavated in a distorted form by the earth pressure, and was hard to recognize the original shape. However, whole real material of its original form was secur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each duplicated lamellae. Throughout the application of the duplication technique in the process of conservation of scale Armor and neck guard, it could secure the real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and elevate the understanding of the artifact. Moreover, a constitution of the armor could be identified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연천 무등리 출토 찰갑의 수습 및 과학적 보존

        권혁남,이정민,유동완,김미현,함철희,양시은,윤정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2 고문화 Vol.80 No.-

        The armour made of hundreds of iron pieces and presumed to belong to Goguryeo period, was excavated in June 2011 at the fort site(boru) at Mudeung-ri, Yeoncheon in Gyeonggi province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he boru at Mudeung-ri was known as the watchtower of Goguryeo to keep watch on movements of Baekje which was seeking to advance north in around the 6~7th century. It was here that the ancient stone walls, pieces of earthenware and roof tiles, carbonized rice and grains as well as the armour were found. The armour was excavated from the north site of boru. Scales of the armour exposed on the surface amounted to 200 pieces and they were scattered at the area of a circle of diameter 90cm. The scales lost metallicity due to acidic environment and the strings for connecting scales were missing. This study shows the on-site urgent treatments, the condition survey after the transport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s, the consolidation for the safe transportation and preserv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on-site urgent treatment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a large artifact is discussed to share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2011년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한 경기도 연천의 무등리 2보루에서는 수백 개의 소찰로 구성된 고구려 철제 갑옷이 출토되었다. 무등리 2보루는 임진강변에 위치한 여러 고구려 성곽 중 하나로, 중심 연대는 6~7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에서는 찰갑 외에도 후걸이와 사행상철기를 비롯하여 고구려 토기편과 기와편 및 곡물들이 출토되었다. 찰갑은 보루의 북서쪽 능선 돌확 옆 석축유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수백 개의 소찰이 직경 90cm 범위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었다. 소찰은 부식으로 인해 금속성을 띄지 못하고 산화물로 남아 있었으며, 소찰과 소찰을 연결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죽끈의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무등리 2보루 유적에서 출토된 고구려 찰갑을 대상으로 현장에서의 응급수습, 이송 후의 상태조사 및 보존처리, 안전한 이송 및 관리를 위한 보강 작업 등을 논하였다. 특히 대형 유물의 현장수습 및 보존처리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무적인 관점에서 유물의 상태, 현장 상태, 보강 재료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 KCI등재

        영남지방 출토 종장판갑의 분포와 의미

        김혁중 영남고고학회 2009 嶺南考古學 Vol.- No.49

        The advent of iron helmet and armour has been given a political meaning like a group character or relations between groups, beyond its own structure analysis. However, hitherto studies primarily recognize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as a space unit, and they are understood as if iron helmet and armour was propagated into the surroundings from the central area. But, as if a unilateral acceptance of culture is unthinkable today, then the process of accepting armour would not have been just unilateral.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unconvincing even as referring to the social image or actual data of the southeastern district in the 4th century when the iron armour appeared. This study examined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Vertical Plate Armour represent ing the 4th century, from the point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rmour acceptance and manufacture by district unit in the southeastern area. As the result of it, the vertical plate armour can be classified into regional areas of Gyeongju, Pusan and Kimhae, by means of a unique type of existence. However, as distributi on areas share similar types as well as a unique style, this study examined such phenomena from the point of technology exchange. Amid them, Ⅲ phase chang ᐨes in which the vertical plate armour became extinct is noticeable. At this period, a coat of mail protected the whole body and the accessories were developed and prevailed. The vertical plate armour beefed up authority by means of decorati on and showed various types. Acceptance of the armour varies in each district, which is deemed to show a political intention in the background, rather than the aspect of just technology exchange. It can be examined by an aspect of burial accessories of armour and by heavy cavalry tactics recently taking a growing interest. Especially, technology exchange between Pusan district and Gyeongju district is remarkable, which is deemed to be related to Silla's advance into the lower Nakdong River. 삼국시대 철제 갑주는 그 자체의 구조 분석을 넘어 집단의 성격이나 집단 간 관계와 같은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어 왔다. 그런데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영남지방을 하나의 공간단위로 인식하고 갑주가 중심지에서 주변으로 전파된 듯이 이해한 데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당시 갑주를 수용한 과정은 철제 갑주가 출현한4세기의 영남지방 사회상이나 실물자료를 보아서도 일방적인 수용을 생각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영남지방이 지역 단위별로 갑주의 수용과 제작에 차이가 있다는 관점에 서서 4세기를 대표하는 종장판갑의 구조와 분포양상을 검토해 보았다.종장판갑은 계통을 나타내는 속성인‘후경판’을 중심으로 속성 조합에 따른 다양한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그 결과 독자적인 형식의 존재여부를 근거로 경주,부산,김해지역권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지역들은 독자적인 형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사한 형식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 현상을 기술 교류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종장판갑이 소멸하는 Ⅲ단계의 변화가 주목할 만하다. 이 시기 찰갑은 전신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부속구도 발전하고 성행하며 종장판주는 장식을 통한 위세성이 강화되고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이러한 갑주의 수용여부는 각 지역권마다 다른데 단순히 기술 교류라는 측면보다 정치적 의도가 이면에 자리 잡고 있다고생각된다. 이는 갑주의 부장양상과 최근 관심이 높아가는 중장기마전술을 통해서도살펴볼 수 있다. 특히 부산지역권이 경주지역권과의 기술 교류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신라의 낙동강하류 진출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三國時代 嶺南 出土 札甲의 硏究

