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기독교교육에서 여성주의 신학의 교육적 의미: 새로운 성서읽기 가능성 ‐ 베르그와 몰트만, 몰트만-벤델의 성서해석 예시를 통해

        안정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4 장신논단 Vol.56 No.3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의 젠더 갈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에서 여성주의 관점에서 성서해석의 필요성, 그리고 오늘날 젠더 갈등의 현실 속에서 여성주의 신학과 해방신학의 의의를 탐구한다. 여성주의 신학은 오늘날 신학과 기독교 분야에서 점차 소외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여성 신학의 역사와 배경을 살펴보면, 학교와 교회에서의 여성의 교육 권리와 여성주의 성서해석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독일의 기독교교육가 호르스트 클라우스 베르그는 성서 해석의 다양성을 강조하면서, 타자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여성주의 성서 해석을 예시로 보여준다. 베르그는 창세기 4장과 마가복음 5장의 본문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성서해석의 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위르겐 몰트만과 엘리자베스 몰트만-벤델의 베드로의 고백과 마르다의 고백 비교는 예수에 대한 고백 속에 남성과 여성의 경험을 통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깨달음에 도달하는 여성주의 신학 대화의 예시를 보여준다. 이렇게 여성주의 신학적 접근은 성서 해석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성별 간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신학적 관점의 예시들을 통해 여성주의 성서 읽기는 기독교 교육에서 중요하면서도 필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독교교육이 성서해석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성별 간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기독교교육의 성서 해석은 다양해져야 하며, 여성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통합함으로써 성별 간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기독교교육과 성서교수학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for biblical interpret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Christian education to address gender conflict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feminist theology and liberation theology in light of today’s gender conflict realities. Feminist theology is increasingly marginalized in modern theology and the Christian realm. However, its history and background reveal a deep connection with women’s educational rights and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in both schools and churches. German Christian educator Horst Klaus Berg emphasizes the diversity of biblical interpretation, showcasing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from an “othered” perspective. Berg analyzes the texts of Genesis 4 and Mark 5 through a feminist lens, demonstrat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such interpretations. Additionally, the comparison of Peter’s Confession and Martha’s Confession by the Moltmann couple exemplifies a feminist theological dialogue that integrates male and female experiences to reach new understandings about Jesus. This feminist theological approach enriches the diversity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fosters gender understanding and empathy. Through these examples of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s, the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eminist biblical reading in Christian education. It advocates for Christian education that promotes diverse biblical interpretations and incorporates wome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hus playing a crucial role in enhancing gender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 need for a varied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in Christian education, incorporating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s, is emphasized to foster an inclusive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n biblical teaching.

      • KCI등재

        생명과 말씀 : 자기심리학의 관점에서 본개혁주의생명신학

        김현옥 ( Hyeunok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4 생명과 말씀 Vol.10 No.-

