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후반 文字學(문자학)을 둘러싼 논점들 -正祖(정조)의 文字策(문자책)과 이에 대한 對策(대책)을 중심으로-

        장진엽 ( Jin Youp J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1792년 정조는 『奎章全韻』을 편찬한 후 각신 및 초계문신, 검서관을 포함한 9명의 신하들에게 문자에 관한 策文을 지어 올리게 하였다. 이에 文字策文 9편이 제출되었으며 그 중 현재 남아있는 글은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윤행임, 서영보의 대책이다. 문자책문의 집필배경이 된 『규장전운』의 편집 방향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음과 조선음을 구별하여 각각의 규범음을 밝히는 것, 둘째, 俗音을 제거하고 압운 체계를 개정해 전아한 문사 창작의 지침을 마련하는 것, 셋째, 古音의 확정을 통해 古經을 읽는 데 도움이 되게 했다는 점이다. 6편의 문자책문에서 발견되는 공통의 문제의식들은 위 세 가지 목적에서 배태된 것으로,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도출된 상이한 견해들이 이 시기 문자학의 논점들을 형성하고 있다. 첫 번째 논점은 글자와 소리 혹은 말의 관계 문제이다. 박제가는 문자에서 聲의 요소가 중요함을 일관되게 서술하였으나 중국어 사용 문제까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윤행임은 글자와 소리가 일치하는 중국어를 사용하여 중화에 가까워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유득공은 천하만국에 각자의 글자가 있다는 논의를 통해 기존의 華夷觀을 뛰어넘는 사고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논점은 문자학의 효용에 관한 것이다. 이서구는 이 시기 六經의 이해를 위해 문자학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와 달리 이덕무는 실제적인 名物에 대한 지식을 쌓는 데에 문자학의 효용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 논점은 字形의 변천과 異體字 문제이다. 유득공과 이서구, 이덕무는 모두 俗字, 訛字, 조선식 한자 등의 사용을 일절 금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덕무는 시대에 따른 자형의 변천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강하게 피력하였는데, 이와 달리 서영보는 자형의 변천을 시대의 흐름에 따른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았다. 이 때문인지 서영보는 이체자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다만 국가 문서에 글자를 잘못 쓰는 일을 엄히 단속해야 한다고만 하였다. 이상에서 분석한 문제의식들은 18세기 후반의 전반적인 문자학 연구의 흐름 속에서 살펴볼 때 각각의 의의가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또한 이 논점들이 19세기로 접어들면서 어떤 방식으로 정리되는지, 나아가 새로운 문제의식으로 발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문자책문을 작성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당시의 학파나 가문, 당파 등에 따라 언어문자관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 역시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After compiling Kyujangjeonwoon in 1792, Jeongjo ordered his 9 retainers to write and submit Chaekmuns about character. 9 Munjachaeks were submitted and currently existing Chaekmuns are the those of Lee Duk Mu, Park Je Ga, You Deuk Gong, Lee Seo Gu, Yoon Haeng Im, Seo Young Bo. In this study, the aiming objectives of Gyujangjeonwoon which became as writing backgrounds of Chaekmun were analyzed and subsequently, three related critical minds were suggested. It is the opinion of the author that different opinions which were deducted from those critical minds formed the issues in late 18th century graphonomy. First point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sound. Park Je Ga consistently described the importance of the tones in characters, but he didn’t mention the use of Chinese language. However, Yoon Haeng Im insisted that they should be close to Sinocentralization by using Chinese language which coincides with the character and sound. On the other hand, You Deuk Gong showed his thought which surpassed the existing Sinocentrism through his argument that there are individual characters in all countries on earth. Second point is about the effects of graphonomy. Lee Seo Gu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graphonomy to understand the six confucian scriptures at those times. On the other hand, Lee Duk Mu emphasiz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graphonomy in acquiring the knowledge about the physical objects. Third point is about the change of character type and problem of different type character. You Deuk Gong, Lee Seo Gu and Lee Duk Mu insisted completely prohibit using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misformed characters, Joseon type Chinese characters at all. Additionally, Lee Duk Mu strongly expressed his negative opinion about the change of character type according to the times. On the other hand, Seo Young Bo thought the change of the character types to be natural according to the time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se points were organized and whether these points were developed as new critical minds as entering the 19th century. Additionally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aspects about the sense of language and character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who wrote the Munjachaekmun and according to schools, families and parties at those times.

