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옹후묘지명(雍侯墓誌銘)」의 서술양상과 그 의미 -가문(假文)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길환 ( Lee Gil-hwan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59 No.-

        본고는 尹光啓(1559~?)의 「雍侯墓誌銘」의 서술양상을 서사단락별로 파악하고 조수학이 제시한 ‘假文’이라는 관점에서 해당 작품의 의의와 장르 귀속 문제를 고찰하였다. 「옹후묘지명」은 항아리와 술과 관련된 고사와 정보들을 적극 활용하여 묘지명이라는 문체에 가탁하여 지은 작품이다. 이외에도 金馹孫과 羅獻容이 지은 비지류 작품 역시 사물을 묘주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작품은 習作과 戲作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비실용문은 가전과의 유사성 때문에 假傳의 변체 혹은 확장으로 귀속될 수 있지만 작품의 제명과 서술상의 특징을 고려한다면 가문의 하위 갈래인 假碑誌類로서 명명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yōnghóumùzhìmíng (雍侯墓誌銘, tomb epitaph for a pot) by Yun Gwanggye(尹光啓) is described in respective paragraph and further sheds light on not just what meanings this tomb epitaph has in terms of the genre of jiǎ wén (假文, pseudo-writing) but what genre this work should belong to. This work was written in the form of grave inscription for tomb tablet, one of the literary styles, and various former practices related to pots and drinks are embodied on this work. Furthermore, the inscriptions(碑誌類) by Kim Ilson(金馹孫) and Na Heonyong(羅獻容) also could be said to have been composed for the purpose of being playful or studying in that they feature the tomb’s own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unformal writings are similar to pseudo-writing, they can be thought to be a kind of jiǎ chuán (假傳, pseudobiography), Though, it has to be classified as the pseudo-inscription, the subclassification of pseudo-writing, based on the title an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 KCI등재

        심성(心性)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기록에 대한 연구

        우지영 ( Woo Jee-young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신령스럽고 밝은 집’이라는 뜻의 ‘神明舍’는 인간의 심성을 건축물에 비유한 명칭으로, 마음이 머무는 집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명사를 가상적인 공간으로 설정하여 이 공간의 유래와 구조, 마음을 잃는 과정과 되찾는 과정에 대한 경위 등을 기록한 記文인 「神明舍記」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해 보았다. 신명사를 소재로 하는 기문은 주로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중반까지 활동한 문인들에 의해서 주로 지어졌는데,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작품은 바로 尹光啓, 張維, 姜大遂, 鄭弘溟, 河溍에 의해 지어진 「神明舍記」이다. 「신명사기」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머무는 곳을 공간적으로 형상화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가시적인 것으로 치환하고, 인간의 심성을 여러 가지로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올바른 마음을 잃어버렸다가 되찾는 과정을 서사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상실된 마음을 회복하고 심성 수양으로 나아가려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도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마음을 성찰하고 수양하여 신령스럽고 밝은 마음을 상실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교훈적 가르침을 여러 가지 문학적 수사로 참신하고 생동감 있게 전달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 대상으로 한 작품들은 곧 마음의 근원을 궁구하고 올바른 본성의 이상적 실현을 위한 방안에 대해 고심한 흔적의 소산물임과 동시에 심성론과 관련된 경서의 전고를 적절히 수용하여 교훈적 메시지를 담으면서도 다소 희작적인 창작 기법이 교차하는 문예지향적 작품이라고 그 의미를 평가해 볼 수 있겠다. The ‘Sinmyeongsa(神明舍)’, meaning ‘A spiritual and bright house’, is a name that likens the mind of human to a building and it means the house where the heart is. In this paper, I proceeded with the stud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inmyeongsagi(神明舍記)」 that recorded the origin and the structure of this space, the process of losing the mind and regaining it, by setting the Sinmyeongsa as a imaginary space. The works based on the Sinmyeongsa were mainly written by literati who were active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mid 17th century. The works in this paper are 「Sinmyeongsagi」 that were written by Yoon Gwang-gye(尹光啓), Jang-Yu(張維), Kang Dae-su(姜大遂), Jeong Hong-myeong(鄭弘溟) and Ha-Jin(河溍). In 「Sinmyeongsagi」, the place where the human mind stays was spatially shaped, the abstract concept was replaced by visible, and the human mind was expressed in various personification. Also, by epically describing the process of losing the right mind and regaining it, it effectively embodied the way to reach the goal of recovering the lost mind and leading to the mind cultivation mind. And finally, this works refreshingly and animatedly conveyed the instructive teachings on how to introspect and cultivate the mind and not lose the spiritual and bright mind through of various literary rhetoric. The works which were studied in this paper could be evaluated as not only the product of a trail that investigated thoroughly the origin of the mind and about the ideal realization of the right nature, but also the literature-oriented works somewhat burlesque creative techniques were crossed while appropriately accepting authentic precedents of the Confucian classics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mind and containing instructional messages.

      • KCI등재

        『옥봉집(玉峯集)』 서문에 보이는 백광훈(白光勳)의 문예인식

        김종서 ( Jong Seo Kim )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9 No.-

        There are three prefaces of Yugun(柳根), YiJeonggu(李廷龜), Shinheum(申欽) and one epilogue of Yunguanggye(尹光啓) in Okbongjib. These prefaces show the trend of literary thought such as Dang style(唐風), Jeongeum(正音), Jeongseong(正聲) and the estimation of Okbong(玉峯) Paek Kwang-Hun(白光勳)`s literature. Okbong tried to change his situation through the poetic success. He thought that the absolute accomplishment was Dang poetry(唐詩). He made hard effort on the implication and the suggestiveness of poetry. So he gained the fame as a poet of Dang style(唐風). The sound of poetry was changed by the temper and the life environment. The sound of emotion was changed by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state of the feeling. This is Jeongeum(正音): the poetic embodiment of the harmony between sound and feeling. Okbong refined the poetic diction and made careful poetic idea and he accomplished perfect and natural poetic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