        김현옥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자기심리학의 관점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연결시킴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성도들의 삶에 연결되고 역동적으로 말씀의 생명력을 경험하는데 실천적 적용점을 찾아내는 데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지식으로서의 신학이 아니라 진짜 하나님을 아는 경험, 성령과의 관계 안에서 인격적으로 만나는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오늘날 기독교의 영향력의 상실의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 경험의 부재이며 그 관계를 회복하고 수없이 경험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하나님 경험에 대한 강조는 Kohut이 발달의 결정적 시기의 자기대상의 역할과 더불어 일생에 걸친 자기대상의 존재를 중요하게 여긴 부분과 유사하다. Kohut의 이론에서 공감적 경험을 제공할 자기대상 경험이 결핍되면 병리적 인간이 되는 것처럼 하나님 경험의 부족은 영적 성장에 결핍을 가져올 것이다. 건강한 자기의 구조를 가진 사람들이 본질적인 인생의 성취를 창조적으로 지향하는 반면 결핍된자기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을 인정받고 싶은 욕구, 드러내고 싶고 과대하게 포장하고 싶은 자기애적 욕구를 가질 수 있다. 자기애적인 그리스도인들이 신앙생활 가운데 하나님과의 관계 경험을 통해 자기가 성장하고 영적 성장을 하지 못하는 그리스도인들은 그 결핍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자기애적인 교인들은 하나님을 높이기보다 자기들의 과대성에 관심이 많다. 자신들이 주목받고 칭송받을 수 있는 위치와 관계에 끌리고 내면적인 깊이보다는 외형적인 거대함에 관심을 갖는다. 또한 중독에 가능성도 높다. 금지나 각오로 이런 것들을 고치기는 어렵다. 하나님과 함께 하는 경험을 통한 내적 변화를 통해서만 고칠 수 있을 뿐이다. Kohut의 견해에서도 취약한 자기의 구조, 자기의 결핍은 끊임없이 돈 명예 인정 등 무엇인가에 집착하게 하고 그것을 갖게 될지라도 마음의 공허함을 우지는 못한다. 오직 자기의 결핍을 채워줄 수 있는 자기대상과의 관계 경험을 통해서만이 치료될 수 있다. 즉 가장 완벽한 자기대상이신 하나님과 동행하고 그와 함께 거함으로서만 기독교인은 진정한 기독교인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이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말하는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의 의미가 될 수 있다. 자기심리학과 연결시켜 본다면 자기애적 병리를 가진 인간에게 가장중요한 것은 공감적 자기대상이다. 취약한 자기의 결핍을 채워줄 수 있는 누군가가 있어야만 한다. 예수님이 이 땅에 인간의 모습으로 오셔서 인간을 공감하고 함께 거함으로서 복음을 전파 하셨듯이 공감적 대상으로서 교회가 존재 해 준다면 하나님의 나라는 확장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몇 십 년 동안 교회는 따뜻함을 제공하기보다 성장 중심적인 경쟁을 하고 양적 팽창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교인들이 지적한 불만사항을 보면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와 교인들 간의 교제가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담임목회자에 대한 Needs도 2004년도 ‘설교’에서 이제 민주적이고친밀감 있는 인격, 개인에 대한 이해가 최우선 개선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좋은 자기 대상의 부재로 취약하게 된 자기 구조는 하나님을 경험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혹시 거듭남을 체험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듣는다 해도 그것을 느끼고 경험하기에는 취약한 심리구조를 가지게 된다. 귀로는 듣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체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교회는 취약한 자기를 가진 현대인을 품고 공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기대상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어야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과 Kohut의 자기 심리학적 관점을 연결시켜 살펴볼 때 부정적 사건은 그 사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하나님과의 관계 경험의 결핍이 근본적으로 문제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의지적으로 행하기보다 내면의 구조가 자라 날 수 있는 상태, 하나님 안에 머무르며 성령과 함께 하는 것을 진정으로 경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 할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o apply the Reformed Life Theology to a Christian``s everyday life practically by means of understanding and connecting the one with the other in view of Self Psychology, so that a Christian could link his life with the spirit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experience the power of Holy Spirit. Reformed Life theology has laid a stress on the experience of coming to know the real God, and meeting God personally through the fellowship with Holy Spirit, rather than theology as a mere knowledge. The emphasis of Reformed Life Theology on the personal experience of God is also found in the theory of Kohut in Christian counseling. Kohut has thought highly of self-object``s function in the critical developmental period of time along with the presence of self-object throughout life. The lack of the personal experience of God could bring abutthe impediment in spiritual growth. The insight is also found in the explanation of Kohut. He pointed out that shortage of experience of self-object as a matrix of mutual empathy could make a pathological man. A man with the healthy self structure strives to achieve essential values creatively in his life, while a man with the broken self structure may have the narcissistic desire to gain recognition from people, to cover himself as a big man such as showing off, bragging.

      • 한국 장로교회 목회적 양성 원리와 신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정일웅 한국장로교신학회 2010 장로교회와 신학 Vol.7 No.-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는 것이 이 시대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며 특별히 장로교회 신학교들이 신학 교육을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를 교육 신학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크게 세 가지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장로교회의 목회자 양성교육의 전제 조건에 대한 것이다. 장로교회 목회자 양성 교육의 전제인 인문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너지고 있는 현실에서 목회자들의 인문교육부재현상은 한국 교회의 목회자의 질을 하락시키고 한국 교회 내 이단들이 공생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되어 신학 교육의 전제 조건인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의 3단계 과정 신설 적용에 관한 논의로, 1단계는 신학의 학문(이론)적 토대를 놓는 신대원의 신학교육과정이며, 2단계는 강도(설교)사의 목회 실습과 훈련과정이며, 3단계는 목사의 계속 교육 과정을 언급하였다. 셋째, 신학 교육 과정의 개선에 대한 몇 가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 pasto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ology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For that purpose, 1 discussed three points. First is the presupposition of pastoral education. Even though liberal arts should be emphasized as the primary subjects for the pastoral education, current curriculum are tend to neglect that point. As thε rεsult of that our church experiences degrading of the quality of pastors. Therefore, 1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as the foundation of pastoral education. Second, 1 propose the three steps of theological education. First step is the theology education in the seminary as academic foundation of future ministry. Second step is practical training period in the church before ordination. Last step is the continuing education of pastors. In the last parts of the paper 1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ological curriculum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 신학교육과 목회자 수급

