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초시 산악스포츠관광에 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김기동,박창형,김영호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2

        목적: 강원도 속초는 산과 해양 관광지로서 대한민국의 관광 도시 중 하나이다. 국립공원을 비롯한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그러나 인기 있는 관광지가 멀지않은 데다 산악관광 자원이 속초시를 단순한 산악 스포츠 관광 명소 그 이상으로 만들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산악 스포츠 관광은 여행자의 목적지 정보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그 역할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속초시 산악스포츠 관광 이용자의 주관성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 Q-방법론은 산악 스포츠 관광객이 이 산악 스포츠 목적지에 대한 주관성과 그러한 묘사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본 연구는 Q-진술문을 사용하여 속초시에서의 여행 경험 유형을 수집하고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를 식별하기 위한 분석을 사용하였다. 최근 3년 이내 속초 관광지를 방문하여 진술서를 작성한 응답자는 온/오프라인에서 모집하였다. 속초시 방문자로부터 총 32개의 Q-샘플을 추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산악스포츠 관광객들이 인지하고 있는 속초의 산악스포츠 관광 활성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Q-분석을 통해 산악스포츠 관광객들은 '조직 지원(유형 I)', '산악스포츠 관광상품 강화(유형 II)', 산악스포츠 인프라 및 서비스 개선 (유형 III)의 3가지 유형의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속초시 산악스포츠 관광지의 경쟁우위는 관광행태에 대한 이러한 주관성을 기반으로 정책 및 시장 부문에 적응할 수 있는 산악스포츠 관광 상품 및 전략 개발을 포함해야 한다.

      • KCI등재

        전남 <산악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적 정체성

        권도경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한국학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전남 <산악전설>의 특징적인 존재양상을 통해 여타 지역과 차별화되는 전남 지역의 정체성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전남 <산악전설>은 크게 신령형・풍수형・설명형으로 분류된다. 전남 <산악전설>에서 도출될 수 있는 전남의 지역적 정체성은 자기 완결적 중심성과 배타적 독자성・우월성의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정리될 수 있다. 전자와 관련하여 전남 <산악전설>의 신령형에서는 전남 지역의 우주 중심으로서의 주체적인 자기규정 인식의 기원이 확인되는데, 이는 한반도 전 지역을 통합적으로 지배한 민족적인 왕조국가 조선 건국의 승인 주체가 전남 산악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전남 <산악전설>의 신령형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된다. 이처럼 전남 <산악전설>에서 이성계의 조선 건국 허가 주체로서의 전남 산악의 이동은 전남 지역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래 전북이 아닌 경상도 지역의 산악이었던 것이 이성계의 건국 이후에 전북으로 이입된 것으로 나타나는 전북 <산악전설>에 비해 자기 지역 내적인 완결성을 지닌다. 후자와 관련하여 전남 <산악전설>의 풍수형에서는 중앙정부의 중앙집권적인 행정지배질서에 종속되지 않고자 하는 배타적인 독자성이 확인되는데, 풍수의 인문지리학적 이론・지식을 매개로 전북 지역민이 조선 중앙정부의 판견자와 벌이고 있는 간접적인 갈등은 중앙정부의 중앙집권적인 행정지배질서에 편입되지 않고 독자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배타적 독자성이 저항적으로 실현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전남 <산악전설>의 풍수형에서 전개되는 바, 풍수를 매개로 한 전북 지역민의 조선 중앙정부 파견자와의 간접적인 갈등은 전남 지역민의 승리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전남 지역이 중앙정부에 대해 지니고 있는 배타적 독자성이 상대적 우월성을 전제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남 <산악전설>의 풍수에서 확인되는 배타적인 독자성과 우월성은 같은 호남 권역의 전북 <산악전설>의 풍수형에서 궁극적으로 확인되는 종석적 편입성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전남 지역의 특수한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프랑스의 산악지대 – 저항과 대안의 장소

