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关于中国企业领导风格、 企业文化、 组织支持感与工作满意度之间关系的研究

        이상윤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2014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국제학술회의 Vol.- No.20

        본 연구는 중국기업의 가부장적 리더십, 서구적 리더십, 기업문화와 조직지원인식간의 관계, 가부장적 리더십, 서구적 리더십, 기업문화 및 조직지원인식의 직무만족도에 대 한 영향, 가부장적 리더십, 서구적 리더십, 기업문화 등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을 통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로 가부장적 리더십 중 인자형 리더십과 권위적 리더십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서구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기업문화 중 발전문화와 합리문화는 모두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가부장적 리더십 중 인자형 리더십 및 도덕적 리더십은 모두 매개 변수인 조직지원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로 서구적 리더십인 개별적 배려와 성과중시가 모두 매개변수인 조직지원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로 기업문화 중 발전문화는 0.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곱째로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로 조직지원인식은 가부장적 리더십 중 인자형 리더십, 서구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 그리고 기업문화 중 발전문화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本文围绕着家长式领导风格、 西方领导风格、 企业文化及组织支持感之间的关系, 家长式领导风格、 西方领导风格、 企业文化与组织支持感对工作满意度的影响, 以及组织支持感在自变量与应变量之间的正相关关系中所起到的中介作用进行具体并全面的分析。 第一, 仁慈型领导与权威型领叶作为家长式领导风格对工作满意度产生显著正面正面影响。 第二, 个别照顾作为西方领导风格对工作满意度产生显著正面影响。 第三, 发展文化与合理文化作为企业文化都对工作满意度有显著正面影响。 第四, 仁慈型领导与道德型领导作为家长式领导都对作为中介变量的组织支持感有显著正面影响。 第五, 个别照顾与重视业绩作为西方领导风格都对作为中介变量的组织支持感有显著正面影呐。 第六, 发展文化作为企业文化对作为中介变量的组织支持感有显著正面影响。 第七, 组织支持感作为中介变量对作为应变量的工作满意度产生显著正面影响。 第八, 组织支持感在仁慈型领导作为家长式领导、个别照顾作为西方领导和发展文化作为企业文化等自变量与作为应变量的工作满意度之间起到中介作用。

      • KCI등재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aipei sports centers

        CHIU WEI SHENG,조남흥,원도연 한국마케팅과학회 2014 마케팅과학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marketing,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the context of the sportsservice industry. All employees of public sports centers in Taipei City participated in thisstudy, and the data (n ¼ 261)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internalmarket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and that jobsatisfaction in tur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employees. Although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commitment among employees was not found, a full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between the factors was revea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arify the relationships andverify the mechanisms at work among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Academically, the study fills the gap in sportsmanagement literature regarding the role of internal marketing for sports services. Thestudy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orts center managers to implement internalmarketing in sports centers, and thereby provide better-quality service for customers.

      • KCI등재

        中国知识型员工的离职倾向研究 -东方文化因素检验-

        김국영,김용민,김민수 한중사회과학학회 2014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2 No.3

        본 논문은 동양권의 기업에서 강조하는 문화적인 요인들을 포함하여중국 기업 내 지식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근로자들의 이직의도 형성에는자신의 직장에 대한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 그리고 기업에 대한충성심과 권력거리(power distance)가 지식근로자들의 이직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중국 상하이의 금융권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지식근로자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는 그들의이직의도에 분명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조직에 대한 충성심은 그들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가 낮은 상황에서도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기업 내의 권력거리는 지식근로자의 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만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식근로자들이 현재의 직장에서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가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은 지식근로자들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정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들을개발⋅제공해야 한다. 둘째, 조직에 대한 지식근로자들의 충성심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고대 동양철학의 하나인 유가(儒家)의 가르침에 의하면, 직원의 ‘충성심(忠)’과 관리자의 ‘관용적인 태도(恕)’는 동전의 양면이다.(“夫子之道, 忠恕而已矣”) 따라서 기업이 지식근로자들의 충성심을 높이고 조직내에서 지속적으로근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충성심을 강조함과 동시에‘관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서비스종업원의 성격특성이 직무관련요인, 서비스지향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명희 국제보건미용학회 2019 국제보건미용학회지 Vol.13 No.2

        When a customer evaluates an organization, the smaller and worse the organization is, the more dependent on the service level of the employee delivering the servic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frontline employees, which is the core resource of an organization, in a small organization, ironically, it has been neglected in the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sonality factors influencing job performance by analyzing personality traits of employe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the skin care indust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efficient tactics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sincerity trai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nd that extroversion, progressiveness, sociability, and instability traits had no effect on either.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establishing the job management strategy of employees in small business.

