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일전쟁 발발 이후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

        송현강(Song Hyeon-Ka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이 글은 1938년부터 1945년 8월까지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의 전반적인 모습을 세 가지 작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전시 총동원체제 하에서 일제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지역교회들의 조직 개편 상황을 다룬 다음, 이어서 지역교회에 총동원기구의 하부 조직인 ‘연맹’과 ‘애국반’이 설치ㆍ운영되는 과정과 지역교회들의 다양한 ‘애국’활동을 잇달아 조망하였다. 먼저 전시 총동원체제 하에서 지역교회들은 일제의 요구에 의하여 교구제로 지역조직을 개편하였다. 감리교는 1941년, 장로교는 1943년에 각각 ‘충청교구’를 출범시켰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각 교파를 통합한 후에 일본교회와 기구적 통합을 위한 일제의 예비적 조치였다. 1939년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야소교장로회연맹’이 결성되자 충청도 장로교회의 노회들은 ‘노회지맹’을, 교회들은 ‘애국반’을 조직하여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리고 다시 1940년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이 ‘국민총력연맹’으로 개편ㆍ강화되자 충청도 장로교의 노회들은 그에 맞추어 다시 조직을 재정비하면서 각각 신도대회를 성대하게 개최하였다. 또 충청도 감리교회들의 ‘애국반’ 조직은 1940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되었다. ‘국민정신총동원 기독교조선감리회연맹’의 결성과 병행해서 각 교회에 애국반이 조직되었던 것이다. 충청도 성결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은 지역교회의 지도자들이 ‘국민정신총동원 성결교회연맹’의 이사로 참석하는 한편 교구 순회목사들이 연맹의 지부장으로 가담한 것과 각 교회의 ‘애국반’ 결성을 통해 드러난다. 충청도의 장로교회들은 신사참배 수용 결의를 통해 ‘애국’활동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그 후 그 노회들은 감리교와 마찬가지로 충청도 장로교의 지도급 인사들은 지역 대표자로 총회에 참석하여 전국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였다. 개교회들은 이미 1937년 중일전쟁 직후부터 ‘무운장구기도회’와 ‘국방헌금’ 모금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충청도의 감리교회 역시 총회를 포함하여 교회의 이름으로 모이는 거의 모든 집회에는 신사참배 등의 국가의례와 시국강연이 어김없이 행해졌다. 또 그 교회들은 애국헌금과 황군위문대를 모아 납부하였다. 개교회 ‘애국’활동의 또다른 형태로는 징병감사회와 국방기관 음악회의 개최를 들 수 있다. 일제 말기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은 물론 일제의 외압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러나 앞서 살핀 것과 같이 충청도 지역교회 내부에는 그 외압을 빌미로 일제에 협력하는 지도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중앙의 교단 상층부와 지방의 신도들을 연결하는 중간적인 위치에 있으면서 교단의 협력 방침을 실제로 충실하게 집행하고 확산시켰다. The mainstream denomination of protestant churches during the Japanese Rule over Korea were Methodists, Presbyterian and the Holyness Church. There were estimated over 230 churches and over 16,000 Christians in Choongchung Region all togethe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e Japanese Empire aggressively promulgated the Shrine Worship policy and Religion Control policy around 1937, the year of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The aftereffect of the promulgation reached out to the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through the supportive activities of the centers of each religious denomination. This paper examines such cooperative activities by each religious body of the protestant circles in Choongchung region from 1937 through August 1945.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Japan by Methodists and Presbyterians and the Holyness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started with sending representatives from each of the denominations to the General Assembly. Whenever there was a meeting under the name of the church, including General Assembly, there were national ceremonies such as shrine worshiping and lectures about state affairs without exception. In addition,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organized 'patriotic' groups and collected 'patriotic contributions' and comfort kits for the Japanese army.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Japan were initiated undoubtedly by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Japanese Empir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were leaders who were deliberately cooperating to Japan within the Choongchung Christianity blaming such pressure. They played key roles connecting the upper class of the denominations' central and regional believers, and executed and disseminated the pro-Japanese decisions of the denomination in every deed. The cooperative activities to Japan by Christianity at the end of the rule over Korea had features of dual layers like this as it progressed, and in order to reveal the whole picture, it is priority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regional leaders' cooperative activities.