        이학수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3 No.-

        리모주 산악지대의 무장투쟁대원들은 산악지역을 저항운동의 거점으로 삼았다. 그들에게 산악지역은 일시적 체류지이면서 동시에 도피처이자 저항의 장소였다. 기득권 세력에 투쟁하는 산악에서의 투쟁은 비주류의 삶이었기에, 지방 주민들의 지원, 동료에 대한 신뢰와 이타심 없이는 불가능했다. 이들이 산악투쟁을 하면서 서로 연대하고 타인과 공존하는 주체적 삶을 살려고 노력했다. 반면 산악지역은 이들에게 생존공간을 제공하고, 재충전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부여했다. 롱고마이 공동체 구성원들은 산악을 일시적 체류 장소로서가 아니라 영구적인 정착의 장소로 선택했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와는 다른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입산했지만 산악이 주는 한계와 외부세계와의 완전한 단절로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은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유대를 바탕으로 철저히 산악에만 의존한 채 산악이 제공하는 것만 수용했고 산악의 리듬, 즉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살아가려는 노력을 했다. 롱고마이 공동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문제점들을 훌륭히 극복할 수 있었다. 이들은 산악지역과 조화로운 삶을 지속했고 농업위주의 삶과 유대가 깊은 조합공동체 조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외부 세계에 흡수되거나 산악지역의 삶만이 옳다는 주장을 하는 대신 라디오방송국을 통해 외부 세계와 소통하고 자신들의 삶을 바깥 세상에 점차 전파하려는 시도를 했다. 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로 고통 받는 이주민이나 피난민 등을 돕는 국제구호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공동체내에서 다국어로 소통하고 폐쇄적인 민족국가의 이기주의에서 해방된 이들이야말로 ‘유럽연합정신에 적합한 이상적인 시민들’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산악무장단체와 롱고마이 공동체는 체제를 부정하고 산악지역으로 입산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산악무장 대원들이 산을 투쟁하기 위한 임시 거처로 사용한 반면, 롱고마이 공동체 조합원들이 영구 정착을 위해 산악지역을 선택했다는 점에서는 차이를 볼 수 있다. 산악무장대원들은 저항의 공간인 산악에서 무장투쟁을 하다가 조국 해방을 맞이하면서 자신들의 선택이 옳았음을 확신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기 위해 산악으로 들어가 농업에만 의존하면서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에 의존하지 않는 대안적인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공동체 조합원들은 투쟁에서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산악에 무한한 신뢰를 지나게 되었다. 산악무장투쟁 체험과 롱고마이 공동체의 삶을 통해 우리는 산악지역이 때로는 피난지로서 때로는 대안사회의 존재 가능성을 증명하는 공간으로 작동하는 것을 보았다. 산악에서 저항하고 산악에 깊이 의존하고 산악을 신뢰하는 이들의 체험은 현재 프랑스 사회에서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최근 프랑스 중부에 위치한 라르작 고원(Plateau Larzac)에서 농민들과 시민단체 회원들이 반전운동, 평화운동과 생태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산악지역에서 가능했던 투쟁과 대안적 삶을 목격하면서 이들은 산악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활력과 투쟁목적을 퍼오고 있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산악지역은 여가와 건강으로 조명을 받고 있지만, 이와는 전적으로 다른 무한한 가능성을 사람들에게 여전히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The Maquisards made Montagnes limougines a base for their resistance movement. The mountain area served them as not merely a temporary place of residence but also a refuge and a place of resistance (lieux de résistance).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along with trust and altruism between the comrades, to keep up the movement, given that the Maquisards revolted against the established authority and thus remained outside of the social mainstream. While continuing the struggles in the mountains, the members tried to join forces in solidarity and lead a self-reliant life in the sense of community. The mountains at the same time provided a shelter allowing them to be replenished. The associates of Coopérative Longo Maï, unlike the Maquisards, chose the mountains as a permanent, not temporary, settlement. They came at first in the hopes of showing that an alternative society could be built on a system entirely different from capitalism, but had to go through a host of difficulties coming from geographic restrictions and insulation from the outside world. Despite the hardships, they did not accept anything but what the mountains offered, conforming to the rhythms and laws of their home, the nature. The Coopérative Longo Maï members made notable successes in overcom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their efforts that continued evolving to meet new challenges. For instance, they maintained harmony with the conditions of the mountain area and organized co-operatives, or unions, that had close links with the agriculture-oriented life. They also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ver the radio, informing the public of what their mountain life is like, rather than assimilating into the outside or becoming self-righteous about the virtues of the way they lived. In addition, they undertook international relief activities in favor of refugees or immigrants who suffered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neoliberalism. Those who use multiple languages in a community and detach themselves from clannish nationalism are often considered as ideal citizens of the European Union. The Maquisards and the Coopérative Longo Maï associates entered the mountains for the same purpose: waging an anti-establishment campaign. The two groups, however, had different views of the mountains; the former chose them as a temporary hideout for the movement; the latter as a permanent settlement. Witnessing the liberation of their homeland during the armed struggles in the mountains, the Maquisards became convinced that their decision was right. The Coopérative Longo Maï members, who vindicated the idea of building an alternative society depending solely on agriculture, not on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to be possible, succeeded in more than half of what they tried to achieve, therefore developing absolute trust in the mountains, which made it all happen. From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two groups, we have learned that the mountains served sometimes as a refuge and sometimes as a place proving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society. We can also learn that these experiences did not simply end up in a French history book but still remain valid up to the present. Recently in Plateau Larzac, located in central France, farmers together with NGOs are waging anti-war, peace, and environmental movements. They are drawing from the mountains the vitality and justification they need for successful campaigns, inspired by how the Maquisards and Coopérative Longo Maï achieved there. Although the mountains are generally viewed in modern capitalist societies as a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and health care, they still provide infinite potentials and possibilities totally different from the recreational use.