        김영재 한국장로교신학회 2010 장로교회와 신학 Vol.7 No.-

        한국 교회의 성장과 위상과 사명을 감안할 때 목사 지망생이 많은 것은 감사할 일이다. 그러나 신학교가 경영 문제 때문에 목사 후보생을 엄선하는 원칙을 흐리는 일을 지양해야 한다. 교회는 목회자 후보생의 수를 통제할 수 있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후보생들의 신앙적이며 지적인 바람직한 교육을 위해 신학교의 경영을 책임져야 하며, 선학교의 신학 노선이 교회의 신앙고백과 일치하며 그것을 유지하도록 배려하고 보살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코린토 전ㆍ후서에 나타난 사도 바오로의 신비신학

        전영준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15 No.-

        가톨릭교회 내에서 신비 체험은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측면과 사변적이고 인식론적인 측면으로 구분된다. 사도 바오로의 신비신학을 연구하는 적합한 방법 중의 하나는 사변적이고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접근법의 하나가 바로 부정신학의 방법론이다. 가톨릭교회 역사 안에서 부정신학적 방법론을 가지고 신비 체험과 신비신학을 연구한 사람은 많다. 예를 들어, 니싸의 그레고리오, 위-디오니시오, 『무지의 구름』의 익명의 저자, 십자가 요한 등이 있다. 물론 그리스도교 이전에 활동했던 ‘동굴의 비유’와 함께 부정의 방법으로 신비철학을 전개하였던 플라톤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사도 바오로가 1코린 13,12와 2코린 3,18에서 신약성경 상에서는 유일한 단어를 사용하여 하느님에 대한 간접적인 인식을 언급한 것은 그가 이미 부정신학의 관점에서 신비신학을 전개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도 바오로는 자신의 신비신학을 부정신학적 관점에서 전개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현대 신학자들이 자주 사용하고 있는 역사-비평적 성경 주석 방법론은 성경 본문을 신비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강하게 배제한다. 하지만, 가톨릭교회 역사에서 성경을 해석할 때, 영적이고 신비적인 의미를 살피면서 해석하던 방법은 특히 교부들에 의해서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오늘날 교회 문헌에서도 교회 전통적인 해석 방법을 재확인하고 있다. 사도 바오로를 열심히 연구했던 아우구스티누스도 자신의 신비 체험을 통해 얻게 된 하느님과의 합일의 지식을 설명할 때,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 코린토 전·후서를 자주 인용하였다. 그러므로 오늘날 성경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특히 영성신학 안에서는 영적이며 신비적인 해석의 전통에 따라서 신비신학적인 관점으로 사도 바오로를 연구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비 체험은 꼭 경험적인 측면에서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느님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깨닫는 것이 곧 하느님과의 합일의 길인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하느님에 대한 올바른 지식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 신앙인들도 온전히 실천해야만 한다. 이것이 코린토 전ㆍ후서를 통해 살펴본 사도 바오로 신비신학의 가르침이다. In the Catholic Church, the Mysticism has been viewed with the experiential and practical point and the speculative and cognitive one. Among two of them, the speculative and cognitive methods are more appropriate for studying St. Paul’s mystical theology. And the apophatic theology is one of those methods. In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there were many scholars to study the mystical experience and theology by the apophatic theology such as Gregogy of Nyssa, Pseudo-Dionysius, the author of The Cloud of Unknowing, and John of the Cross. Before Christianity, of course, there was Plato who described the allegory of the cave with the apophatic approach, and whose influence might be important in Christian period, too. It seems that St. Paul already recognized the apophatic method to study the mystical theology since he mentioned indirect awareness of God with the word, hapax legomenon in 1 Cor. 13,12 and 2 Cor. 3,18. Therefore, we can say that St. Paul explained his mystical theology with the apophatic method. On the other hand, many modern theologians who have tendency to use historical-critical method, a popular one today on interpreting the bible deny the mystical exegesis of the biblical text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however, there has been many other methods to find a spiritual and mystical meaning in the Bible. And also many Church Fathers often used those methods, which are emphasized in the contemporary documents of the Church, today. St. Augustine, who studied intensively about St. Paul’s thoughts, cited the first and second Corinthians as a proof while he mentioned ‘seeing God’, namely a knowledge of the mysticism, acquired from his own experience. Therefore, we can interpret St. Paul’s Epistles with the viewpoint of the mystical theology in the field of the spiritual theology. In conclusion, the mysticism can be explained not only by the experiential viewpoint, but also by the cognitive one while we understand completely about the true knowledge of God. For understanding God as a whol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he true love like His love. This is St. Paul’s instruction on the mystical theology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pistles to the Corinthians.

