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Park, Jae-Min)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本考는 『三國遺事』에 수록된 10句體 향가 <원가>를 文證을 통해 해독하고 문학적 의미를 덧붙인 결과물이다. 어학적 해독 결과 중, 주요한 것을 각 句별로 추리면 다음과 같다. 1句. ‘物叱好支’는 ‘갓 됴?으로 읽힌다. 의미는 ‘物 중에서 가장 좋은’. 2句. ‘爾屋?’에 대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온 바 있으나, 이는 양주동의 ‘이우러(시들어)’에서 이미 올바로 해독된 곳임을 확인하였다. 3句. 이곳은 “汝於 / 多齊 / 敎因隱”로 분절된다. ‘多支’은 다히’를 표기한 것으로 현대어로는 ‘함께’로 풀이된다. 4句. ‘仰頓隱’의 ‘頓(돈)’은 차자 ‘던’이 아닌, 漢字 본연의 쓰임새로서의 ‘頓’이다. ‘조아린’ 즉, ‘절한’의 뜻이다. 말미의 ‘冬’ 또한 借字로 본 견해도 많으나, 문맥상 한자 그대로의 의미 ‘겨울’로 판단된다. 5句. ‘影支’는 명사가 아닌 용언으로 ‘말갛게 비치-’의 의미. ‘古理因’는 명사 ‘옛날’이 아닌 용언 ‘오래되다’의 의미. ‘之叱’은 해독의 일각에서 보고 있는 ‘가(邊)’의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처격의 ‘잇’이다. 6句. ‘行尸浪’은 통설 ‘흘러가는 물결’이 아니라, ‘일렁이는 물결’이다. ‘沙矣’는 借字가 아닌 한자 본연의 쓰임새로 쓰인 字로 ‘모래’로 풀이된다. ‘以?如?’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차자표기이다. 7句. 양주동에서 이미 해독이 완료된 곳이다. 8句. ‘都之叱’는 ‘모두옛’, ‘逸烏隱’은 ‘잊혀진’, ‘第’는 ‘等第(功에 대한 報償)’의 의미이다. 이상 1-4句의 해독을 통하여 ?落의 계절을 견디는 常綠의 잣나무, 표정이 변해버린 겨울날의 님(王)의 모습을 뚜렷이 파악해 낼 여지가 생겼으며, 특히 3句의 해독으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원가>와 <정과정>의 문학사적 공통 脈絡 一忠臣戀主之詞一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5-8句의 해독을 통하여 그간 異見이 심했던 ‘月?淵?浪?沙’에 대한 문학적 풀이를 반성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달빛이 말갛게 비치는 오래된 연못, (나는) 그 아래의 모래로다. 달의 모습이야 바라보나 세상 모두에게 잊혀진 等第여!’로 해독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月 = 王’, ‘淵 = 政治의 場’, ‘浪 = 政爭(或은 王의 萬機)’, ‘沙 = 信忠’임을 제기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interpreted <Wonga(怨歌)>, one of the hyanggas(鄕歌) in 《Samgukyusa(三國遺事)》,and considered of its literary meaning.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half, I could envisage clearly the poetic images such as the big cone pine that overcame the season of withering and the king that changed his mind in that season. Especi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hird line, I could find a concrete relation between the two poems of loyalty, <Wonga(怨歌)> and <Jonggwajong (鄭瓜亭)>, which many scholars have considered of. In the mean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ter half, I reconsidered of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wol(月)?yon(淵)?lang(浪)?sa(沙)’, which has provoked many arguments so far. I interpreted this part as follows: 'A pond reflecting the moonlight clearly, the sand under the pond. The sand is staring the moon, but the compensation has been forgotten by everyone in the world!'. Based on this translation, I argued what the poetic terms imply. The moon implies the king, and the sand means the writer, Sin Chung(信忠). The pond implie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waves mean the political conflict. The following is the list of the newly interpreted phrases in this paper:<br/> Line 1: ‘muljilhoji (物叱好支)’ in this line should be interpreted as got dyoh?n(갓 됴흔);, which means the best of a species.<br/> Line 2: ‘yiokbok(爾屋?)’ in this line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many scholars. However, I verified that the early interpretation by Yang Judong was correct. According to him, this part is interpreted as ;yiul?(이우러);, which means to be withered.<br/> Line 3: This line should be divided into four segments: “y??(汝於) / tabok(多支)/ haengje(行齊) / kyoineun(敎因隱)”. Especially ‘tabok(多支)’,the second part of them can be decoded as ‘tahi(다히),, which means together.<br/> Line 4: ‘Ton(頓)’ in ‘angdoneun(仰頓隱)’ was not used as a chaja(借字),a sign that indicates the Korean vernacular by borrowing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contrary, it functioned as a Chinese character itself in this part. ‘Tong(冬), at the end of the line also has been often considered as a chaja (借字). However, this wor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hinese character too.<br/> Line 5: ‘Yongbok(影支)’ is not a noun but a verb, which means to reflect clearly. ‘Koliin(古理因), is not a noun either but a verb, which means to get old ‘Jijil(之叱), has been translated as a border by some scholars. However, I argued that it has only a grammatical function and can be translated as ;at (잇);.<br/> Line 6: ‘Haengsirang(行尸浪)’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as flowing water, but in fact it means waving water. ‘Saui(沙矣)’ is not a chajai借字) but functions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s sand On the contrary, ‘Yibokyobok(以?如?)’ is a c/각/a(借字) that indicates ‘yida(-이다)’.<br/> Line 7: Yang Judong already interpreted this line perfectly.<br/> Line 8: I interpreted ‘Tojijil(都之叱)’ in this line as ‘moduyet(모두옛)’. I also argued that ;yilloeun(逸烏隱)’ means to be forgotten, and that ‘je(第)’ has the same connotation as ‘Teungje(等第), that means compensation for efforts.