      • KCI등재

        특집논문 : 프랑스의 산악지대 ―저항과 대안의 장소

        이학수 ( Hak Su Le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3 No.-

        리모주 산악지대의 무장투쟁대원들은 산악지역을 저항운동의 거점으로 삼았다. 그들에게 산악지역은 일시적 체류지이면서 동시에 도피처이자 저항의 장소였다. 기득권 세력에 투쟁하는 산악에서의 투쟁은 비주류의 삶이었기에, 지방 주민들의 지원, 동료에 대한 신뢰와 이타심 없이는 불가능했다. 이들이 산악투쟁을 하면서 서로 연대하고 타인과 공존하는 주체적 삶을 살려고 노력했다. 반면 산악지역은 이들에게 생존공간을 제공하고, 재충전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부여했다. 롱고마이 공동체 구성원들은 산악을 일시적 체류 장소로서가 아니라 영구적인 정착의 장소로 선택했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와는다른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입산했지만 산악이 주는 한계와 외부세계와의 완전한 단절로 초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은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유대를 바탕으로 철저히 산악에만 의존한 채 산악이 제공하는 것만 수용했고 산악의 리듬, 즉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살아가려는 노력을 했다. 롱고마이 공동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 문제점들을 훌륭히 극복할 수 있었다. 이들은 산악지역과 조화로운 삶을 지속했고 농업위주의 삶과 유대가 깊은 조합공동체 조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외부 세계에 흡수되거나 산악지역의 삶만이 옳다는 주장을 하는 대신 라디오방송국을 통해 외부 세계와 소통하고 자신들의 삶을 바깥 세상에 점차 전파하려는 시도를 했다. 뿐만 아니라 신자유주의로 고통 받는 이주민이나 피난민 등을 돕는 국제구호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공동체내에서 다국어로 소통하고 폐쇄적인 민족국가의 이기주의에서 해방된 이들이야말로 ``유럽연합정신에 적합한 이상적인 시민들``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산악무장단체와 롱고마이 공동체는 체제를 부정하고 산악지역으로 입산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산악무장 대원들이 산을 투쟁하기 위한 임시 거처로 사용한 반면, 롱고마이 공동체 조합원들이 영구 정착을 위해 산악지역을 선택했다는 점에서는 차이를 볼 수 있다. 산악무장대원들은 저항의 공간인 산악에서 무장투쟁을 하다가 조국 해방을 맞이하면서 자신들의 선택이 옳았음을 확신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기 위해 산악으로 들어가 농업에만 의존하면서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에 의존하지 않는 대안적인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한 공동체 조합원들은 투쟁에서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산악에 무한한 신뢰를 지나게 되었다. 산악무장투쟁 체험과 롱고마이 공동체의 삶을 통해 우리는 산악지역이 때로는 피난지로서 때로는 대안사회의 존재 가능성을 증명하는 공간으로 작동하는 것을 보았다. 산악에서 저항하고 산악에 깊이 의존하고 산악을 신뢰하는 이들의 체험은 현재 프랑스 사회에서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최근 프랑스 중부에 위치한 라르작 고원(Plateau Larzac)에서 농민들과 시민단체 회원들이 반전운동, 평화운동과 생태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산악지역에서 가능했던 투쟁과 대안적 삶을 목격하면서 이들은 산악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활력과 투쟁목적을 퍼오고 있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산악지역은 여가와 건강으로 조명을 받고 있지만, 이와는 전적으로 다른 무한한 가능성을 사람들에게 여전히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The Maquisards made Montagnes limougines a base for their resistance movement. The mountain area served them as not merely a temporary place of residence but also a refuge and a place of resistance (lieux de resistance).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along with trust and altruism between the comrades, to keep up the movement, given that the Maquisards revolted against the established authority and thus remained outside of the social mainstream. While continuing the struggles in the mountains, the members tried to join forces in solidarity and lead a self-reliant life in the sense of community. The mountains at the same time provided a shelter allowing them to be replenished. The associates of Cooperative Longo Mai, unlike the Maquisards, chose the mountains as a permanent, not temporary, settlement. They came at first in the hopes of showing that an alternative society could be built on a system entirely different from capitalism, but had to go through a host of difficulties coming from geographic restrictions and insulation from the outside world. Despite the hardships, they did not accept anything but what the mountains offered, conforming to the rhythms and laws of their home, the nature. The Cooperative Longo Mai members made notable successes in overcom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their efforts that continued evolving to meet new challenges. For instance, they maintained harmony with the conditions of the mountain area and organized co-operatives, or unions, that had close links with the agriculture-oriented life. They also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ver the radio, informing the public of what their mountain life is like, rather than assimilating into the outside or becoming self-righteous about the virtues of the way they lived. In addition, they undertook international relief activities in favor of refugees or immigrants who suffered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neoliberalism. Those who use multiple languages in a community and detach themselves from clannish nationalism are often considered as ideal citizens of the European Union. The Maquisards and the Cooperative Longo Mai associates entered the mountains for the same purpose: waging an anti-establishment campaign. The two groups, however, had different views of the mountains; the former chose them as a temporary hideout for the movement; the latter as a permanent settlement. Witnessing the liberation of their homeland during the armed struggles in the mountains, the Maquisards became convinced that their decision was right. The Cooperative Longo Mai members, who vindicated the idea of building an alternative society depending solely on agriculture, not on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to be possible, succeeded in more than half of what they tried to achieve, therefore developing absolute trust in the mountains, which made it all happen. From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two groups, we have learned that the mountains served sometimes as a refuge and sometimes as a place proving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society. We can also learn that these experiences did not simply end up in a French history book but still remain valid up to the present. Recently in Plateau Larzac, located in central France, farmers together with NGOs are waging anti-war, peace, and environmental movements. They are drawing from the mountains the vitality and justification they need for successful campaigns, inspired by how the Maquisards and Cooperative Longo Mai achieved there. Although the mountains are generally viewed in modern capitalist societies as a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and health care, they still provide infinite potentials and possibilities totally different from the recreational use.