      • KCI등재

        지역화 교육을 위한 충청도 음악문화의 교육적 접근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musical culture ofChungcheongdo by examining it from the music textbooks of the elementary andsecondary schools. From the analysis, this paper revealed the music and teaching-learningcontents of Chungcheongdo were insufficient in the books although various music genressuch as pansori, folk song, festival music, musicians, cultural asset have been developedin Chungcheongdo. Thus, this study presents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methodsof this local music divided by ‘traditional children songs based on the play and linguisticculture, Chungcheongdo folk songs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s customs,the local music festival of Chungcheongdo, the stories of junggoje pansori and mastersingers by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The followings are 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instructing Chungcheongdo musicalculture in school music education. Firstly, the representative music of Chungcheongdoshould be chosen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develop the educational approaches. Secondly, as social studies employed local textbooksfor local education, local music textbooks such as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encouraging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for activating this local music education. Thirdly, the musical culture of Chungcheongdo should be more included in musictextbooks, and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he music be developed by the levels ofstudents. Fourthly, the teachers’ training courses should be presented for activating theeducation of Chungcheongdo music, and need to induce teachers to change the perceptionof the music.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belong to Chungcheongdo as well as them of other regionsto learn the music culture of Chungcheongdo in view of local culture’s variety anduniversality. This paper discussed the approaches to instructing Chungcheongdo music,and it would be expected the following studies for activating local musical cultureeducation. 본고는 초․중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충청도 음악문화에 관한 내용을 검토해보고, 충청도의 음악문화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음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충청도는 판소리, 민요, 축제음악, 음악인, 문화재 등 각 분야별로 풍부한음악적 바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 및 교수․학습 내용은 다른지역에 비해 미흡했다. 이에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충청도의 놀이문화와언어문화가 반영된 전래 동요, 지리적 특성과 세시풍속에 따른 충청도의 민요, 충청도 음악문화와 관련된 축제, 중고제 판소리와 명창 이야기, 충청도의 음악문화와 관련된 문화재’의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학교 교육에서 충청도 음악문화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도 지역의 대표성을 띠는 악곡을 선정하고, 학교급에 따라 수준을적절히 안배하여 그에 관한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과에서 지역 교과서를 활용하여 지역화 교육을 실현해 나가듯이 음악과에서도 교수․학습 자료 또는 장학자료의 형태로 지역 교과서를 개발한다면, 충청도의 음악문화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될 것이다. 셋째, 충청도 음악문화를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과 동시에 학습자 수준에알맞은 콘텐츠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넷째, 충청도 음악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들에게 관련 연수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역 음악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야할 것이다. 충청도 지역에 속한 학습자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학습자들에게 충청도의 음악문화를 지도하고, 이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는 것은 지역문화의 다양성과 보편적 특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충청도 음악문화에 주목하여 논의하였지만, 앞으로 지역 음악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별로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일전쟁 발발 이후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