      • KCI등재

        뷰티서비스업 구성원의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김태열,이성내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8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6 No.4

        목적: 본 연구는 뷰티샵의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 뷰티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영층지원, 교육및 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고,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영층지원과 보상제도로 나타났다. 뷰티샵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영층지원, 권한위임, 교육 및 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샵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객지 향성을 높이기 위한 매개변수임을 증명하였다. 결론: 결과적으로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의 매개변수이며 직무만족은 내부마케팅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 왜 내부마케팅에 대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하 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f beauty shops on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ethods: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the beauty industry was conducted in January 2018 in Seoul and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program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ults: Management support, education and training,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the internal marketing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ttributes that influenced customer orientation were management support and the compensation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employee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encouraged customer orientation in beauty shop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observed to be induced by the features of management support, delegation of authority, education and training,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The authors of this paper were able to determine that job satisfaction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beauty shop employees, and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at job satisfaction is a mediating variable that can increase customer orientation. Conclusion: Employee job satisfaction is a mediating variable that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in beauty personnel and this emotion of professional fulfillment is influenced by internal marketing factors. The outcomes of this investigation will help to explain why internal marketing efforts must first be undertake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노진옥,이선옥 국제보건미용학회 2022 국제보건미용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by considering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urvey, among 149 nurses from January 1 to 31, 201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Nurses’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Nurses’ professionalism (3.44±0.40), job satisfaction (3.01±0.31), job stress (2.88±0.4), and turnover intention (3.02±0.82), were at an intermediate levels. Among these variables, turnover inten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In this study,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were the factors that most affected turnover intention, with an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22.2%.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a housekeeping mediation program to minimize turnover intention, introduce a standard wage system, and resolve conflicts between managers and colleagues.

      • KCI등재

        The effect of servicescape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in Korea and China on service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노희경,Souphinh Vongphachanh,조상희 한국마케팅과학회 2018 마케팅과학연구 Vol.28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components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on the service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Korea and China. First, the results show that air-conditioned environment, functionality, and space accessibility have a signifi cant eff 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 and service orientation. However, esthetic impression and safety have no signifi cant eff ect. Second, service orientation has a signifi cant eff 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job satisfaction has no signifi cant eff 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when comparing Korea and China, the air-conditioned environment was controlled only on the Chinese side, but not estheticism. Functionality, safety, and space accessibility have a moderate eff ect only on the Korean sid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moderate eff ects in both Korea and China,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 not show any control eff ect. The study results suggest some servicescape factors that should be complemented to improve the service orientation of employees in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in Korea and China. Furthermore, the results confi rm that service orientation relates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Korea and China .

      • KCI등재

        미용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격강점과 직무성과의 차이

        정지숙,오윤경 국제보건미용학회 2021 국제보건미용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character strength and job performa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how they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against beauty industry work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500 cosmetologis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April 15 to May 10, and a total of 44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character streng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length of services and wage level. Second, concerning job performa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 in ‘age 40 or older’, ‘10 years or longer’ and ‘KRW 4 million or higher’.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age 40 or older’ and ‘KRW 4 million or higher’. Third, all six character strength factor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means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s can be enhanced by reinforcing character strength.

      • KCI등재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Related Workers

        Ae-Kyung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4

        목적: 이 연구에서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뷰티관련종사 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58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기술 통계,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성별은 여성이, 결 혼여부는 미혼, 연령은 20-29세, 학력은 대학과정 중 및 졸업, 직무유형은 헤어, 월평균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삶의 질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 및 삶 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역할 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를 통해 뷰티관련종사자의 직 무만족 및 삶의 질을 증대시키기고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관리를 위해 뷰티관련 사업장의 형태에 맞는, 고객 응대 및 직장 상사와의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매뉴얼 제작이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related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beautyrelated workers, and 358 survey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alysis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respondents were generally female, unmarried, 20–29 years old, had college or graduate school education, were hairdressers, and had a monthly average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Second,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each sub-factor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Thir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related stress, home-relat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reward-relat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job stress is full mediation. Conclusi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beauty-related workers’ job stress improv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for managing each job’s stress factor, creating a manual appropriate to that type of beauty-related workplace will be helpful.

      • KCI등재

        Effects of Awareness of Negative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for Estheticians of Skin Care Salons

        Moon-Joo Kim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사의 부정적 리더십 지각이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피부미용실 경영 개선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참고문헌 고찰과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dow 19.0 프로그램(IBM, USA)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은 Cronbach's α,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2019년 7월 동안 전국 프랜차이즈 피부미용실 87곳, 개인 운영 피부미용실 25곳에 근무하는 피부 미용사를 대상으로 총 5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47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크론바흐 알파 값은 0.764에서 0.824이었 다. 부정적 리더십 요인에서 근무환경 요인 7문항, 개인적 요인 5문항, 직무 만족 요인에서 기회요인 8문항, 능력 요인 4문항, 방향 요인 4문항으로 총 16문항, 이직의도 요인으로 4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부정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피부미용사에게 있어 자율적인 조직 분위기, 직무 만족, 긍정적인 동료관계가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관리자의 부정적 리더십을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 모색을 통해 피부미용실의 경영개선 및 관리자들의 부정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 및 개선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t operating mechanisms of the effect of negative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among estheticians in the skin care salon industr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nd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sess negativ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Random sampling was used to select participants in South Korea. Out of 56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in June 2019, data from 472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es. The study conducted factor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Cronbach’s a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using SPSS window 19.0 (IBM, USA). Results: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estheticians reported that a self-regulating organization atmosphere, job satisfaction, desire for recognition, and relationship with peers were important. Conclusion: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s in skin care salons is necessary to create fair regulation, promotion, and welfare plans to decrease the effects of negative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