      • 미국 알래스카 산악파 난류 수치모의 및 물리 모수화 과정에 대한 민감도

        신예원,김정훈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2012년 12월 30일 1013 UTC에 한국에서 캐나다로 향하던 항공기가 미국 알래스카 남부 산악 지역고도 10 km에서 강한 난류를 조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난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델에 사고지점 중심으로 세 개의 둥지격자체계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안쪽 영역의 수평 격자 간격을 1 km로 설정하였다. 종관 분석 결과, 알래스카 남쪽 해상의 강한 저기압에 의해 강한 하층 남동풍과 상층 남풍이 산악으로 유입되었다. 배경 바람에서 정체파인 산악파의 임계고도가 나타나지 않아 이로 인한 파동 파괴 조건은 만족되지 않았다. 하지만 강한 하층 바람에 의해 형성된 연직으로 전파하는 진폭이 큰 산악파가 대류권계면 근처에서 깨지면서 수평 파장이 짧은 2차 파동이 형성되고 강한 난류가 발생하였다. 이는 사고지점 근처의 강한 대류 불안정, 파동 파괴로 형성된 임계고도, 큰 연직 속도, 짧은 수평 파장에서의 큰 에너지로부터 확인되었다. 추가로, 대기경계층 물리 모수화 과정과 아격자 규모지형에 의한 산악 중력파 항력에 대한 산악파 난류 특성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Mellor-Yamada (MY) 계열 대기경계층 물리 모수화 과정인 MYJ와 MYNN 방안은 경계층뿐만 아니라 자유대기에서도 난류 운동에너지 방정식으로 아격자 규모 연직 혼합을 예단하기 때문에 항공기 난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격자 규모 지형에 의한 산악 중력파 항력의 효과가 산악 근처에서 모델이 분해 가능한 규모의 흐름을 변화시킨다. 아격자 산악 중력파 항력 효과를 포함하면, 산악 바로 전면의 하층 풍속은 줄어들고, 풍하측 하층 난류가 강해지며, 연직으로 전파하는 산악파의 진폭은 작아진다. 아격자 규모 및 분해 가능한 난류운동에너지의 크기와 분포는 대기경계층 물리 모수화 과정 및 산악 중력파 항력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수치모델에서 산출된 난류운동에너지를 난류에너지소산율로 변환하고, 항공기의 Quick Access Recorder (QAR) 자료로부터 계산된 것과 비교함으로써 난류 강도에 대한 모델 예측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분향의례문(焚香儀禮文)에서 본 몽고인의 산악숭배