      • KCI등재후보

        이덕무의 중국 문자학 인식

        서한용 근역한문학회 201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0 No.-

        In his book『Qengjangguanjenseo(靑莊館全書)』, Lee,Deok-moo(李德懋) made the contributions to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to the science of Chinese characters. He analyzed the rules behind character construc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s, the evolutionary laws of Chinese characters, the characteristic of ancient Chinese characters etc. These are the foundation of the science of Chinese characters. So we can say Lee, Deok-moo(李德懋) had a certain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studie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various analysis about Lee, Deok-moo(李德懋)’s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이병도(李丙燾)는『국역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의 해제에서 “當世(당세)의 계몽적(啓蒙的) 조류(潮流)는 호벽(好癖)의 이덕무(李德懋)로 하여금 더욱 다채다기(多彩多歧)롭게 하여 그는 경(經)·사(史)·문예(文藝)로부터 경제(經濟)·제도(制度)·풍속(風俗)·금석(金石)·도서(圖書), 기타 조수(鳥獸)․초목(草木)에 이르기까지 널리 탐구하고, 고거(考據) 변증(辨證)에 정진하였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평은『청장관전서』에서 볼 수 있는 박학다식한 이덕무의 면모를 잘 설명해 주는데, 이 중 금석(金石)과 고거(考據)의 내용에서 이덕무의 문자학(文字學) 연구 성과를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덕무의 문자학에 대한 연구의 시작으로 이덕무의 문자학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이덕무의 생애 및 저술을 살펴보고,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동기와 연구 방법 및 이덕무의 문자학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해 서술하고, 이덕무의 ‘문자학사, 문자학, 한자의 기원’ 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덕무의 중국 문자학 인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 KCI등재

        정조 「문자책문(文字策問)」에서의 문자학제설에 대한 논의 1

        양원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5 No.-

        正祖 임금은 '학문의 요체인 格物致知도 그 바탕은 문자에 있다'고 언급하면서 文字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1792년(정조16년)에 『奎章全韻』이 완성되자 여러 신하들에게 이 책의 교정을 명하면서 아울러 문자학 제반 문제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는 「文字策問」을 신하들에게 내려 토론을 벌였다. 본고는 이러한 정조의 「문자책문」 및 이에 대한 李德懋, 柳得恭, 朴齊家, 李書九, 尹行恁의 對策文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여기서 언급된 文자와 字자의 개념, 六書, 字體 등의 문자학 관련 여러 설에 대해 어떠한 논의를 진행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의 문자학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에 이르러 진행된 학풍의 다양화·개방화 양상의 전개에 따라 性理學 위주의 학문 풍토에서 소외받았던 小學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經學의 부용물로서의 역할을 주로 수행해 왔던 소학이 점차로 독립적 학문 영역으로 자리 잡아 나가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문자책문」 및 신하들의 대책문에서는 주로 許愼, 鄭樵, 顧炎武, 戴震등 漢·宋·淸을 대표하는 학자들의 문자학설에 대해 토론하였는데, 이를 통해 당시의 조선 학계에서도 중국의 역대 문자학사에서 논의되었던 주요 문제를 두루 논의하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諸臣들의 문자학 제설에 대한 견해가 매우 독창적이거나 淸의 최신 이론을 많이 수용하였다고 평가할 수는 없지만, 이들은 문자학에 대한 일정 정도의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나름대로의 평가를 내릴 정도의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정조의 질문 및 신하들의 답변 양상을 살펴보면, 대체로 기존학설을 인용하거나 부연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종종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는 등, 기존의 학설을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ng of Jung-Jo(正祖)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studies saying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格物致知), secret of learning, was based on characters'. When 『Kyujangjunwoon(奎章全韻)』 was finished in 1792, he ordered his subjects to proofread the book. Also, he gave his subjects 『Moonjachaekmoon(文字策問)』and discussed with them about various problems of chinese character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uch a 『Moonjachaekmoon(文字策問)』of King of Jung-Jo(正祖) and measures of Lee,Deok-moo(李德懋), Ryu,Duk-gong(柳得恭), Park,Je-ka(朴齊家) and Lee,Seo-ku(李書九), Yoon,Haeng-im(尹行恁) against it. Also,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then-current character studies.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that could be obtained is as follows. First, in accordance with diversification and openness of schools which started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朝鮮) period, the importance of Xiaoxue(小學) alienated from the academic traditions centering on existing Xinglixue(性理學) became influential. Second, books on major character studies of Han dynasty(漢), Song dynasty(宋), Ming dynasty(明), Qing dynasty(淸) were quoted, and major problems of the character study history of Chinese many generations were discussed. Especially, this paper focused on discussions of scholars, such as Xu-shen(許), Zheng-qiao(鄭樵), Dai-zhen(戴震), etc. who were representative of Han dynasty(漢), Song dynasty(宋), Qing dynasty(淸). third, Lee,Deok-moo(李德懋), Ryu,Duk-gong(柳得恭), Park,Je-ka(朴齊家) and Lee,Seo-ku(李書九), Yoon,Haeng-im(尹行恁) had a certain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aracter studies and were themselves able to evaluate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Fourth, King of Jung-Jo(正祖) and various subjects would reconfirm the concret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existing theories and submit their own opinions from the critical standpoint.

