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增類合 통용자 고찰

        정연실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SinjeungYuhap(新增類合)”is a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the Joseon period.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Therefore, this text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book “SinjeungYuhap(新增類合)” and 109 group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second part mainly analyzes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and classifies them. The third part main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last is the conclusion. Through analysis,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can be divided into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in which the variant characters predominates. The title characters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Most of the title characters belong to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but there are exceptions. We estimate that the titl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opular characters, the phonetic loan characters, and the mother characters are more commonly used at the time than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so they are selected as the title characters. 이 논문은 新增類合에서 제시한 109개의 통용자를 대상으로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은 서론,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 표제자와 통용자의 특징, 결론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新增類合의 표제자와 통용자는 이체 관계, 가차관계, 분화 관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이체 관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정자와 속자, 본자와 가차자, 모자와 분화자의 관점에서 표제자와 통용자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표제자는 정자, 본자, 분화자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셋째 표제자가 속자, 가차자, 모자인 경우는 新增類合 당시에 이 글자들이 정자, 본자, 분화자에 비해 더 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 KCI등재

        『신증유합(新增類合)』의 구성과 한자·한문 학습서로서의 가치 -『유합(類合)』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田繡耿 ( Jun Su-kyu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新增類合』은 眉巖 柳希春(1513~1577)이 1576년에 『類合』에 수록된 1,512자를 3,000자로 수정 증보하고, 언문으로 해당 한자의 음과 훈을 부기해 간행한 자학서이다. 『유합』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字學書로 『千字文』 다음 단계에 습득하는 보편적 교재 중 하나였다. 미암은 『유합』의 두 가지 문제에 특히 주의를 기울이고 『신증유합』을 편찬하게 된다. 『유합』은 수록 글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글자 중에 누락된 글자가 많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다음으로 『신증유합』의 서문과 발문을 통해 ‘승려를 존중하고 유가의 성현을 배척’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유합』을 수정 증보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유합』에서 『신증유합』으로의 개정과정은 세 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첫째, 『유합』에 사용된 글자를 삭제한 경우로 ①최소 단위로서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한자, ②다른 한자와 구문으로 결합하여 의미 구성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③기타 이데올로기적인 문제에 대한 부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유합』에 사용된 글자를 다른 위치에 배치한 경우로 ①6자구성의 『유합』을 『신증유합』에서 4자 구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운자를 맞추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변경한 경우, ②6자 구성의 『유합』을 『신증유합』에서 4자 구성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의미 구성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③기타 이데올로기적인 문제에 대한 부분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셋째, 새로운 글자를 포함하여 학습자에게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미암은 『신증유합』을 上·下 2권으로 구성하면서 하권에 총 3개 유목(心術·動止·事物)에 해당하는 한자를 배정하였는데, 心術·動止의 경우가 1,496자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신증유합』에서 표제자의 범위를 확장하는 경우, 해당 유목을 종합하는 마지막 구문은 수정하지 않고, 유목의 내용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글자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수정 증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증유합』은 『유합』의 성과를 계승하여 발전적인 한자·한문 학습서로의 변모를 시도한 결과물이다. 본고는 『유합』과 『신증유합』에 사용된 한자어 전체를 분석하여 『유합』의 증보를 통해 미암이 자학서로서 『신증유합』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목표를 조망하고, 『신증유합』의 한자·한문 학습서로서의 가치를 검토하였다. Sin-chŭng-yu-hap(『新增類合』) is a textbook about graphonomy which is published with additions and up-to-date corrections of Yu-hap(『類合』) in 1576. It is written by Miam Yu Hŭich'un(眉巖 柳希春) and he adds to the Korean alphabet of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1,512 letters to 3,000 letters. Yu-hap is a representative book of the Chosŏn Dynasty which is learned next level of ch'ŏn-cha-mun(『千字文』). Miam focused on the two issues of Yu-hap. In Yu-hap, there are many omissions and it includes components that believe in Buddhism and exclude Confucianism. So finally, he compiled Sin-chŭng-yu-hap. Revision process occurs in three ways. Firstly, deleting using characters of Yu-hap. Secondly, using characters of Yu-hap place in different locations. And thirdly, including additional letters, Miam consists of two volumes to provide many learning resources. In case of extending range of titles in Sin-chŭng-yu-hap, he left the conclusion, and revised contents of each article. Sin-chŭng-yu-hap is the product of material which has succeeded to the result of Yu-hap.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view of Miam Yu Hŭich'un through Sin-chŭng-yu-hap in analyzing the whole of Chinese character used between Sin-chŭng-yu-hap and Yu-hap, and he examines the value of resources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眉巖 柳希春의 『新增類合&』의 字學書로서 의의와 가치 -『類合』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연순(Lee, Yeon-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본고는 眉巖 柳希春의 ≷新增類合≸을 대상으로 ≷類合≸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힘으로써 ≷新增類合≸이 16세기 중반의 字學書로서 갖는 당대적 의의와 함께 현대의 한문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에 본론에서는 ≷類合≸과 달리 ≷新增類合≸이 먼저 체계와 형식 면에서 上下 卷을 분리하고 項目을 제시하여 體系的인 分類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게 한 점, 그리고 1行에 4字씩 배열하고 押韻 方式을 活用하여 暗記 효과를 극대화한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다음 한자 선택 면에서는 당대 朝鮮의 실정을 반영해 佛敎 관련 漢字와 쓰이지 않는 用語를 제거하고, 실생활에 쓰이는 漢字를 주되게 선택하여 학습 수준을 고려해 재배치한 노력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이로써 본고는 ≷新增類合≸을 ≷類合≸과 비교하여, 16세기 중반 주자학적 세계 관을 반영하는 字學書로서 ≷新增類合≸의 당대적 의의를 밝히며, 현대 한문 교육의 활용 가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by comparing with ≷Yuhap(類 合)≸. What I discovered as a feature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is as follows. First, in formal aspects,≷Sinjeung-Yuhap(新增類合)≸ learned to stud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by dividing the numbers and presenting items. And ≷Sinjeung-Yuhap(新增類合)≸ made it easy to learn using a rhyming word. Second, in terms of selecting Chinese characters, ≷Sinjeung-Yuhap(新增類合)≸ remov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and eliminated the words that were not used in the mid 16C Joseon Dynasty. And ≷Sinjeung-Yuhap(新增類合)≸s elected the words in real life and redeployed them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in ≷Sinjeung-Yuhap(新增類合)≸, I was able to discern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presenting a Neo-Confucianism worldview.