        이노우에 오사무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南道文化硏究 Vol.0 No.23

        본고는 동아시아 국가의 산악신앙 연구의 일환으로, 그중 몽골인의 산 악숭배 사상을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산악지대에 위치하고 있는 몽골에 대 해 사기나 후한서 등에 전하는 기록을 중심으로, 몽골인의 불교, 특히 분향의례를 중심으로 그들의 산악숭배 사상 및 여러 가지 의식들을 살펴 보았다. 고대의 몽고고원에 거주한 사람들은 자연물이나 자연현상(자연숭 배, 애니미즘), 위대한 조상(선조 숭배), 죽은 자들의 영혼(사령 숭배)을 신 앙의 대상으로 여기고 숭배의례를 실천하였다. 이후 몽고인의 산악숭배는 그들의 샤머니즘적 신앙체계와 함께 존재하였다. ‘상(sang)’은 분향 에 해당하는 몽고어로 몽고인들 사이에서 크게 퍼 져 있었던 제문이다. ‘상’에는 공시(供施)의 선언, 제사로의 초청, 기원(祈願)의 표명이 공통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몽골인은 이들 산악신앙이 두텁게 남아 전하는 산악을 성산(聖山)으로 승격화하여 국가차원의 제례를 행하였는데, 이러한 전통제례 의식 의 계승 등을 통해 세계유산으로의 등재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는 현재 한 국의 지리산이 처하고 있는 상황과 유사한 실정이다.