        황수진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78 No.-

        In this paper, recognizing that the study of armour has focused on vertical plate armour and that the study of lamellar armour has been insufficient, I undertake a study of lamellar armour focusing on its overall aspect, as comprised of all parts. There are no common terms for the parts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Therefore, in examining terms and section names which have been confused, I present essential section names derived from hanbok. I maintain that lamellar armour consists of body armour and attached armour and further separate the armour into waist lamellar, body lamellar, upper arm lamellar, skirt lamellar, neck protector, arm protector, upper leg protector, and lower leg protector. In the third section of this paper, I attempt typ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armour sections. The primary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are the form of the waist lamellar,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body lamellar, the existence of upper arm lamellar and skirt lamellar,and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neck and arm protectors. The upper and lower leg protector could not be studied as examples of such have yet to be found. After typological classification, I established five type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parts as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and the selection of attributes which reflect temporal change, I separate the phrases and establish the ages. Lamellar armour was thus separated into five stages. The appearance of the A-type lamellar armour, the appearance the B-type lamellar armour, the disappearance of the A-type lamellar armour and the transition to the C-type lamellar armour, the progressive adoption of the III-type waist lamellar and the use of various types of lamellar armour as grave goods in the Youngnam area, the materialization of the IV-type waist lamellar and the golden-craft conversion of the lamellar armour are the epoch-making events. In the fourth section, I examine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diachronic change. The first stage was a period in which A-type lamellar armour was buried in Busan and Gyeongju.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connected to one another,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burial contexts. Rather,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Busan and Gimhae. In the second stage, it is recognized that there was technical inter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and that the Busan-type vertical plate armour appeared. But there was no interchange in the case of lamellar armour. The third stage, which is the period after the southern conquest of Goguryeo in 400 AD, shows a confused strain. With the collapse of the Daesungdong group, A-type lamellar armour disappeared and there is no lamellar armour of completion. In the fourth stage, lamellar armour of completion appears and D2-type lamellar armour is excavated in the areas of Busan and Gyeongsan. In this stage, Busan, which was the only area in which lamellar armour of completion was not buried, was not yet included in Silla and still exercised influence. In the fifth stage, IV-type lamellar appeared, coexisting with III-type waist lamellar. The IV-type waist lamellar(Ω-type) is thought to be connected with Japanese armour, but it appeared and develop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various forms, connecting methods, fixing holes and hole numbers before standardization. In the fifth stage, the burial of lamellar armour – B-type, D-type and E-type – increased in the Hapcheon area. This can be taken to reflect the strengthening of armoury by Dae-Gaya following the formation of Later Gaya. I have classified lamellar armour and have examined its regional distribution. I wanted to examine change in general aspect, form, and regional distribution since a synthesis of the lamellar armour of the Youngnam area in the 4~5th century has yet to be carried out. However,some of the data remained 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