      • KCI등재

        청호(靑湖) 이영렬(李揚烈)의 <관동별곡번사(關東別曲飜辭)>에 대한 문예적 검토

        구사회 ( Gu Sa-wha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5 한국문학연구 Vol.0 No.28

        본고는 <관동별곡>을 한역한 청호 이양렬(1581~1616)의 <관동별곡번사>에 대한 문학적 검토이다. 지금까지 <관동별곡번사>는 청음 김상헌(1570~1652), 서포 김만중(1637~1692), 청호 이양렬(1581~1616), 춘담 신승구(1810~1864)의 4편이 전해지고 있다. 이중에서 춘담의 번사는 최근에 필자가 발굴해 낸 것이다. 필자는 이 과정에서 청호가 연대 미상인 점을 착안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 그의 생몰 연대를 밝힐 필요를 느꼈다. 그러다가 최근에 마침내 그의 생몰연대를 찾아냈다. 그는 18세기 인물일 것이라는 연구자들의 예상을 뒤엎고 16세기 말엽부터 17세기 초엽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전주 이씨의 왕실에서 분가한 영해군의 후손이었고 선조 14년(1581)에 태어나 광해군 8년(1616)에 36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그는 과거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으나 출사하기 이전에 병사한 것으로 보인다. 청호는 서포보다 반세기 이상을 앞서고 청음보다 11년 늦게 태어났지만, 청호가 30세를 전후로 하여 <관동별곡>을 한역한 것으로 미루어본다면 그가 오히려 청음보다 한발 앞서 <관동별곡>을 한역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청호의 <관동별곡번사>를 살펴보면, 다음 몇 가지 특질을 찾을수 있다. 그는 <관동별곡>을 191구의 7언고시체 한시로 한역하였는데, 이것은 청음이나 서포보다 길고 290구에 달하는 춘담에 비해서는 짧다. 그는 대체적으로 4음보 2구를 한시 1구로 한역하거나 2음보 1구를 한시 1구로 한역하고 있다. 그의 한역은 원문에 없는 내용을 일부 첨가하거나 생략하기도 하였지만 원문에 충실한 번사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원문을 한역하면서 내용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어구를 첨가하여 작품의 성격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려는 태도가 엿보인다. 특히 어휘를 바꾸거나 어구 첨가를 통하여 작품을 유가적 포부를 담은 충신연주지사로 전환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보아진다. 청호는 한역하면서 원문의 내용이 과장적인 내용이라고 생각되는 어구는 삭제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변개시키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그는 사실적 표현을 중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청호는 번사를 단순한 번역으로만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의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하고 인식하는 문예 의식도 함께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is for literary review of < GwandongByeolgok Beonsa > that Cheongho Lee Yang-Ryeol (1581~1616) translated < Gwandong Byeolgok > in classical Chinese. While there are four editions of < GwandongByeolgok Beonsa >, Cheongho Lee Yang- Ryeol has not so far been known of when he was born and deceased. By necessity for research, I have studied on this matter and finally found it out. Differently from the expectations of many researchers that he would be a person of the 18th century, he lived from the late in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in the 17th century. He was born in the 14th year of King Seonjo (1581) and deceased by the age of 36 at the 8th year of King Gwanghaegun (1616). He passed the state exam to be a Saengwon, but is supposed to be dead before taking a post. Cheongho precedes Seopo by more than a half of century and was born 11 years after Cheongeum. Thus under the fact that Cheongho translated < GwandongByeolgok > in classical Chinese around the age of 30, it is thought that he did it rather earlier than Cheongeum did. Cheongho's < GwandongByeolgok Beonsa > has some characteristics. His work is longer than that of Cheongeum or of Seopo and shorter than that of Chundam.Despite of some additions or omissions, his translation is similar to the original in general. It seems that he made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which is not far deviating from the original, while inducing the character of the work to a specific way with adding new words and phrases. Particularly, the change or addition of the words is thought to have the intention to change the work into a Cungsinyeonjujisa, i.e., the poetry about the loyalty of the sub jects to the king. In translation, Cheongho cut off or changed the original words regarded to be exaggerated into another contents. By this, he is thought to make much of the realistic expressions based on the rational point of view. Therefore, Cheongho was not taking the Beonsa just as a simple translation, but interpreted < Gwandong Byeolgok > by his point of view and the literary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