      • KCI등재

        신학과 실천의 괴리현상 극복을 위한 실천신학적 삶의 고찰

        위형윤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2

        신학의 근본적 본질은 하나님의 삶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동시에 성경적인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인간의 본질과 삶(경험)의 계속성을 전제하는 오늘의 삶의 이해의 공통성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경 기록시대의 독자들과 오늘 현대를 사는 독자들 사이에 연결되는 삶(이해)의 공통성, 즉 상호이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천신학이란 복음과 상황과의 만남에서 생겨지는 변증법적인 만남의 삶 속에서 창조되는 새로운 삶의 해석적 사건, 즉 예수 삶의 재현사건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역사, 문화, 정치의 사회적인 복합성격을 띠고 있는 우리의 삶(경험)과 예수의 삶(사실)과 맞 부닥칠 때 예수이해나 고백의 내용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천신학적 삶에 대한 제안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로 오늘날 신학일반 분야와 실천신학 분야 내에서 독자적인 전문화 추세로 각각 달리 서로 만날 수 없는 자기의 길로 가고 있는 현실에 대하여 모든 성경과 신학은「신학의 실천적 삶」이 되어야 하며, 동시에 성경과 신학의 주요임무는 「목회실천과 신앙생활」이 되어야 한다. 둘째로 실천신학적 삶으로서 네 가지 기능 : 교회의 실존적 삶이란 교회공동체의 신앙적 삶과 코이노니아적 삶이며, 성경해석의 기능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오늘의 삶의 구원으로 되살리는데 있다고 할 것이며, 동시에 재해석, 동일성 상관관계, 생산성, 학문성을 조화롭게 긴장관계를 가짐으로 발전적으로 승화시켜 나가야 한다. 목회사역의 기능은 하나님 중심의 삶과 인격적이고 윤리적, 종교적인 리더적 개념, 즉 목양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사회봉사적 기능은 가난, 미신, 우상, 질병, 억압, 무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를 실천적 삶으로 드러내야 한다. 셋째로 창조세계는 삶의 의미적 부각으로 생명을 살리는 창조세계의 보존과 회복, 변화운동은 예배적 삶이 있기 때문에 예배의 변화를 통해서 사람과 자연의 삶에 대한 생명회복을 강조하는 것이다. 넷째로 “예배갱신”은 경배와 찬양, 스크린 예배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를 성경과 전통, 성례전성(sacramentality)을 예배갱신에 초점을 모아야 한다. 즉, 예배갱신의 좌표가 교회 밖의 요소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회 안에서의 성도의 삶, 내적인 삶에서 갱신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천신학적 삶으로서 통전성, 목회현장을 지향하는 신학적 삶의 일치적 지향으로 나아가야 오늘의 위기인 신학과 실천의 괴리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ology derives from the God's existence and it begins simultaneously with the life of Jesus Christ. Therefore it might be said that theology shall be based on common understanding of the continuity of human nature and life. The common understanding here mean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Bible readers of the right time of Bible composition and the current age. So, practical theory means the event of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hich was newly created in dialectical intercourse. The dialectical intercourse has been coming out of meeting between gospel and situation. When our experience with historically, culturally and politically complex characteristics and the life of Jesus Christ collid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Jesus Christ and confession may differ. The suggestions for the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are as follow: First, every Bible and theology shall be focused on 'life fulfilling practical theology' and the main duty of the Bible and theology shall be 'fulfilling ministry and life of faith.' To tell the truth, the reality nowadays is that both general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are insisting on their own routes. Their routes are in the trend of choosing each different specialization. Secondly, four functions for the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shall be mirrored in our life; namely, they are (1) existential life of church, (2) interpretation of the Bible, (3) pastoral ministry, (4) social service. Existential life of church is the religious life in church community and Koinonia life. The fun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to renew the Gospel of Jesus Christ into salvation in life of today. Pastoral ministry contains humane, ethical and religious leadership, including God oriented life. Social service poverty, superstition, idol, disease, suppression and ignorance. Thirdly, the emphasis shall be placed on the recovery of life through the change of wor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It is because the world of creation is meaningful emergence of life and preservation and recovery of it and campaign for renovation are related with worship life, too. Fourth, the renewal of worship does not come out of appearing worship or praise. Neither does it on screen. We had better believe that it may really come out of connotative meaning. And the Bible, tradition and sacramentality need to be focused on the renewal of worship. The direction of the renewal of worship shall be toward to the internal life of believers in church instead of the factors outdoors of church. Finally, integrity to life with practical theology and coincidental pursuit of theological life are necessary for getting over the disjunction that is one of the current crises will be settled.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용서

        손철우 ( Chul Woo S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3 생명과 말씀 Vol.8 No.-