      • KCI등재

        유희춘이 판각을 주도한 서적에 관한 연구

        배현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3

        본고는 조선조 중기의 관료이며 학자인 미암 유희춘의 일기를 통해 당시 서적 간행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암 유희춘은 만년에 관직생활을 하면서 일기를 남겼으니 이 $\boxDr$미암일기$\boxUl$에 일상의 일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서적, 가정사까지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일기를 통해 미암의 서적과 관련된 여러 일 가운데 미암이 주도적으로 간행하려고 노력한 서적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에 편성된 책판목록에 수록되었는지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미암이 개인적으로 간행하고자 한 서적은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외조부 금남 최부의 문집인 $\boxDr$금남집$\boxUl$과 중국기행문인 $\boxDr$표해록$\boxUl$이다. 다른 하나는 아동용 도서로 문해용의 $\boxDr$신증류합$\boxUl$과 도덕교육용의 $\boxDr$속몽구$\boxUl$이다. 이들 서적을 인출하기 위해 판각한 당시의 책판은 당대의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 누락되어 있다. $\boxDr$미암일기$\boxUl$를 통해 책판목록에 누락된 서적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boxDr$미암일기$\boxUl$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oodblocks which were engraved in the providences in the mid Chosun dynasty, especially ones engrav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柳希春), but not listed in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This could be done by the analyzing $\boxDr$The Diary of Miam 眉巖日記$\boxUl$ written by Yu Heui-chun. It is a book which recorded daily life of eminent scholar and official cover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ooks and family matters.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books pu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 One is the books written by his grandfather in law, Choi Bu(崔溥), which were $\boxDr$Keumnamjip 錦南集$\boxUl$ collective works of Choi Bu, and $\boxDr$Pyohaerog 漂海錄$\boxUl$, essays on travelling across China. The other is the books for children, $\boxDr$Sinjeung Yuhap 新增類合$\boxUl$ for teaching characters and $\boxDr$Sog Mong-gu 續蒙求$\boxUl$ for moral education. These woodblocks have to enlisted in the woodblock catalog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these woodblocks by Yu Heui-chun were not recorded in either of two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editions published in 1575 and 1585. In this respect, $\boxDr$The Diary of Miam$\boxUl$ proved itself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bibliography studies.

      • KCI등재

        국내 몽학(蒙學) 교재 연구 -자중(字種)

        정연실 ( Yon Sil Je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中國硏究 Vol.67 No.-

        This paper is the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species on four kinds of Korean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s. Four kinds of Korean 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s are Yuhap(類合), Hunmongjahoe(訓蒙字會), Sinjeung Yuhap(新增類合), Ahakpyeon(兒學編). The common features on the four kind of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y criticize Cheonjamun(千字文). Second, they follows the classification system. Third, there is no duplicated character in respective textbook. The results of analyzing character specie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 on four kinds of textbooks is 9872 and the number of character except the duplicated character on four kinds of textbooks is 5096. Second, the number of character which belong to appearance frequency 3 above is 1466. These 1466 characters can be defined as Commonly-used Characters(常用字). Third, Yuhap(類合) contains the largest number of characters appearance frequency 3 above and contains the fewest number of character appearance frequency 1. So Yuhap(類合) is worth to learn. Fourth,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5096 characters and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한문교 육용 기초한자), Modern Chinese Character Set for Common Use(현대한어상용자표) are as follows: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a currency in ancient and modern chinse character education. 5096 characters have the practical effect of the information exchange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선후대 문헌과의 비교를 통한 『훈몽자회』의 형성과 영향