      • KCI등재

        소리와 기보체계 간의 경계 또는 관계에 대하여 : 음악의 문자학을 위한 기초적 고찰

        서정은 한국서양음악학회 2021 서양음악학 Vol.24 No.2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nature of musical notation which has only recently received extensive academic attention despite its status as a musical ‘sign.’ Previous research on notation has mostly focused on the history of music notation or features of notation of particular periods or instruments. That the rela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resembles that of musical sound and notati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graphemic study in linguistics to the discussion of musical graphemics. As a preliminary study of musical graphemics, this paper seeks to examine musical notations focusing on ambivalence of notation, musical phoneme and grapheme, relations between various elements of notation and ‘sign, symbol, icon, index’ in terms of Saussure and Peirce, prescriptive and descriptive notation, and denotative and connotative quality of notation. 이 글은 일종의 음악적 ‘기호’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에야 학계의 집중적 주목을 받게 된 ‘기보체계’의 본질적 성격, 그리고 소리와 기보체계 간의 경계 또는 관계에 대한 몇 가지 논제를 통하여음악의 문자학 연구를 향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관계는 음악의 소리와 기보의 관계와 유사성을 띠며, 이는 언어의 문자학적 접근이 음악의 기보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언어의 문자학에서 연구되는 세부분야 중 ‘음소와 문자소의 관계’에 대한 연구나 ‘문자체계의 내적 구조’에 대한 연구는음악적 문자학의 연구주제로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기보체계의 본질적성격’과 ‘소리와 기보체계 간의 경계 또는 관계’에 대한 몇 가지 논제를 살펴보고 제언한다. 이를위해 우선 언어의 문자학과 기보연구의 현황을 간략히 소개한 후, 기보 관련 선행연구들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기보의 양가성, 음악적 음소와 문자소, 기보의 규정적 성격과 기술적 성격, 기호학의 기호⋅상징⋅아이콘⋅인덱스 개념과 기보, 그리고 기보의 지시적 성격과 함축적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이 더욱 다양한 후속 논의들을 향한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기호학적 접근방법을 통한 중국문자학 초탐(初探)

        이주은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It is a known fact that letters are inseparably related to culture because they reflect the social situa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hinese characters with this approach, ranging from Soushir's concept of language, Pierce's communication function, semiotic triangle, and Perth's symbol model. Recently, advertising content using the intrinsic iconography of text messages is increasing. Focusing on the intrinsic iconography of letters, people's perception processors immediately operate and remember, and show word of mouth effects that are used as buzzwords or spread online through hashtags. It seems that such a leap as a convergent discipline is also necessary in the Chinese literature world. Although signs with symbols, signs in real life or road signs you see when traveling are also these signs, it is also important to link the activation of the brain to language letters with signs that easily stimulate the brain and visual cells. 문자는 그 사회상을 반영하기에 문화와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중국 문자학에서 한자를 소쉬르의 언어개념과 피어스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기호학 삼각형 그리고 퍼스의 기호 모형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의 분석적인 시도를 감행해 보았다. 최근 문자기호의 내재적 도상성을 이용한 광고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문자의 내재적 도상성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지각인지 프로세서는 즉각적으로 작동하여 기억하고, 유행어로 활용되거나 해시태그 등으로 온라인으로 전파되는 구전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문학계에서도 이러한 융복합적인 학문로서의 도약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실생활에서 기호나 부호로 된 표지판이나 여행 시 보게 되는 도로 간판도 이러한 부호로 되어 있음으로 우리의 뇌와 시각세포를 쉽게 자극하는 이러한 부호로 된 언어문자에 이르기까지 뇌의 활성화에 연관 지어 연구하는 것도 좋은 연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측천무후가 제정한 문자의 기호학적 의미 고찰