        우리는 용서를 너무 쉽게 다루려고 한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용서는 보복하든지, 아니면 잘못을 덮고 화해하려고 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용서를 올바로 이해하지 않으면 개인적, 사회적, 공동체적으로 심한 피해를 입게 된다. 이 논문은 용서에 대한 좀 더 균형 잡힌 올바른 신학이 무엇인지 고민을 다룬다. 먼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무엇인지 다루고,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토대 위에 진정한 의미의 용서가 무엇인지, 잘못된 용서는 어떤 것인지, 기독교 신학은 용서에 대해서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다룬다. 우리가 용서에 대한 올바른 신학을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용서는 단순히 개인적인 내적 평안을 추구하는 행위가 아니고, 개인의 양심에 입각한 도덕적 의무도 아니고, 자신의 구원을 보장하는 선한 행위도 아니다. 우리는 용서를 너무 성급하게 다루어서는 안된다. 용서의 진정한 목표는 인격과 인격이 만나고, 그 안에 진정한 연결과 화해가 일어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의 희생과 부활을 통하여 우리와 새로운 의의 관계로 초청하셨듯이, 우리도 용서를 통해서 자신의 상처를 인정하고,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올바른 관계를 세우기로 결정하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단순히 지적으로 용서를 바라보지 않고, 그 안에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고, 그 분의 음성에 순종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지식이 인간을 변화시키고 새롭게 하여 우리 무너진 관계 속에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게 된다. 개혁주의생명 신학은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일이 구체적으로 삶에서 나타나야 함을 강조한다. 목회자들과 목회상담학자들은 화해와 연결의 역할을 감당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용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신학을 가진다면 그들을 찾아오는 내담자로 하여금 올바른 용서를 통한 더 풍성한 삶으로 인도하게 될 것이다. 목회자와 목회상담자들은 용서에 대한 다양한 조망을 가져야 한다.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끝까지 들어주어야 한다. 성령의 능력을 의지하고, 아무리 용서가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하나님의 치유와 소망을 가지고 기도로 성령의 도우심을 구할 수 있다. 목회자와 목회상담학자들은 용서를 하는 과정에서 가해자와 피해자가서로 만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Even though we believe that the matter of forgiveness is at the heart of one’s spiritual life, we have a tendency to overlook the issue of forgiveness. Often, the need to reconcile takes precedence over forgiveness, and this especially rings true in the Korean community. If forgiveness is not understood correctly, it could potentially bring much pain and harm to a person, society, and community. This paper seeks to discuss a balanced theological view on forgiveness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t explains the true meaning of forgiveness, “false forgiveness,” and what the Christian theology teaches about forgiveness.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firmly grasp the theological concept on forgiveness. Forgiveness simply is not about seeking an inner peace, not a moral responsibility that grows out of personal conscience, nor is it a deposit assuring one’s salvation. We should not overlook the issue of forgiveness but seriously consider its significance. The true purpose of forgiveness is on reconnecting and reconciling person to person. As Jesus Christ invited us into a new relationship of righteousness through his sacrifice and resurrection on the cross, we too, through forgiveness, could acknowledge our hurts, confess our sins, make a decision to restore relationships. The Reformed Life Theology does not only look at the issue of forgiveness on an intellectual level, but it emphasizes the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Christ, a true obedience to His Word that is firmly carried out in the life of a believer. That is where the true change and transformation begin, allowing us to move toward a new future from damaged pasts and relationships.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are those who serve as liasons for reconciliation and re-connection. Having a keen theological awareness on the issue of forgiveness would help them guide their counselees to live a more spiritually fulfilled life.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different views and stages in forgiveness. Also,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annot be overstated. Even in the midst of circumstances where forgiveness seems impossible,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orks to bring God’s healing and hope through prayer.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should make an effort to help bring both the victim and the offender to meet in the process of forgiving.

      • 대화적 패러다임과 현대 교육 :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숙 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 2005 기독교언어문화논집 Vol.9 No.-