        송현강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The mainstream denomination of protestant churches during the Japanese Rule over Korea were Methodists, Presbyterian and the Holyness Church. There were estimated over 230 churches and over 16,000 Christians in Choongchung Region all togethe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e Japanese Empire aggressively promulgated the Shrine Worship policy and Religion Control policy around 1937, the year of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The aftereffect of the promulgation reached out to the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through the supportive activities of the centers of each religious denomination. This paper examines such cooperative activities by each religious body of the protestant circles in Choongchung region from 1937 through August 1945.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Japan by Methodists and Presbyterians and the Holyness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started with sending representatives from each of the denominations to the General Assembly. Whenever there was a meeting under the name of the church, including General Assembly, there were national ceremonies such as shrine worshiping and lectures about state affairs without exception. In addition, Churches of Choongchung region organized 'patriotic' groups and collected 'patriotic contributions' and comfort kits for the Japanese army. The supportive activities to Japan were initiated undoubtedly by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Japanese Empir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were leaders who were deliberately cooperating to Japan within the Choongchung Christianity blaming such pressure. They played key roles connecting the upper class of the denominations' central and regional believers, and executed and disseminated the pro-Japanese decisions of the denomination in every deed. The cooperative activities to Japan by Christianity at the end of the rule over Korea had features of dual layers like this as it progressed, and in order to reveal the whole picture, it is priority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regional leaders' cooperative activities. 이 글은 1938년부터 1945년 8월까지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의 전반적인 모습을 세 가지 작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전시 총동원체제 하에서 일제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지역교회들의 조직 개편 상황을 다룬 다음, 이어서 지역교회에 총동원기구의 하부 조직인 ‘연맹’과 ‘애국반’이 설치ㆍ운영되는 과정과 지역교회들의 다양한 ‘애국’활동을 잇달아 조망하였다. 먼저 전시 총동원체제 하에서 지역교회들은 일제의 요구에 의하여 교구제로 지역조직을 개편하였다. 감리교는 1941년, 장로교는 1943년에 각각 ‘충청교구’를 출범시켰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각 교파를 통합한 후에 일본교회와 기구적 통합을 위한 일제의 예비적 조치였다. 1939년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야소교장로회연맹’이 결성되자 충청도 장로교회의 노회들은 ‘노회지맹’을, 교회들은 ‘애국반’을 조직하여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리고 다시 1940년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이 ‘국민총력연맹’으로 개편ㆍ강화되자 충청도 장로교의 노회들은 그에 맞추어 다시 조직을 재정비하면서 각각 신도대회를 성대하게 개최하였다. 또 충청도 감리교회들의 ‘애국반’ 조직은 1940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되었다. ‘국민정신총동원 기독교조선감리회연맹’의 결성과 병행해서 각 교회에 애국반이 조직되었던 것이다. 충청도 성결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은 지역교회의 지도자들이 ‘국민정신총동원 성결교회연맹’의 이사로 참석하는 한편 교구 순회목사들이 연맹의 지부장으로 가담한 것과 각 교회의 ‘애국반’ 결성을 통해 드러난다. 충청도의 장로교회들은 신사참배 수용 결의를 통해 ‘애국’활동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그 후 그 노회들은 감리교와 마찬가지로 충청도 장로교의 지도급 인사들은 지역 대표자로 총회에 참석하여 전국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였다. 개교회들은 이미 1937년 중일전쟁 직후부터 ‘무운장구기도회’와 ‘국방헌금’ 모금으로 협력하고 있었다. 충청도의 감리교회 역시 총회를 포함하여 교회의 이름으로 모이는 거의 모든 집회에는 신사참배 등의 국가의례와 시국강연이 어김없이 행해졌다. 또 그 교회들은 애국헌금과 황군위문대를 모아 납부하였다. 개교회 ‘애국’활동의 또 다른 형태로는 징병감사회와 국방기관 음악회의 개최를 들 수 있다. 일제 말기 충청도 지역교회의 전시협력활동은 물론 일제의 외압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러나 앞서 살핀 것과 같이 충청도 지역교회 내부에는 그 외압을 빌미로 일제에 협력하는 지도자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중앙의 교단 상층부와 지방의 신도들을 연결하는 중간적인 위치에 있으면서 교단의 협력 방침을 실제로 충실하게 집행하고 확산시켰다.