        이주은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theories and concepts of various aspects of literature, ranging from rhetoric, semiotics, and furthermore, to hermeneutics. It attempted to re-examine in terms of semiotics as a universal concept faithful to principles and concepts rather than a review of letters established by China's only empress of the time. In the future,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explore Chinese literature with a semiotic approach. In addition, as a symbolic system, it is believed that a closer review of the function and role of language characters with disclosure and communication should be conducted rather than viewing language and characters. 본고에서는 수사학과 기호학, 더 나아가 해석학에 이르기까지 문자학에 대한 여러 면모를 폭넓게 고찰해 보고자 이론과 개념 위주로 살펴보았다. 당대의 중국 유일의 여황제인 측천무후가 제정한 문자에 대한 고석보다는 원리와 개념에 충실한 보편적 개념으로서의 기호학적 측면에서 재조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앞으로 중국 문자학에 있어서 기호학적인 접근으로 탐구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상징과 기호 체계로서 의미의 완전체로서 언어와 문자를 보기보다는 공시성과 통시 성을 가진 언어 문자로서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좀 더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王安石에 있어서의 道와 字

        閔丙禧(Min Byoung-Hee) 동양사학회 2010 東洋史學硏究 Vol.110 No.-

        This paper examines Wang Anshi's idea of Dao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11th century intellectual ambience in which the pursuit of one universal principle applicable to everything pervaded. I attempt to explain Wang's philological studies in relation to his pursuit of the universal principle. Wang's learning aimed to deal with the question, “how to learn” or “how to know sage's original intention.” Wang's answer to the question was embodied in his classical studies, which he proposed as the foundation of the unity of morality and customs. Wang focused on the way to learn the coherence of the classics and right reasoning process. He believed that we can find the way to unify the method of reasoning. His idiosyncratic philological studies provided the base for the method. Wang's thought and learning reveals the transitional nature in the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starting with the mid Tang period and culminating in the Daoxue movement in the Southern Song period. Wang's learning shares many similar assumptions and problematics with Daoxue, especially at its “meta” level of knowledge structure. However unlike Daoxue Wang's learning failed to systemize and theorize the universal principle. In addition, fundamentally they cannot be compatible both in intellectual and political terms. The close study of Wang's learning als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new ways to understand intellectual history of East Asia, based on the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s of certain important cultural and intellectual elements such as Chinese characters, philological studies, and classical studies, recurrent in the later periods.

      • KCI등재

        『爾雅』與郭璞注『易』學思想析論

        賴貴三(Lai, Gui-san)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30

        『爾雅』는 유가 십삼경 중의 하나이며 중국 최초로 詞義를 해석한 책으로 문사의 바다, 고대의 사전이라고 칭할 만하다. 『爾雅』에서 ‘爾’는 바로 ‘가깝다’(邇)라는 말로 ‘멀다’(遠)와 상반되는 개념이며, 古今을 소통시킨다는 의미이다. ‘雅’의 본의는 ‘바르다’(正)인데 ‘속되다’(俗)와 상대되는 것으로서 雅俗(고상함과 속됨)을 소통시킨다는 뜻이다. 즉 『爾雅』는 달리 ‘近正’이니, 언어를 관방 공용 표준어와 가깝게 하고 더 나아가 고금과 아속을 소통시킨다는 의미이다. 『爾雅』는 중국 고대 글자와 단어를 고증하는 저술의 일종인데, 저자에 대하여 역대의 설이 다르다. 후대의 학자들 대부분은 秦나라와 漢나라 때의 사람이 지었다고 하는데 전해 내려오는 과정을 통해 증보가 있었다. 이에 후한 때 책으로 정리되어 세상에 전하게 되었으며 晉나라 때에 이르러 유명한 학자 郭璞이 이 책에 주를 달았다. 현존하는 『爾雅』는 19편인데 班固의 『漢書』 『藝文志』중의 20편의 기록과 다르다. 본 논문은 『爾雅』19편과 곽박의 주를 조리있게 정리하고 그 가운데 易學 사상을 귀납하며 분석함으로써, 小學(文字學과) 경학의 含意를 드러내었다.