        '신학교육'에 관한 최근의 논의는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신학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의 세 가지 상황의 변화가 그 논의의 중심을 이룬다. 첫째, "과연 신학이란 어떠한 학문인가?"에 관한 개념정의에 있어서의 변화이다. 종교 개혁 이전까지의 신학은 '하나님에 관해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이른바 하비투스(habitus)로 그 본질적 개념이 정의되었으나, 신학은 성서신학·역사신학·조직신학 ·실천신학이라는 각기 분리된 연구 주제와 연구방법을 통해 하나님에 관한 탐구를 시도한 후 얻게 된 연구결과를 한데 모으는 '하나님에 관한 부분적 지식의 모음'으로 그 개념이 정의되어 갔다는 것이다. 신학의 개념 정의상의 변화는 곧바로 신학교육의 형태 변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쳐, 이제 신학교육은 지혜를 추구하는 학문(sapiential knowing)이라기보다는, 전문화된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sciences)의 내용을 소개하고 전수시키는 교육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과연 이러한 개념정의가 적절한 것인지에 관한 비판적 논의의 대두가 첫 번째 유형의 변화이다. 둘째, "신학교육이란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형태의 변화이다. 20세기 중반까지 서구 사회에서 실시되어온 신학교육은 문화적·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기보다는, 특정 집단의 종교와 문화 형태를 상대적으로 중시하는 시각에서 그 교육내용을 결정해 왔으나, 신학적 탐구는 이제 문화적·종교적 다원주의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전통과 종교적 집단이 서로 공존하는 현상을 전제로 하는 차원에서 그 임무가 수행되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형태의 변화는 신학교육에 관한 인식의 변화도 동반하면서, 신학교육의 내용이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비판적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신학교육은 과연 누구를 위해 실시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더불어 신학교육을 받는 구성원에 대한 이해형태의 변화이다. 전통적으로 신학교육의 대상은 주로 주류집단의 남성으로 구성되어 왔으나, 최근에 이르러 그 구성원의 형태는 전통적인 모습과는 달리 상당수의 여성 그리고 소수민족·유색인종으로 변형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 졸업 후 곧바로 신학교육의 기관에 입학했던 전형적인 형태와는 달리, 최근 일정기간의 사회생활을 경험한 사람들 혹은 나이든 연령층의 신학지망생의 수적 증가는 "과연 신학교육의 대상자는 누구인가?"에 관한 현상학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지금까지 서술한 바와 같이, 종교적·문화적 다원주의, 신학적 내용과 구조의 변화, 그리고 신학교육 구성원 분포에서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최근의 신학교육은 그 문제해결 자체 뿐 아니라, 신학교육의 본질과 목적에 관한 비판적 성찰까지를 시도해야 할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신학교육의 목적과 내용설정에 있어 그 동안 의존해온 두 가지 주요 패러다임이 - 곧 '목회자중심 패러다임'과 '이론-실제 패러다임'이 - 최근 기독교교육학자를 포함한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비판적 논의와 더불어 신학교육의 내용을 구성한 커리큘럼의 파편화(fragmentation) 현상과 사회적 문제에 관한 무관심도 신학교육에 대한 성찰의 과제에 포함 되고 있다. 신학교육이 당면한 이러한 문제점은 무엇보다 신학교육의 형태를 구성해온 전통적 이분법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할 수 있다. 즉 신학교육의 내용과 목회적 실천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이분법, 이론과 실제를 분리시키는 이분법, 신학교육의 내용(contents)과 방법(educational process)을 연계시키지 못한 이분법적 인식형태, 그리고 교회공동체와 사회 사이의 관계를 갈등과 긴장으로만 이해하는 이분법적 인식구조가 바로 최근 신학교육의 당면과제를 야기한 주요 요인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통전적이며 통일성을 지닌 신학교육의 회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과업은 바로 위에서 예시한 다양한 형태의 '이분법적 구조'를 극복하는 일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당면과제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본 강연은 신학교육의 통일성·전체성 회복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conversational paradigm)을 제시하고 있다. 이 '대화적 패러다임'은, 첫째, 대화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각기 다른 관점을 지닌 다른 대화 참여자들과 더불어 개방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서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주는 교육적 환경의 구축을 지향하는 특징을 지닌다. 둘째, '대화적 패러다임'은 교육적 환경의 구축과 더불어, 현존의 이분법적 구조를 대화를 통해 신학교육에 있어서의 진정한 대화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며, 다른 관점을 지닌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의 고양을 지향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렇듯 '대화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커리큘럼은 신학교육의 내용과 목회적 실천 사이의 대화,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대화, 교회공동체와 그를 둘러싼 사회와의 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의 '대화'란 기독교 전통과의 통시적 대화(diachronic strategy)라는 한 측면과 현재 사회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간의 경험과의 공시적 대화(diachronic strategy)를 서로 연계시키며 보완하는 형태의 보다 포괄적인 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수용 여부는 긍정적·비판적 차원에서 신중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앞서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활용은 ① 신학교육 vs. 목회적 실천, 이론 vs. 실제, 신학 vs. 타학문, 교회 vs. 