      • KCI등재

        방송 프로그램에 나타난 충청도 소통 스타일의 체면 연구

        최지원,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2

        본 연구는 암시적이며 비유적인 스타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충청도 소통 스타일의 체면위협 정도를 파악하여 현재의 충청도 소통 스타일을 한국인의 소통 스타일과 비교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체면 복구와 체면 부여, 그리고 공손 이론에서 제시된 체면위협의 5단계를 분석의 틀로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충남서북부지역을 충청도 고유의 언어(방언)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방송을 통해 나타난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대화 중 체면 부여하기와 체면 복구하기가 엇비슷하게 나타나 충청도 지역은 집단주의 성향이 강해 체면 부여하기가 더욱 잦은 빈도로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과 달랐다. 또한 체면위협 행위 중 노골적인 체면위협이 19%, 친근함과 유대를 강조하는 적극적 체면위협이 40%, 걱정과 존중을 표현하는 소극적 체면위협이 19%, 암시적으로 에두르며 최면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이 11%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방송을 통해 나타난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은 더 이상 에두르는 스타일로 대표되지 않으며 건설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송을 통해 표출된 충청도 소통 스타일에서 개인주의적 성향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결과는 충청도의 소통 스타일에 국한된 현상이라기보다는 현재 한국인의 소통 스타일이 더 이상 집단주의 문화권에 머물러 있지 않다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본 연구는 타 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일반화할 수 없으며 방송을 통한 관찰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이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의 소통 스타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사회적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제시했으며 향후 지역별 소통 스타일 연구를 위한 최소한의 기준점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e-threatening levels of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which represented as being suggestive and figurative, and compared it with the over all Korean communication styles. We utilized a framework of the face restoration and face-giving of Ting-Toomey and Kuroki, and the five levels of face-threatening proposed in the Politeness Theory by Brown and Levinson. The Naepo cultural zone in the northwest of Chungnam Province was selected for its good preservation of unique dialects of Chungcheong. A total of 63 sequential dialogue styles were collected after reviewing the episodes of a broadcasting program, ‘Hometown Report’ aired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5 to analyze the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ace-giving and face restoration accounted for 47.6% and 52.4% of the entire dialogue styles,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not expected because the Chungnam province was considered a region preserving a prominent tendency of traditional collectivism. Out of the face-threatening acts, the bald face-threatening accounted for 19%, the positive face-threatening of emphasizing familiarity and bond accounted for 40%, the negative face-threatening of expressing concerns and respect accounted for 19%, and the face-threatening minimization of suggestive off the record equivocation accounted for 1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ungcheongdo communication style was no longer represented by the equivocation style but was based on the constructive communication. The findings led us to suspect that the current Korean communication style still remains in the cultural zone of collectivism. Some limitations were recognized and some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감영의 營房과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

        이훈상(Lee, Hoon-Sang)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2 No.-

        이 연구는 17세기 전후 경상도와 전라도의 감영에서는 특정 읍들의 향리들이 영방을 주도하는 폐쇄적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충청도는 오히려 더 열린 형태로 나아간 변화에 주목하여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요인과 의미를 묻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도 감영 영방의 체제의 정비 작업을 분석하여 영방의 개방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획을 살피고 이어 영방과 영리들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과 시기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리하여 충청좌도와 충청우도의 중심지에 해당하는 읍 출신들이 영방을 주도하지 못한 채 오히려 시기가 내려올수록 영방이 열린 체제로 운영된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54개 읍의 이방과 호장 등 公兄들을 적출하여 邑權의 지형도를 작성하고 이것과 충청도 향리 사회의 문화적 연망과의 상관관계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영방이 각 읍의 향리사회의 문화적 연망의 중심으로 발전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각별히 충청도 54개 읍의 향리 사회와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수합하여 정리하는 기초 작업에도 큰 노력을 할애하였는데, 덕분에 충청도의 향리사회가 경상도나 전라도의 그것과는 구분되는 새로운 유형일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화에 영리제도도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내려갈수록 문호가 열리는 충청도 영방의 운영 방향은 향리제도에 대한 새로운 시선의 중요성과 더불어 더 많은 정치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일깨워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network between the chamber of clerks of the headquarter(Gamyoung) of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local functionaries’ society of the fifty four counties, focusing on the openness of recruit systems of clerks of the headquarter of Chungcheong Province in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as is well known, the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was supposed to be recruited from al1 of the counties principally. But the reality was that the recruit was severely concentrated to a few families of some local counties in Kyungsang and Jeolla Gamyoung since the 17th century except Chungcheong Gamyoung. To explain this difference, the study attempts to construct a database that can show the long persistency and changes of the fifty four counties’ power field presided by the head posts of local functionaries’s society of Chungcheong Province. Through the data base, this study contends that there was no active attempt of the chamber of clerk to play the centr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solidarity of all the 54 counties’ local functionary societies. As its result, the 54 counties’s local functionary societies did not show any strong cultural network, which can explain to an extent about the openness perceivable in Chungcheong Gamyoung’s recruit system.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충청도 중심 강학 활동에 대한 연구