      • KCI등재

        <조선과 만주(朝鮮及滿洲)>에 나타난 조선 산악 인식

        박찬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o the intellectual in Chosun under Japanese Empire's occupation period, mountains were the holy places reflecting the people's desir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movements and the emergence of alpinism in the latter part of 1920's, mountains in Chosun were recognized as the space for promoting health and improving physique and the subject to conquest. Then, how did Japanese who were the people of Japanese Empire recognize mountains in Chosun which were the territory of Japanese Empi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recognition of Japanese to mountains in Chosun subjecting on travel essay and essay included in 『Joseon and Manchuria(朝鮮及滿洲)』 which was a magazine published with Japanese for 35 years. After opening a port during 19th century, most foreigners who visited Chosun expressed a strong repulsion to savage and unhygienic Chosun's people. Also, they even pointed out mountains in Chosun as devastation and barbarism. The word expressing rough implicative impression of Japanese to mountains in Chosun was bare mountain. Such subjective impression was linked to more extended impression as missionaries in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were and Japanese like Naniwa Sentaro regarded mountains in Chosun as an indicator of uncivilization and culture themselves. Also, Japanese explored a variety of mountains known as scenic spots of Chosun. However, to them, mountains such as Geumgang Mt. and Soyo Mt. are only aesthetic space or the space of rest where can appreciate the nature. The attitude to give historical breath and cultural vitality to remains by reminding the origin of place name, various legends, and remains like the intellectual of Chosun cannot be found from them. Due to such recognition of Japanese to mountains of Chosun, they may experience cultural & historical track or trace imprinted to such places and this experience and meaningful sense of place may be a result of riddance to them. In addition to this, to Japanese, mountains of Chosun are the space projecting the desire of Japanese Empire. To them, the whole mountain activities such as the study of mountains, climbing, and publishing magazines are the one path to finally make the nation to be rich. Also, in mountains of Chosun, the unusual trial to rationalize the extended territory of Japanese Empire by bringing the myths of Japan can be found. However, such trial soon failed since they didn't embrace so different people of Chosun. This can be a case to show that identity of people in Japanese Empire to see other persons unstably floats within the field of territory & people concepts. But, from this, we cannot ignore the point that mountains of Chosun are represented as an object of desire captured to territory concept of Japanese Empire. 일제 강점기 조선의 지식인에게 조선의 산악은 민족의 기원이 비장된 성소였다. 그리고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각종 사회운동의 전개와 알피니즘의 대두로 조선의 산악은 건강 증진과 체위 향상의 공간으로, 그리고 정복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렇다면 제국의 영토인 식민지 조선의 산악을 제국신민인 일본인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을까. 본고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35년간 일본어로 간행된 잡지 『조선과 만주(朝鮮及滿洲)』에 수록된 기행문과 기고문을 대상으로, 조선 산악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9세기 개항 이후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 대부분은 미개하고 비위생적인 조선의 모습에 강한 거부감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조선의 산악에 대해서도 그것의 황폐함과 야만성을 지적하곤 하였다. 『조선과 만주』에 나타난, 조선의 산악에 대한 일본인들의 대체적인 인상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말 또한 민둥산[禿山]이다. 이러한 주관적 인상은 한말 선교사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보다 확장된 인식으로 이어져 나니와 센타로(難波 專太郞) 같은 일본인들은 조선의 산악을 미개와 문화 지체의 지표로 간주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은 조선의 명승지라고 일컬어지는 여러 산악을 탐방한다. 그렇지만 이들에게 금강산, 소요산 등의 산악은 자연물을 완상할 수 있는 심미적 공간이거나 휴양의 공간일 뿐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처럼 지명 유래와 각종 전설, 그리고 유적 등을 환기함으로써 그곳에 역사적 숨결과 문화적 생명력을 부여하는 태도는 이들에게서 찾을 수 없다. 조선의 산악에 대한 일본인의 이러한 인식은 그 장소에 아로새겨진 문화적․역사적 자취나 흔적을 경험하고 의미화하는 장소감이 그들에게는 탈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일본인들에게 조선의 산악은 제국적 욕망이 투영된 공간이기도 하다. 이들에게 산악 연구와 산행, 잡지 간행 등 제반 산악 활동은 최종적으로 국가[제국]를 부유하게 하는 하나의 길이다. 그리고 조선의 산악에서 일본의 신화적 세계를 호출함으로써 확r장된 제국의 영토를 합리화하려는 이채로운 시도도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시도는 이질적인 조선인을 수용하지 못한 까닭에 곧장 무위로 돌아가고 만다. 이는 타자를 응시하는 제국신민의 정체성이 영토 관념과 민족 관념의 자장 내에서 불안하게 유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 또한 조선의 산악이 제국적 영토 관념에 사로잡힌 욕망의 구상물로 표상되고 있다는 점을 경시할 수는 없다.