사회의 관계를 철저하게 이분법적 구조에 따라 분리시켜온 전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② 대화 참여자들 사이의 개방적인 대화를 통한 인식형태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③ 대화의 변증법적 통합에 근거한 자아성찰의 가능성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공헌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의 사용은 ① 대화참여자 사이의 동등한 자격과 능력을 전제로 한 이상적인 대화상황을 상정하고 있어 그 실현가능성이 희박하고, ② 대화적 패러다임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교사의 수급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③ 경우에 따라 기독교적 신학 전통만을 경시하게 하는 비의도적 결과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다는 부정적 차원의 비판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나열한 긍정적·비판적 차원의 논의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차원에서,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을 사용하게 될 때, 현존의 신학교육의 현장에서 노출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대화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신학교육의 미래상을 제시한 최근의 몇 가지 대안은 - 곧 벨렝키(Belenky)와 그의 동료에 의해 예시된 '관계적 교수방법'(connected teaching), 프레이리(Paulo Freire)의 '프락시스 교수방법'(praxis method), 그리고 하버드 대학의 가드너(Howard Gardner)에 의해 제시된 '이해를 위한 교육모형'(Teaching for Understanding Framework)등은 -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보다 나은 자아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점에 있어, 신학교육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그를 토대로 신학교육의 미래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신학교육을 위한 대화적 패러다임을 그 연구방법의 하나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활용은 앞서 예시한 '대화적 패러다임'이 지니는 긍정적·비판적 차원의 특성을 다양한 형태의 신학교육 현장과 연계시켜야 할 선행조건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Prof. Hyun suk kim, Ph.D. 2005. Conversational Paradigmand Modern Education. Collected papers on Christian Language Culture. In the face of religious and cultural pluralism and contextual changes in theological education, the na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confronted with serious questioning. Many scholars have criticized the clerical paradigm, the theory-to-practice paradigm, the fragmented structure of theolog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as well as the distance from human suffering taken by theological education. These problems have resulted in a critical dichotomy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congregation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etween the content and process of education, as well as between the community of faith and society's problems. A need exist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now separate facets of theological wholeness. This paper proposes a conversational model that requires theological education to engage in authentic conversation in order to attend to the problems of theological education. This conversational model can provide an atmosphere and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supprted and challenged to carry on conversations with conversational partners who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e model can also empower people who participate in such conversation to bridge the existing dichotomies. Moreover, guiding principles for curriculum are proposed, based on the conversational model, which foster genuine conversation in theological education. In this curriculum, conversations are carried on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congregations, between Christianity and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between dominant cultures and minority cultures, as well as between the community of faith and the world. However, these conversations are to be conducted within an overarching conversation between the Christian tradition and human experience. As Taylor argues, that synchronic strategy needs to be complemented by a diachronic strategy. In other words,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 tradition needs to complement these conversations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brought about by pluralism in society. However, one needs to consider some limitations of the conversational model proposed here. The conversational model should have a precondition for conversation which is the assumption of equality between the conversational parties. Without this precondition of equality, a conversation could easily slip into what Taylor calls imperialism. Moreover, one must be aware of the danger that the conversational model can tend to deemphasize a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e Christian tradition if it privileges the other conversational partners (world over community of faith, minority cultures over dominant cultures, and other religious traditions over Christianity) at the expense of the Christian perspective. Thus, the conversational model needs to be practiced with great care. Even though the conversational model for theological education has some limitations, this model would be on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heological education, enabling a bridge between dichotomies which are prevalent in the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린지의 동물신학 탐구와 비평적 대화 모색-몰트만, 마우, 스택하우스를 중심으로