        서종태(Seo Jong Yae),변주승(Byeon Ju Seoung)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본 논문은 艮齋 田愚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펼친 실상과 그 특징, 그리고 그 배경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전우가 1878년 4월부터 1901년 8월까지 23년 동안 거주하며 강학한 곳은 10개 고을 14곳이며, 순회하며 강학한 곳은 16개 고을 24곳이다. 이를 합쳐 살펴보면 모두 17개 고을 37곳이다. 이를 도별로 보면 충청도가 13개 고을 30곳, 경상도가 문경과 상주 2개 고을 5곳, 경기도 죽산과 전라도 고창이 각각 1곳으로,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우는 충청도 중에서도 湖論의 영향력이 적게 미치는 내포지역 이외의 고을에서 동문․처가․문인 등의 도움과 스승의 후광을 활용하여 강학 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충청도의 26개 고을에서 가장 많은 113명이, 전라도의 10개 고을에서 30명이, 경상도 5개 고을에서 5명이, 서울․개성․경기의 3개 고을에서 3명이, 함경도․북간도의 8개 지역에서 29명이, 평안도의 6개 고을에서 9명이, 강원도의 1개 고을에서 1명이 각각 입문하였다. 전우가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을 활발히 전개한 것은 그가 任憲晦의 학통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동문들 중 이탈자가 생기고 華西學派와의 갈등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어 그가 주도하는 임헌회 학통의 문인집단이 중대한 위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학파의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우는 임헌회의 문집 편찬을 주도하여 동문의 결속을 굳게 다지는 한편, 강학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강력한 문인집단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충청도에서 화서학파에 대항할 수 있는 문인집단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지역적 기반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ruth,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Ganjae Jeonwoo in Chungcheong Province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He did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15 places in 10 towns while living in those towns and 22 places in 14 towns while making the rounds for 23 years from April 1878 to August 1901.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total of 37 places in 18 towns. By provinc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31 places in 14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4 places in 2 towns of Mungyeong and Sangju in Gyeongsang Province, 1 town in Juksan in Gyeonggi Province and 1 town in Gochang in Jeolla province. This showed that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Jeongwoo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help from the same school, in-laws and scholars and in the glory of his master in towns other than Naepo area that was less influenced by the Horon (湖論)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his school was 113, the highest number, in 26 towns in Chungcheong Province, 30 in 10 towns in Jeolla Province, 5 in 5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3 in 3 towns in Seoul, Gaeseong and Gyeonggi Province, 29 in 8 towns in Hamgyeong Province and North Gando(北間島), 9 in 6 towns in Pyeongan Province and 1 in 1 town in Gangwon Province. Jeonwoo proactively perform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Chungcheong Province because the scholar group of the Lim Heon-hoe(任憲晦) scholastic mantle that was led by him faced a crisis as some scholars of his school left during his succession to the scholastic mantle of Lim Heon-hoe and the conflicts with the Hwaseo School (華西學派) increased. To overcome such crisis faced by his school, Jeonwoo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by taking the lead in the compilation of literary works of Lim Heon-hoe, and form a strong group of scholars by actively develop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he established a scholar group that can confront the Hwaseo school in Chungcheong provi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expanding the regional base to the whole nation.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동학재건과 영동지역의 포덕