      • KCI등재

        韓國 古代 文字學과 訓詁學의 發達

        노용필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ecords which can directly suggest the level of ancient Korean graphonomy. Instead, there are pieces of records in China that Goguryeo accommodated and utilized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such as 『Yu-pian(玉篇)』, 『Zi-tong(字統)』 and 『Zi-lin(字林)』.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the records which can clearly tell the level of ancient Korean exegetical studies. We can only find the record that 『Yi-ya(爾雅)』 had been used during the Shilla dynasty. Therefore, it was only possible to do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based on the research literature from China. The publications 『Yu-pian(玉篇)』, 『Zi-tong(字統)』and 『Zi-lin(字林)』had been always used in China in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historical writings, religious writing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literary books. Goguryeo also did the same. The people of Goguryeo loved and cherished the 『Selection of Writings(文選)』. Therefore, such dictionaries were essential references for them to read, understand and enjoy the books.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that the level of Chinese Literature Science of Goguryeo was as high as any Chinese kingdom in any historical time. Meanwhile, 『Yi-ya(爾雅)』 focused on the vocabularies used in everyday living of ancient China, more than the words in the scriptures. Therefore, 『Yi-ya(爾雅)』was an indispensable book to anybody to understand the ancient Chinese society. The scholar Gang-soo(强首) during Shilla dynasty learned and utilized 『Yi-ya(爾雅)』 in his exploration of Confucianism scriptures such as 『Xiao-jing(孝經)』 and 『Qu-li(曲禮)』, in addition to 『Selection of Writings(文選)』. The level of exegetical studies of Shilla was that much advanced. 『Fang-yan(方言)』 was the first comparative language vocabulary book in China, which was acknowledged as an academic literature on exegetical studies. Seol-chong(薛聰) of Shilla dynasty actually used 『Fang-yan(方言)』 in his research and teaching the younger scholars. In the history book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三國史記)』, it is recorded that “Seol-chong completely understood the Nine Scriptures and taught younger scholars. The scholars of today regard Seol-chong as the great authority on the subject”. Therefore, Seol-chong was the person who greatly advanced the level of exegetical studies of Shilla. Together with Gang-soo, Seol-chong was the representative scholar representing the level of exegetical studies of Shilla. 韓國 古代의 文字學이 어느 정도의 수준이었는지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기록은 찾기 어렵다. 다만 高句麗에서 『玉篇』ㆍ『字統』ㆍ『字林』을 수용하여 활용하였음이 중국 측 기록에 단편적으로 전할 뿐이다. 한편 한국 고대 訓詁學의 수준이 과연 어느 정도였는지를 고스란히 알려주는 기록 역시 찾기 어렵다. 다만 新羅에서 『爾雅』가 활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따름이다. 그래서 중국의 연구 성과들을 섭렵하여 토대를 삼아 이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도리가 없었다. 그 결과 『자림』ㆍ『자통』ㆍ『옥편』은 중국에서 시대를 초월하여 역사서 및 유교와 불교 경전 그리고 문학서의 정확한 해독과 의미 파악에 반드시 활용되었듯이 고구려에서도 역시 그랬던 것으로 파악된다. 더욱이 ‘가장 좋아하고 소중히 하던’ 『文選』을 읽고 뜻을 새기며 즐기던 고구려인들에게 있어서는 이들 字典은 항시 곁에 두고 활용해야 했던 愛藏書 가운데서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었으며, 이럴 만큼 고구려인들은 중국 어느 나라와 시기에 못지않을 정도로 그 漢文學의 수준이 높았다고 보인다. 한편 『이아』는 단지 經典에 대한 의미 해석뿐만 아니라 중국 고대의 日常生活에 관한 용어까지도 중점을 두고 있었으므로, 중국 고대 사회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에는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서적이었다. 그러므로 신라의 强首가 이를 배우고 활용함으로써 유교 경전인 『孝經』ㆍ『曲禮』는 물론이고 문학서 『문선』을 읽는 수준까지 발전하였었다. 그만큼 신라의 훈고학은 크게 발달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方言』은 중국 최초의 比較言語 語彙書이자 훈고 학술 저서로 평가받는 책이었는데, 薛聰은 이 책을 실제로 활용하여 연구도 하고 후학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그럼으로써 『三國史記』에 “九經을 해독하여 後生을 訓導하였으므로, 지금까지 학자들이 宗主로 삼고 있다”고 기록되었던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그는 신라의 훈고학 수준을 한층 심화시킨 장본인이었으며, 강수와 더불어 신라 훈고학의 수준을 대표하는 존재였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