        심경호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Hunmongjahoe is a basic Chinese character textbook compiled by Ch'oe Sejin (1468-1542) in 1527. While it is not a specialized 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which analyzed a character's meaning and annotation based on the shape, it carefully selected character types and arranged them in a certain structure to make it easier for beginners to learn characters. In “Hunmongjahoe-in", Ch'oe Sechin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 textbook of the time Ch'ŏnja “extracted historical tales an formed couplet to write a phrase," therefore it was very difficult for children to learn; and Yuhap arranged mainly with conceptual words and a few names of objects, therefore there was no way to correspond the shape and name of objects. He argued that children's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should start with corresponding the 'substantiality of form and name in real things', so 'substantive' should be listed first, then followed by 'half substantive and half expletive characters' in Hunmongjahoe. In pre-modern Korea, character education did not only have the primary purpose of selecting certain types of characters and learning their respective shapes, sounds, and meanings, but it was also necessary to learn the rhymes and tonal patterns to use them in poetry composition, and to understand the rules of the written language and apply them immediately to reading classics and composing practical texts. Following the cultural practices of pre-modern Korea, which emphasized rhymes, Ch'oe compiled vocabulary of two-letter compound words, two-letter scattered words, and four-letter classification, but excluded the four-letter sentence structure. This method was followed by Yu Hŭich'un's Shinjŭng Yuhap and Chŏng Yakyong's Ahakp'yŏn. However, Hunmongjahoe had to set the category of taxonomy to be narrow, which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uncommon characters had to be contained. This problem is overcome to some extent by Chŏng Yakyong's concept of word group. Ch'oe Sechin used side dots to indicate tonal pattern in Hunmongjahoe's Hangul pronunciation keys, and there are examples in the keys that do not match the tonal pattern of the Pingsui rhyme system. It is unclear whether this is simply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editions, or other rhyme systems such as Hongmujŏngun, or a different view on the pitch of Korean pronunciation were responsible for. Hunmongjahoe's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taxonomy and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each taxonomy needs further research. In particular, while the ‘miscellaneous words' section in Hunmongjahoe included part-of-speech vocabulary such as adjectives and verbs, it is believed that it aimed for a ‘notional structure' starting from ‘creation from the chaos' and ending with ‘obliterated at the extreme' in general.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specific structure in the details. 『訓蒙字會』는 1527년(중종 22) 崔世珍(1468~1542)이 편찬한 한자 초학서이다. 글자의 형태를 기준으로 訓釋을 연찬한 字學 專門書는 아니지만, 초학자들에게 글자를 학습하기 편하도록 字種을 엄선하여 일정한 구조로 배열한 識字課本이다. 최세진은 「訓蒙字會引」에서, 당시의 識字課本인 『千字』가 ‘摘取故事, 排比爲文’의 특징을 지녀 아동이 익히기는 대단히 어렵다고 지적하고, 『類合』은 虛字[즉 개념어] 위주로 배열하고 實字[즉 물명]가 적어서 事物의 形과 名을 通諳할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아동의 한자 학습은 ‘事物形名之實’을 通諳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훈몽자회』에 ‘全實之字’를 우선 등재하고 이후에 ‘半實半虛者’를 등재한다고 했다. 근대 이전 한국에서 識字 교육은 일정한 字種을 선정하여 각각의 形ㆍ音ㆍ義를 익혀야 한다는 제1차적 목적만 지닌 것이 아니라, 散對와 押韻平仄을 익혀 作詩 수업에 활용해야 했고, 行文의 규칙을 이해하고 典故를 익혀서 讀書(學書)와 屬文에 즉각 응용해야 했다. 최세진은 韻語를 중시하게 된 근대 이전 한국의 문화관습에 따라 2字複詞, 2-2散對, 四字類聚의 어휘들을 집성하되, 四字構文의 집성 구조를 배제했다. 이 점은 柳希春의 『新增類合』, 丁若鏞의 『兒學編』으로 이어졌다. 다만 『訓蒙字會』는 類聚의 범주를 협소하게 설정하여 상당수 僻字를 抄輯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것은 정약용의 族類 개념에 의해 어느 정도 극복된다. 한편, 최세진은 『훈몽자회』의 한글 注音에 傍點을 이용하여 聲調를 표기했는데, 『훈몽자회』의 注音에는 平水韻의 平仄과 부합하지 않는 예들이 있다. 판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인지, 『홍무정운』 등 기타 운목체계를 고려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혹은 한국 한자음의 성조를 다르게 인식했던 것인지 모른다. 『훈몽자회』의 분류목의 설정 기준이나 각 분류목의 자종 선정 원리에 대해서는 고찰이 필요하다. 특히 『훈몽자회』는 下卷 ‘雜語’에 형용사·동사 등의 품사 어휘들도 수록하면서, 큰 틀에서는 ‘混沌開闢’에서 시작하여 ‘泯滅終極’으로 끝나는 ‘사유개념 구조’를 지향했다고 생각된다. 다만 세부에서는 특별한 체계를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