        임형진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Choi Si-hyung (1827-1898) is a person who organizes and systematizes the doctrines of Donghak and propagates it to the people and forms Donghak as a huge power. Choi, who succeeded Donghak ‘s succession after the founder’ s martyrdom, spread the dictum throughout the country for 36 years by avoiding the trace of power. He spoke about the representative doctrines of Donghak Insicheon(인시천), Yangcheonju(양천주), Sainyeocheon(사인여천), Echeonsikcheon(이천식천), Naesudomun(내수도문), Naechik(내칙) in the land of Chungcheong province through Gangwon Province and Donghak organization was rebuilt. Chungcheongbuk-do, including Danyang and Boeun, was the center. Haewol staye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the longest time. When he traveled to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s, his base was always Chungcheong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was ideally suited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world to the world after Donghak had passed away in the mountains. The entrance of Donghak into Chungcheong province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Donghak’s entry into Chungcheong province was an attempt to enter the plains, which is the residence of most people, and to meet the Donghak ideology to make them new. Second, as he entered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summarized the religious rituals and doctrines of Donghak. Third, in the Chungcheong province, Haewol was able to establish a place for Donghak community by having a doso(도소) and daedoso(대도소). Fourth, Yeongdong area is the area where three provinces of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are in contact. It is a region mixed with mountainous areas and plains, and it is an area where Donghak can be used as a guide for the spread of Donghak. In particular, Moon Rock Goal in Cheongsan-myeon, Yeongdong-gun is an important area where the total dictatorship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held on September 18, 1894. 해월 최시형(1827-1898)은 동학의 교리를 정리하고 체계화시키어 민중들에게그것을 전파(포덕)해 동학을 거대한 세력으로 형성한 인물이다. 수운 최제우의순도이후 동학의 도통을 이어받은 해월은 36년 동안 관의 추적을 피해 전국에 동학을 퍼트렸다. 특히 강원도를 거쳐서 충청도 땅에 도착한 해월은 동학의 대표적 교리인 인시천, 양천주, 사인여천, 이천식천, 내수도문, 내칙 등을말하고 동학조직을 재건하였다. 단양을 비롯한 보은 등 충청북도 지역은 중심이었다. 해월은 가장 오랜 기간을 충청도 지역에 머물렀다. 그가 경상도, 전라도 등지로 순회포덕을 다닐때에도 근거지는 반드시 충청도였다. 충청도는 동학이 산간지대의 은둔시절을 지나 비로소 세상에 그 도를 전파하려는 목적에 최적지였다.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다음의 의의를 지닌다. 첫째, 동학의 충청도 진출은 대부분의 민중들의 주거주지인 평야지대로의 진입이자 그들을 신인간으로 만들고자 한 동학이념에 부합하는 시도였다. 둘째, 충청도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해월은 동학의 종교적 의례와 교리를 정리하였다. 셋째, 충청도 지역에서 해월은 도소, 대도소를 둠으로써 비로소 동학적 공동체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넷째, 영동지역은 충청도,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3개 도가 접하는 지역이다. 그리고산간지대와 평야지대로 섞여있는 지역으로 동학 전파의 교도보 역할이 가능한 지역이다. 특히 영동군 청산면의 문바위골은 1894년 9월18일 동학농민혁명의 총동원령이 내려진 중요한 지역이다.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충청도 조운제도의 변화와 금강 일대 군현의 세곡운송

        문광균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8

        충청도의 조운제도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성종과 중종 연간을 거치며 조운제도가 완비되었다. 그러나 17세기를 전후하여 발생한 임진왜란으로 조운선과 조군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조선왕조는 사선(私船)이라 불리는 서울의 경강선이나 지방의 지토선을 활용하여 지방의 세곡을 상납하였다. 이를 직납(直納) 또는 직상납(直上納)이라고 한다. 직납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삼남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는데, 그 중 충청도의 직납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충청도에서 세곡을 직납하던 지역은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었다. 이 서해안과 금강 일대 군현이 직납을 하기 위해서는 세곡을 적재할 선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토선이 적었을 뿐 아니라 경강선주를 유인할 수 있는 여건도 부족했다. 경강선주들은 선박을 임대해주고 받는 임대료 즉, 선가(船價)에 예민하게 반응했는데 충청도는 전라도와 경상도에 비해 선가가 낮았다. 따라서 경강선주는 충청도의 세곡 운송을 회피하였고, 이로 인해 홍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바다에서 경강선을 강제로 잡는 착선(捉船)을 자행하기도 했다. 결국 조선왕조는 안정적으로 재원을 조달하고자 작대제(作隊制)를 실시하고, 경강선을 선계(船契)로 조직하고 충청도의 세곡운송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리고 정조대 등장한 주교사의 주교선이 작대제와 결부되면서, 19세기 충청도 직납 군현의 세곡은 주교선이 전담하였다. 충청도 금강 일대에 위치한 11개 군현은 모두 주교선의 활동 무대였다. 각 군현에서는 금강 변에 강창과 해창을 설치하고, 경내에서 수취한 세곡을 집적하였다. 그러면 서울에서 주교선이 내려와 세곡을 운송해갔다. 주교선에는 감관, 색리, 선주, 격군 등 14명의 선원이 탑승했다. 이 중 감관과 색리는 세곡을 납부하는 군현에 거주하는 인물들이었고, 선주와 격군은 서울 용산 등지에 거주하던 한강민들이었다. 금강에서 출발한 주교선은 30일 정도 항해하여 서울에 도착하였다. 이와 같이 금강을 무대로 활동하던 주교선 중심의 세곡운송방식은 19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도의 영리(營吏)와 향리(鄕吏), 그리고 이들의 기록물 - 충청도 감영의 영방(營房)과 향리 사회의 연망에 대한 기초 연구 -