        이창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5 No.-

        The ecological perspective is fundamentally critical of anthropocentrism. It is a refusal to view other beings in the living world as objects of human control or resources for human ends. Instead, it emphasizes the idea that all beings of an ecosystem are necessary and equally valuable. Humans are one of many animals, not more important or relatively superior. There are various species of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pecies is not a hierarchy but a horizontal one. Even empirically, animals are companions to humans in our society. They should not be treated as a means to satisfy human needs but as equal objects of love, such as family members, friends, and companions. Considering this reality, Christian theology should reflect on animals’ ontological value or relational meaning and provide a rationale for justification. A typical example of such theological work is Andrew Linzey’s animal theology. Linzey emphasizes that animals are the result of the same God who created humans. So they should be treated as creatures equal to humans and partners who should build a living community of harmony and coexistence with humans.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deepening the discourse of animal theology and ethic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tate Linzey’s animal theology and ethics and develop a critical dialogue with three theologians. Jürgen Moltmann, Richard J. Mouw, and Max L. Stackhouse are involved in the conversation with Linzey. I would like to conclude this paper by making some sugges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maturation of the discourse of animal theology and ethics. 생태적 관점은 기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나 인간우월주의에 비판적이다. 생명세계의 다른 존재들을 인간의 지배 대상으로 보거나 인간의 목적 구현을 위한 도구나 자원으로 보는 것에 대한 거부인 것이다. 오히려 생태계를 이루는 모든 존재들은 모두 필요하고 또 동등하게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중시한다. 인간은 수많은 동물들 중 하나이지 더 중요하거나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존재는 아니라는 것이다. 다양한 종의 동물이 있는데, 모든 종들 사이의 관계는 위계가 아니가 수평적 관계라고 할 것이다. 경험적으로 보아도, 우리 사회에서 동물은 인간의 반려자로서의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반려동물로서 인간과 함께 친밀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살아가는 동물들을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수단적 존재로 대하지 않고 동등한 사랑의 대상 곧 가족이나 친구 혹은 인생의 반려자로 여기고 사랑하며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기독교 신학은 동물의 존재론적 가치나 관계론적 의미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찰하고 또 정당화의 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작업이 유의미하게 진행되고 있고 또 주목할 말한 결과들도 산출되고 있다. 대표적인 보기가 린지(Andrew Linzey)의 동물신학이다. 린지는 동물은 인간을 창조하신 동일한 하나님의 창조의 결과이기에, 인간과 동동한 피조물로서 또 인간과 더불어 조화와 공존의 생명공동체를 일구어가야 할 동반자로서 존중받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동물 신학과 윤리 담론의 심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린지의 동물 신학과 윤리를 진술하고 세 신학자들과의 비평적 대화를 전개하고자 한다. 린지와의 대화에 참여할 이들은 몰트만(Jürgen Moltmann), 마우(Richard J. Mouw) 그리고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이다. 동물 신학과 윤리 담론의 성숙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함으로 본 논문을 맺고자 한다.

      • KCI등재

        아브라함 언약의 신학적 함의와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적용 : 창세기 15장과 17장을 중심으로

        김정자 ( Jungja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31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창세기에 나타난 아브라함 언약의 신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것이 개혁주의생명신학에 주는 함의를 보여주는 데 있다. 아브라함 언약은 성서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세오경과 역사서 그리고 선지서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언급되며 성취와 미래적 약속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아브라함 언약이 언급된 창세기 15장과 17장에 나타난 언약이 일부 역사비평학자들이 주장하는 것과 같이 전혀 다른 별개의 언약이 아니라 유기적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문이 학계에서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 연구사를 개관하고, 이후 본문의 구조를 분석하며 중심주제가 본문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창세기 15장과 17장을 이끌고 가는 기본적인 요소에서 후손에 대한 약속, 땅에 대한 약속,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약속은 두 장에 모두 나타나며 주제적 일관성을 갖는다. 또한 이곳에 나타난 씨에 대한 언급은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장차 다윗 왕의 계통을 통해 이땅에 오실 왕적 메시아인 그리스도에게까지 이른다. 아브라함 언약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언약 당사자의 믿음과 순종이다. 창세기 15장은 아브라함의 믿음이 강조되어 언급되었다. 반면 창세기 17장은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 대한 믿음과 온전한 순종의 미덕을 보여준다. 따라서 창세기 15장과 17장의 언약이 공고하게 되고 아브라함과 아브라함의 후손 그리고 열방까지 하나님의 복을 받게 된다. 본 연구가 오늘날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던지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아브라함 언약 연구는 믿음과 실천적 순종을 중요시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meaning it gives to the Reformed Life Theology based on the theological research of the Abrahamic covenant in Genesis. The Abrahamic covenant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in biblical research. This is because even the Pentateuch, the historical books, and the prophets continue to be mentioned to the people of Israel and unfold as fulfillment and future promises. In this study, I studied that the covenant in Genesis 15 and 17 mentioned by the Abrahamic covenant has organic unity, unlike some historical critics who claim that it is a completely different covenant. In addition, we outlined the research history on how the text has been interpreted in academia,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examined how the central theme is working in the text. In the basic elements of Genesis 15 and 17, the promise of descendants, the promise of the land, and the promise of a relationship with God appear in both chapters and are consistent in subject matter. The reference to the seed here also extends to Christ, the royal Messiah, the descendant of Abraham, who will come through the lineage of King David. The Abrahamic covenant emphasizes the faith and obedience of the covenant parties. On the other hand, Genesis 17 emphasizes that Abraham must obey God completely. This shows the virtue of faith in God and perfect obedience. Therefore, the covenant of Genesis 15 and 17 will become firm, and Abraham, his descendants, and even the nations will receive God's bless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oday's Reformed Life Theology are clear. The study of the Abrahamic covenant shows the direction that Reformed Life Theology should aim for, which emphasizes faith and practical obe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