      • KCI등재

        1980년 동국산악회의 마나슬루 등정의 성과와 의미

        이상현,조준호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2

        본 연구는 1980년 동국산악회 마나슬루 등반대의 마나슬루 등정 성과를 살펴보고 체육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동국산악회의 세계 8위봉 마나슬루 등정은 1977년 고상돈의 에베레스트 등정 이후 한국의 두 번째 8000미터 급 봉우리의 등정으로 이후 한국등반대의 8000미터 14개 봉우리의 도전을 위한 디딤돌이었다. 둘째, 단일산악회로 구성된 한국 최초 고산등반의 성공은 단일 등반대의 팀워크와 지휘체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며 개별 산악회의 고산 등반 활성화에 초석이 되었다. 셋째, 군사 정변으로 어수선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등반대의 성공은 산악계와 체육계를 넘어 사회 전반에 도전정신과 희망의메시지를 전파하였다. 넷째, 등반대의 성공은 등반대장 이인정이 산악계와 체육계에서의 주요 인물로 성장하는데 큰 기반이 되었으며, 이는 산악 분야가 국내에서 스포츠 분야로 정착되고, 세계무대에서 한국 산악계의 위상을 증대시키는데 밑바탕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마나슬루의 등정은 산악 그랜드슬램 달성을 통해 한국 산악계를 세계에 널리 알린 박영석 대장의 산악계 입문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Dong-guk Mountaineering Team's ascent of Manaslu in 1980 and its sporting significance. First, the Dong-guk Mountaineering Team's ascent of Manaslu, the world's eighth highest peak, was Korea's second ascent of an 8000-metre peak after Ko Sang-don's ascent of Everest in 1977, and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the subsequent ascent of fourteen 8000-metre peaks by Korean climbers. Second, the success of Korea's first alpine expedition comprising a single mountaineering team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eamwork and command,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alpine climbing by individual mountaineering clubs. Third, the success of the climbing team in the midst of military turmoil has spread a message of challenge and hope to the entire society beyond the mountaineering and sports communities. Fourth, the success of the team paved the way for the growth of the team's leader, Lee In-jung, into a major figure in the mountaineering and sports worlds, establishing mountaineering as a sport in Korea and raising the profile of Korean mountaineering on the world stage. Finally, the ascent of Manaslu had a direct impact on the entry and growth of Captain Park Young-seok, who put Korean mountaineering on the world stage by achieving the mountain grand slam.

      • KCI등재

        산악연구의 동향 분석 및 미래연구 방향: 대상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박경이,강형길 여가문화학회 2020 여가학연구 Vol.1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direction of future mountai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y of domestic and foreign mountain research. For the purpose, 354 domestic and foreign mountain-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and 6 experts were consul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analyzed contents. This study found that domestic mountain research is in the early stages of achieving quantitative growth, and no clear academic trend has been established. Future mountain research needs to address the clear definitions of mountain-related concepts such as mountain, climbing, and mountaineering. In addi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program development converged from tourism, leisure, psychology, and pedagogy and needs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rough more diverse research subjects. Moreover, to date, mountain research has mainly been essay-type research or has used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uture mountain researchers need to apply various research methods throug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an overview study to find directions of future mountain research,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content analysi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concrete paradigm for mountain research through a more microscopic approach with variou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는 국내외 산악연구의 대상과 방법론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산악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354편의 산악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내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6인의 협의를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산악연구는 양적인 성장을 이루는 초기단계이며 뚜렷한 학문적 경향성이 구축되지 않았다. 미래 산악연구에서는 산악, 등반, 등산 등의 활동에 대한 학문적 개념 정의에 관한 연구, 관광학, 여가학, 심리학, 교육학적 측면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그리고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을 통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현재 까지의 산악연구는 기초적인 기술통계 분석이나 에세이 형식의 연구가 주종을 이루었다. 미래 산악연구자는 연구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한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미래 산악연구를 학문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개관연구이며, 질적이고 세분화된 유목화와 분석에 있어 한계가 존재한다. 미래 연구에서는 보다 미시적인 접근을 통해, 구체적인 산악연구의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최진유(Jin-Yu Choi),박찬우(Chanwoo Park)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최근 국내에서는 산악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겨울철 폭설과 결빙에 의한 통행 제한으로 겪는 생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악철도시스템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 중인 산악철도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고, 톱니바퀴형 산악철도와 트램의 과거 사고사례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철도에서 정의하고 있는 위험요인 등을 고려하여 산악철도시스템에 적합한 위험요인들을 식별하였다. 산악철도 운행 시 예상 가능한 사고를 충돌사고, 탈선사고, 화재사고, 사상사고, 건널목/경합구간 사고의 5가지 사고로 분류하였고 각 사고별로 위험사건과 위험요인을 식별하였다. 그리고 각 위험요인별로 세부위험요인을 식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된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들은 향후 산악철도시스템의 예비위험도 분석과 안전관리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a mountain railway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esidents living in the mountain area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ffic by heavy snow and ice in winter. In this study, the hazard identification which is customized to the developing mountain railway system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ing system, past accident cases of the mountain trains of the rack&pinion type and trams in the world, and risk factors defined in the ordinary railway system. Predictable accidents during mountain railway oper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accidents: collision, derailment, fire, casualty, and crossing/competitive section accidents. Hazardous events and hazards were derived for each accident. Moreover, specific hazards were derived for each hazard. The hazards of the mountain railway system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liminary hazard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mountain railway system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