        이훈상 ( Lee Hoon-sa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0 No.-

        이 연구는 충청도 감영의 영방(營房)과 향리 사회의 연망을 재현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먼저 관련 기록물과 그 특성을 밝힌 것이다. 경상도와 전라도에 집중된 향리 연구의 지평을 충청도로 확장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렇지만 오랜 기간과 광범위한 발굴 및 조사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는 제한적이었고,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이것을 충청도의 특성으로 환원하여 이것을 전제로 먼저 그 배경과 의미를 밝히려 한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관련 기록물들과 그 특성을 밝히는 작업에 집중하여 54개 읍의 향리 사회를 포괄하는 방대한 후속 작업의 기초를 닦으려 하였다. 충청도를 사례로 하는 일련의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충청도 54개 읍의 향리 지도의 완성인데, 여기에는 각 읍을 단위로 한 향리 사회의 권력 지형과 향리를 포함한 이서집단의 구별 짓기 그리고 근대 이후의 변동이 포함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관련 기록물들을 영리와 향리로 나누고 먼저 영리와 이들의 모임인 영방에서는 영리들의 출자 및 운영 방식을 검토하고, 이어 향리를 대상으로 54개 읍의 향리를 비롯한 이서집단의 구성과 사회적 구별 짓기에 주목하여 향리 사회의 권력 지형과 그 변화를 가리들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영리와 향리를 둘러싸고 지역사회와 국가 사이의 상호 어긋나는 다양한 시점과 목소리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는 기록 문화 전통의 창출 및 각 읍 향리 사회의 조직화와 관련하여 청안현 향리 사회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향리 사회가 계속 새로운 부류들을 받아들이고 이들이 읍권(邑權)을 주도하는 대열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앞장섰음을 밝혀냈다. 나아가 각 읍에서 오랜 역사적 연고권을 가진 향리 가문들의 우위가 두드러지지 않더라도 향리제도가 이 지역에도 장기간 존속한 또 다른 배경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한편 경상도 및 전라도와 비교하여 충청도의 차이를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향리 관련 기록물이 국가나 향리들만의 목소리나 시선이 아닌 향리들과 각기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여러 집단들의 다양한 목소리들과 시선도 담겨 있음은 공통된다. 그리고 이것들이 바로 향리의 역사상 자체임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 강조한 향리 관련 기록물들에서 보이는 다층적 층위는 추후 수행할 54개 읍의 향리 사회에 대한 일련의 후속 연구들의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simple fact that compared with those of Jol1a-do and Gyeongsang-do, the records produced by the functionaries of 54 counties and clerks of the headquarter of Chungcheo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relatively small in number. Under the assumption that this fac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ries of Chungcheong-do,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produced by the functionaries and clerks of this area. As is well known, the systems of clerks of the headquarter in Jol1a-do and Gyeongsang-do show an important development of centraliz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multaneously It had a limit in centralization since most of the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came from a few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strongly rooted in some local areas. Therefore long-termed hegemony of the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based on the close network with chambers of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continu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ntrary to these two provincial governors, this study contends that there were few distinct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in Chungcheong-do.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next study will be hopefully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long-termed hegemony of the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did not develop in Chungcheong-d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1872년 충청도지도의 표현 기법에 대한연구

        이혜경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2

        『1872년 지방 지도』는 조선 후기의 표현 가능한 모든 회화적인 기법들을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아울러『1872년 지방 지도』는 한 사람이 가까운 지역의 지도를 2~3개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52장 중 과반 이상이 전체적인 채색 상태와 산맥을 묘사한 기법에서 매우 유사하게 그려졌다. 이런 점에서 충청도 지도는 다른 도에 비하면 어느 정도 제작에 통일성을 갖추었다. 그리고 충청도 지도는 행정적 정보제공이라는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정보제공이라는 지도의 필수 요소를 잘 표현했는데 이는 화려한 회화적인 표현이 오히려 정보를 읽는데 어려움을 줄 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충청도 지도에 나타난 산·산맥의 표현 및 채색 방법과 바탕재의 처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충청도 지도만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